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3-12)

리눅스마스터 2급
(2011-03-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다음 중 일반적인 리눅스의 디렉터리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boot : 부트 이미지 디렉터리
  2. /etc :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3. /home : 각종 시스템 설정 파일 저장 디렉터리
  4. /var : 라이브러리 저장 디렉터리
(정답률: 79%)
  • "/boot" 디렉터리는 리눅스 시스템이 부팅될 때 필요한 부트 이미지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입니다. 이 디렉터리에는 커널 이미지 파일과 부트 로더 파일 등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 부팅에 필수적인 디렉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파일의 퍼미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의 소유자는 linux 이다.
  2. 파일의 소유자는 파일의 읽기/쓰기가 가능하다.
  3. 파일의 속한 그룹은 hyunju 이다.
  4.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읽기 만 가능하다.
(정답률: 81%)
  • "파일의 속한 그룹은 hyunju 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파일의 속한 그룹이 hyunju가 아닌 users이다.

    파일의 소유자는 linux이며, 파일의 읽기/쓰기가 가능하다.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하다. 이 파일의 퍼미션은 소유자에게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이 모두 부여되어 있고, 그룹과 기타 사용자에게는 읽기 권한만 부여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ls 명령어의 옵션 중 현재 디렉터리에 포함된 하위 디렉터리의 내용까지 출력해 주도록 하는 것은?

  1. -t
  2. -h
  3. -S
  4. -R
(정답률: 73%)
  • 정답: "-R"

    "-R" 옵션은 현재 디렉터리에 포함된 모든 하위 디렉터리의 내용까지 출력해 주는 옵션이다. 따라서 "-R" 옵션을 사용하면 현재 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를 출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파일의 권한 모드에서 SetUID(실행시 파일의 소유자 권한으로 실행)를 지정하기 위한 파일 모드로 올바른 것은?

  1. 777
  2. 1777
  3. 2777
  4. 4777
(정답률: 62%)
  • 올바른 파일 모드는 "4777"입니다.

    SetUID는 실행 시 파일의 소유자 권한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파일의 권한 모드에서 "4"를 추가해야 합니다. "4"는 실행 권한을 나타내며, SetUID를 설정하기 위해선 "4" 대신 "4+4=8"을 추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777"은 모든 사용자에게 모든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므로 SetUID를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1777"은 SetUID와 함께 디렉토리에 대한 Sticky Bit를 설정하는 것이므로, 이 경우에도 SetUID를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2777"은 SetGID와 함께 Sticky Bit를 설정하는 것이므로, 이 경우에도 SetUID를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파일 모드는 "477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새로 만드는 파일의 권한에 파일이 속한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 쓰기를 제한하기 위한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umask 011
  2. umask 022
  3. umask 044
  4. umask 066
(정답률: 71%)
  • 정답: "umask 022"

    umask는 새로운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기본 권한을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umask 값은 파일 권한에서 빼는 값으로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umask 022는 새로운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기본 권한에서 "모든 사용자에게 쓰기 권한"을 빼서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 쓰기 권한이 없는 파일"을 만듭니다. 따라서, umask 022는 파일이 속한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 쓰기를 제한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명령어 실행 결과가 아닌 것은?

  1. /bin/sh
  2. /bin/bash
  3. /bin/cmd
  4. /sbin/nologin
(정답률: 51%)
  • "/bin/cmd"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경로이기 때문에 실행 결과가 없다. "/bin/sh"과 "/bin/bash"는 셸을 실행하는 경로이고, "/sbin/nologin"은 로그인을 제한하는 경로이다. 하지만 "/bin/cmd"는 존재하지 않는 경로이기 때문에 실행 결과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ext
  2. ext2
  3. ext3
  4. HFS
(정답률: 83%)
  • HFS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이 아니라 맥 OS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파일시스템을 구성하는 파티션의 마운트가 기록되어 있는 파일은?

  1. /etc/mtab
  2. /etc/fstab
  3. /proc/fstab
  4. /proc/mounts
(정답률: 62%)
  • "/etc/fstab" 파일은 파일시스템을 구성하는 파티션의 마운트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다. 이 파일은 부팅 시 자동으로 읽혀서 시스템이 시작될 때 파티션을 마운트하게 된다. 따라서 이 파일을 통해 시스템이 어떤 파티션을 마운트하고 어떤 옵션을 사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etc/mtab" 파일은 현재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의 정보를 보여주는 파일이며, "/proc/fstab"과 "/proc/mounts" 파일은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현재 시스템의 마운트 정보를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과 같이 현재 디렉터리의 총 사용량만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du -a
  2. du -k
  3. du -h
  4. du -s
(정답률: 41%)
  • 정답은 "du -s"입니다.

    "du"는 디렉터리의 사용 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a" 옵션은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사용 용량을 보여주고, "-k" 옵션은 킬로바이트 단위로 보여주며, "-h" 옵션은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보여줍니다. "-s" 옵션은 디렉터리의 총 사용 용량만을 보여줍니다.

    그러므로, 현재 디렉터리의 총 사용 용량만을 보기 위해서는 "du -s"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리눅스 사용자 ihd에 할당된 디스크 사용량을 보는 명령어는?

  1. df ihd
  2. du ihd
  3. finger ihd
  4. quota ihd
(정답률: 31%)
  • 정답은 "quota ihd"이다. 이유는 "quota" 명령어는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하고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quota ihd" 명령어를 사용하면 ihd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df"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보여주고, "du" 명령어는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보여준다. "finger" 명령어는 사용자 정보를 보여주는데, 디스크 사용량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프로세스의 상태보기 ps 명령어에서 확인할 수 없는 정보는?

  1. UID
  2. NAME
  3. PID
  4. TTY
(정답률: 43%)
  • ps 명령어에서는 프로세스의 이름(NAME)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NAME"이 아닌 다른 보기들인 "UID", "PID", "TTY"는 모두 ps 명령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세스의 상태를 보여준다.
  2. f 옵션은 정보를 자세히 보여준다.
  3. 사용자가 소유한 프로세스만 보여준다.
  4. httpd 라는 프로세스만을 출력한다.
(정답률: 55%)
  • 정답이 "httpd 라는 프로세스만을 출력한다." 인 이유를 설명한 것이 아니라, 정답은 "f 옵션은 정보를 자세히 보여준다." 이다. ps 명령어에 -u 옵션을 주면 사용자가 소유한 프로세스만 보여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프로세스간의 통신을 위한 signal이 아닌 것은?

  1. HUP
  2. START
  3. STOP
  4. TERM
(정답률: 44%)
  • "START"는 프로세스간의 통신을 위한 signal이 아닙니다. "HUP", "STOP", "TERM"은 모두 프로세스간의 통신을 위한 signal입니다. "START"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부팅 시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로세스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프로그램을 화면에 보여주며 실행되는 상태는 foreground 이다.
  2. 프로그램을 background로 실행 할 때는 명령어 뒤에 &를 붙인다.
  3. foreground로 실행한 후 종료되기 전 Ctrl-z를 누르면 suspend 된다.
  4. suspend된 것을 foreground로 하기 위해서는 “bg %<작업번호>”를 사용한다.
(정답률: 72%)
  • "프로그램을 화면에 보여주며 실행되는 상태는 foreground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상태는 background나 foreground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각각이 foreground나 background 상태일 수 있습니다. foreground 상태는 현재 사용자가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이고, background 상태는 현재 사용자가 입력을 받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suspend된 것을 foreground로 하기 위해서는 'bg %<작업번호>'를 사용한다."는 suspend된 프로세스를 background에서 foreground로 전환시키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프로세스가 다시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사용자는 해당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세스 중 background로 실행되면서 서버 역할을 하거나 그 기능을 도와주는 프로세스는?

  1. 프로그램(program)
  2. 프로시저(procedure)
  3. 데몬(deamon)
  4. 스레드(thread)
(정답률: 88%)
  • 데몬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면서 서버 역할을 하거나 다른 프로세스를 도와주는 프로세스입니다. 예를 들어, 웹 서버에서는 HTTP 요청을 처리하는 데몬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처리합니다. 또한, 백업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데몬이나 시스템 로그를 관리하는 데몬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들 간의 연결 구조를 트리 형식으로 출력하는 명령어는?

  1. ps
  2. pstree
  3. top
  4. cron
(정답률: 86%)
  • "pstree" 명령어는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들 간의 부모-자식 관계를 트리 형식으로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프로세스들 간의 연결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하다. "ps" 명령어는 프로세스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이고, "top" 명령어는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이다. "cron" 명령어는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관리하는 명령어이므로, 이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top 명령어를 통하여 확인 할 수 없는 내용은?

  1. 시스템에 연결 중인 사용자 수
  2. CPU의 상태
  3.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터미널 정보
  4. 메모리 사용 상태
(정답률: 36%)
  • top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의 CPU, 메모리 사용 상태, 실행 중인 프로세스 등을 확인할 수 있지만, 각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터미널 정보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이는 top 명령어가 시스템 전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터미널 정보를 확인하려면 다른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프로세스에 자주 사용되는 시그널과 그 의미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SIGHUP : 실행중인 프로그램에 정의되어 있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종료하게 한다.
  2. SIGINT : 현재 작동 중인 프로그램의 동작을 멈출 때 사용한다.
  3. SIGQUIT : 사용자가 터미널에서 종료키(quit)를 누를 때 보내어진다.
  4. SIGKILL : 무조건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중지 시킨다.
(정답률: 50%)
  • SIGHUP은 실행중인 프로그램에게 "프로세스 그룹이 끊어졌다"는 신호를 보내는 시그널입니다. 이는 보통 터미널이나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졌을 때 발생하며, 프로그램이 이에 대응하여 자원을 정리하고 종료하는 것이 일반적인 동작입니다. 따라서 "SIGHUP : 실행중인 프로그램에 정의되어 있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종료하게 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어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nice
  2. kill
  3. ps
  4. signal
(정답률: 84%)
  • 정답: nice

    해설: nice 명령어는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를 통해 CPU 자원을 더 많이 할당받거나 적게 할당받을 수 있습니다. nice 명령어 뒤에는 우선순위 값을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값이 낮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지며, 값의 범위는 -20부터 19까지입니다. 예를 들어, "nice -n 10 프로세스명"과 같이 입력하면 해당 프로세스의 우선순위가 10으로 변경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crontab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u username -e : root가 해당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 수정
  2. -e : 스케줄 정보 수정
  3. -l : 현재 등록되어 있는 스케줄 정보 출력
  4. -r : 현재 등록된 스케줄 정보 재실행
(정답률: 48%)
  • "-r : 현재 등록된 스케줄 정보 재실행" 옵션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정답: "-r : 현재 등록된 스케줄 정보 재실행" 옵션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쉘이 아닌 것은?

  1. C shell
  2. Bourne Again Shell
  3. Ghost Shell
  4. Korn Shell
(정답률: 79%)
  • "Ghost Shell"은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쉘이 아닙니다. 이유는 "Ghost Shell"이라는 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ls -al’ 명령을 ‘ll’ 만 입력함으로서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자 할 때 사용 가능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make
  2. alias
  3. similar
  4. split
(정답률: 83%)
  • 정답은 "alias"입니다.

    "alias"는 새로운 명령어를 만들어 기존의 명령어를 대체하거나, 명령어에 추가적인 옵션을 부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lias"를 사용하여 "ll" 명령어를 "ls -al" 명령어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후 "ll" 명령어를 입력하면 "ls -al" 명령어와 동일한 결과를 출력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remote로 telnet을 이용하기 위하여 vt100모드를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하여야 하는 환경변수는 무엇인가?

  1. TERM 변수
  2. LOGNAME 변수
  3. PWD 변수
  4. MODE 변수
(정답률: 43%)
  • "TERM 변수"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터미널 타입을 지정하는 환경변수로, vt100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값을 "vt100"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 변수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터미널이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bash 쉘의 환경설정 파일로 사용자가 정의한 alias들과 함수들이 정의되어 있는 파일은?

  1. .cshrc
  2. .srclog
  3. .bashrc
  4. .skeleton
(정답률: 84%)
  • ".bashrc" 파일은 bash 쉘의 환경설정 파일 중 하나로, 사용자가 정의한 alias와 함수들이 정의되어 있는 파일이다. 이 파일은 bash 쉘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며, 사용자가 쉘을 사용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적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나 함수를 간단한 alias로 정의하거나, 자주 사용하는 함수를 정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PATH 변수에 ‘PATH=/bin:/usr/bin/:.’ 라고 설정 하였을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PATH 변수는 쉘이 명령을 탐색하는 디렉터리를 나열한다.
  2. 쉘은 디렉터리가 나열되는 순서로 디렉터리를 탐색한다.
  3. 쉘은 명령 실행 시 먼저 디렉터리 /bin을 참조 한다.
  4. 쉘은 명령실행 시 제일 가까운 .(현재의 디렉터리)를 가장 먼저 참조한다.
(정답률: 65%)
  • "쉘은 명령 실행 시 먼저 디렉터리 /bin을 참조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ATH 변수는 쉘이 명령을 탐색하는 디렉터리를 나열하며, 쉘은 디렉터리가 나열되는 순서로 디렉터리를 탐색합니다. 이때 가장 먼저 참조하는 디렉터리는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입니다. 따라서 PATH 변수에 .이 포함되어 있으면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에서 명령을 찾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환경변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사용자가 사용하는 쉘이 bash로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로그인 할 때 bash_profile과 .bashrc가 실행된다.
  2. rc 파일들은 쉘이 실행될 때 실행된다.
  3. rc 파일을 변경시키게 되면 쉘을 다시 실행 시키지 않아도 변경된 내용이 자동으로 적용 된다.
  4. rc 파일은 쉘이 실행될 때마다 적용될 수 있는 특정 쉘에 관계된 변수와 설정 사항을 포함 한다.
(정답률: 66%)
  • "rc 파일을 변경시키게 되면 쉘을 다시 실행 시키지 않아도 변경된 내용이 자동으로 적용 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rc 파일을 변경하더라도 변경된 내용이 적용되려면 쉘을 다시 실행시켜야 한다. 이유는 쉘이 실행될 때 rc 파일이 읽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rc 파일을 변경한 후에는 쉘을 다시 실행시켜야 변경된 내용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Esc
  2. Tab
  3. Alt
  4. Alt-Shift
(정답률: 78%)
  • "Tab"은 탭 키를 나타내며, 위의 보기에서는 탭 키의 모양이 그려져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etc/shells
  2. /bin/shells
  3. /usr/bin/shells
  4. /etc/passwd
(정답률: 35%)
  • "/etc/passwd"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기 때문입니다. 이 파일은 사용자 이름, 암호화된 비밀번호, 사용자 ID, 그룹 ID, 홈 디렉토리 경로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파일은 시스템 보안과 관련된 중요한 파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vi 편집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명령모드와 입력모드, EX모드 방식이 있다.
  2. 문자를 입력할 때는 반드시 입력모드로 하여야 한다.
  3. 입력모드에서 명령모드로 전환 시는 tab 키를 누른다.
  4. 명령모드에서 콜론(:)을 치면 아래쪽에 명령 라인이 생기게 된다.
(정답률: 77%)
  • "입력모드에서 명령모드로 전환 시는 tab 키를 누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입력모드에서 명령모드로 전환하려면 ESC 키를 누르면 됩니다.

    이유는 vi 편집기에서는 입력모드와 명령모드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입력모드에서는 텍스트를 입력하고 편집할 수 있으며, 명령모드에서는 텍스트를 편집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모드에서 명령모드로 전환하려면 입력을 멈추고 명령모드로 전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ESC 키를 누르거나 CTRL+[ 키를 누르는 방법이 있습니다. tab 키는 입력모드에서 탭 문자를 입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nu all
  2. :se nu
  3. :rept
  4. :number
(정답률: 80%)
  • ( :se nu )는 Vim에서 줄번호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화면 왼쪽에 각 줄의 번호가 표시된다. 이것은 코드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때 특정 줄을 찾거나 디버깅할 때 유용하다. 다른 보기들은 ":nu all"은 모든 줄에 번호를 표시하는 명령어, ":rept"는 이전 명령어를 반복하는 명령어, ":number"는 현재 커서 위치의 줄 번호를 표시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 ) 안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q
  2. v
  3. o
  4. r
(정답률: 38%)
  • 이 그림은 모스 부호(Morse code)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모스 부호는 긴 소리와 짧은 소리로 이루어진 코드로, 전신 알파벳과 숫자, 기호 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그림에서는 세 개의 짧은 소리(.)과 하나의 긴 소리(-)로 이루어진 코드가 나타나 있습니다. 이 코드를 해독하면 "q", "v", "o", "r" 중 하나의 알파벳이 됩니다.

    그 중에서도 정답은 "r"입니다. 이유는 모스 부호에서 "r"은 "• – •"로 표현되는데, 이 그림에서는 세 개의 짧은 소리와 하나의 긴 소리, 그리고 다시 세 개의 짧은 소리로 이루어진 코드가 "• • • – • • •"로 나타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코드를 해독하면 "r"이라는 알파벳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vi 편집기 사용 중 커서를 현재 줄의 맨 끝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명령어모드에서 O
  2. 명령어모드에서 $
  3. 명령어모드에서 ^
  4. 명령어모드에서 w
(정답률: 54%)
  • 정답은 "명령어모드에서 $"입니다.

    $는 커서를 현재 줄의 맨 끝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어입니다. 이는 편집 중인 문서에서 특정 줄의 끝 부분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vi 에디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양한 편집기능이 제공된다.
  2. 비모드형 편집기로 명령수행 시 <Ctrl> 키와 다른 키의 조합을 이용하여야 한다.
  3. 편집 중 커서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4. 문서작성 후 :wq를 실행시키면 편집중인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비모드형 편집기로 명령수행 시 <Ctrl> 키와 다른 키의 조합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다. vi 에디터는 모드형 편집기로, 명령 모드와 편집 모드가 있으며 명령 모드에서는 <Ctrl> 키와 다른 키의 조합을 이용하여 명령을 수행한다. 편집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텍스트 편집기와 같이 키보드로 직접 입력하여 편집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emacs 편집기 명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종료하는 명령어는 Ctrl-x, Ctrl-c 이다.
  2. 라인의 처음으로 이동하는 명령어는 Ctrl-a 이다.
  3. 라인의 끝으로 이동하는 명령어는 Ctrl-e 이다.
  4. 파일의 끝으로 이동하는 명령어는 Ctrl-v 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파일의 끝으로 이동하는 명령어는 Ctrl-v 이다." 이다.

    이유는 Ctrl-v는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명령어이고, 파일의 끝으로 이동하는 명령어는 Ctrl-e이다. Ctrl-e는 현재 라인의 끝으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RPM
  2. DEV
  3. ZIP
  4. HAT
(정답률: 77%)
  • 이 그림은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RPM (Revolutions Per Minute)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상호접속성(Inter-connectivity)
  2.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3. 의존성(Dependency)
  4. 관련성(Relativity)
(정답률: 72%)
  • 이미지에서 보이는 그림은 각각의 모듈이 서로 의존하고 있는 관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즉, 한 모듈의 변경이 다른 모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의존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movie 디렉터리의 전체파일을 movie.tar로 묶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tar cvf movie movie.tar
  2. tar cvf movie.tar movie
  3. tar xvf movie.tar movie
  4. tar xvf movie movie.tar
(정답률: 46%)
  • 정답은 "tar cvf movie.tar movie"입니다.

    tar는 파일을 묶거나 압축하는 명령어입니다. "c" 옵션은 새로운 아카이브를 생성하고, "v" 옵션은 작업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며, "f" 옵션은 아카이브 파일 이름을 지정합니다. 따라서 "tar cvf movie.tar movie" 명령어는 movie 디렉터리의 전체 파일을 movie.tar로 묶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RPM 설치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PM 설치 시 -ivh 옵션을 함께 지정하여 에러 등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좋다.
  2. 패키지 설치문제가 발생하여 기존의 불필요한 패키지를 제거하는 경우 -d 옵션을 이용한다.
  3. RPM 패키지 업그레이드는 -U 옵션을 사용 한다.
  4. 업그레이드시 사용하는 -F 옵션은 이미 설치된 패키지와 비교하여 오직 설치하고자 하는 패키지 버전이 높을 때만 업그레이드를 실시하게 해준다.
(정답률: 47%)
  • "패키지 설치문제가 발생하여 기존의 불필요한 패키지를 제거하는 경우 -d 옵션을 이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RPM 설치 시 -e 옵션을 이용하여 기존 패키지를 제거하고, 그 후에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d 옵션은 패키지를 제거하지 않고, 의존성 문제를 무시하고 설치를 진행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설치된 패키지의 파일목록 가운데 문서파일만 보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은?

  1. #rpm -qi ihd
  2. #rpm -qs ihd
  3. #rpm -qd ihd
  4. #rpm -ql ihd
(정답률: 36%)
  • 정답은 "#rpm -qd ihd"이다. 이 옵션은 설치된 패키지의 문서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qi" 옵션은 패키지 정보를 보여주고, "-qs" 옵션은 패키지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ql" 옵션은 모든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RPM 설치 시 단순한 메시지보다는 진행과정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연속적인 샾(#)문자가 나오게 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i 옵션
  2. -v 옵션
  3. -h 옵션
  4. -e 옵션
(정답률: 55%)
  • "-h 옵션"은 RPM 설치 시 진행과정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연속적인 샾(#)문자가 나오게 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설치 과정이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하다. "-i 옵션"은 RPM을 설치하는 옵션, "-v 옵션"은 설치 과정에서 자세한 정보를 출력하는 옵션, "-e 옵션"은 RPM을 제거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dpkg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pkg --install ihd.deb : ihd.deb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2. #dpkg --purge ihd : ihd 패키지를 완전히 제거한다.
  3. #dpkg --remove ihd : ihd 패키지의 구성 파일을 보관하고 실행가능 구성요소만 제거한다.
  4. #dpkg --search ihd : 인터넷상에서 ihd 패키지를 찾는다.
(정답률: 41%)
  • "#dpkg --search ihd : 인터넷상에서 ihd 패키지를 찾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dpkg는 로컬 시스템에서 패키지를 관리하는 도구이므로 인터넷에서 패키지를 찾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올바른 설명은 "#dpkg --install ihd.deb : ihd.deb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dpkg --purge ihd : ihd 패키지를 완전히 제거한다.", "#dpkg --remove ihd : ihd 패키지의 구성 파일을 보관하고 실행가능 구성요소만 제거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 ) 안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nodesign
  2. --nodeps
  3. --nosignal
  4. --norelay
(정답률: 75%)
  • "--nodeps" 옵션은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고 패키지를 설치하도록 지시하는 옵션입니다. 즉, 해당 패키지가 필요로 하는 다른 패키지가 있더라도 설치하지 않고 무시하고 설치를 진행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는 이유는 이미 설치된 패키지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의존성 패키지를 설치할 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현재 프린터 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lpc
  2. lpq
  3. lpr
  4. pr
(정답률: 75%)
  • 정답은 "lpq"입니다.

    "lpq" 명령어는 현재 프린터 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대기 중인 인쇄 작업의 목록과 각 작업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lpc"는 LPD 프린터 서비스를 관리하는 명령어, "lpr"은 인쇄 작업을 큐에 추가하는 명령어, "pr"은 파일을 인쇄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리눅스의 일반적인 프린터 설치 방법이 아닌 것은?

  1. local
  2. remote lpd
  3. SMB
  4. DHCP
(정답률: 71%)
  • DHCP는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로, 프린터 설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DHCP는 일반적인 프린터 설치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프린터 설치에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설정 파일은?

  1. /dev/lp0
  2. /etc/lp0
  3. /dev/printcap
  4. /etc/printcap
(정답률: 51%)
  • "/etc/printcap"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프린터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 경로이다. 이 파일은 프린터의 이름, 위치, 프린트 명령어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서 프린터를 설치하거나 설정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프린터 설치에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설정 파일은 "/etc/printca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플로피디스크나 CD-ROM의 장치를 설치하고 사용할 때 마운트 포인터가 위치하는 일반적인 디렉터리는?

  1. /mnt
  2. /dev
  3. /etc
  4. /
(정답률: 67%)
  • "/mnt"는 "mount"의 약자로, 외부 장치를 마운트할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디렉터리입니다. 따라서 플로피디스크나 CD-ROM과 같은 외부 장치를 마운트할 때는 "/mnt" 디렉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dev"는 장치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터리이고, "/etc"는 시스템 설정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터리입니다. "/"는 루트 디렉터리로,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시작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커널 사운드 드라이버 중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커널에 포함되어 있는 드라이버는?

  1. OSS/Free
  2. OSS
  3. ALSA
  4. 업체 제공 드라이버
(정답률: 56%)
  • "OSS/Free"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커널에 포함되어 있는 드라이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OSS"와 "ALSA"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커널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업체 제공 드라이버"는 무료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제한적인 사용 조건이 따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리눅스 프린터 설치순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프린터큐설정 - 프린터종류설정 - 프린터드라이버설정 - 프린터기종설정
  2. 프린터기종설정 - 프린터큐설정 - 프린터종류설정 - 프린터드라이버설정
  3. 프린터종류설정 - 프린터큐설정 - 프린터기종설정 - 프린터드라이버설정
  4. 프린터기종설정 - 프린터종류설정 - 프린터드라이버설정 - 프린터큐설정
(정답률: 45%)
  • 리눅스에서는 프린터를 설치할 때, 먼저 프린터 종류를 설정하고, 그 다음 프린터 큐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프린터 기종을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린터종류설정 - 프린터큐설정 - 프린터기종설정 - 프린터드라이버설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활용

49. 다음 X윈도우가 구동되는 과정 중 클라이언트 옵션의 구동 과정을 순서대로 알맞게 나열한 것은?

  1. xinitrc → .xinit → xclients → .Xresources
  2. xinitrc → .Xresources → .Xmodmap → xclients
  3. xinitrc → xserverrc → .Xresources → .Xmodmap
  4. xclients → xinitrc → .Xmodmap → .Xresources
(정답률: 51%)
  • 정답은 "xinitrc → .Xresources → .Xmodmap → xclients"이다.

    1. xinitrc: X 서버가 시작될 때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로, 사용자 지정 설정을 로드하고 X 클라이언트를 시작한다.
    2. .Xresources: X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리소스 설정 파일로, 폰트, 색상, 배경 등의 설정을 담고 있다.
    3. .Xmodmap: X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키맵핑 설정 파일로, 키보드의 특정 키를 다른 키로 매핑하거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4. xclients: X 클라이언트를 시작하는 스크립트 파일로, 사용자가 실행하려는 프로그램을 지정한다.

    따라서, xinitrc에서 사용자 지정 설정을 로드한 후 .Xresources와 .Xmodmap을 차례로 로드하고, 마지막으로 xclients를 실행하여 X 클라이언트를 시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X 윈도 구성 원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X protocol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통신되는 Request, Reply, Event, Error의 기본 메시지이다.
  2. Xlib의 기능이 많지 않아 Xlib보다 하위 라이브러리인 X toolkit을 사용한다.
  3. X toolkit의 종류는 Xt Intrinsics, Xaw, XView, Motif, Qt, GTK 등 이다.
  4. X 윈도 시스템은 서버/클라이언트로 구성되었다.
(정답률: 56%)
  • "Xlib의 기능이 많지 않아 Xlib보다 하위 라이브러리인 X toolkit을 사용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X toolkit은 Xlib 위에 구축된 라이브러리로, Xlib보다 더 높은 추상화 수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X toolkit을 사용하면 더 쉽고 편리하게 GUI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X 윈도는 유닉스 시스템의 표준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갖추고 있는데, 다음 중 표준 X 애플리케이션과 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xterm : 텍스트기반의 터미널 에뮬레이터
  2. xdm : 로그인 관리자
  3. xclock : 간단한 시계를 표시
  4. xman : 컴퓨터의 상태 표시
(정답률: 54%)
  • "xman : 컴퓨터의 상태 표시"가 틀린 설명입니다. xman은 매뉴얼 페이지를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가 명령어나 함수 등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일반적인 KDE 데스크톱의 세개 영역이 아닌 것은?

  1. 패널(panel)
  2. 테스크바(taskbar)
  3. 데스크톱(desktop)
  4. 프레임(frame)
(정답률: 59%)
  • 일반적인 KDE 데스크톱의 세개 영역은 패널, 테스크바, 데스크톱이다. 이들은 모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로서,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프레임은 KDE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이지만, 일반적인 KDE 데스크톱의 세개 영역은 아니다.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윈도우의 외곽에 위치하며, 윈도우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이동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KDE에서의 파일관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원하는 폴더를 마우스 왼쪽버튼으로 클릭하면 실행이 된다.
  2. cp, mv, ln 등의 명령어를 이용하지 않고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해 가능하다.
  3. KDE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은 가능하나, ftp상의 파일 액세스는 불가능하다.
  4. 파일의 이름, 권한 등의 속성을 바꿀 수 있다.
(정답률: 69%)
  • KDE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은 가능하나, ftp상의 파일 액세스는 불가능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KDE에서는 ftp를 포함한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파일 관리자에서 네트워크 폴더를 마운트하여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GNOME 데스크톱 환경에서 startx를 입력하였는데 X-Window가 실행되지 않고 에러가 발생한 경우 다음 중 실행하여 설정 해주어야 하는 것은?

  1. Xconfigurator
  2. Login
  3. Logout
  4. Windows
(정답률: 79%)
  • Xconfigurator은 X-Window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구 중 하나로, 그래픽 드라이버나 모니터 해상도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tartx 실행 시 X-Window가 실행되지 않고 에러가 발생한 경우, Xconfigurator를 실행하여 그래픽 드라이버나 모니터 해상도 등을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Login, Logout, Windows는 X-Window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용어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윈도 매니저의 대표적인 종류가 아닌 것은?

  1. fvwm
  2. twm
  3. gimp
  4. mwm
(정답률: 68%)
  • "gimp"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으로 윈도 매니저가 아닙니다. 나머지 "fvwm", "twm", "mwm"은 모두 윈도 매니저의 대표적인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윈도 메이커의 종류 중 AfterStep의 유틸리티 종류가 아닌 것은?

  1. asmail
  2. ascp
  3. winlist
  4. asclock
(정답률: 60%)
  • "AfterStep"는 윈도우 매니저 중 하나이며, "asmail", "ascp", "asclock"은 AfterStep의 유틸리티 종류입니다. 하지만 "winlist"는 AfterStep의 유틸리티 종류가 아닙니다. "winlist"는 윈도우 매니저에서 현재 열려있는 창 목록을 보여주는 유틸리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LAN의 전송방식 중 하나로 CSMA/CD 방식을 사용하며, 컴퓨터들을 근거리망으로 연결시키는 표준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Ethernet
  2. FDDI
  3. X.25
  4. Interrupt
(정답률: 62%)
  • Ethernet은 CSMA/CD 방식을 사용하여 컴퓨터들을 근거리망으로 연결시키는 표준방식이다. CSMA/CD 방식은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할 때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돌 감지 기능을 사용한다. Ethernet은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여 안정적이고 빠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LAN의 분류 중 버스형 토폴로지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한 번에 한 컴퓨터만 전송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들의 숫자가 네트워크의 성능을 좌우한다.
  2. 신호 반사에 의한 상호 간섭을 막기 위해 종단기(Terminator)가 존재한다.
  3. 각 컴퓨터가 임의의 다른 사용자 시스템들과 직접 상호 연결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그물과 같은 형태를 이루는 구조이다.
  4. CSMA/CD 방식이 대표적이며 또한 토큰 패싱(Token Passing)방식에 사용된다.
(정답률: 67%)
  • 각 컴퓨터가 임의의 다른 사용자 시스템들과 직접 상호 연결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그물과 같은 형태를 이루는 구조이다. - 이것은 스타형이나 링형이 아닌 메쉬형 토폴로지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FDDI(Fiber Data Distributed Interface)-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982년 10월 미국 표준협회(ANSI)에서 초고속광 LAN-FDDI 초안이 발표 되었다.
  2. 100Mbps 대역폭을 이중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구조이다.
  3. LAN의 구조로서 전송 매체로 광섬유를 사용한다.
  4. 접속 형태는 스타 형태이다.
(정답률: 59%)
  • 접속 형태는 스타 형태가 아니라, 이중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링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원거리 통신망의 회선교환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송신측과 수신측을 연결하는데 고정적인 회선을 통하는 방식이다.
  2. 통신이 이루어지면 그 회선은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없다.
  3. X.25 프로토콜을 주로 사용한다.
  4. 일종의 물리적인 전용선을 쓰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전화가 대표적인 회선교환방식이다.
(정답률: 47%)
  • "X.25 프로토콜을 주로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X.25 프로토콜은 패킷 교환 방식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회선교환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용선을 사용하며, X.25 프로토콜은 패킷을 분할하여 전송하므로 회선교환 방식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 중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의 통신이 가능 하도록 하는 규약이며 통신 표준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순서제어
  2. 흐름제어
  3. 인터럽트
  4. 프로토콜
(정답률: 82%)
  • 프로토콜은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규약이며, 이를 통해 통신 표준을 정의합니다. 따라서 프로토콜은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순서제어", "흐름제어", "인터럽트"는 모두 프로토콜의 일부분이 될 수 있지만, 프로토콜은 이러한 기능들을 포함하면서도 더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프로토콜의 기본기능 중 송신 속도가 처리 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데이터 대열의 분할(Segmentation)
  2. 에러제어(Error Control)
  3. 흐름제어(Flow Control)
  4. 인터럽트(Interrupt)
(정답률: 73%)
  • 흐름제어는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여 송신 속도가 처리 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 손실이나 오류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통신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통신장비로 알맞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라우터
  2. 게이트웨이
  3. 브리지
  4. 리피터
(정답률: 53%)
  •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망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통신장비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LAN의 통신장비 중 디지털 신호를 새로이 재생하거나 출력전압을 높여주는 목적으로만 사용 되는 전송신호의 재생중계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게이트웨이
  2. 브리지
  3. 라우터
  4. 리피터
(정답률: 76%)
  • 리피터는 디지털 신호를 새로이 재생하거나 출력전압을 높여주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전송신호의 재생중계 장치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게이트웨이, 브리지, 라우터는 리피터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OSI모델의 각 계층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물리계층 : 상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하여 비트단위로 전송하는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이 제공하는 인접한 개방형 시스템 간에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연결성과 통신경로선택을 제공하는 계층
  3. 데이터링크 계층 : 인접한 개방형 시스템 사이에서 전송단위(비트의 모음)를 오류 없이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
  4. 전송계층 : 통신 장치들 간의 상호운용성을 갖도록 보장하는 계층
(정답률: 43%)
  •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이 제공하는 인접한 개방형 시스템 간에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연결성과 통신경로선택을 제공하는 계층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고, 데이터의 분할과 재조립, 흐름제어, 오류제어 등을 수행하여 통신 장치들 간의 상호운용성을 갖도록 보장하는 계층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전송계층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계층이며,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TCP/IP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방형 프로토콜 표준으로 특정 H/W나 OS에 독립적으로 사용가능하다.
  2. 이 기종 하드웨어를 가진 고립된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3.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다.
  4. 거대한 네트워크에서도 TCP/IP 장치를 찾아 낼 수 있다.
(정답률: 65%)
  • "이 기종 하드웨어를 가진 고립된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TCP/IP는 기종이 다른 하드웨어와 OS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고립된 네트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TCP/IP 프로토콜의 트랜스포트 계층의 프로토콜로 end-to-end 에러탐지와 수정기능을 가진 안정성 있는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1. DNS
  2. NFS
  3. TCP
  4. UDP
(정답률: 68%)
  • TCP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 시 end-to-end 에러탐지와 수정기능을 가지고 있어 안정성이 높은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TCP입니다. DNS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 NFS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UDP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로, 이들은 안정성이나 에러탐지 및 수정 기능이 부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프로토콜의 번호가 정의되어 있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protocols
  2. /etc/fstab
  3. /etc/resolv.conf
  4. /etc/passwd
(정답률: 69%)
  • 정답은 "/etc/protocols"입니다. 이 파일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번호를 정의합니다. 이 파일은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파일들은 각각 파일 시스템, DNS 설정,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루트도메인 아래의 최상위도메인 종류가 아닌 것은?

  1. com
  2. net
  3. kr
  4. co
(정답률: 62%)
  • 정답은 "co"입니다. "com", "net", "kr"은 모두 최상위도메인(TLD)의 종류에 해당하며, "co"는 국가 코드 최상위도메인(ccTLD)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KDE상에서 웹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기본 파일관리자, 파일 뷰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눅스 웹브라우저는?

  1. 컹커러(Konqueror)
  2. 오페라(Opera)
  3. 모질라(mozilla)
  4. 넷스케이프(Netscape)
(정답률: 47%)
  • 컹커러(Konqueror)는 KDE 데스크톱 환경에서 기본 파일관리자와 파일 뷰어로 사용되며, 동시에 웹브라우저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KDE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컹커러를 웹브라우저로 자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인터넷에서 대용량의 파일을 주고 받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무엇이라 하는가?

  1. FTP
  2. Konqueror
  3. Telnet
  4. hypertext
(정답률: 74%)
  • 정답: FTP

    설명: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대용량의 파일을 주고 받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FTP를 사용하면 파일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지원됩니다. Konqueror은 KDE 브라우저이며, Telnet은 원격 접속 프로토콜이며, hypertext는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인터넷상에서 채팅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무엇이라 하는가?

  1. telnet
  2. SSH
  3. IRC
  4. FTP
(정답률: 74%)
  • IRC는 Internet Relay Chat의 약자로,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채팅을 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다른 세 가지 서비스는 모두 파일 전송이나 원격 접속 등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채팅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SSH 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scp
  2. ssh
  3. sftp
  4. socket
(정답률: 66%)
  • SSH는 Secure Shell의 약자로, 네트워크 상에서 안전하게 원격지 컴퓨터에 접속하고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socket"은 SSH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종류가 아니다. 소켓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일종의 인터페이스로, SSH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 업체로부터 직접 회선을 할당 받아 자신의 컴퓨터를 인터넷과 연결하는 방법으로 각 컴퓨터에 고유한 IP 주소를 할당 받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modem
  2. 전용선
  3. SLIP
  4. PPP
(정답률: 60%)
  • 전용선은 인터넷 서비스 업체로부터 직접 회선을 할당 받아 자신의 컴퓨터를 인터넷과 연결하는 방법으로, 각 컴퓨터에 고유한 IP 주소를 할당 받는 방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인터넷 연결 방식 중 하나인데, 전용선은 직접 회선을 할당 받아 사용하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loopback 인터페이스로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IP주소로 알맞은 것은?

  1. 127.0.0.1
  2. 255.255.255.0
  3. 0.0.0.1
  4. 10.10.10.1
(정답률: 82%)
  • 정답: "127.0.0.1"

    설명: "127.0.0.1"은 loopback 인터페이스로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상적인 IP주소입니다. 이 주소는 컴퓨터의 네트워크 카드가 아닌, 로컬 루프백 인터페이스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주소를 사용하면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리눅스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다루기 위해서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route
  2. hostname
  3. df
  4. stat
(정답률: 83%)
  • 정답은 "route"입니다.

    "route"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다루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시스템의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고,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라우팅 테이블은 네트워크 패킷이 목적지까지 전달되는 경로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route" 명령어는 네트워크 관리에 필수적인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임베디드 시스템에 있어서 리눅스의 장점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Open source, open architecture 이다.
  2. Real Time 운영을 지원한다.
  3. 리눅스는 내장형시스템에만 사용되도록 개발 되었다.
  4. 소규모 모듈단위로 설계되어 있다.
(정답률: 64%)
  • "리눅스는 내장형시스템에만 사용되도록 개발 되었다."는 장점이 아니라 단순한 사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리눅스는 내장형 시스템에 맞게 최적화되어 있어서 작은 용량과 높은 안정성을 보장하며, 소규모 모듈단위로 설계되어 있어서 필요한 기능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필요한 기능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실시간 운영을 지원하여 실시간 제어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Beowulf 클러스터 아키텍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패러다임이 평이하다.
  2. implementation이 용이하다.
  3. 오픈소스 운영체제를 사용한다.
  4.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수치계산 분야에서는 활용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68%)
  •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수치계산 분야에서는 활용이 불가능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Beowulf 클러스터는 수치계산 분야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는 클러스터 내의 여러 노드들이 병렬적으로 계산을 수행하여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Beowulf 클러스터는 수치계산 분야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리눅스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알맞지 않은 것은?

  1. 정부 및 대기업들의 리눅스 지원 유도
  2. 오픈 소스(open source)의 점진적인 유료화 추진
  3. 고객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우수 사례 발굴 및 기술력 확보
  4. 우수한 전문 리눅스 기술자의 배출
(정답률: 76%)
  • 오픈 소스의 점진적인 유료화 추진은 리눅스의 핵심 가치인 무료 및 개방성을 훼손시키고, 오픈 소스 생태계의 건강한 발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알맞지 않은 방법이다. 이는 오픈 소스의 철학과도 맞지 않으며, 오픈 소스 생태계의 발전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오픈 소스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서는 무료 및 개방성을 유지하면서, 기술력 확보와 전문 리눅스 기술자의 배출 등 다른 방법들을 추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블루투스의 기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는 100Mbps 이다.
  2. 양방향 전송을 위해서 시분할 다중전송 방식이 사용된다.
  3. 2.4GHz 대역의 ISM 대역을 사용한다.
  4. 간섭방지를 위한 주파수 호핑 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56%)
  •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는 100Mbps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블루투스 5.0부터는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가 2Mbps에서 2Mbps, 4Mbps, 8Mbps, 또는 10Mbps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블루투스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가능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