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4)

리눅스마스터 2급
(2010-09-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리눅스 파일 권한 사용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유자(owner)
  2. 그룹(group)
  3. 타인(other)
  4. 관리자(administrator)
(정답률: 82%)
  • 리눅스에서는 "관리자(administrator)"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root"라는 슈퍼유저(superuser) 계정이 존재하며, 이 계정은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관리자(administrator)"는 올바르지 않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솔에서 출력되는 파일정보 중에 디렉토리 파일임을 의미하는 파일속성 문자는?

  1. b
  2. c
  3. l
  4. d
(정답률: 86%)
  • 디렉토리 파일은 "d"로 표시됩니다. 이는 "directory"의 약자이며, 해당 파일이 디렉토리(폴더)임을 나타냅니다. "b"는 블록 장치 파일, "c"는 문자 장치 파일, "l"은 심볼릭 링크 파일을 나타내며, 이들은 모두 일반 파일과는 다른 특별한 종류의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리눅스 설치 시 기본 쉘(shell)로 설정되어 쉘은?

  1. Bash
  2. korn
  3. c
  4. Bourne
(정답률: 87%)
  • 리눅스 설치 시 기본 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Bash이다. 이는 Bash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쉘 중 하나이며, Bourne 쉘의 확장판으로서 다양한 기능과 유용한 명령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Bash는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되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운영체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Bash는 리눅스 사용자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파일 시스템의 종류는?

  1. msdos
  2. isofs CD-ROM
  3. nfs
  4. sysv
(정답률: 93%)
  • 정답은 "nfs"입니다.

    이 그림은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FS)을 나타냅니다. NFS는 다른 컴퓨터에서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파일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다른 컴퓨터에서 파일을 읽거나 쓸 수 있습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msdos": MS-DOS 파일 시스템으로, MS-DOS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입니다.
    - "isofs CD-ROM": ISO 9660 파일 시스템으로, CD-ROM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입니다.
    - "sysv": System V 파일 시스템으로, UNIX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파일 훼손을 검사하고 바로잡기 위한 fsck의 명령 옵션으로 오류 파일에 대한 자동수리(복구)와 검사 도중 에러 발생 시 복구 유무를 물어보는 옵션으로 올바른 것은?

  1. fsck -rv /dev/hdal
  2. fsck -ra /dev/hdal
  3. fsck -lr /dev/hdal
  4. fsck -sv /dev/hdal
(정답률: 56%)
  • 정답: "fsck -ra /dev/hdal"이 올바른 것이다.

    이유:
    - "-r" 옵션은 자동으로 파일 시스템 오류를 복구한다.
    - "-a" 옵션은 검사 도중 에러 발생 시 복구 여부를 물어보지 않고 자동으로 복구한다.
    - "/dev/hdal"은 검사할 파일 시스템의 경로를 지정한다.

    따라서, "fsck -ra /dev/hdal" 명령은 파일 시스템 오류를 자동으로 복구하면서 검사 도중 에러 발생 시 복구 여부를 묻지 않고 바로 복구하는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윈도우 운영체제의 디스크 포맷(format)과 가장 유사한 리눅스 명령어는?

  1. fsck
  2. chmod
  3. ls
  4. mkfs
(정답률: 60%)
  • 정답은 "mkfs"입니다.

    "mkfs"는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디스크 포맷과 유사한 역할을 하며, 파일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사용 가능한 공간을 만듭니다.

    "fsck"는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명령어입니다.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ls"는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파일시스템 관리 명령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mkfs
  2. fsck
  3. netstat
  4. cp
(정답률: 57%)
  • "netstat"은 파일시스템 관리 명령이 아니라 네트워크 관리 명령이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mkfs"는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 "fsck"는 파일시스템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명령, "cp"는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홈 디렉토리(/home)에 사용자 계정 cache를 만들고, 홈 디렉토리에 생성된 사용자 디스크 사용 용량제한을 체크하는 명령으로 올바른 것은?

  1. #quotacheck-mf /home/cache
  2. #quota-mf /home/cache
  3. #quotaon -mf /home/cache
  4. # chkdsk -mf /home/cache
(정답률: 58%)
  • 정답은 "#quotacheck-mf /home/cache"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home/cache" 디렉토리에 사용자 계정 cache를 만들었으므로, 해당 디렉토리의 용량을 제한하려면 디스크 사용 용량제한을 설정해야 합니다.

    2. 디스크 사용 용량제한을 체크하기 위해서는 quotacheck 명령을 사용해야 합니다.

    3. "-mf" 옵션은 디스크 사용 용량제한을 체크하고, 설정된 제한을 적용하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quotacheck-mf /home/cache" 명령이 올바른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용 중인 시스템에 새로운 HDD를 추가 설치하기 위한 순서로 올바른 것은?

  1. (가)→(나)→(다)
  2. (다)→(가)→(나)
  3. (나)→(다)→(가)
  4. (다)→(나)→(가)
(정답률: 74%)
  • "(나)→(다)→(가)" 순서가 올바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나) : 새로운 HDD를 물리적으로 시스템에 연결한다. 이 단계에서는 시스템이 새로운 HDD를 인식할 수 있도록 연결이 필요하다.

    2. (다) : BIOS 설정에서 새로운 HDD를 감지하도록 설정한다. BIOS는 시스템이 부팅될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새로운 HDD를 감지하지 못하면 시스템에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3. (가) : 운영체제에서 새로운 HDD를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초기화한다. 이 단계에서는 새로운 HDD를 포맷하고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웹서버 설치를 위해 APM Setup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 설치하려고 한다. 이때 가장 적합한 설치 디렉토리는?

  1. /boot
  2. /usr/local
  3. /var
  4. /lib
(정답률: 60%)
  • "/usr/local" 디렉토리는 사용자가 직접 설치한 소프트웨어를 위한 디렉토리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본 소프트웨어와는 별도로 관리된다. 따라서 APM Setup 파일을 "/usr/local" 디렉토리에 설치하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본 소프트웨어와 충돌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설치한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기 용이하다. 또한, "/usr/local" 디렉토리는 일반적으로 PATH 환경 변수에 등록되어 있어, 설치한 소프트웨어를 쉽게 실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프로세스와 프로세스가 서로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통선수단을 의미하는 용어는?

  1. signal
  2. protocol
  3. device
  4. service
(정답률: 72%)
  • "signal"은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 중 하나인 시그널(signal)을 의미한다. 시그널은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에게 보내는 간단한 메시지로, 예를 들어 다른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중지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signal"은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을 의미하는 용어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프로세스 상태확인 명령인 ps를 옵션 없이 사용하였을 경우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PID : Process ID
  2. TTY : 프로세스와 연결된 터미널 포트
  3. TIME : 프로세스가 사용한 CPU 사용시간
  4. USER : 프로세스 사용자
(정답률: 33%)
  • 정답: TTY : 프로세스와 연결된 터미널 포트

    ps 명령어를 옵션 없이 사용하면 현재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USER 옵션은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한 사용자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PID 옵션은 해당 프로세스의 고유 식별자인 프로세스 ID를 나타냅니다. TIME 옵션은 해당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한 시간을 나타냅니다. TTY 옵션은 해당 프로세스와 연결된 터미널 포트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옵션 없이 ps 명령어를 사용하면 TTY 옵션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ps -aux’를 통해 출력된 상태정보 중에 STAT 상태의 정보표현 기호와 의미가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R : Running, 실행중인 상태
  2. S : Sleeping 상태
  3. I : Idle 상태
  4. P : Playing, 프로세스 실행상태
(정답률: 55%)
  • 정답은 "I : Idle 상태"입니다.

    I 상태는 ps 명령어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대신에 D 상태가 있습니다.

    P 상태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며, 이 문제에서는 임의로 추가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P 상태의 의미는 "Playing, 프로세스 실행상태"로 정의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리눅스의 다중처리(multitasking) 기능 중에 프로세스를 background로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옵션 기호는?

  1. ^
  2. &
  3. %
  4. @
(정답률: 80%)
  • 정답은 "&"입니다.

    "&" 기호는 쉘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해당 명령어를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하도록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이 기호를 명령어 뒤에 붙이면 해당 명령어가 실행되면서 쉘 프롬프트가 바로 나타나게 되어 다른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는 다른 명령어와 동시에 실행될 수 있어서, 시스템의 다중처리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데몬(daemon) 프로세스 중에서 웹서비스와 관련된 프로세서 이름으로 올바른 것은?

  1. httpd
  2. telnet d
  3. find
  4. tar
(정답률: 82%)
  • 올바른 데몬 프로세스 이름은 "httpd"입니다. 이는 Apache 웹 서버에서 사용되는 데몬 프로세스 이름으로, HTTP 요청을 처리하고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데몬 프로세스 이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프로세스의 연관관계를 한 눈에 출력 가능한 명령은?

  1. hangup
  2. pstree
  3. ps
  4. cron
(정답률: 81%)
  • pstree 명령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의 계층 구조를 트리 형태로 출력해주는 명령이다. 이를 통해 프로세스 간의 부모-자식 관계와 전반적인 연관관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하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pstre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동시에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변경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nice
  2. cron
  3. mkfs
  4. ps
(정답률: 87%)
  • 정답: "nice"

    "nice"는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이를 통해 CPU 자원을 더 많이 할당받거나, 다른 프로세스에 비해 우선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cron"은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스케줄링하는 명령어이고, "mkfs"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ps"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crontab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9월 30일 월요일에 /bin/login의 내용을 master@ihd.or.kr 주소로 메일을 보낸다.
  2. 토요일 오전 9시30분에 /bin/login의 내용을 master@ihd.or.kr 주소로 메일을 보낸다.
  3. 일요일 오전 9시30분에 /bin/login의 내용을 master@ihd.or.kr 주소로 메일을 보낸다.
  4. 토요일 오전 9시30분에 /bin/login의 내용을 /bin/mail로 메일을 보낸다.
(정답률: 72%)
  • crontab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위의 crontab 설정에서는 "0 9 * * 0 /bin/login | /bin/mail -s 'login' master@ihd.or.kr" 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일요일 오전 9시에 /bin/login의 내용을 master@ihd.or.kr 주소로 메일을 보낸다." 라는 뜻이다.

    따라서 정답은 "일요일 오전 9시30분에 /bin/login의 내용을 master@ihd.or.kr 주소로 메일을 보낸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top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 옵션을 사용하면 프로세스 정보 갱신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2. top으로는 평균 시스템 부하는 알 수 없다.
  3. PID, USER, CPU 점유율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4. 수행 중인 프로세스들을 CPU 사용 사간 또는 메모리 사용량 등에 따라 정렬 가능하다.
(정답률: 70%)
  • "top으로는 평균 시스템 부하는 알 수 없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top 명령은 현재 시스템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시스템 부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평균 시스템 부하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평균 시스템 부하를 알고 싶다면 다른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httpd와 같은 웹데몬 프로세스가 또 다른 웹데몬 프로세스를 시작시킬 때 새롭게 생성된 프로세스를 일 컫는 용어는?

  1. parent process
  2. sibling process
  3. child process
  4. ancestor process
(정답률: 68%)
  • 정답은 "child process"입니다.

    httpd와 같은 웹데몬 프로세스가 또 다른 웹데몬 프로세스를 시작시키면, 새로운 프로세스는 원래 프로세스의 자식 프로세스가 됩니다. 따라서 이를 "child process"라고 부릅니다. "parent process"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시작시킨 원래 프로세스를 의미하며, "sibling process"는 같은 부모 프로세스를 가진 형제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ancestor process"는 현재 프로세스의 모든 조상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에서 명령행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쉘들만 모아둔 것은?

  1. bsh, csh
  2. bash, ksh
  3. csh, sh
  4. ksh, sh
(정답률: 73%)
  • 명령행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쉘은 bash, ksh입니다. bsh와 csh는 명령행 편집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며, sh는 제한적인 기능만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 유저가 현재 사용 중인 쉘을 변경하고자 할 때, 필요하지 않은 것은?

  1. 사용자 ID
  2. 사용자 패스워드
  3. chsh 명령어
  4. 변경하고자 하는 쉘의 절대 경로
(정답률: 44%)
  • 사용자 ID는 현재 사용 중인 쉘을 변경하는 데 필요하지 않습니다. 사용자 ID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고유한 식별자이며, 쉘을 변경하는 데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용자 ID는 필요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디스크, 메모리
  2. CPU, 내부 명령어
  3. 커널, 쉘
  4. 주변장치, 운영체제
(정답률: 80%)
  •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쉘은 사용자와 운영체제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하여 커널에 전달합니다. 따라서 "커널, 쉘"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터미널 설정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은 어느 것인가?

  1. stty -a
  2. help -k
  3. show -a
  4. set -k
(정답률: 74%)
  • 정답은 "stty -a"이다. 이 명령은 현재 터미널의 설정을 보여주는 명령으로, 터미널의 속성, 제어 문자, 키 바인딩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터미널 설정과는 관련이 없는 명령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본 쉘 환경변수는 무엇인가?

  1. HOME
  2. PATH
  3. PSI
  4. PWD
(정답률: 75%)
  • 정답은 "PWD"이다. "PWD"는 "Prese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나타내는 환경변수이다. 즉,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특수 쉘 환경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Z 변수에는 date 명령에 대한 시간대를 지정한다.
  2. PSI 변수에는 시스템 프롬프트를 지정한다.
  3. MAIL 변수에는 사용 할 전자우편 프로그램의 종류를 지정한다.
  4. LOGNAME 변수에는 로그인 이름을 지정한다.
(정답률: 35%)
  • 답은 "MAIL 변수에는 사용 할 전자우편 프로그램의 종류를 지정한다." 이다. MAIL 변수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메일이 도착했을 때 알림을 보내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메일 프로그램의 종류를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메일을 보내는 경로를 지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MAIL 변수를 "/var/spool/mail/$USER"로 설정하면 사용자의 메일이 해당 경로에 저장되고, 이를 읽기 위해서는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쉘의 rc 파일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rc 파일들은 쉘이 실행될 때 실행된다.
  2. rc 파일이 변경되었다면 다른 작업 없이도 자동적으로 변경된 내용이 적용된다.
  3. rc 파일은 쉘이 실행될 때 마다 적용될 수 있는 특정 쉘에 관계된 변수와 설정 사항을 포함한다.
  4. .bashrc와 .cshrc는 rc 파일의 예이다.
(정답률: 60%)
  • "rc 파일이 변경되었다면 다른 작업 없이도 자동적으로 변경된 내용이 적용된다."가 틀린 것이다. rc 파일이 변경되었다고 해서 자동으로 변경된 내용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쉘을 다시 실행해야 변경된 내용이 적용된다.

    rc 파일은 쉘이 실행될 때 실행되며, 해당 쉘에 관련된 변수와 설정 사항을 포함한다. .bashrc와 .cshrc는 rc 파일의 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bash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히스토리 기능에서 !!와 항상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명령은?

  1. history
  2. !-l
  3. !^
  4. !?
(정답률: 59%)
  • "!-l"은 이전 명령어 중에서 마지막으로 실행된 명령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전 명령어 중에서 가장 최근에 실행된 명령어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는 이전에 실행된 명령어를 그대로 다시 실행하는 것이므로, 이전 명령어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Linux에서 사용되는 편집기들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Pico는 윈도우즈 환경에서 메모장과 그 사용법이 비슷하다.
  2. vi 편집기는 명령 모드와 입력 모드, EX 모드의 세가지 방식이 있다.
  3. emacs 편집기는 비모드 방식이다.
  4. compress는 PINE에 내장되어 있는 편집기이다.
(정답률: 50%)
  • "compress는 PINE에 내장되어 있는 편집기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compress는 파일 압축 프로그램이며, PINE은 이메일 클라이언트이다. PINE에는 내장된 편집기가 있지만, 그것은 pico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vi 편집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Ex 모드는 명령모드에서 콜론(:)을 입력하면 된다.
  2. vi 편집기 설정 파일의 이름은 .vimrc 이다.
  3. 입력모드에서 명령모드로의 전환방법과 명령 모드에서 입력 모드로의 전환방법은 동일 하다.
  4. vi 편집기에서 커서의 이동이 자유롭다.
(정답률: 73%)
  • "입력모드에서 명령모드로의 전환방법과 명령 모드에서 입력 모드로의 전환방법은 동일 하다."가 틀린 설명이다. 입력모드에서 명령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ESC 키를 누르면 되고, 명령모드에서 입력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i, a, o 등의 키를 누르면 된다. 따라서 두 모드 간 전환 방법은 서로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CTRL
  2. ALT
  3. ESC
  4. Shift
(정답률: 81%)
  • ESC는 "Escape"의 약자로,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취소하거나 종료할 때 사용하는 키입니다. 따라서 다른 키들과 달리 현재 작업을 중단하고 이전 상태로 돌아가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vi 편집이게서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강제적으로 종료를 하려면 Ex 모드에서 어떤 키를 입력해야 하는가?

  1. :a!
  2. :w!
  3. :s!
  4. :q!
(정답률: 87%)
  • ":q!"는 Ex 모드에서 강제 종료를 의미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편집 중인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강제로 종료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a!"는 현재 파일을 모두 저장하고 종료하는 명령어, ":w!"는 현재 파일을 저장하는 명령어, ":s!"는 현재 파일을 저장하지만 계속 편집 모드를 유지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vi 편집기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할 때 사용되는 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I : 입력을 현재 커서의 위치 앞에서 삽입 할 수 있다.
  2. a : 입력은 현재 커서 위치의 뒤에서 삽입 할 수 있다.
  3. A : 입력을 현재 줄 끝에서 삽입 할 수 있다.
  4. o(소문자) : 입력을 현재 줄 위에서 삽입 할 수 있다.
(정답률: 51%)
  • 정답은 "o(소문자) : 입력을 현재 줄 위에서 삽입 할 수 있다." 이다.

    이유는 vi 편집기에서 o(소문자)는 현재 커서 위치의 아래에 새로운 빈 줄을 만들고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을 시작한다. 따라서 "현재 줄 위에서"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줄 아래에" 삽입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emacs 편집기의 삭제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trl> + d : 이전 단어의 삭제
  2. <Alt> + k : 현재 문장의 커서 뒤부터 모두 삭제
  3. <Del> : 커서 앞 글자의 삭제
  4. <Ctrl> + k : 현재 라인 커서 뒤부터 모두 삭제
(정답률: 27%)
  • 정답은 "<Ctrl> + d : 이전 단어의 삭제" 이다.

    이유는 "<Ctrl> + d"는 현재 커서 위치에서 다음 단어의 첫 글자를 삭제하는 명령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Ctrl> + d"는 이전 단어의 삭제가 아니라 다음 단어의 삭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레드햇 패키지 관리자(RPM)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압축을 풀고 난 후, 소스를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컴파일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2. 기존 파일의 삭제 없이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3. 처음 설치한 패키지 상태와 파일 크기가 다른지 여부를 점검 할 수 있다.
  4. 패키지에 대한 비교적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57%)
  • 압축을 풀고 난 후, 소스를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컴파일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RPM은 이미 컴파일된 바이너리 파일을 패키지로 제공하므로, 설치 시 컴파일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RPM 명령의 옵션과 그 기능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rpm -a 패키지명‘ : 패키지의 설치
  2. 'rpm -U 패키지명‘ : 패키지의 업그레이드
  3. 'rpm -e 패키지명‘ : 패키지의 삭제
  4. 'rpm -y 패키지목록‘ : 패키지의 점검
(정답률: 54%)
  • "'rpm -y 패키지목록‘ : 패키지의 점검"은 틀린 설명입니다. rpm -y 옵션은 패키지를 자동으로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할 때 사용되는 옵션입니다.

    'rpm -a 패키지명‘ : 패키지의 설치'는 rpm 명령의 옵션 중 하나로, 패키지를 설치할 때 사용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rpm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pm -a httpd' 명령을 사용하면 httpd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설치된 패키지들 중에서 perl이 설치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명령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rpm -c | search perl
  2. rpm -s | get perl
  3. rpm -qa | grep perl
  4. rpm -k | find perl
(정답률: 74%)
  • "rpm -qa | grep perl" 명령은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나열하고, 그 중에서 "perl"이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패키지를 찾아 출력하는 명령이다. 따라서 이 명령을 실행하면 시스템에 perl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rpm -c | search perl" 명령은 잘못된 구문이므로 사용할 수 없다. "rpm -s | get perl" 명령은 rpm 패키지 파일에서 perl을 추출하는 명령이므로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rpm -k | find perl" 명령은 rpm 패키지의 무결성을 검사하는 명령이므로 perl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원래의 패키지 파일과 설치된 패키지 파일이 다른 정보를 가질 때 출력되는 점검상태 표시 문자의 해석 중 틀린 것은?

  1. S : 파일 크기
  2. O : 사용자
  3. T : 파일 최종 변경 시간
  4. L : 심볼릭 링크
(정답률: 60%)
  • 정답: O : 사용자

    해설: 점검상태 표시 문자 중 O는 파일 소유자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파일 소유 그룹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O : 사용자"는 틀린 설명입니다. 올바른 설명은 "O : 파일 소유 그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dpkg 프로그램을 이용, 종속성을 점검하는 특정 debian 패키지를 완전히 제거할 때 사용하는 플래그 명령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install
  2. --purge
  3. --unpack
  4. --search
(정답률: 56%)
  • 정답은 "--purge"이다.

    "--purge" 플래그는 패키지를 완전히 제거할 때 사용된다. 이 플래그를 사용하면 패키지와 관련된 모든 파일과 설정을 삭제할 수 있다. "--remove" 플래그와는 달리, "--purge" 플래그는 패키지를 제거할 때 설정 파일도 함께 삭제한다.

    예를 들어, "apt-get remove" 명령을 사용하여 패키지를 제거하면 설정 파일은 삭제되지 않고 남아있을 수 있다. 하지만 "--purge" 플래그를 사용하면 패키지와 설정 파일을 모두 삭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gzip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압축된 소프트웨어 패키지에 대한 특정작업을 할 때 사용되는 플래그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e : 압축을 해제한다.
  2. -q : 모든 경고를 없앤다.
  3. -V : 버전 번호를 표시해 준다.
  4. -9 : 압축된 결과 파일이 더 작아지게 압축한다.
(정답률: 47%)
  • "-e : 압축을 해제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e" 플래그는 압축 파일을 해제하고 원본 파일을 삭제합니다. 따라서, 압축을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원본 파일을 삭제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유틸리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ompress : 압축률이 gzip에 비해 좋은 편은 아니다.
  2. gzip : 압축한 파일을 풀 때 gunzip이나 gzip -r 를 사용한다.
  3. bzip2 : 압축률이 gzip에 비해 높은 편이다.
  4. tar : 파일을 묶을 때는 c 플래그를 사용한다.
(정답률: 48%)
  • 정답은 "compress : 압축률이 gzip에 비해 좋은 편은 아니다." 이다.

    gzip은 압축한 파일을 풀 때 gunzip이나 gzip -d를 사용한다. gzip -r은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압축하는 옵션이다.

    gzip은 compress보다 압축률이 높지는 않지만, 압축 속도가 빠르고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지원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bzip2는 gzip보다 압축률이 높지만, 압축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tar은 파일을 묶을 때 c 플래그를 사용한다. 이때 압축을 하지 않으므로, tar로 묶은 파일을 압축하려면 gzip이나 bzip2 등의 유틸리티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tar 명령에 사용되는 플래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파일을 풀 때는 d 플래그를 사용한다.
  2. 파일을 묶으면서 묶이는 파일의 이름과 크기를 보기 위해서는 v 플래그를 사용한다.
  3. tar 파일 내의 묶여 있는 파일의 리스트를 보려면 t 플래그를 사용한다.
  4. 여러 장의 플로피 디스크에 나누어 저장하려면 M 플래그를 사용한다.
(정답률: 43%)
  • "파일을 풀 때는 d 플래그를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파일을 풀 때는 x 플래그를 사용합니다.

    d 플래그는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tar -cvf test.tar /home/user/test/ 를 실행하면 test.tar 파일에 /home/user/test/ 디렉토리가 포함됩니다. 이후 tar -xvf test.tar 명령을 실행하면 test.tar 파일을 풀 때, d 플래그를 사용하여 /home/user/test/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파일을 풀 때는 x 플래그를 사용하며,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는 d 플래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리눅스와 윈도우 운영체제 간 공유폴더 생성 및 백업 등을 위해 사용하는 서비스는?

  1. JetDirect
  2. Samba
  3. LinePrinter
  4. Postscript
(정답률: 72%)
  • Samba는 리눅스와 윈도우 운영체제 간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공유폴더 생성 및 백업 등을 위해 사용됩니다. JetDirect는 프린터 공유를 위한 서비스이고, LinePrinter와 Postscript는 프린터 관련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프린터가 현재 프린팅 작업을 할 수 있는지 유무를 알려주는 명령어는?

  1. lpc
  2. lpr
  3. pr
  4. lpd
(정답률: 57%)
  • 정답은 "lpc"입니다. "lpc"는 Line Printer Control Program의 약자로, 프린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현재 프린팅 작업을 할 수 있는지 유무를 알려주는 명령어로 사용됩니다. "lpr"은 파일을 프린트하는 명령어이고, "pr"은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lpd"는 LPD (Line Printer Daemon) 서비스를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리눅스 프린터 설치 과정 순서가 올바른 것은?

  1. 가 → 나 → 다 → 라
  2. 나 → 가 → 다 → 라
  3. 라 → 가 → 나 → 다
  4. 라 → 다 → 나 → 가
(정답률: 51%)
  • 정답은 "가 → 나 → 다 → 라"이다.

    1. 가: 프린터 드라이버 설치
    - 운영체제에 맞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

    2. 나: 프린터 연결
    - 프린터와 컴퓨터를 연결한다.
    - USB, 이더넷, 와이파이 등의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

    3. 다: 프린터 설정
    - 시스템 설정에서 프린터를 추가한다.
    - 프린터 이름, 종이 크기, 인쇄 품질 등을 설정한다.

    4. 라: 인쇄 테스트
    - 인쇄 테스트를 통해 프린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CD-ROM 및 플로피디스크 장치를 구매하여 리눅스 시스템에 설치하기 위한 마운트 포인터가 위치하는 일반적인 디렉토리로 올바른 것은?

  1. /bin
  2. /etc
  3. /dev
  4. /mnt
(정답률: 61%)
  • "/mnt"는 일반적으로 외부 장치를 마운트하는 디렉토리로 사용되기 때문에 CD-ROM 및 플로피디스크 장치를 마운트하기에 적합합니다. 다른 디렉토리들은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장치를 마운트하는 것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리눅스 명령 실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VD-RW를 사용하기 위한 마운트 명령이다.
  2. 마운트 이후 사용을 마친 다음에는 umount 명령을 이용하여 DVD-RW를 제거할 수 있다.
  3. iso9660 포맷 형태로 DVD-RW 디스크를 읽어 낼 수 있다.
  4. DVD-RW 장치를 마운트 하였기 때문에 CD-ROM 디스크는 읽을 수 없다.
(정답률: 75%)
  • "DVD-RW 장치를 마운트 하였기 때문에 CD-ROM 디스크는 읽을 수 없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DVD-RW를 마운트하면 해당 장치에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CD-ROM 디스크는 읽을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CD-ROM 등의 저장장치에 접근하기 위해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하는 명령은?

  1. lsmod
  2. mount
  3. umount
  4. install
(정답률: 71%)
  • "mount" 명령은 CD-ROM 등의 저장장치를 시스템에 연결하고, 해당 장치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마운트(mount)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저장장치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mount" 명령을 수행해야 한다. "lsmod"는 현재 로드된 커널 모듈을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umount"는 마운트된 저장장치를 해제하는 명령어이며, "install"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활용

49. 다음 중 X 윈도우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Xtoolkit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Xaw
  2. Xt Intrinsics
  3. Xlib
  4. Motif
(정답률: 38%)
  • Xtoolkit은 X 윈도우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개발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집합이다. Xaw, Xt Intrinsics, Motif은 모두 Xtoolkit의 구성 요소이다. 그러나 Xlib은 Xtoolkit이 아니라 X 윈도우 시스템의 핵심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다. Xlib은 X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담당하며, Xtoolkit은 Xlib을 기반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Xlib은 Xtoolkit의 구성 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RedHat 계열의 리눅스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하는 X 윈도우 설정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1. Xconfigurator
  2. XF86Setup
  3. xf86config
  4. XFSetup
(정답률: 48%)
  • RedHat 계열의 리눅스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하는 X 윈도우 설정 프로그램은 "Xconfigurator" 이다. 이는 RedHat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X 윈도우 설정 도구로, 그래픽 드라이버나 모니터 해상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인 "XF86Setup", "xf86config", "XFSetup"은 다른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X 윈도우 설정 도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X 서버가 관리하는 하드웨어 자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디스플레이
  2. 디스크
  3. 마우스
  4. 키보드
(정답률: 58%)
  • 디스플레이, 마우스, 키보드는 모두 X 서버가 관리하는 하드웨어 자원으로 볼 수 있지만, 디스크는 X 서버가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크 컨트롤러나 스토리지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자원이기 때문에 X 서버가 관리하는 하드웨어 자원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Xconfigurator 등 X 윈도우 시스템 설정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할 수 있는 주변기기와 거리가 먼 것은?

  1. 디스플레이
  2. 키보드
  3. 마우스
  4. usb
(정답률: 68%)
  • Xconfigurator는 X 윈도우 시스템의 설정 프로그램으로, 주변기기를 설정할 수 있는데, "usb"는 주변기기 중에서 X 윈도우 시스템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으로 분류됩니다. 즉, USB 기기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며, 물리적인 거리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Qt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하는 X 윈도우 테스트탑 환경은?

  1. Gnome
  2. KDE
  3. CDE
  4. Motif
(정답률: 70%)
  • 정답은 "KDE"입니다. KDE는 Qt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하는 데스크톱 환경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KDE는 Q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X 윈도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Gnome, CDE 및 Motif는 각각 다른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하는 데스크톱 환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X 윈도우 데스크탑 환경 Gnom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NU 프로젝터의 일환으로 개발된 데스크탑 환경이다.
  2. GTK+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한다.
  3.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고 무료로 배포된다.
  4. 전용의 윈도우 관리자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81%)
  • 전용의 윈도우 관리자만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Gnome은 다양한 윈도우 관리자를 지원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윈도우 관리자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KDE 데스크탑 환경의 구성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패널(pannel)
  2. 태스크바(taskbar)
  3. 데스트톱(desktop)
  4. 도크(doke)
(정답률: 65%)
  • 정답은 "도크(doke)"입니다. KDE 데스크탑 환경에는 패널, 태스크바, 데스크톱 등이 포함되어 있지만, 도크는 GNOME 데스크탑 환경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입니다. 도크는 애플의 맥 OS X 운영체제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프로그램을 빠르게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KDE 데스크탑 환경에서는 대신 위젯과 앱리스트 등의 구성요소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MS 윈도우즈의 포토샵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X 윈도우 상의 그래픽 편집 SW는 무엇인가?

  1. MPLAYER
  2. MTV
  3. GIMP
  4. XMMS
(정답률: 74%)
  • 정답은 "GIMP"입니다. GIMP는 MS 윈도우즈의 포토샵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X 윈도우 상의 그래픽 편집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그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Ethernet
  2. Token Ring
  3. FDDI
  4. CDMA
(정답률: 39%)
  • 정답은 "CDMA"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유선 네트워크 기술이고, CDMA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Ethernet은 가장 일반적인 유선 LAN 기술이며, Token Ring은 IBM이 개발한 유선 LAN 기술입니다. FDDI는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는 유선 LAN 기술입니다.

    반면에 CDMA는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약자로,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CDMA는 여러 사용자가 같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면서도 각각의 사용자를 식별하고 구분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X.25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WAN에서 널리 쓰이는 프로토콜이다.
  2.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에 주로 쓰인다.
  3. 호스트 시스템 또는 LAN과 패킷교환망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4. LAN과 LAN 상에서 쓰이는 것이다.
(정답률: 31%)
  • 정답은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에 주로 쓰인다."가 아니다. X.25 프로토콜은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방식에 주로 쓰인다. 회선 교환은 전용 회선을 설정하여 통신하는 방식이고, 패킷 교환은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이다. X.25 프로토콜은 패킷 교환망에서 사용되며, 호스트 시스템 또는 LAN과 패킷교환망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한번에 한 노드(컴퓨터)만 송신할 수 있어 노드의 숫자가 전체 망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는?

  1. 스타형 토폴리지
  2. 버스형 토폴리지
  3. 링형 토폴리지
  4. 메쉬형 토폴리지
(정답률: 47%)
  • 버스형 토폴리지는 한번에 한 노드만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노드의 숫자가 많아질수록 충돌이 발생하고 전체 망의 성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노드의 숫자가 전체 망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LAN 통합을 위한 통신 장비 중 전송 신호를 재생하여 전달하는 장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허브
  2. 게이트웨이
  3. 라우터
  4. 리피터
(정답률: 61%)
  • 리피터는 전송 신호를 증폭하여 재생하고 전달하는 장치로, LAN 통합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전송 신호를 재생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리피터"가 가장 알맞은 답입니다. 허브는 데이터를 모든 포트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라우터는 패킷을 분석하여 최적의 경로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지만, 전송 신호를 재생하여 전달하는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통신망을 연결해 주고 전송하는 패킷의 수신처를 바탕으로 가장 효율적인 경로로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통신 장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라우터
  2. 리피터
  3. 브리지
  4. 게이트웨이
(정답률: 70%)
  • 라우터는 패킷의 수신처를 바탕으로 가장 효율적인 경로로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통신 장비이다. 이는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패킷을 전달하며,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등의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정답은 "라우터"이다. 리피터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하고, 브리지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근거리 통신망용 프로토콜 중 Novel사의 Netware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적용되는 프로토콜은?

  1. IPX/SPX
  2. TCP/IP
  3. NetBEUI
  4. X.25
(정답률: 34%)
  • Novel사의 Netware 서버는 IPX/SPX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이는 Novel사에서 개발한 프로토콜로, 근거리 통신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IPX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SPX는 패킷의 전송을 보장하며, 둘 다 데이터의 안정적인 전송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Netware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IPX/SPX 프로토콜을 적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IP, ICMP, ARP 프로토콜 등은 OSI 7계층 중 어느 계층에 해당하는가?

  1. 응용 계층
  2. 표현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데이터 링크 계층
(정답률: 80%)
  • IP, ICMP, ARP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한다. 이는 이들 프로토콜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논리적인 주소를 사용하며, 이 주소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정의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 프로토콜은 라우팅과 같은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계층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TCP/IP 프로토콜들 중 데이터가 올바른 순서대로 전달되었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transport 계층의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1. TCP
  2. UDP
  3. IP
  4. ICMP
(정답률: 57%)
  • TCP는 데이터가 올바른 순서대로 전달되었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재전송을 수행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transport 계층에서 데이터의 순서와 신뢰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UDP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고, IP는 데이터의 전달만을 담당하며, ICMP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프로토콜이므로 정답은 TC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리눅스 시스템에서 포트 번호가 정의되어 있는 파일은 무엇인가?

  1. /etc/protocols
  2. /etc/inittab
  3. /etc/ports
  4. /etc/services
(정답률: 49%)
  • "/etc/services"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 번호를 사용하는 서비스의 이름을 정의하는 파일입니다. 따라서 이 파일을 통해 포트 번호와 서비스 이름을 매핑하여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프로토콜, 초기화 및 부팅 설정, 포트 번호와 관련이 없는 파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IP 주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4개의 8 비트 숫자로 구성된다.
  2. 일반 사용자를 위한 IP 주소의 유형은 클래스A, 클래스B, 클래스C, 그리고 클래스D로 나뉘어 진다.
  3. IP 주소를 다루는 프로토콜은 IP 프로토콜이다.
  4. IP 주소의 최상위 세 비트가 이진수 110이면 클래스 C에 해당하는 주소이다.
(정답률: 47%)
  • 일반 사용자를 위한 IP 주소의 유형은 클래스A, 클래스B, 클래스C, 그리고 클래스D로 나뉘어 진다는 설명이 적절하지 않다. 현재는 클래스 기반의 IP 주소 체계가 대부분 사용되지 않고, 대신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한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인터넷 주소 도메인의 체계상 같은 레벨의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com
  2. net
  3. edu
  4. co
(정답률: 61%)
  • "co"는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이므로, 다른 것들과 같은 레벨로 볼 수 없다. "com", "net", "edu"는 모두 일반 최상위 도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루프백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IP 주소는?

  1. 192.168.1.1
  2. 255.255.0.0
  3. 255.255.255.0
  4. 127.0.0.1
(정답률: 83%)
  • 루프백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컴퓨터 내부에서만 통신하는 가상의 인터페이스입니다. 따라서 이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IP 주소는 컴퓨터 자신을 가리키는 주소인 127.0.0.1입니다. 다른 IP 주소들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주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리눅스 명령어 중 IP 네트워크의 패킷 전송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은 무엇인가?

  1. ipconfig
  2. route
  3. traceroute
  4. ping
(정답률: 57%)
  • 정답은 "traceroute"이다.

    "traceroute" 명령어는 IP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전송되는 경로를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 이 명령어는 목적지 호스트까지 패킷이 전송되는 동안 거쳐가는 모든 라우터의 IP 주소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경로 최적화를 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ipconfig"는 윈도우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로, 현재 시스템의 IP 구성 정보를 보여준다.

    "route" 명령어는 라우팅 테이블을 보여주는데 사용된다.

    "ping" 명령어는 호스트에 대한 응답 시간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에서 여러 인터넷 서비스 데몬들의 수행을 총괄하는 프로그램은?

  1. xinetd
  2. ftpd
  3. xdm
  4. initd
(정답률: 52%)
  • 정답: xinetd

    설명: xinetd는 인터넷 서비스 데몬들의 수행을 총괄하는 슈퍼 데몬(super daemon)입니다. xinetd는 다른 데몬들을 대신하여 인터넷 연결 요청을 받아들이고, 해당 요청을 처리할 적절한 데몬을 실행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보안성을 높이고,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xinetd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여러 인터넷 서비스 데몬들의 수행을 총괄하는 프로그램입니다. ftpd는 FTP 서버 데몬, xdm은 X Display Manager, initd는 시스템 초기화 데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유선 통신의 전송 방식 중 회선교환 방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고정된 대역폭을 사용한다.
  2. 전송 도중 메시지는 저장되지 않는다.
  3. 호출후 오버헤드 비트가 없다.
  4. 속도와 코드의 변환이 항상 있다.
(정답률: 49%)
  • "속도와 코드의 변환이 항상 있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회선교환 방식에서는 고정된 대역폭을 사용하며, 전송 도중 메시지는 저장되지 않는다. 호출 후 오버헤드 비트가 없는 것도 맞다. 하지만 속도와 코드의 변환이 항상 있는 것은 아니다. 회선교환 방식에서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회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속도와 코드 변환이 발생할 수 있지만, 연결된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에는 변환이 없을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TCP/IP 프로토콜들 중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어느 것인가?

  1. IP 프로토콜
  2. TCP 프로토콜
  3. ICMP 프로토콜
  4. UPD 프로토콜
(정답률: 38%)
  • 라우팅 테이블은 IP 프로토콜이 관리합니다. 이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다음 라우터나 목적지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TCP 프로토콜은 연결 지향적인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며, ICMP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UDP 프로토콜은 비연결성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지만,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의 주소체계는 몇 비트로 이루어져 있는가?

  1. 32비트
  2. 64비트
  3. 128비트
  4. 256비트
(정답률: 72%)
  • IPv6 주소체계는 128비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IPv4의 32비트 주소체계보다 훨씬 더 많은 주소를 할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IPv6는 인터넷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전 버전의 주소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더 많은 비트를 사용하여 주소를 할당합니다. 이는 인터넷의 미래적인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ftp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수 있느 명령 중 파일의 전송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명령은 무엇인가?

  1. get
  2. put
  3. mget
  4. hash
(정답률: 73%)
  • 정답은 "hash"입니다.

    "get", "put", "mget"은 파일을 전송하는 명령어이지만, "hash"는 파일 전송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명령어입니다. "hash" 명령어는 파일 전송 시 파일의 무결성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파일 전송 중에 파일이 손상되거나 완전하지 않은 경우, "hash"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의 체크섬 값을 확인하고, 파일의 무결성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ash" 명령어는 파일 전송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파일 전송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E-mail 송수신과 직접적인 관련이 적은 프로토콜은?

  1. IMAP
  2. POP3
  3. SMTP
  4. SNMP
(정답률: 67%)
  • 정답: SNMP

    이유: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는 E-mail 송수신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프로토콜이다. 반면, IMAP, POP3, SMTP는 모두 E-mail 송수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인터넷 접속 시 모뎀과 전화선을 사용하는 경우 가장 관계가 깊은 프로토콜은?

  1. DHCP
  2. IGMP
  3. SLIP
  4. ARP
(정답률: 53%)
  • SLIP은 Serial Line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모뎀과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 SLIP이 가장 관계가 깊은 프로토콜입니다. DHCP는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프로토콜, IGMP는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 프로토콜, ARP는 주소 해석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리눅스 클러스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픈 소스인 리눅스를 이용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다양한 클러스터를 제작할 수 있다.
  2. 리눅스 발전에 따른 효과를 지속적으로 클러스터에 적용할 수 있다.
  3. 저렴한 PC와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하여 저비용 클러스터를 구축할 수 있다.
  4. 수천 개 이상의 노드 수를 가지는 대형 클러스터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정답률: 48%)
  • 리눅스 클러스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수천 개 이상의 노드 수를 가지는 대형 클러스터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이유는 리눅스 클러스터가 분산 처리를 지원하고, 높은 확장성과 가용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클러스터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고속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로드 밸런싱과 장애 복구 기능을 제공하여 대규모 클러스터를 구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리눅스 Beowulf 클러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NASA 고다드 연구소에서 1994년부터 시작 되었다.
  2. 대규모 생산되는 PC와 네트워크 장비들을 사용하여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3. 계산용 클러스터이면서 고가용(high availability)도 함께 추구한다.
  4. MPI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 계산용 병렬 프로그램 수행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45%)
  • "대규모 생산되는 PC와 네트워크 장비들을 사용하여 클러스터를 구축한다."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Beowulf 클러스터는 주로 저렴한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축되기 때문입니다.

    Beowulf 클러스터는 NASA 고다드 연구소에서 1994년부터 시작되었으며, MPI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 계산용 병렬 프로그램 수행에 주로 사용됩니다. 또한, Beowulf 클러스터는 계산용 클러스터이면서 고가용(high availability)도 함께 추구합니다. 이는 클러스터 내의 노드 중 일부가 고장나더라도 전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블루투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비 전력이 적은 편이다.
  2. 전송 거리는 1km 정도이다.
  3. 동기적 전송 방법은 주로 음성 전송에 사용된다.
  4. 휴대전화, 노트북 등 각종 디지털 가전 제품의 연결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다.
(정답률: 77%)
  • 전송 거리는 1km 정도이다. -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전송 거리는 일반적으로 10m 이내이다. 최근에는 블루투스 5.0부터 전송 거리가 약 240m까지 늘어났지만, 여전히 1km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임베디드 시장에 리눅스가 OS로서 각광받는 이유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제품 개발 기간이 짧아진다.
  2. 많은 메모리 사용을 한다.
  3. 개발비용이 저렴하다.
  4. 멀티유저, 멀티테스킹, TCP/IP 네트워킹을 기본으로 지원한다.
(정답률: 72%)
  • 많은 메모리 사용을 한다는 것은 리눅스가 경량화된 운영체제가 아니기 때문에, 메모리 용량이 작은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리눅스가 OS로서 각광받는 이유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