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12-04)

리눅스마스터 2급
(2010-12-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파일에 대한 모든 사용자의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명령과 옵션으로 올바른 것은?

  1. chmod 777 파일명
  2. chmod 555 파일명
  3. chmod 222 파일명
  4. chmod 111 파일명
(정답률: 96%)
  • 정답: "chmod 777 파일명"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숫자 777은 각각의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7: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이 모두 부여됨
    - 5: 읽기, 실행 권한이 부여됨
    - 2: 쓰기, 실행 권한이 부여됨
    - 1: 실행 권한이 부여됨

    따라서 "chmod 777 파일명"은 해당 파일에 대해 모든 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용자가 사용 중인 로그인 쉘(shell)을 바꾸는 명령은?

  1. chsh
  2. chgrp
  3. chown
  4. chmod
(정답률: 90%)
  • "chsh"는 "change shell"의 약자로,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로그인 쉘을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자, 그룹, 권한 등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로그인 쉘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chsh"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파일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운영체제가 파일을 시스템의 디스크상에 구성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2. 파일시스템은 디스크 파티션 상에 파일들이 연속적이고 일정한 규칙으로 저장하는 방식을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3. 1개의 하드디스크에 2개의 파티션으로 나뉘어져 있어도 파일시스템은 1개로 간주한다.
  4. 파일시스템은 파티션을 구성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68%)
  • 정답은 "1개의 하드디스크에 2개의 파티션으로 나뉘어져 있어도 파일시스템은 1개로 간주한다." 이다.

    이유는 파일시스템은 디스크 파티션 상에 파일들이 연속적이고 일정한 규칙으로 저장하는 방식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즉, 파일시스템은 파티션을 구성해 주는 역할을 하지만, 파티션의 개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따라서 1개의 하드디스크에 2개의 파티션으로 나뉘어져 있어도 파일시스템은 각각의 파티션에 대해 독립적으로 적용되며, 각각의 파티션은 서로 다른 파일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파일시스템을 스캔(scan)하여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가를 검사하며, 시스템이 처음 가동 될 때 시스템 초기화 스크립트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 되는 명령어는?

  1. mkfs
  2. fsck
  3. du
  4. df
(정답률: 80%)
  • 정답은 "fsck"이다. 파일시스템을 스캔하여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검사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이다. 시스템 초기화 스크립트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어 파일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문제가 발견되면 자동으로 복구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mkfs
  2. fsck
  3. make
  4. mv
(정답률: 82%)
  • 정답: "mkfs"

    설명: "mkfs"는 "make file system"의 약어로,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디스크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fsck"는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명령어이며, "make"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mv"는 파일을 이동시키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디스크 사용량 정보보기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u는 용량체크의 대상이 파일과 디렉토리이다.
  2. df는 용량체크의 대상이 파일시스템이다.
  3. du는 파일공간의 사용량을 체크한다.
  4. df는 디렉토리와 파일을 대상으로 용량을 체크 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정답은 "df는 디렉토리와 파일을 대상으로 용량을 체크 할 수 있다." 이다. df는 파일시스템의 용량을 체크하는 명령어이며, 파일과 디렉토리를 대상으로 용량을 체크하는 것은 아니다. du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용량을 체크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리눅스 콘솔에 의해 로그인 직전 다음과 같이 출력되도록 하려고 할 때 변경해야할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issue
  2. /etc/passwd
  3. /etc/shadow
  4. /etc/inittab
(정답률: 45%)
  • "/etc/issue" 파일은 로그인 직전에 출력되는 메시지를 설정하는 파일이다. 따라서 이 파일을 변경하면 로그인 직전에 출력되는 메시지를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etc/passwd" 파일은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 "/etc/shadow" 파일은 사용자 계정의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파일, "/etc/inittab" 파일은 시스템 초기화 및 부팅과 관련된 설정을 담고 있는 파일이다. 이들 파일은 로그인 직전 메시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정답은 "/etc/issu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umask 값이 022인 경우, 사용자가 디렉토리를 생성시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권한은 무엇인가?

  1. drwxrwxrwx
  2. drwxr-xr-x
  3. dr-xr-xr-x
  4. drwx------
(정답률: 84%)
  • umask 값이 022인 경우,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권한은 755이다. 이는 777(모든 사용자에게 모든 권한 부여)에서 umask 값(022)을 뺀 값이다. 따라서,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권한은 "drwxr-xr-x"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cache’라는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때, 이 사용자가 가지게 될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boot
  2. /usr
  3. /home
  4. /etc
(정답률: 60%)
  • "/home"은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가 위치하는 디렉토리이기 때문에, 새로운 사용자 계정인 'cache'가 가지게 될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로 가장 적합합니다. 이 디렉토리는 사용자가 자신의 파일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사용자 계정의 기본 디렉토리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home"은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때 가장 적합한 상위 디렉토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새롭게 만들어지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하여 디폴트 퍼미션의 권한을 제한하도록 설정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umask
  2. chgrp
  3. chown
  4. chmod
(정답률: 74%)
  • 정답: umask

    설명: umask 명령어는 새로운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디폴트로 설정되는 권한을 제한하는 명령어입니다. umask 값은 현재 사용자의 권한에서 제한할 권한을 비트로 나타낸 값입니다. 예를 들어, umask 값이 022이면 새로운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은 기본적으로 644나 755가 됩니다. umask 값은 보통 셸의 초기화 파일에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윈도우 운영체제의 ‘Windows 작업관리자’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리눅스 명령어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ps
  2. bash
  3. top
  4. nice
(정답률: 50%)
  • 정답은 "top"입니다.

    "top"은 리눅스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Windows 작업관리자'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ps"는 프로세스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bash"는 쉘을 실행하는 명령어입니다. "nice"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프로세스 상태 명령에 대한 결과 중 ‘VSZ’가 의미하는 정보는?

  1. 실제 메모리 사용량
  2. 가상 메모리 사용량
  3. 메모리 사용 비율
  4. 프로세스 크기
(정답률: 79%)
  • VSZ는 Virtual Memory Size의 약자로,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가상 메모리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이는 프로세스가 실제로 사용하는 메모리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으며, 가상 메모리는 실제 메모리와 스왑 공간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VSZ는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전체 메모리 크기를 나타내며, 실제 메모리 사용량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web daemon 프로세스인 ‘httpd’를 실행 상태에서 강제 중단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kill -9 2690
  2. del -9 2690
  3. mv -9 2690
  4. rm -9 2690
(정답률: 92%)
  • 정답은 "kill -9 2690"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kill 명령어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명령어입니다.
    - -9 옵션은 SIGKILL 시그널을 보내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시키는 옵션입니다.
    - 2690은 종료시키고자 하는 httpd 프로세스의 PID(Process ID)입니다.

    따라서, "kill -9 2690" 명령어는 httpd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시키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리눅스 다중처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foreground는 명령실행 상태를 화면에 보여 주면서 실행되는 방식이다.
  2. background는 명령실행 상태를 화면에 보여 주지 않으면서 실행되는 방식이다.
  3. foreground는 화면상에서 데이터 입력이 가능 하다.
  4. background는 화면상에서 데이터 입력이 가능 하다.
(정답률: 75%)
  • "background는 화면상에서 데이터 입력이 가능 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background 모드에서는 현재 작업 중인 프로세스가 화면에 보이지 않으므로 데이터 입력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리눅스 운영체제를 갖춘 시스템이 부팅되면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1. start
  2. init
  3. first
  4. end
(정답률: 87%)
  •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init 프로세스가 부팅 시 가장 먼저 실행되며, 이는 시스템의 초기화 및 다른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init 프로세스는 시스템의 런레벨을 설정하고, 시스템 서비스를 시작하며, 사용자 로그인을 처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init 프로세스는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세스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시스템 프로세스 수와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top
  2. kill
  3. nice
  4. cron
(정답률: 83%)
  • 정답은 "top"입니다. "top"은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주며, 각 프로세스의 상태와 자원 사용량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가 있는 프로세스를 식별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kill"은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명령이며, "nice"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명령입니다. "cron"은 일정한 주기로 반복적으로 작업을 실행하는 스케줄링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nice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옵션 없이 사용하면 상속받은 현재 순서의 우선순위를 출력한다.
  2. 최고 -20에서 최저 10까지가 범위이다.
  3. 수치가 작을수록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4. 수치가 높을수록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정답률: 78%)
  • 정답은 "최고 -20에서 최저 10까지가 범위이다." 이다. 이유는 nice 명령은 우선순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이 우선순위는 -20에서 19까지의 범위를 가진다. 따라서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정기적으로 명령이나 프로세스를 스케줄링 할 수 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ron
  2. alarm
  3. warn
  4. at
(정답률: 80%)
  • 정기적으로 명령이나 프로세스를 스케줄링 할 수 있는 명령은 "cron" 입니다. "cron"은 리눅스나 유닉스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하는 명령어입니다. "alarm"은 알람을 설정하는 명령어이고, "warn"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at"은 일회성으로 명령을 예약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이 끝나기 전 suspend 했다. 이 프로그램을 다시 포그라운드로 만들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단, 해당 프로그램의 작업번호는 3이다.)

  1. foreground %3
  2. %3 fg
  3. fg #3
  4. fg %3
(정답률: 77%)
  • 정답은 "fg %3"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fg는 foreground의 약자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작업을 포그라운드로 전환하는 명령어이다.
    - %3은 작업번호가 3인 작업을 의미한다.
    - 따라서 "fg %3"은 작업번호가 3인 작업을 포그라운드로 전환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리눅스의 프로세스 관련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nit 프로세스의 PID는 0번을 갖는다.
  2. fork는 새로운 프로세스 생성을 위한 시스템 호출 명령이다.
  3. foreground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실행 중에 Ctrl-Z를 누르면 suspend 상태가 된다.
  4. kill 명령은 프로세스의 강제 종료에 주로 사용 된다.
(정답률: 65%)
  • "init 프로세스의 PID는 0번을 갖는다."가 틀린 설명이다. init 프로세스의 PID는 1번을 갖는다. 이는 시스템 부팅 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로, 모든 다른 프로세스는 init 프로세스의 자식 프로세스로 생성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부팅 및 종료, 서비스 관리 등을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bash 사용 환경에서 현재 사용 중인 쉘의 종류를 알려면 다음 중 어떤 명령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1. list $SHELL
  2. write $SHELL
  3. echo $SHELL
  4. ping $SHELL
(정답률: 86%)
  • 정답은 "echo $SHELL"이다.

    이유는 $SHELL은 현재 사용 중인 쉘의 경로를 나타내는 환경 변수이다. 따라서 "echo $SHELL" 명령을 실행하면 현재 사용 중인 쉘의 경로가 출력되어 해당 쉘의 종류를 알 수 있다.

    반면, "list $SHELL"은 잘못된 명령어이며, "write $SHELL"은 $SHELL 변수에 값을 쓰는 것으로 쉘 종류를 알 수 없다. "ping $SHELL"은 $SHELL 변수에 저장된 값이 IP 주소가 아니므로 잘못된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zsh - 최초의 쉘이다.
  2. ksh - C 쉘의 혈통을 잇고 있다.
  3. Tcsh - 명령행 편집 기능을 가지고 있다.
  4. csh - 유닉스 시스템에서 C언어와 유사하여 많이 쓰이고 있다.
(정답률: 59%)
  • "zsh - 최초의 쉘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zsh는 최초의 쉘이 아니라, sh, csh, ksh 등의 쉘들이 이미 존재하던 후에 개발된 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Ctrl-C 를 누르면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중단 되게 하도록 키를 설정해 주는 리눅스 명령어는 무엇인가?

  1. chsh
  2. alias
  3. pwd
  4. stty
(정답률: 55%)
  • 정답은 "stty"이다. "stty"는 터미널 장치의 속성을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stty" 명령어를 사용하여 Ctrl-C를 누르면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중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stty" 명령어를 사용하여 터미널 제어 문자를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터미널에 입력된 문자가 쉘에 의해 수신되어 해석 될 때 중간에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1. 디스크
  2. 디바이스 드라이브
  3. 커널
  4. 네트워크 카드
(정답률: 34%)
  • 디바이스 드라이브는 터미널에 입력된 문자를 실제 하드웨어나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간에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것은 디바이스 드라이브입니다. 디스크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어오는 역할을 하며,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시스템 자원을 관리합니다. 네트워크 카드는 네트워크 연결을 담당합니다. 이들은 터미널 입력 문자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필요하지만,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쉘 환경변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PATH 변수에는 여러 디렉토리를 지정할 수 없다.
  2. PATH 변수에 콜론(:)을 사용할 수 있다.
  3. 쉘 변수에 설정된 값을 볼 수 있는 명령은 env 이다.
  4. TERM 쉘 변수는 터미널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지정된 터미널 유형의 이름을 설정한다.
(정답률: 53%)
  • "PATH 변수에는 여러 디렉토리를 지정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ATH 변수는 콜론(:)을 구분자로 사용하여 여러 디렉토리를 지정할 수 있다. 이는 실행 파일을 찾을 때 해당 디렉토리들을 순서대로 검색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용하는 쉘이 bash 일 때 사용자가 로그인 시 반드시 실행되는 rc 파일은?

  1. .cshrc
  2. .bashrc
  3. .sourcerc
  4. .newsrc
(정답률: 83%)
  • 사용자가 로그인 시 bash 쉘에서 실행되는 rc 파일은 ".bashrc"입니다. 이 파일은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마다 실행되며, 사용자의 환경 변수, 별칭, 함수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csh, source, news 등 다른 쉘에서 사용되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alias 명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명령어가 길거나 옵션을 일일이 지정하기 싫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2. 사용 형식은 쉘에서 alias 별명=‘명령어’ 이다.
  3. bash 쉘에서 alias rm=‘rm -i’ 를 실행시킨 후 rm 과 rm -i를 실행시키면 그 실행 결과는 같다.
  4. alias 만 입력하여 실행시키면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정답률: 73%)
  • "alias 만 입력하여 실행시키면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alias 만 입력하여 실행시키면 현재 설정된 alias 목록을 출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bash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히스토리 기능 중에서 ‘!?pw?’ 는 최근에 수행되었던 다음 명령 중 어떤 명령을 가리키는가?

  1. passwd
  2. pr
  3. ps
  4. pwd
(정답률: 70%)
  • 정답은 "pwd"이다.

    "!?"는 히스토리에서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는 가장 최근의 명령을 실행하는 기능이다. "pw"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가장 최근의 명령어는 "pwd"이므로, "!?pw?"는 "pwd"를 가리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편집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Pico 편집기는 Ctrl-G 등과 같은 편집 단축키를 제공하지 않는다.
  2. Pico 편집기는 pine 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있는 쉽고 편리한 유닉스용 텍스트 에디터이다.
  3. vi 에디터는 여러가지 설정을 해 놓은 vimrc 라는 파일이 가지고 있다.
  4. emacs는 Ctrl 또는 Alt 키와 다른 키의 조합을 이용하여야 하는 비모드형 편집기이다.
(정답률: 49%)
  • "Ctrl-G 등과 같은 편집 단축키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Pico 편집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이다. Pico 편집기는 Ctrl-G를 포함하여 다양한 편집 단축키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emacs 편집기를 종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Alt-x-Alt-c
  2. Ctrl-x-Alt-c
  3. Alt-x-Ctrl-c
  4. Ctrl-x-Ctrl-c
(정답률: 54%)
  • 정답: Ctrl-x-Ctrl-c

    해설: Ctrl-x-Ctrl-c는 emacs에서 종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명령입니다. Ctrl-x는 "Control" 키와 "x" 키를 동시에 누르는 것을 의미하며, 이후에 Ctrl-c를 누르면 emacs가 종료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emacs에서 사용되는 명령어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vi 편집기에서 줄 번호를 보기 위하여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set nu
  2. set linenumber
  3. set linenum
  4. set line
(정답률: 79%)
  • 정답은 "set nu"입니다.

    "set nu" 명령어는 vi 편집기에서 줄 번호를 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왼쪽에 줄 번호가 표시되며, 각 줄의 번호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의 명령어들은 존재하지 않는 옵션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vi 편집기의 명령 모드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h : 커서를 한 칸 왼쪽으로 이동한다.
  2. k : 커서를 한 줄 위로 이동한다.
  3. $ : 커서를 현재 줄의 맨 앞으로 이동한다.
  4. b : 커서를 이전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 : 커서를 현재 줄의 맨 앞으로 이동한다." 가 아닙니다. "$"는 현재 줄의 맨 끝으로 이동하는 명령입니다.

    "$" 명령은 현재 줄에서 커서를 맨 끝으로 이동시킵니다. 이 명령은 편집 중인 문서에서 현재 줄의 끝으로 빠르게 이동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줄의 맨 끝에서부터 새로운 텍스트를 추가하거나, 현재 줄의 끝에서부터 특정 문자열을 삭제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emacs 편집기의 커서 이동 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trl-a : 라인의 처음으로 이동
  2. Alt-e : 문장의 끝으로 이동
  3. Ctrl-v : 한 화면 뒤로 이동
  4. Alt-> : 파일 끝으로 이동
(정답률: 35%)
  • 정답은 "Ctrl-v : 한 화면 뒤로 이동"이 아닌 "Ctrl-v : 한 화면 앞으로 이동"입니다.

    Ctrl-v는 스크롤 다운을 수행하는 키입니다. 따라서 한 화면 뒤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위치에서 한 화면 앞으로 이동합니다. 이는 페이지 업 키와 동일한 기능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vi 편집기 명령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w’ : 편집한 파일을 저장하는 명령
  2. ‘:r’ : 편집 중인 파일을 읽기전용 파일로 변경
  3. ‘:wq’ : 편집 중인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
  4. ‘:q!’ : 편집 중인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
(정답률: 74%)
  • ‘:r’ 명령어는 편집 중인 파일을 읽기전용 파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파일을 읽어 현재 파일에 삽입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r’ : 편집 중인 파일을 읽기전용 파일로 변경" 이 부분이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RPM 패키지의 이름 Kernel-2.6.9-7hs.i386.rpm에서 알 수 없는 것은?

  1. 어느 플랫폼에서 사용될 수 있는 패키지인가?
  2. 패키지의 버전은 얼마인가?
  3. 패키지의 생성 날짜와 시간은 언제인가?
  4. 패키지가 몇 번째로 만들어진 것인가?
(정답률: 83%)
  • 패키지가 몇 번째로 만들어진 것인지는 알 수 없다. RPM 패키지의 이름에는 패키지의 버전, 플랫폼, 아키텍처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만, 패키지가 몇 번째로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패키지의 생성 날짜와 시간은 언제인가?"인 이유는 패키지의 생성 날짜와 시간은 RPM 패키지의 이름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명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pine-4.61-1.i386.rpm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이다.
  2. 설치하는 과정의 진행 정도를 백분율(%)로 표시해 준다.
  3. 진행과정을 샾(#) 문자로 표시해준다.
  4. 설치 도중 오류가 발생하면 기존 파일에 강제로 설치한다.
(정답률: 65%)
  • 설치 도중 오류가 발생하면 기존 파일에 강제로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며, 데이터 손실이나 시스템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특정 rpm 패키지가 제대로 설치되었는가를 검증하는 명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g’ 나 ‘-G’ 옵션을 사용한다.
  2. 원래 패키지와 설치된 패키지 파일을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검증한다.
  3. 사용자가 실수로 삭제한 파일이 무엇인지를 알게 해준다.
  4. 내용이 변경된 파일을 확인하여 그 내용을 출력해준다.
(정답률: 35%)
  • "사용자가 실수로 삭제한 파일이 무엇인지를 알게 해준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rpm 패키지 검증 명령은 패키지의 일부 파일이 누락되었거나 손상되었는지를 확인하며, 삭제된 파일을 복구해주지는 않습니다.

    ‘-g’ 나 ‘-G’ 옵션은 패키지 검증 시 사용되는 옵션으로, ‘-g’ 옵션은 패키지의 MD5 체크섬을 검사하고, ‘-G’ 옵션은 패키지의 GPG 서명을 검사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여 패키지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Debian 패키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dpkg는 프로그램을 설치, 제거,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2. 이 패키지의 확장자는 ‘.dpkg’ 이다.
  3. dbkg 툴을 사용하여 설치한다.
  4. 프로그램이 어느 Debian 패키지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search’ 옵션을 사용한다.
(정답률: 39%)
  • 이 패키지의 확장자는 ‘.dpkg’가 아니라 ‘.deb’이다. ‘.dpkg’는 dpkg 툴이 사용하는 파일 형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소프트웨어 패키지 파일의 확장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gz : gzi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압축됨
  2. .bz2 : bzip2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됨
  3. .Z : zip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됨
  4. .tar : tar를 사용하여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음
(정답률: 75%)
  • ".Z : zip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됨"은 틀린 설명입니다. ".Z"는 Unix에서 사용되는 압축 포맷 중 하나인데, 이는 "compress"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됩니다.

    ".gz"는 gzi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압축되며, ".bz2"는 bzip2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됩니다. ".tar"는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는데 사용되는 포맷이며, 압축은 하지 않습니다.

    ".Z"는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포맷이지만, 과거에는 Unix에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이 포맷은 "compre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압축하며, 파일 확장자는 ".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rpm 명령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U : 설치된 패키지 업그레이드
  2. --force : 기존파일에 강제적으로 설치
  3. -d : 설치된 패키지 제거
  4. -i : 새로운 패키지 설치
(정답률: 58%)
  • "-d : 설치된 패키지 제거" 옵션은 설치된 패키지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패키지 파일을 삭제하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d" 옵션을 사용하면 해당 패키지를 다시 설치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압축 유틸리티 gzip으로 ihd파일을 압축했을 경우, 압축을 풀어 저장하지 않고 내용만 보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cat ihd.gz
  2. gzip -d ihd.gz
  3. zcat ihd.gz
  4. tar cvf ihd.gz
(정답률: 63%)
  • 정답은 "zcat ihd.gz"입니다.

    이유는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을 보기 위해서는 먼저 압축을 풀어야 합니다. 하지만 zcat은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을 압축을 풀지 않고도 내용을 볼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zcat ihd.gz를 입력하면 ihd.gz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cat ihd.gz는 압축된 파일의 내용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gzip -d ihd.gz는 ihd.gz 파일을 압축 해제하여 ihd 파일을 만듭니다.

    tar cvf ihd.gz는 ihd 파일을 tar로 묶어서 ihd.gz 파일로 만드는 명령어이므로, 이 경우에는 압축을 푸는 것이 아니라 파일을 묶어서 압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tar로 묶으면서 동시에 bzip2로 압축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tar -czvf
  2. tar -cjvf
  3. tar -cpfz
  4. tar -cifz
(정답률: 56%)
  • 정답은 "tar -cjvf"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tar: 파일을 묶는 명령어
    - c: 새로운 아카이브를 생성
    - j: bzip2로 압축
    - v: 처리과정을 화면에 출력
    - f: 아카이브 파일 이름 지정

    따라서 "tar -cjvf"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을 묶으면서 동시에 bzip2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프린터큐에 있는 작업 번호가 8인 인쇄 작업을 취소할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어는?

  1. lprm %8
  2. lprm $8
  3. lprm &8
  4. lprm 8
(정답률: 41%)
  • 정답은 "lprm 8"이다.

    'lprm'은 프린터 큐에서 작업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8'은 삭제하고자 하는 작업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lprm 8"은 프린터 큐에서 작업 번호가 8인 인쇄 작업을 취소하는 명령어이다.

    다른 보기들은 잘못된 형식이거나 특수문자를 사용하여 올바른 명령어 형식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리눅스에서 프린터 설치에 관련된 사항이 기록되어 있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usr/src/printer
  2. /etc/printd
  3. /etc/printcap
  4. /src/printer
(정답률: 67%)
  • 정답은 "/etc/printcap"입니다.

    이유는 리눅스에서 프린터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파일이 "/etc/printcap"이기 때문입니다. 이 파일은 각각의 프린터에 대한 설정 정보를 담고 있으며, 프린터 드라이버, 인쇄 큐, 인쇄 우선순위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린터를 설치하고 설정할 때는 이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리눅스 프린터 설정과 관련된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pc : 네트워크상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를 공유한다.
  2. lprm : 프린터큐에 있는인쇄작업을취소할 수있다.
  3. lpq : 프린트 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4. pr : 텍스트 포맷 형식 파일의 출력 변환에 사용한다.
(정답률: 54%)
  • "lpc : 네트워크상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를 공유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lpc는 로컬 프린터 제어 명령어로, 로컬 프린터를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프린터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다른 명령어나 설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dev/hda2 파일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첫 번째 IDE 타입의 하드디스크에 세 번째 파티션
  2. 두 번째 IDE 타입의 하드디스크에 세 번째 파티션
  3. 첫 번째 IDE 타입의 하드디스크에 두 번째 파티션
  4. 두 번째 IDE 타입의 하드디스크에 두 번째 파티션
(정답률: 72%)
  • /dev/hda2는 첫 번째 IDE 타입의 하드디스크에 두 번째 파티션을 나타냅니다. "hda"는 첫 번째 IDE 타입의 하드디스크를 나타내고, "2"는 그 하드디스크의 두 번째 파티션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리눅스의 장치 관련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리눅스 장치관리자는 원격프린터를 지원한다.
  2. 주로 ‘/dev/lp0’을 사용하여 텍스트 파일 문서 출력이 가능하다.
  3. ‘/dev/sda1’은 첫 번째 SCSI 디스크의 첫 번째 파티션을 의미한다.
  4. 리눅스 장치 관리 시스템에서는 조이스틱을 지원하지 않는다.
(정답률: 59%)
  • "리눅스 장치 관리 시스템에서는 조이스틱을 지원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리눅스는 조이스틱을 지원하는 드라이버를 내장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조이스틱을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리눅스 시스템의 mp3 오디오 파일 재생 프로그램으로 올바른 것은?

  1. xmms
  2. vi
  3. media player
  4. KDE
(정답률: 65%)
  • 정답은 "xmms"입니다. 이는 X Multimedia System의 약자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mp3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데 사용되는 클래식한 음악 플레이어입니다. xmms는 사용하기 쉽고 가볍고 많은 플러그인을 지원하며, 많은 리눅스 배포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활용

49. X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은 X윈도우의 구성 요소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1. X 서버
  2. X 클라이언트
  3. X 프로토콜
  4. Xlib
(정답률: 50%)
  • X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은 X 클라이언트에 해당한다. 이는 X 서버와 통신하여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고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X 클라이언트는 X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X 서버와 통신하며, 이를 위해 Xlib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시스템이 부팅될 때 X 윈도우가 자동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런 레벨(run level)은 무엇인가?

  1. 0
  2. 1
  3. 3
  4. 5
(정답률: 68%)
  • X 윈도우는 그래픽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부팅될 때는 런 레벨 5에서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런 레벨 0은 시스템 종료, 런 레벨 1은 단일 사용자 모드, 런 레벨 3은 텍스트 모드, 그리고 런 레벨 5는 그래픽 모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X 윈도우가 자동으로 실행되기 위한 런 레벨은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X 윈도우 서버 구동 시 참조되는 사용자 홈 디렉토리 내의 파일이 아닌 것은?

  1. .xinitrc
  2. .XClients
  3. .Xresources
  4. .xserverrc
(정답률: 37%)
  • ".xserverrc" 파일은 X 윈도우 서버를 구동할 때 참조되는 파일로, 다른 파일들과는 달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파일은 X 윈도우 서버가 시작될 때 실행되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X 윈도우 서버를 다른 디스플레이나 다른 환경 설정으로 실행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xserverrc" 파일은 다른 파일들과는 목적과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윈도우 매니저가 아닌 것은?

  1. mwm
  2. Gnome
  3. twm
  4. WindowMaker
(정답률: 60%)
  • Gnome은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데스크톱 환경이며, 윈도우 매니저는 그 중 하나일 뿐입니다. 따라서 Gnome은 윈도우 매니저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fvwm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윈도우 매니저로 알맞은 것은?

  1. AfterStep
  2. twm
  3. Window Maker
  4. mwm
(정답률: 41%)
  • AfterStep은 fvwm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윈도우 매니저입니다. fvwm의 코드를 기반으로 하여 개발되었으며, fvwm과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X 윈도우를 강제로 종료하기 위한 키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Alt-Tab-F
  2. Ctrl-Alt-C
  3. Ctrl-Alt-Backspace
  4. Ctrl-Alt-X
(정답률: 70%)
  • 정답: Ctrl-Alt-Backspace

    설명: Ctrl-Alt-Backspace는 X 윈도우 시스템에서 X 서버를 강제로 종료하는 키 조합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이 멈추거나 다른 문제가 발생했을 때 사용됩니다. Alt-Tab-F, Ctrl-Alt-C, Ctrl-Alt-X는 모두 유효한 키 조합이지만, X 윈도우를 강제로 종료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KDE 데스크탑에서 웹 브라우저 및 파일 관리기능을 담당하는 응용프로그램은 무엇인가?

  1. Konqueror
  2. Mozilla
  3. Firefox
  4. Thunderbird
(정답률: 69%)
  • 정답은 "Konqueror"이다. Konqueror은 KDE 데스크탑 환경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웹 브라우저 및 파일 관리기능을 담당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Mozilla, Firefox, Thunderbird은 모두 웹 브라우저나 이메일 클라이언트와 같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이지만, KDE 데스크탑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리눅스에서 포토 리터칭과 이미지 합성 및 저작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MTV
  2. XV
  3. GIMP
  4. XMMS
(정답률: 78%)
  • 정답: GIMP

    설명: GIMP는 GNU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으로, 리눅스에서 가장 인기있는 포토 리터칭 및 이미지 합성 및 저작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GIMP는 Photoshop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눅스에서 포토 리터칭과 이미지 합성 및 저작을 위한 가장 적합한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대열의 분할
  2. 에러 제어
  3. 흐름 제어
  4. 데이터 호환
(정답률: 44%)
  •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기능은 데이터 대열의 분할, 에러 제어, 흐름 제어입니다. 이들은 데이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반면, 데이터 호환은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을 일치시키는 것으로,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기능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통신 프로토콜의 표준을 제정하는 기관이 아닌 것은?

  1. ISO
  2. ACM
  3. IEEE
  4. ANSI
(정답률: 64%)
  • ACM은 통신 프로토콜의 표준을 제정하는 기관이 아닙니다. ACM은 컴퓨터 과학 분야의 학회로, 컴퓨터 과학 기술의 발전과 연구를 촉진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ISO는 국제 표준화 기구, IEEE는 전기 및 전자 기술자 협회, ANSI는 미국 국가 표준 협회로 각각 다양한 분야에서 표준을 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이더넷(Etherne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송로 액세스 방식(CSMA/CD)을 사용한다.
  2. 원거리 통신망(WAN)에서 널리 사용된다.
  3. TCP/IP, IPX 등의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4. 기본 개념은 하나의 물리적 전송 매체를 다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것이다.
(정답률: 54%)
  • 정답은 "원거리 통신망(WAN)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다. 이더넷은 LAN(Local Area Network)에서 주로 사용되며, WAN에서는 다른 프로토콜들이 더 많이 사용된다. 이더넷은 전송로 액세스 방식(CSMA/CD)을 사용하며, TCP/IP, IPX 등의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기본 개념은 하나의 물리적 전송 매체를 다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통신 장비 중 브리지는 OSI 참조 모델 중 어느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인가?

  1. 세션 계층
  2. 전송 계층
  3. 데이터 링크 계층
  4. 물리 계층
(정답률: 57%)
  • 브리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입니다. 이는 브리지가 MAC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브리지는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프로토콜 변환기의 일종으로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장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라우터
  2. 리피터
  3. 브리지
  4. 게이트웨이
(정답률: 49%)
  •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로, 다른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통신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게이트웨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OSI 7 계층 중 4계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 메시지의 발신지 대 수신지 간의 전달을 책임지는 계층은?

  1. 네트워크 계층
  2. 전송 계층
  3. 세션 계층
  4. 응용 계층
(정답률: 78%)
  • 전송 계층은 전체 메시지의 발신지 대 수신지 간의 전달을 책임지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오류 검출 및 복구, 흐름 제어, 혼잡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전송 계층은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TCP/I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방형 프로토콜로서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독립적이다.
  2. 특정 물리적 네트워크 하드웨어에 독립적이다.
  3. 일관성 있고 널리 사용 가능한 사용자 서비스를 위해 표준화된 고수준의 프로토콜이다.
  4. IP 프로토콜은 패킷들의 전송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34%)
  • "IP 프로토콜은 패킷들의 전송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IP 프로토콜은 패킷의 경로를 결정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전송 흐름 제어는 TCP 프로토콜이 담당합니다.

    TCP 프로토콜은 패킷들의 전송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의 손실 및 중복을 방지하며, 순서를 보장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IP 프로토콜과 함께 사용되어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TCP/IP 프로토콜들 중 리눅스 시스템의 ping 명령과 가장 관련이 깊은 프로토콜은 무엇 인가?

  1. TCP
  2. ARP
  3. ICMP
  4. IP
(정답률: 49%)
  • 정답은 "ICMP"이다. ping 명령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다른 호스트에게 ICMP 패킷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다. 따라서 ICMP 프로토콜이 ping 명령과 가장 관련이 깊다. TCP는 연결 지향적인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며, ARP는 물리적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다. IP는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월드와이드웹(WWW) 서비스가 사용하도록 예약되어있는 포트 번호로 알맞은 것은?

  1. 21
  2. 22
  3. 23
  4. 80
(정답률: 77%)
  • 정답은 "80"입니다.

    월드와이드웹(WWW)은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이 서비스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전송합니다. HTTP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며, TCP는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식별합니다.

    월드와이드웹(WWW) 서비스는 TCP 포트 번호 80번을 사용하도록 예약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HTTP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전송할 때,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80번 포트로 연결을 시도합니다.

    반면, "21", "22", "23"은 각각 FTP(File Transfer Protocol), SSH(Secure Shell), Telnet 프로토콜에 예약되어 있는 포트 번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한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알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nslookup
  2. ifconfig
  3. ping
  4. telnet
(정답률: 63%)
  • "nslookup"은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DNS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리눅스 시스템에서 도메인 네임 서버를 지정해 놓은 파일은 무엇인가?

  1. /etc/ports
  2. /etc/resolv.conf
  3. /etc/inittab
  4. /etc/services
(정답률: 72%)
  • "/etc/resolv.conf"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를 지정하는 파일이다. 이 파일에는 시스템이 사용할 DNS 서버의 IP 주소와 검색 도메인 이름 등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파일을 통해 시스템은 DNS 서버에 접속하여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C 클래스의 서브넷마스크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1. 255.0.0.0
  2. 255.255.0.0
  3. 255.255.255.0
  4. 255.255.255.255
(정답률: 85%)
  • C 클래스는 IP 주소의 첫 번째 옥텟이 192~223 범위에 속하며, 서브넷마스크는 기본적으로 255.255.255.0이다. 이는 24비트를 네트워크 부분으로, 8비트를 호스트 부분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255.255.25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최상위 도메인과 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ORG - 비영리 기관
  2. MIL - 미국 연방 군사 기관
  3. INT - 국제적인 특정을 가진 기관
  4. EDU - 초・중・고 포함 모든 교육 기관
(정답률: 39%)
  • EDU - 초・중・고 포함 모든 교육 기관이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EDU는 대학 및 대학원 등 고등 교육 기관에 해당합니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의 교육 기관은 국가별로 다른 최상위 도메인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학교 교육 기관은 .kr 도메인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TCP/IP 프로토콜들 중 UDP 프로토콜은 어느 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인가?

  1. 네트워크 접근 계층(Network access layer)
  2.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3.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4.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정답률: 65%)
  • UDP 프로토콜은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 속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UDP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사용하며,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고 빠른 전송을 지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DP는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OSI 참조 모델 7계층 중 연결성과 통신 경로 선택을 제공하고, 데이터 전송 및 중계, 네트워크 품질 차이 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데이터 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48%)
  • 네트워크 계층은 IP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경로 선택과 중계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 전송 시에는 패킷의 분할과 조립, 오류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연결성과 통신 경로 선택을 제공하고, 데이터 전송 및 중계, 네트워크 품질 차이 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전체 인터넷 안에서 하나의 네트워크 프로세스를 단일하게 나타내는 IP 주소와 포트 번호의 조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소켓
  2. 식별자
  3. 필터
  4. 지시자
(정답률: 68%)
  • 소켓은 인터넷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IP 주소와 포트 번호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프로세스를 단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소켓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프로그램 기능 상 그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telent
  2. csh
  3. rsh
  4. rlogin
(정답률: 45%)
  • 정답은 "csh"입니다.

    - "telnet"은 원격 호스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 "rsh"는 원격 호스트에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 "rlogin"은 원격 호스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반면에 "csh"는 쉘(shell)로,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다른 프로토콜과는 달리, "csh"는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csh"는 다른 프로토콜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작고 빠른 성능으로 임베디드 시스템 등 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웹브라우저는?

  1. 오페라
  2. 모질라
  3. 파이어폭스
  4. 넷스케이프
(정답률: 37%)
  • 오페라는 작은 용량과 빠른 성능으로 임베디드 시스템 등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기기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웹브라우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원격 시스템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1. IMAP
  2. SNMP
  3. SCP
  4. RDP
(정답률: 43%)
  • 정답은 "SNMP"이다.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비나 서버 등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원격으로 장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MAP은 이메일 수신 프로토콜, SC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RDP는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로, 이들은 원격 시스템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인터넷 서비스 중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는?

  1. TELNET
  2. IRC
  3. FTP
  4. MUD
(정답률: 73%)
  • IRC는 Internet Relay Chat의 약자로,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다른 서비스들은 파일 전송이나 원격 접속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IRC는 주로 대화를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임베디드 시스템의 운영체제로서 리눅스가 갖는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2. 소스가 공개되어 있다.
  3. 소규모 모듈 단위로 설계되어 있다.
  4. Real Time 운영을 지원하지 않는다.
(정답률: 70%)
  • 리눅스는 일반적으로 Real Time 운영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는 리눅스가 일반적으로 운영체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시스템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눅스는 실시간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근거리 무선 통신인 블루투스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은?

  1. 1.6GHz
  2. 2.0GHz
  3. 2.4GHz
  4. 2.8GHz
(정답률: 70%)
  • 블루투스는 2.4GHz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합니다. 이는 무선 통신에서 매우 일반적인 주파수 대역폭 중 하나이며, 블루투스가 이를 선택한 이유는 이 주파수 대역폭이 높은 대역폭을 가지고 있어서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주파수 대역폭은 무선 통신에서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고, 더 넓은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블루투스가 선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블루투스 기술에서 양방향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전송 방식은?

  1. 회선교환 전송 방식
  2. 시분할 다중전송 방식
  3. 주파수분할 전송 방식
  4. 패킷교환 전송 방식
(정답률: 36%)
  • 블루투스 기술에서 양방향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전송 방식은 "시분할 다중전송 방식"입니다. 이는 시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블루투스에서는 한 번에 하나의 기기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시간을 분할하여 전송합니다. 이 방식은 전송 속도가 느리지만 안정적이며, 여러 기기가 동시에 전송할 때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의 주소체계는 몇 bit로 구성되어 있는가?

  1. 32 bit
  2. 64 bit
  3. 128 bit
  4. 256 bit
(정답률: 73%)
  • IPv4 주소체계는 32 bit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2의 32승(약 42억 9천만) 개의 주소를 할당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주소체계는 현재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주소의 부족으로 인해 IPv6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