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6-12)

리눅스마스터 2급
(2010-06-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chmod에서 모드 표기는 3자리 8진수인데 특수 목적 접근 모드를 위해 8진수 하나를 더 추가하여 4자리 8진수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는데 다음 중 특수 목적 접근 모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000은 sticky bit이다.
  2. 2000은 SetGID 비트로 프로세스 실행시 GID 즉 Group ID, 그룹의 ID 를 설정하는 것이다.
  3. 4000은 SetUID 비트로 프로세스 실행 시 UID 즉 User ID, 소유자의 ID 를 설정하는 것이다.
  4. 특수목적 접근 모드는 root 사용자만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76%)
  • "특수목적 접근 모드는 root 사용자만 설정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일반 사용자도 특수목적 접근 모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root 사용자만이 다른 사용자의 파일에 대해 특수목적 접근 모드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1000은 sticky bit으로, 디렉토리에 설정되면 해당 디렉토리 내의 파일은 소유자나 그룹 멤버만 삭제할 수 있습니다.
    2000은 SetGID 비트로, 파일에 설정되면 해당 파일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는 파일의 그룹 ID를 가지게 됩니다.
    4000은 SetUID 비트로, 파일에 설정되면 해당 파일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는 파일의 소유자 ID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ls -l 명령을 쳤을 경우 rwxrwxrwx로 나타나는 파일의 권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앞의 세 문자는 소유자의 권한 다음 세 문자는 그룹 사용자들의 권한 마지막 세 문자는 타인들의 권한이다.
  2. ‘rwxr-x--x’는 8진수로 ‘751’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3. r은 읽기w는 쓰기 x는 실행을 뜻하며 대신-가 보여지면 해당 권한이 없다는 뜻이다.
  4. 예를 들어 cry.rb 파일의 소유자가 쓰지 못하게 하려면 chmod rwxrwxr-x cry.rb라고 하면 된다.
(정답률: 82%)
  • 정답은 "예를 들어 cry.rb 파일의 소유자가 쓰지 못하게 하려면 chmod rwxrwxr-x cry.rb라고 하면 된다." 이다. 이유는 이미 설명된 것과 같이 앞의 세 문자는 소유자의 권한, 다음 세 문자는 그룹 사용자들의 권한, 마지막 세 문자는 타인들의 권한을 나타내며, r은 읽기, w는 쓰기, x는 실행을 뜻한다. 따라서 rwxrwxr-x는 소유자와 그룹 사용자는 모두 읽기, 쓰기, 실행이 가능하고, 타인은 실행만 가능하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baby.cpp 파일에 대해 소유자가 속한 그룹에 사람들만 쓰기가 가능하도록 권한을 추가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그룹에 속한 사용자마다 각각 chmod +w baby.cpp 명령을 수행해야만 한다.
  2. chmodo+ wbaby.cpp명령을 수행한다.
  3. chmoda-wbaby.cpp명령을 수행한다.
  4. chmodg+w baby.cpp명령을 수행한다.
(정답률: 81%)
  • 정답은 "chmodg+w baby.cpp명령을 수행한다."이다.

    이유는 baby.cpp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chmod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chmod 명령어는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로, 사용자(user), 그룹(group), 기타(other)에 대한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baby.cpp 파일에 대해 소유자가 속한 그룹에 사람들만 쓰기가 가능하도록 권한을 추가하고자 할 때는 "chmodg+w baby.cpp"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이 명령어는 baby.cpp 파일의 그룹에 대한 쓰기 권한을 추가하는 것이므로, 그룹에 속한 모든 사용자가 쓰기 권한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가 chmod 명령어를 수행할 필요 없이, 한 번의 명령어로 그룹 전체에 대한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파일의 마지막일부분만을 보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more
  2. less
  3. tail
  4. pg
(정답률: 78%)
  • 정답은 "tail" 입니다.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끝 부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more"와 "less" 명령어는 파일 전체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pg" 명령어는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파일의 마지막 일부분만을 보고자 할 때는 "tail"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client.c 라는 파일의 소유자를 ihd로 바꾸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hgrp ihd client.c
  2. change_soyuja ihd client.c
  3. chown ihd client.c
  4. chmod ihd client.c
(정답률: 87%)
  • 정답은 "chown ihd client.c"이다.

    chown은 change owner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chgrp는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적절하지 않다. change_soyuja와 chmod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리눅스 파일 시스템 중 저널링 파일 시스템(Journaling File System)이 선호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1. 디스크에 저장하기 전에 변화된 것들을 따로 유지하고 있어 데이터복구 확률이 높다.
  2. 데이터에 대한 접근 속도가 가장 빠르게 최적화되어 있다.
  3. 중복 저장 구조로 디스크가 망가져도 데이터의 복구가 확실하다.
  4. 네트워크의 파일 시스템들 간의 공유와 분산 저장에 적합한 파일 시스템이다.
(정답률: 54%)
  • 저널링 파일 시스템은 디스크에 저장하기 전에 변화된 것들을 따로 유지하고 있어 데이터복구 확률이 높습니다. 이는 시스템이 갑작스럽게 종료되거나 디스크가 손상되는 등의 상황에서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fsck명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이 명령을 사용하려면 리눅스가 점검할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몰라도 자동으로 복구 가능하다.
  2. -t 옵션을 통해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할 수 있다.
  3. -t 옵션이 없으면 /etc/fstab 파일에서 유형을 검사하여 사용한다.
  4. -t 옵션이 없고 /etc/fstab 파일에서도 유형을 알 수 없다면 minix 파일 시스템으로 가정한다.
(정답률: 45%)
  • "이 명령을 사용하려면 리눅스가 점검할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몰라도 자동으로 복구 가능하다." 이 설명이 틀린 이유는, fsck 명령은 파일 시스템의 유형에 따라 다른 옵션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명시해주지 않으면 자동으로 복구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t 옵션을 통해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할 수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시스템에 새로운 하드 디스크를 추가하는 과정으로 올바른 것은?

  1. mount로 마운트 -> fdisk로 파티션 생성 -> format으로 파일 시스템 생성
  2. fdisk로 파티션 생성 -> format으로 파일 시스템 생성 -> mount로 마운트
  3. format으로 파일 시스템 생성 ->f disk로 파티션 생성 -> mount로 마운트
  4. fdisk로 파티션 생성 -> mount로 마운트 -> format으로 파일 시스템 생성
(정답률: 70%)
  • 새로운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티션을 생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fdisk를 사용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format을 사용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생성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mount를 사용하여 마운트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fdisk로 파티션 생성 -> format으로 파일 시스템 생성 -> mount로 마운트"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현재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으로 알맞은 것은?

  1. minix
  2. ext3
  3. jfs
  4. ntfs
(정답률: 75%)
  • 현재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은 "ext3"입니다. 이는 ext2 파일 시스템의 개선 버전으로,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의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또한, ext3 파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다른 파일 시스템보다 더 빠르고 안정적이며,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파일 시스템의 사용량을 알아보는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ls
  2. df
  3. fu
  4. fileusage
(정답률: 85%)
  • 정답은 "df"입니다. "df"는 "disk free"의 약자로,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한 공간과 사용 중인 공간, 그리고 전체 공간 등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의 사용량을 알아보기에 가장 적합한 명령어입니다. "ls"는 디렉토리 내의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fu"와 "fileusage"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daem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메모리에 백그라운드로 오랫동안 상주하며 server의 역할을 하거나 그 기능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2. 리눅스에서 daemon은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super daemon 방식과 standalone 방식이다.
  3. super daemon 방식에서는 하나의 큰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고 여러 작업에 대해 서로 모든 요청을 받아서 그 프로세스 자신이 직접 처리해주는 방식이다.
  4. standalone 방식에서 daemon은 보통 한 가지 일만 하며 부팅 때에 실행되어 메모리에 계속 상주하면서 client에서비스를 해준다
(정답률: 44%)
  • 정답은 "standalone 방식에서 daemon은 보통 한 가지 일만 하며 부팅 때에 실행되어 메모리에 계속 상주하면서 client에서 서비스를 해준다"입니다.

    super daemon 방식에서는 하나의 큰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고 여러 작업에 대해 서로 모든 요청을 받아서 그 프로세스 자신이 직접 처리해주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여러 개의 작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보다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리눅스에서 실행중인 작업의 상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uspend된 작업을 다시 foreground로 하기 위해서는 fg %<작업번호>를 사용한다.
  2. suspend된 작업을 다시 background로 하기 위해서는 bg %<작업번호>를 사용한다.
  3. foreground 상태의 작업을 background 실행 상태로 바꾸려면 CTRL-Z를 누르면 된다.
  4. background 상태로 작업을 실행하려면 명령 뒤에 &를 붙이고 엔터를 쳐야 한다.
(정답률: 61%)
  • "foreground 상태의 작업을 background 실행 상태로 바꾸려면 CTRL-Z를 누르면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foreground 상태의 작업을 background 실행 상태로 바꾸기 위해서는 CTRL-Z를 누른 후에 "bg" 명령어를 입력해야 합니다. CTRL-Z는 작업을 일시 중지시키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과 같이 vi 명령을 실행하였을 때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win.exe는 실행파일이므로 vi로 편집할 수 없다.
  2. vi는 터미널에서 입력을 받아야 하는데 background로 실행하였다.
  3. vi보다는 개선된 gvim을 쓰는 게 좋다.
  4. /usr/bin디렉토리에는 vi가 없어 실행이 되지 않는다.
(정답률: 73%)
  • vi는 터미널에서 입력을 받아야 하는데 background로 실행되어 터미널 입력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현재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나타내 주는 명령어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ls
  2. ps
  3. pstree
  4. jobs
(정답률: 76%)
  • 정답은 "ps"입니다. "ps"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명령어입니다. "ls"는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pstree"는 프로세스들의 계층 구조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jobs"는 현재 쉘에서 실행 중인 작업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현재 쉘에서 여러 프로그램들을 background로 실행하였다. 이 프로그램들의 상태를 보기 위한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psaux | less
  2. jobs
  3. kill
  4. tasks
(정답률: 83%)
  • 정답은 "jobs"이다. "jobs" 명령어는 현재 쉘에서 실행 중인 백그라운드 작업들의 상태를 보여준다. "psaux | less"는 현재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주는데, 백그라운드 작업들만 보기 어렵다. "kill"은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어이며, "tasks"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떤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에게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수단 즉 프로세스 간의 통신수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ignal
  2. fork
  3. filesystem
  4. channel
(정답률: 80%)
  •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어떤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에게 어떤 일이 발생했다는 신호를 보내야 합니다. 이러한 신호를 "signal" 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signal"은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위한 수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crontab 파일의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화요일 새벽 0시에 /etc/passwd의 내용을 hacker@northkorea.org로 보낸다
  2. 화요일 새벽 1시에 /etc/passwd의 내용을 hacker@northkorea.org로 보낸다
  3. 수요일 새벽 1시에 /etc/passwd의 내용을 hacker@northkorea.org로 보낸다
  4. 월요일 새벽 2시에 /etc/passwd의 내용을 hacker@northkorea.org로 보낸다
(정답률: 84%)
  • crontab 파일은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설정하는 파일이다.

    해당 crontab 파일의 내용은 "월요일 새벽 2시에 /etc/passwd의 내용을 hacker@northkorea.org로 보낸다" 이다.

    즉, 매주 월요일 새벽 2시에 /etc/passwd 파일의 내용을 hacker@northkorea.org로 보내는 작업이 설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종료시키고자 하는 프로세스가 12345일 때, kill 12345는 프로세스 12345에게 어떤 신호를 보내는가?

  1. terminate, 즉 SIGTERM 신호를 보낸다
  2. stop, 즉 SIGSTOP신호를 보낸다
  3. abort, 즉 SIGABRT 신호를 보낸다
  4. quit, 즉 SIGQUIT 신호를 보낸다
(정답률: 51%)
  • kill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SIGTERM 신호를 보내며, 이는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종료시키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terminate, 즉 SIGTERM 신호를 보낸다"가 정답입니다. SIGSTOP은 프로세스를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는 신호이고, SIGABRT는 프로세스를 비정상적으로 종료시키는 신호입니다. SIGQUIT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키고 코어 덤프(core dump)를 생성하는 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리눅스에서 정기적으로 명령이나 프로세스를 스케줄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cron
  2. tasks
  3. schedule
  4. jobs
(정답률: 74%)
  • 정답: cron

    설명: cron은 리눅스에서 정기적으로 명령이나 프로세스를 스케줄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cron은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명령을 실행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프로세스들 간의 상관관계를 계층 구조로 보여주는 명령은 무엇인가?

  1. pstree
  2. tree
  3. ps --tree
  4. proctree
(정답률: 87%)
  • 정답은 "pstree"이다. "pstree" 명령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 간의 상관관계를 계층 구조로 보여준다. 이는 부모-자식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어 프로세스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tree" 명령은 파일 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를 보여주는 명령이며, "ps --tree"나 "proctree"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은 터미널을 통해 프로세스에 전달할 수 있는 시그널들이다. bash를 사용하는 경우 프로세스에 시그널을 전달하기 위해서 bash가 무시하는 시그널이 아닌 것은?

  1. SIGTTIN
  2. SIGTTOU
  3. SIGTSTP
  4. SIGTERM
(정답률: 55%)
  • 정답: "SIGTERM"

    설명:

    - SIGTTIN: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터미널로부터 입력을 받으려고 할 때 발생하는 시그널
    - SIGTTOU: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터미널로 출력을 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시그널
    - SIGTSTP: 프로세스를 일시 중지시키는 시그널
    - SIGTERM: 프로세스에게 종료를 요청하는 시그널

    bash는 기본적으로 SIGTTIN, SIGTTOU, SIGTSTP 시그널을 무시하고 처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bash가 무시하지 않는 시그널은 SIGTERM입니다. SIGTERM은 프로세스에게 종료를 요청하는 시그널이므로, bash를 사용하는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시키기 위해 SIGTERM 시그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bash에서 사용 가능한 연산자와 그 설명이 다.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1. ! - 비트 반전
  2. | - OR
  3. >> - 오른쪽으로 비트시프트
  4. ? - 조건검사
(정답률: 36%)
  • 정답은 ">> - 오른쪽으로 비트시프트" 이다.

    "| - OR" 연산자는 두 개의 비트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값이 1이 되는 연산자이다. 예를 들어, 1010 | 1100 = 1110 이 된다.

    "! - 비트 반전" 연산자는 비트를 반전시키는 연산자이다. 예를 들어, !1010 = 0101 이 된다.

    ">> - 오른쪽으로 비트시프트" 연산자는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자이다. 예를 들어, 1010 >> 2 = 0010 이 된다.

    "? - 조건검사"는 bash에서 사용 가능한 연산자가 아니므로 잘못된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쉘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bash - Korn 쉘과 C 쉘의 유용한 기능을 차용하였다.
  2. csh - C 언어와 유사한 쉘스크립트를 제공한다.
  3. ksh - 명령행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4. tcsh - 쉘스크립트로 tcl/tk를 사용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tcsh - 쉘스크립트로 tcl/tk를 사용한다." 이다.

    tcsh는 쉘스크립트로 tcl/tk를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tcsh는 C shell의 확장 버전으로, C shell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며 명령행 편집 기능을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명령어 who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스템 사용자들이 접속한 장소 시간 등을 출력하는 도구이다.
  2. 시스템의 마지막 부팅시간을 알 수 있다.
  3. 로그인에 관련된 프로세스 ID를 알 수 있다.
  4. 로그인한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정답률: 52%)
  • 명령어 who는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하는 도구이며, 로그인한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명령어는 write이다. 따라서 "로그인한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borne 쉘의 환경변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HOME : 사용자가 시작하는 위치인 홈 디렉터리를 설정한다.
  2. PATH : 터미널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지정되는 대로 터미널 유형의 이름을 설정한다.
  3. PS1 : 프롬프트의 모습을 정의하는 1차 쉘 프롬프트이다.
  4. PWD :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어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67%)
  • "PATH : 터미널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지정되는 대로 터미널 유형의 이름을 설정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ATH는 실행 파일을 찾을 때 검색할 디렉토리 경로를 지정하는 환경변수입니다. 즉, 실행 파일의 경로를 지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HOME은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경로를, PS1은 쉘 프롬프트의 모양을, PWD는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 경로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BASH 환경에서 alias 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se talias 'rm -i'=rm
  2. set alias rm='rm -i'
  3. alias 'rm- i'=rm
  4. alias rm='rm -i'
(정답률: 69%)
  • 정답은 "alias rm='rm -i'" 입니다.

    이유는 BASH 환경에서 alias 를 설정하는 방법은 "alias [별칭]='[명령어]'" 입니다. 따라서 "alias rm='rm -i'" 는 "rm" 이라는 명령어를 실행할 때 "-i" 옵션을 추가하여 실행하도록 "rm" 이라는 별칭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rm" 명령어를 실행할 때마다 "-i" 옵션을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실수로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쉘의 환경변수 PATH에 새로운 디렉토리를 추가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PATH=&PATH:newpath
  2. &PATH=PATH:newpath
  3. PATH=$PATH:newpath
  4. $PATH=PATH:newpath
(정답률: 80%)
  • 정답은 "PATH=$PATH:newpath"입니다.

    이유는 PATH는 환경변수 중 하나로, 실행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 경로를 저장하는 변수입니다. 따라서 PATH에 새로운 디렉토리를 추가하려면 기존의 PATH 값에 새로운 디렉토리 경로를 추가해야 합니다. 이때, $PATH는 기존의 PATH 값을 의미하며, :newpath는 새로운 디렉토리 경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PATH=$PATH:newpath 명령을 사용하여 PATH에 새로운 디렉토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명령 행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쉘을 사용할 때 터미널의 설정 잘못으로 키입력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알맞은 것은?

  1. stty
  2. chsh
  3. mincom
  4. setserial
(정답률: 62%)
  • "stty"는 터미널의 설정을 변경하는 유틸리티로, 터미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에서 키 입력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stty"를 사용하여 터미널의 설정을 초기화하거나, 터미널의 속성을 변경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stty"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vi 에디터의 모드 전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 : 입력 모드로 전환 커서 위치 앞에서 삽입
  2. O : 입력 모드로 전환 현재 줄의 위에 전개
  3. A: 입력 모드로 전환 커서 위치 뒤에 삽입
  4. I: 입력 모드로 전환 현재 줄의 앞에 삽입
(정답률: 43%)
  • 정답은 "A: 입력 모드로 전환 커서 위치 뒤에 삽입"이다. 이유는 "A"는 현재 커서 위치 뒤에 입력 모드로 전환되어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이다. "i"는 커서 위치 앞에서 삽입, "O"는 현재 줄의 위에 전개, "I"는 현재 줄의 앞에 삽입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에디터의 종류와 그 에디터의 저장 관련 명령어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Pico:‘^X’
  2. vi :‘ :wq’
  3. emacs: ‘Ctrl-x Ctrl-s’
  4. nano: ‘Ctrl-y’
(정답률: 46%)
  • 정답은 "nano: ‘Ctrl-y’"입니다.

    nano의 저장 관련 명령어는 "Ctrl-o"입니다. "Ctrl-y"는 복사하기 관련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예제 문장을 편집할 때 커서의 위치가 ‘■’일 경우 보기의 명령을 실행했을 때 커서의 위치가 다르게 나타나는 명령은 어느 것인가?

  1. 4l
  2. llll
  3. /c
  4. $
(정답률: 56%)
  • 보기 중에서 커서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명령어는 "4l", "llll", "/c" 이며, "$"는 현재 커서의 위치와 상관없이 문장의 끝으로 이동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커서의 위치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vi 에디터에서 practice 라는 파일을 생성하고 'vieditor' 라는 텍스트를 입력하여 저장한 후 vi 에디터를 종료하는 작업을 순서대로 알맞게 나타낸 것은?

  1. 가-나-다-라
  2. 가-나-라-다
  3. 나-다-라-가
  4. 나-다-가-라
(정답률: 70%)
  • 1. vi practice : practice 파일을 생성하고 vi 에디터를 실행한다.
    2. i : insert 모드로 전환한다.
    3. vieditor : 텍스트를 입력한다.
    4. ESC : insert 모드를 종료한다.
    5. :wq : 저장하고 종료한다.

    정답은 "가-나-다-라"이다. vi 에디터에서는 일반 모드와 insert 모드가 있다. 일반 모드에서는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일을 편집하고, insert 모드에서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을 생성하고 insert 모드로 전환하여 텍스트를 입력한 후, 일반 모드로 전환하여 저장하고 종료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저장 명령어는 :wq 이다.

    "가-나-다-라"이 정답인 이유는, vi 에디터에서는 명령어를 입력하는 일반 모드에서 명령어를 입력할 때, 첫 글자를 입력하고 TAB 키를 누르면 자동완성 기능이 동작한다. 따라서, "wq" 명령어를 입력할 때, "w"까지만 입력하고 TAB 키를 누르면 "wq"가 자동완성되어 입력되기 때문에, "가-나-다-라"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emacs 편집기의 커서 이동 명령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trl + e : 라인의 처음으로 이동
  2. Alt + a : 문장의 처음으로 이동
  3. Alt+ v : 한 화면 뒤로 이동
  4. Alt+ > : 파일 끝으로 이동
(정답률: 45%)
  • 정답은 "Ctrl + e : 라인의 처음으로 이동" 이다.

    이유는 Ctrl + e는 라인의 끝으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며, 오타가 있었을 수 있다.

    Alt + a는 문장의 처음으로 이동하는 명령어이고, Alt + v는 한 화면 위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며, Alt + >는 파일의 끝으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에서 설명하는 에디터는 무엇인가?

  1. kwrite
  2. emacs
  3. gedit
  4. vim
(정답률: 52%)
  • 이 에디터는 "vim"이다. 그 이유는 화면에 표시된 명령어 모드와 입력 모드를 갖고 있으며, 명령어 모드에서는 키보드로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일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vim의 특징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또한, vim은 리눅스와 유닉스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는 텍스트 에디터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패키지 매니저 중 하나인 yu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PM 기반의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2. C 혹은 자바를 이용한 플러그인 제작 및 사용이 가능하다.
  3. 다양한 패키지 저장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4. 단일 패키지를 그룹화 하여 그룹에 대한 설치 및 삭제가 가능하다.
(정답률: 48%)
  • 정답은 "C 혹은 자바를 이용한 플러그인 제작 및 사용이 가능하다." 이다. yum은 C나 Python으로 작성된 플러그인만 지원하며, Java로 작성된 플러그인은 지원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tar 명령의 옵션과 그 설명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c - 아카이브 파일을 생성한다.
  2. C - 동작하는 디렉토리를 변경한다.
  3. P - 상대 경로를 사용하지 않고 절대 경로를 사용하도록 지정한다.
  4. I - 증분 백업을 수행한다.
(정답률: 45%)
  • 정답: C - 동작하는 디렉토리를 변경한다.

    tar 명령어의 옵션 중 "C"는 대문자로 써야 하며, "동작하는 디렉토리를 변경한다"가 아니라 "특정 디렉토리에서 아카이브를 생성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I" 옵션은 증분 백업을 수행하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이전 백업 이후 변경된 파일만을 대상으로 백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체 백업을 수행하는 것보다 시간과 용량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데비안 패키지 기반의 패키지를 삭제할 때 설정 파일 및 그 정보까지도 모두 삭제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e
  2. -F
  3. -r
  4. -P
(정답률: 28%)
  • 정답: -P

    -P 옵션은 패키지와 함께 설치된 설정 파일까지 모두 삭제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완전히 깨끗한 상태로 패키지를 삭제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e 옵션은 패키지를 삭제하지만 설정 파일은 남겨둔다.
    -F 옵션은 패키지를 강제로 삭제한다.
    -r 옵션은 패키지를 삭제하고 설정 파일도 삭제하지만, 관련된 데이터는 남겨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rpm 기반의 패키지를 삭제할 때 의존성 에러를 무시하기 위한 옵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e --noscripts
  2. -e --nodeps
  3. -r --noscripts
  4. -r --nodeps
(정답률: 61%)
  • 정답은 "-e --nodeps" 입니다.

    rpm 기반의 패키지를 삭제할 때 "-e" 옵션을 사용합니다. 이때 "--nodeps" 옵션을 추가하면 의존성 검사를 무시하고 강제로 패키지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즉, 패키지를 삭제할 때 해당 패키지가 다른 패키지에 의존하고 있어서 삭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 "-e --nodeps" 옵션을 사용하면 강제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e --noscripts" 옵션은 패키지 삭제 시 스크립트를 실행하지 않는 옵션입니다. "-r" 옵션은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또는 재설치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zip 파일로 압축되어 있는 텍스트 파일의 압축을 풀지 않고 내용만을 볼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틀린 것은?

  1. zcat
  2. zmore
  3. zless
  4. zcompress
(정답률: 48%)
  • 정답은 "zcompress"입니다. "zcompress"는 파일을 압축하는 명령이며, 압축을 푸는 명령은 "zcat", "zmore", "zless"입니다. 이들 명령은 압축된 파일을 읽어서 화면에 출력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tar와 유사하게 파일아카이브를 만드는 유틸리티이지만 반드시 아카이브에 포함되는 파일 리스트를 알려주어야만 하는 유틸리티는 무엇인가?

  1. cpio
  2. bzip2
  3. compress
  4. dd
(정답률: 28%)
  • 정답은 "cpio"이다.

    tar와 마찬가지로 cpio도 파일 아카이브를 만들 수 있지만, cpio는 반드시 아카이브에 포함되는 파일 리스트를 알려주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cpio가 파일 리스트를 표준 입력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cpio를 사용하여 아카이브를 만들 때는 먼저 아카이브에 포함될 파일 리스트를 작성해야 한다.

    반면에 bzip2, compress, dd는 파일 아카이브를 만들기 위해 파일 리스트를 따로 지정할 필요가 없다. bzip2와 compress는 파일을 압축하기 위한 유틸리티이고, dd는 디스크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유틸리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은 데비안 패키지 관리자에서 특정 파일이 속한 패키지를 찾기 위한 명령이다( )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L
  2. -S
  3. -B
  4. -D
(정답률: 51%)
  • "-S" 옵션은 파일이 속한 패키지를 검색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하여 파일이 속한 패키지를 찾을 수 있다. "-L" 옵션은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옵션이고, "-B" 옵션은 패키지를 빌드하는 데 필요한 의존성 패키지를 보여주는 옵션이다. "-D" 옵션은 패키지의 의존성을 보여주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파일의 확장자와 그 압축프로그램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Z - compress
  2. bz2 - bzip2
  3. tgz - gzip
  4. rz - alzip
(정답률: 43%)
  • 정답은 "rz - alzip"입니다.

    "rz" 파일은 일반적으로 "rz" 또는 "rz.gz"로 압축된 리눅스 실행 파일을 나타내며, "alzip"은 이 파일을 압축 해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rz" 파일은 "gzip"으로 압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일반적인 프린터 스풀 디렉토리의 경로로 알맞은 것은?

  1. ~/spool/lpd/lp
  2. /usr/spool/lpd/lp
  3. /etc/spool/lpd/lp
  4. /var/spool/lpd/lp
(정답률: 47%)
  • 정답은 "/var/spool/lpd/lp" 입니다.

    이유는 일반적으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프린터 스풀 디렉토리는 "/var/spool/lpd/lp" 경로에 위치합니다. 이 디렉토리는 프린터 작업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경로가 일반적인 프린터 스풀 디렉토리의 경로입니다.

    다른 보기인 "~/spool/lpd/lp", "/usr/spool/lpd/lp", "/etc/spool/lpd/lp"는 일반적인 프린터 스풀 디렉토리의 경로가 아닙니다. "~/"는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나타내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프린터 스풀 디렉토리가 아닙니다. "/usr/spool/lpd/lp"와 "/etc/spool/lpd/lp"는 일부 시스템에서 사용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var/spool/lpd/lp"가 프린터 스풀 디렉토리의 경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리눅스 커널에 포함되어 있는 사운드 드라이버는 무엇인가?

  1. ALSA
  2. OSS
  3. OSS/Free
  4. 업체 제공 사운드 드라이버
(정답률: 46%)
  • 정답은 "OSS/Free"이다. 이는 리눅스 커널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무료 사운드 드라이버 중 하나이다. ALSA는 무료이지만 리눅스 커널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업체 제공 사운드 드라이버는 무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OSS/Free가 유일한 무료 리눅스 커널에 포함된 사운드 드라이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프린터 설치에 관련된 다양한 사항이 기록되어 있는 파일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usr/local/ spool/print
  2. /var/spool/printercap
  3. /etc/print cap
  4. /lib/printer
(정답률: 38%)
  • "/etc/print cap" 파일은 프린터 설치와 관련된 설정 파일이 저장되는 경로 중 하나이다. 이 파일에는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프린터의 목록과 각 프린터의 설정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이 파일을 참조하여 프린터를 설치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일반적으로 리눅스 장치들에 대한 파일들이 있는 디렉토리는 무엇인가?

  1. /etc
  2. /dev
  3. /usr/local
  4. /bin
(정답률: 68%)
  • "/dev" 디렉토리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입니다. 이 디렉토리에는 하드디스크, CD-ROM, USB 등의 장치들에 대한 파일들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나 프로그램들이 이러한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ev" 디렉토리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D에서 디지털 오디오를 사운드 파일에 저장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cdparanoia
  2. sndconfig
  3. printcap
  4. jetdirect
(정답률: 69%)
  • "cdparanoia"는 CD에서 디지털 오디오를 추출하여 사운드 파일로 저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CD의 오디오 트랙을 정확하게 읽어내어 오디오 데이터의 손실 없이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D에서 오디오를 추출하여 저장해야 할 때 "cdparanoia"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프린터 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데 가장 적합한 명령어는 무엇인가?

  1. lpq
  2. lp
  3. lpc
  4. lpmonitor
(정답률: 71%)
  • "lpq" 명령어는 프린터 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가장 적합한 명령어입니다. 이는 "lpq" 명령어가 현재 대기 중인 인쇄 작업의 목록과 해당 작업의 상태, 예상 대기 시간 등을 출력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정보를 통해 프린터 큐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lp" 명령어는 인쇄 작업을 직접 처리하는데 사용되며, "lpc" 명령어는 로컬 프린터 서비스를 관리하는데 사용됩니다. "lpmonitor" 명령어는 프린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지만, "lpq" 명령어보다는 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활용

49. 다음 중 X 윈도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X server
  2. X client
  3. X protocol
  4. X modules
(정답률: 64%)
  • X modules는 X 윈도우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X modules는 X 윈도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추가 기능 모듈을 의미합니다. X server, X client, X protocol은 X 윈도우 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입니다. X server는 그래픽 서버로서 디스플레이와 입력 장치를 관리하고, X client는 X 서버와 통신하여 그래픽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 X protocol은 X 서버와 X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X 윈도우가 실행되기 위해서 참조하는 설정 파일이나 실행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xinit
  2. xclientrc
  3. xserverrc
  4. startx
(정답률: 21%)
  • 정답은 "xclientrc"입니다.

    "xinit"은 X 윈도우 시스템을 시작하는 프로그램이며, "xserverrc"는 X 서버 설정 파일입니다. "startx"는 X 윈도우 시스템을 시작하는 스크립트입니다.

    하지만 "xclientrc"는 X 클라이언트 설정 파일로, X 클라이언트가 실행될 때 참조하는 파일입니다. 따라서 X 윈도우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xclientrc"가 필요한 파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X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설정 프로그램인 system-config-display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은?

  1. 화면 해상도
  2. 색상수
  3. 비디오카드(VGA 드라이버)
  4. 모니터 전원
(정답률: 68%)
  • system-config-display는 X 윈도우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설정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화면 해상도, 색상수, 비디오카드(VGA 드라이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모니터 전원은 이 프로그램으로 설정할 수 없다. 이는 모니터 전원은 하드웨어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니터 전원은 사용자가 직접 모니터의 전원 버튼을 눌러서 조절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텍스트 모드(runlevel3) 부팅 후 관리자 root로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중 X 윈도우 환경으로 전환하려고 한다 다음 중 시스템 설정 파일 설정 변경 후 재부팅하지 않고 X 윈도우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는 명령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startx
  2. init 5
  3. telinit 5
  4. siginit 5
(정답률: 25%)
  • 정답: "siginit 5"

    설명: "siginit 5"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므로 올바른 명령어가 아니다. 따라서 X 윈도우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는 명령어는 "startx", "init 5", "telinit 5"이다. "startx"는 현재 사용자의 X 윈도우 환경을 시작하고, "init 5"와 "telinit 5"는 시스템 런레벨을 5로 변경하여 X 윈도우 환경으로 전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지 보기 중 맞는 것을 고르시오

  1. KDE
  2. GIMP
  3. GNOME
  4. Enlightenment3
(정답률: 66%)
  • 위 그림은 GNOME 데스크톱 환경의 화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GNOM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NTA(Network Transparent Access)라는 기술을 지원하여 아무 폴더에서나 FTP상의 파일을 액세스하거나 인터넷 검색이 가능하다FTP 서버에 있는 폴더도 자신의 하드 디스크에 있는 것처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중위와 같은 기능을 지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1. GNOME
  2. f vwm
  3. KDE
  4. Afterstep
(정답률: 27%)
  • 정답은 "KDE"입니다. KDE는 NTA(Network Transparent Access) 기술을 지원하여 아무 폴더에서나 FTP상의 파일을 액세스하거나 인터넷 검색이 가능하며, FTP 서버에 있는 폴더도 자신의 하드 디스크에 있는 것처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GNOME, fvwm, Afterstep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만, NTA 기술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의 X 윈도우에서 동작하는 이미지 편집도구는 무엇인가?

  1. Photoshop
  2. Paintshop
  3. CorelDRAW
  4. GIMP
(정답률: 75%)
  • 정답은 "GIMP"이다. GIMP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편집 도구로, X 윈도우에서 동작한다. 다른 보기들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이미지 편집 도구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의 X 윈도우에서 동작하는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AfterStep
  2. MTV
  3. XMMS
  4. BMP
(정답률: 41%)
  • "AfterStep"은 윈도우 매니저로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MTV", "XMMS", "BMP"는 모두 음악 및 비디오 재생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에서 설명하는 이것은 무엇인지 아래 보기에서 고르시오

  1. Ethernet
  2. CSMA
  3. FDDI
  4. X.25
(정답률: 37%)
  • 위 그림은 X.25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X.25"입니다. Ethernet은 케이블을 사용하는 LAN 기술, CSMA는 Ethernet과 같은 LAN 기술에서 충돌을 방지하는 프로토콜, FDDI는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LAN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요소와 설명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이 아닌 것은?

  1. 순서 Sequence) - (ㄱ)
  2. 의미 Semantics )- (ㄴ)
  3. 타이밍Timing) - (ㄷ)
  4. 구문 Syntax) - (ㄱ)
(정답률: 54%)
  • 정답은 "구문 Syntax) - (ㄱ)"입니다.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요소는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순서(Sequence), 타이밍(Timing)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문(Syntax)은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형식과 구조를 정의합니다.

    의미(Semantics)는 메시지의 의미와 목적을 정의합니다.

    순서(Sequence)는 메시지의 전송 순서와 처리 순서를 정의합니다.

    타이밍(Timing)은 메시지의 전송 시점과 처리 시점을 정의합니다.

    따라서, 순서(Sequence) - (ㄱ)은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요소와 설명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통신장비는 어느 것인가?

  1. 라우터(Router)
  2. 리피터(Repeater)
  3. 브리지(Bridge)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률: 52%)
  • 주어진 그림은 브리지(Bridge)를 나타낸다. 브리지는 둘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브리지는 각각의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분석하여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목적지가 다른 네트워크에 있을 경우 해당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간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설명에 맞는 OSI 계층은 무엇인가?

  1.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
  2.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3.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
  4.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정답률: 5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전기 신호로 이루어진 비트(bit)들이 전송되는 것으로, 이는 물리적인 신호로서 물리 계층에서 처리된다. 따라서 정답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 IP헤더의 ( )안에 들어가는 데이터는 무엇인가?

  1. Port
  2. Sequence
  3. Protocol
  4. Pointer
(정답률: 41%)
  • IP헤더에서 Protocol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을 나타냅니다. 이 경우에는 TCP 프로토콜을 나타내므로 "Protocol"이 정답입니다. "Port"는 TCP/UDP 포트 번호를 나타내며, "Sequence"는 패킷의 순서를 나타내는 일련번호입니다. "Pointer"는 IP 옵션을 사용할 때 포인터 값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에서 설명하는 특징을 갖고 있는 네트워크 통신장비는 어느 것인가?

  1. 라우터(Router)
  2. 리피터(Repeater)
  3. 브리지(Bridge)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률: 61%)
  • 이 장비는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이 장비는 라우터(Rou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InterNic에 등록해야 하는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은 무엇인가?

  1. .com
  2. .net
  3. .org
  4. .edu
(정답률: 22%)
  • ".edu"는 교육 기관을 나타내는 도메인으로, InterNic에서는 교육 기관만이 ".edu" 도메인을 등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 기관이 자신의 웹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InterNic에 ".edu" 도메인을 등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TCP/IP의 특징으로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개방형 프로토콜 표준으로 특정 H/W나 OS에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사용 가능
  2. 거대한 네트워크에서도 유일하게 찾아낼 수 있는 공통적인 주소체계
  3. 일관성 있고 널리 사용 가능한 사용자 서비스를 위해서 표준화된 하이 레벨 프로토콜
  4. 특정 물리적 전송 매체에서만 실행 가능
(정답률: 71%)
  • "특정 물리적 전송 매체에서만 실행 가능"이 해당하지 않는 것이다. TCP/IP는 물리적 전송 매체에 독립적이며, 다양한 매체에서 실행 가능하다. 이는 TCP/IP가 개방형 프로토콜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에서 설명하는 이것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MUA(Mail User Agent)
  2. MTA(Mail Transfer Agent)
  3. MDA(Mail Delivery Agent)
  4. MTU(Mail Transfer Unit)
(정답률: 37%)
  • 이 그림은 이메일 전송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MUA는 이메일을 작성하고 보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MTA는 이메일을 보내는 도중에 다른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MDA는 이메일을 수신자의 메일박스에 배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MTU는 이메일 전송 단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MTA가 이메일을 다른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정답은 MT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SSH(Secure SHell)는 원격 컴퓨터에 안전하게 액세스하기 위한 유닉스 기반의 명령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이다 보안에 취약한 telnet을 대체할 수 있는 SSH는 기존의 원격제어서비스 및 응용프로그램을 대체할 수 있는데 다음 중 SSH와 관련 없는 응용프로그램은 무엇인가?

  1. slogin
  2. scp
  3. sftp
  4. stelnet
(정답률: 40%)
  • 정답: stelnet

    설명: slogin, scp, sftp은 모두 SSH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원격 컴퓨터에 안전하게 액세스하고 파일을 전송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하지만 stelnet은 SSH가 아닌 telnet을 사용하여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는 응용프로그램이므로 SSH와 관련이 없다. SSH는 보안성이 높은 telnet 대체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stelnet은 보안에 취약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IRC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BitchX
  2. XChat
  3. ircII
  4. PICE
(정답률: 50%)
  • "PICE"는 IR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이유는 PICE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으로, IRC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나머지 셋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파이어 폭스(Firefox)
  2. 오페라(Opera)
  3. 컹커러(Konqueror)
  4. 썬더버드(Thunderbird)
(정답률: 59%)
  • 썬더버드는 이메일 클라이언트이고, 나머지 셋은 웹 브라우저이기 때문에 썬더버드가 나머지 셋과 관련이 가장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전송 규약(Protocol)과 해당하는 서버 프로그램간의 짝이 틀린 것은?

  1. FTP - vsftpd
  2. SMTP- sendmail
  3. HTTP- apache
  4. DNS - search
(정답률: 64%)
  •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지만, search는 DNS 서버가 검색하는 도메인 이름의 접미사(suffix)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DNS와 search는 짝이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TCP/IP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할당관리하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 주어진 IP 주소가 일정한 시간 동안만 그 컴퓨터에 유효하도록 하는 "임대해 주는 프로토콜은?

  1. DNS
  2. NFS
  3. DHCP
  4. HTTP
(정답률: 70%)
  •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TCP/IP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자동으로 할당 및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DHCP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자는 IP 주소를 수동으로 할당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DHCP는 IP 주소를 일정한 시간 동안만 유효하도록 설정할 수 있어, 네트워크 관리자는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HCP가 TCP/IP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1. ncftpd
  2. gftp
  3. proftpd
  4. vsftpd
(정답률: 49%)
  • 정답은 "gftp"입니다.

    "ncftpd", "proftpd", "vsftpd"는 모두 FTP 서버 소프트웨어로,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안정적이고 보안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gftp"는 FTP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로,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GUI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다른 세 소프트웨어와는 목적과 사용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성격이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SSH에서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slogin
  2. sftp
  3. scp
  4. sput
(정답률: 43%)
  • "sput"은 SSH에서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sput"은 존재하지 않는 프로그램입니다. SSH에서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slogin", "sftp", "sc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에서 이더넷의 현재 설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정보를 설정 하거나 이더넷을 활성화/비활성화 할 수 있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1. netstat
  2. route
  3. ipconfig
  4. ifconfig
(정답률: 58%)
  • 정답은 "ifconfig"이다.

    "ifconfig"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현재 설정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비활성화 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반면에 "netstat"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route"는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명령어이다. "ipconfig"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이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ifconfig"와 유사한 "ip add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은 무엇을 설명한 것인지 보기에서 고르시오?

  1. loopback
  2. ethernet
  3. route
  4. gateway
(정답률: 75%)
  • 이 그림은 네트워크에서 자신의 IP 주소로 데이터를 보내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를 "loopback"이라고 합니다. 즉, 자신의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과 같이 첫번째 이더넷에 IP 주소를 설정하려고 한다. ( )안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1. netmask
  2. gateway
  3. subnet
  4. address
(정답률: 61%)
  • IP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 컴퓨터를 식별하는 주소이다. 하지만 IP 주소만으로는 해당 컴퓨터가 속한 네트워크의 범위를 알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netmask가 필요하다. netmask는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IP 주소와 함께 netmask를 설정해야 해당 컴퓨터가 속한 네트워크의 범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시스템 설정 파일 /etc/sys config/network와 다음의 명령어 실행은 공통적으로 무엇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인가?

  1. IP 주소
  2. Gateway 주소
  3. 로컬DNS 주소
  4. 네트워크주소
(정답률: 69%)
  • 이 설정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변경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Gateway 주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임베디드 분야 중 최근 모바일 시장에서는 스마트폰이 대세가 되어 시장을 주도하려고 있다.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가 아닌 것은?

  1. bada(Samsung)
  2. LiMo(LiMo Foundation)
  3. android(Google)
  4. iPhone OS(Apple)
(정답률: 48%)
  • 정답인 "iPhone OS(Apple)"는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가 아니라, Apple이 개발한 iOS 기반의 운영체제이기 때문이다. iOS는 macOS와 유사한 UNIX 기반 운영체제이지만,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리눅스로 구현되는 클러스터 시스템이 아닌 것은?

  1. LVS(Linux Virtual Server)
  2. HA(High Availability)
  3.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4. KVM(Kernel Virtual Machine)
(정답률: 44%)
  • KVM은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클러스터 시스템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KVM은 이 중 리눅스로 구현되는 클러스터 시스템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에서 설명하는 병렬처리시스템의 성능을 나타내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Flops
  2. MHz
  3. FPS
  4. PPM
(정답률: 32%)
  • 정답은 "Flops"입니다.

    Flops는 초당 부동 소수점 연산 횟수를 나타내는 용어로, 병렬처리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Flops가 높을수록 시스템의 연산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MHz: 메가헤르츠로, 시스템의 클럭 속도를 나타냅니다. 클럭 속도가 높을수록 시스템의 처리 속도가 빨라집니다.
    - FPS: 초당 프레임 수로, 그래픽 처리나 영상 처리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초당 처리할 수 있는 프레임 수가 높을수록 시스템의 처리 속도가 빨라집니다.
    - PPM: 백만 분의 일로, 시스템의 오류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오류율이 낮을수록 시스템의 신뢰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블루투스에 대한 설명중(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2.4GHz - 1Mbps - 10m - 100m
  2. 1.2GHz - 5Mbps - 5m - 50m
  3. 800MHz - 1Mbps - 10m - 100m
  4. 2.4GHz - 5Mbps - 10m - 100m
(정답률: 53%)
  • 블루투스는 2.4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최대 전송 속도는 1Mbps이고, 전파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10m 이내이지만, 최대 100m까지 가능합니다. 따라서 "2.4GHz - 1Mbps - 10m - 100m"이 올바른 짝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