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6-14)

리눅스마스터 2급
(2014-06-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Set-UID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통 실행파일에 사용되며 Set-UID가 부여된 파일을 실행 시, 해당 파일을 실행하는 동안 실행시킨 사용자의 권한이 아닌 해당 파일의 소유자 권한으로 인식한다.
  2. 소유자 권한 부분의 x자리에 s로 표기된다.
  3. 디렉터리에 설정되는 특수 권한으로 일종의 공유 디렉터리로 사용된다.
  4. 실행 권한이 없는 파일에 부여하면 대문자 S로 나타난다.
(정답률: 69%)
  • 정답은 "디렉터리에 설정되는 특수 권한으로 일종의 공유 디렉터리로 사용된다." 이다. Set-UID는 파일에 설정되는 특수 권한으로, 실행파일에 주로 사용된다. 실행 시 해당 파일을 실행하는 사용자의 권한이 아닌 파일의 소유자 권한으로 인식되며, 소유자 권한 부분의 x자리에 s로 표기된다. 실행 권한이 없는 파일에 부여하면 대문자 S로 나타난다. 디렉터리에는 Set-UID가 설정될 수 있지만, 이는 공유 디렉터리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디렉터리 내에서 새로 생성되는 파일의 소유자를 디렉터리 소유자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64비트의 기억 공간 제한을 없애고, 최대 1Exabyte의 디스크 볼륨과 16Terabyte의 파일을 지원하는 등 대형 파일 시스템과 관련된 기능이 대폭 강화된 파일 시스템으로 알맞은 것은?

  1. ext3
  2. ext4
  3. XFS
  4. vfat
(정답률: 75%)
  • "ext4"는 64비트 기억 공간 제한을 없애고 대용량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능이 강화된 파일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대 1Exabyte의 디스크 볼륨과 16Terabyte의 파일을 지원하므로 대형 파일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root 디렉토리의 총 사용량을 알아보기 위해 알맞은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ls –ld /root
  2. df –sh /root
  3. df –i /root
  4. du –sh /root
(정답률: 77%)
  • 정답: du –sh /root

    이유:
    - ls –ld /root: /root 디렉토리의 소유자, 권한, 생성일 등의 정보를 보여주지만 사용량을 알 수는 없다.
    - df –sh /root: /root 디렉토리가 위치한 파일 시스템의 전체 사용량과 여유 공간 등을 보여주지만 /root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직접적으로 알 수는 없다.
    - df –i /root: /root 디렉토리가 위치한 파일 시스템의 inode 사용량 등을 보여주지만 /root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직접적으로 알 수는 없다.
    - du –sh /root: /root 디렉토리의 총 사용량을 보여준다. -s 옵션은 하위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합산하여 보여주고, -h 옵션은 사용량을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로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tmp 디렉토리의 경우 권한이 rwxrwxrwt로 설정이 되어 있다. 다음 중 /home 디렉토리를 기존 권한에 상관없이 /tmp와 동일한 권한으로 설정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hmod 0777 /home
  2. chmod ugo+rwx /home
  3. chmod 1777 /home
  4. chmod ugo=rwx /home
(정답률: 66%)
  • 정답은 "chmod 1777 /home"입니다.

    /tmp 디렉토리의 권한 중 t는 sticky bit를 나타냅니다. 이는 다른 사용자가 해당 디렉토리 내의 파일을 삭제하거나 이동할 수 없도록 합니다. 따라서 /home 디렉토리에도 sticky bit를 설정해야 합니다.

    chmod 1777 /home 명령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1: sticky bit 설정
    - 7: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 읽기, 쓰기, 실행 권한 부여

    따라서 이 명령은 /home 디렉토리에 sticky bit를 설정하고, 모든 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lost+found 디렉토리와 가장 관계가 깊은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fdisk
  2. chmod
  3. last
  4. fsck
(정답률: 73%)
  • 정답: fsck

    이유: /lost+found 디렉토리는 파일 시스템에서 손상된 파일들을 복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렉토리입니다. fsck는 파일 시스템 검사 및 복구 유틸리티로, 파일 시스템의 손상을 검사하고 복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lost+found 디렉토리와 가장 관련이 깊은 명령어는 fsc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ISO 이미지 파일을 /mnt 디렉토리에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mount –t iso9660 –o rw,loop /test.iso /mnt
  2. mount –t iso9660 –o rw,acl /test.iso /mnt
  3. mount –t iso9660 –o ro,loop /test.iso /mnt
  4. mount –t sr0 –o ro,loop /test.iso /mnt
(정답률: 81%)
  • ISO 이미지 파일은 읽기 전용 파일이므로 "ro"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loopback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마운트해야 하므로 "loop" 옵션도 필요하다. 따라서, "mount –t iso9660 –o ro,loop /test.iso /mnt"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dev/sda1의 파티션을 생성하여 사용하려고 한다. 다음 중 나머지 셋과 다른 파일 시스템으로 생성 되는 파티션으로 알맞은 것은?

  1. mkfs.ext3 /dev/sda1
  2. mke2fs –t ext3 /dev/sda1
  3. mkfs /dev/sda1
  4. mke2fs –j /dev/sda1
(정답률: 74%)
  • 정답: "mke2fs –j /dev/sda1"

    이유: "mkfs"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며, "/dev/sda1"은 생성할 파티션의 위치를 나타낸다. "mkfs.ext3 /dev/sda1"과 "mke2fs –t ext3 /dev/sda1"은 모두 ext3 파일 시스템으로 파티션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하지만 "mke2fs –j /dev/sda1"은 ext3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면서 동시에 journaling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나머지 셋과 다른 파일 시스템으로 생성 되는 파티션은 "mke2fs –j /dev/sda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fstab에 사용자 쿼터를 설정하기 위한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usrquota
  2. userquota
  3. setquota
  4. quotaon
(정답률: 70%)
  • 정답: "usrquota"

    설명: "usrquota"는 사용자 쿼터를 설정하기 위한 옵션으로, 해당 파일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쿼터를 활성화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각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userquota"는 그룹 쿼터를 설정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setquota"는 쿼터를 설정하는 명령어이고, "quotaon"은 쿼터를 활성화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파일과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권한을 확인한 결과가 아래와 같다.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0113
  2. 0122
  3. u=rw,g=rx,o=rx
  4. u=rw,g=rx,o=r
(정답률: 64%)
  • - 0113: 파일 "file1"의 권한이 "rw-r--r-x" 이므로, 소유자는 읽기와 쓰기 권한을 가지고 있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와 실행 권한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유자는 "rw-",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r--r-x" 권한을 가진다. "r"은 읽기 권한, "w"는 쓰기 권한, "x"는 실행 권한을 나타낸다. "0113"은 이진수로 변환하면 "0001 0001 0011"이 되는데, 이는 소유자는 "rw-", 그룹은 "r--", 다른 사용자는 "r-x"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0122: 파일 "file2"의 권한이 "r--w-r--w-" 이므로, 소유자와 그룹은 읽기와 쓰기 권한을 가지고 있고, 다른 사용자는 읽기 권한만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유자와 그룹은 "r--w", 다른 사용자는 "r--" 권한을 가진다. "0122"는 이진수로 변환하면 "0000 0001 0010 0010"이 되는데, 이는 소유자와 그룹은 "r--w", 다른 사용자는 "r--"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u=rw,g=rx,o=rx: 디렉토리 "dir1"의 권한을 나타내는데, 소유자는 읽기와 쓰기 권한을 가지고 있고, 그룹은 읽기와 실행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용자도 읽기와 실행 권한을 가지고 있다. "u=rw"는 소유자에게 읽기와 쓰기 권한을 부여하고, "g=rx"는 그룹에게 읽기와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 "o=rx"는 다른 사용자에게 읽기와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

    - u=rw,g=rx,o=r: 디렉토리 "dir2"의 권한을 나타내는데, 소유자는 읽기와 쓰기 권한을 가지고 있고, 그룹은 읽기와 실행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용자는 읽기 권한만 가지고 있다. "u=rw"는 소유자에게 읽기와 쓰기 권한을 부여하고, "g=rx"는 그룹에게 읽기와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 "o=r"은 다른 사용자에게 읽기 권한만 부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tmp 디렉토리에 test란 파일을 생성하려 하였으나, 에러가 발생되며 생성되지 않았다. 다음 중 추가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df –i
  2. fdisk –l /dev/sda2
  3. eject /dev/sda2
  4. fdisk /dev/sda2
(정답률: 58%)
  • 정답은 "df –i"이다.

    df 명령어는 디스크 사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i 옵션을 사용하면 inode 사용량을 보여준다. inode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파일 시스템에서 제한된 개수만큼 존재한다.

    /tmp 디렉토리에 파일을 생성할 때 에러가 발생했다면, inode가 부족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df -i 명령어를 사용하여 inode 사용량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fdisk –l /dev/sda2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eject /dev/sda2 명령어는 CD-ROM 등의 장치를 추출하는 명령어이다. fdisk /dev/sda2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을 수정하는 명령어이므로, 이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아래와 같이 로그인 쉘을 변경하기 위해 괄호 안의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bin/csh
  2. echo $SHELL
  3. chsh
  4. csh
(정답률: 77%)
  • 로그인 쉘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chsh (change shell)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chsh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의 로그인 쉘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chsh"이다.

    보기에서 "/bin/csh"와 "csh"는 모두 C 쉘을 의미하는데, 이는 로그인 쉘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쉘을 실행하는 것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echo $SHELL"은 현재 사용자의 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므로 로그인 쉘을 변경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히스토리 파일에 저장되는 명령어의 개수를 설정 하는 환경변수로 알맞은 것은?

  1. HISTSIZE
  2. HISTFILE
  3. HISTFILESIZE
  4. HISTNUM
(정답률: 79%)
  • 정답은 "HISTSIZE"입니다.

    HISTSIZE는 히스토리 파일에 저장되는 명령어의 개수를 설정하는 환경변수입니다. 이 변수를 설정하면 터미널에서 실행한 명령어들이 저장되는 히스토리 파일에 최대 몇 개의 명령어를 저장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ISTSIZE를 100으로 설정하면 최근 100개의 명령어가 저장됩니다.

    반면, HISTFILE은 히스토리 파일의 경로를 설정하는 환경변수이고, HISTFILESIZE는 히스토리 파일의 크기를 설정하는 환경변수입니다. HISTNUM은 존재하지 않는 환경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etc/profile 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개인 사용자의 환경설정과 시작프로그램 설정과 관련이 있는 파일로 로그인시 읽어 들인다.
  2. 시스템 전체(모든 사용자)에 적용되는 alias와 함수를 설정한다.
  3. 개인사용자가 로그아웃할 때 수행하는 설정을 지정하는 파일이다.
  4. 시스템 전체(모든 사용자)에 적용되는 환경 변수와 시작관련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정답률: 61%)
  • 정답은 "시스템 전체(모든 사용자)에 적용되는 환경 변수와 시작관련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입니다. /etc/profile 파일은 모든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시스템 전체의 환경 변수와 시작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로그인시 읽어들이며, 개인 사용자의 환경 설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 괄호 )에 해당하는 쉘로 알맞은 것은?

  1. ksh , tcsh
  2. ksh , csh
  3. zsh , tcsh
  4. zsh, csh
(정답률: 74%)
  • 이 그림은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쉘(shell)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다. ksh와 csh는 모두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쉘의 종류 중 하나이다. ksh는 Korn shell의 약자로 AT&T 벨 연구소에서 개발되었으며, csh는 C shell의 약자로 버클리 대학에서 개발되었다. 둘 다 Bourne shell(sh)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정답은 "ksh , cs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bash shell 의 주요 환경변수 중 틀린 것은?

  1. HOME: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2. LANG : 쉘 사용시 기본으로 지원되는 언어
  3. MAIL : 도착한 메일이 저장되는 경로
  4. TZ:서버의 타임존(timezone)
(정답률: 67%)
  • 정답은 "TZ:서버의 타임존(timezone)" 이다.

    이유는 다른 환경변수들은 사용자나 쉘의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지만, TZ는 서버의 타임존 정보를 담고 있다. 이는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되는 설정이므로 사용자마다 다른 값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환경과는 무관하며, 시스템 전체에서 동일한 값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rm 명령어 사용시 삭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띄우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

  1. alias rm='rm -f'
  2. alias rm='rm -i'
  3. export rm='rm -f'
  4. export rm='rm –i’
(정답률: 72%)
  • 정답은 "alias rm='rm -i'"입니다.

    이유는 rm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실수로 중요한 파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 옵션을 추가하여 삭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띄우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alias는 명령어를 다른 명령어로 대체하는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alias rm='rm -i'"는 rm 명령어를 실행할 때 자동으로 -i 옵션을 추가하여 삭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띄우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bash에서 기존 PATH 설정에 /usr/java라는 새로운 경로를 추가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export PATH=/usr/java
  2. export $PATH=PATH:/usr/java
  3. export $PATH=$PATH:/usr/java
  4. export PATH=$PATH:/usr/java
(정답률: 76%)
  • 정답: export PATH=$PATH:/usr/java

    설명:
    - export: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명령어
    - PATH: 시스템에서 명령어를 찾을 때 검색하는 경로를 저장하는 환경 변수
    - $PATH: 기존 PATH 변수의 값을 불러옴
    - :/usr/java: 기존 PATH 변수 값 끝에 /usr/java 경로를 추가함

    따라서, export PATH=$PATH:/usr/java 명령어는 기존 PATH 설정에 /usr/java라는 새로운 경로를 추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bash shell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명령어로 틀린 것은?

  1. alias
  2. cd
  3. export
  4. cat
(정답률: 53%)
  • 정답은 "cat"입니다. "cat"은 내부명령어가 아니라 유틸리티 프로그램으로,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기능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bash shell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명령어입니다. "alias"는 명령어에 대한 별칭을 설정하고, "cd"는 디렉토리를 변경하고, "export"는 환경 변수를 설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프로세스(Process)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한다.
  2. 커널이 실행하는 init은 PID 번호가 2이다.
  3. init 프로세스는 모든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Parent Process)이다.
  4. 하나의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호출 방법에는 fork와 exec가 있다.
(정답률: 80%)
  • "커널이 실행하는 init은 PID 번호가 2이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init 프로세스는 시스템 부팅 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로, 모든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이며 PID 번호가 1이다. 따라서 "init 프로세스는 모든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Parent Process)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중 시그널(Signal)의종류와설명으로 알맞는것은?

  1. SIGHUP(HUP)은 키보드로부터 오는 인터럽트 시그널로 실행을 중지 시킨다. [CTRL] + [c] 입력 시에 보내지는 시그널이다.
  2. SIGINT(INT)은 가능한 정상 종료시키는 시그널로 kill 명령의 기본 시그널이다.
  3. SIGKILL(KILL)은 무조건 종료, 즉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시그널이다.
  4. SIGTERM(TERM)은 로그아웃과 같이 터미널에서 접속이 끊겼을 때 보내지는 시그널이다. 데몬 관련 환경 설정을 변경시키고 변화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재시작할 때 이 시그널이 사용된다.
(정답률: 76%)
  • SIGKILL(KILL)은 무조건 종료, 즉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시그널이다. 이 시그널은 프로세스가 자원을 해제하지 않고 종료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시그널(Signal) 이름과 시그널 번호가 알맞은 것은?

  1. SIGINT(INT)은 시그널 번호가 3이다.
  2. SIGTERM(TERM)은 시그널 번호가 9이다.
  3. SIGKILL(KILL)은 시그널 번호가 15이다.
  4. SIGHUP(HUP)는 시그널 번호가 1이다.
(정답률: 71%)
  • SIGHUP은 Hang Up의 약자로, 터미널 연결이 끊어졌을 때 발생하는 시그널입니다. 이 시그널은 프로세스에게 재시작하라는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시그널 번호는 시스템에서 시그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번호이며, SIGHUP의 경우에는 1번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동작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해 주는 명령으로 프로세서의 상태뿐만 아니라 CPU, 메모리, 부하 상태 등도 확인 할 수 있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top
  2. pstree
  3. kill
  4. jobs
(정답률: 79%)
  • 정답은 "top"입니다. "top"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CPU, 메모리, 부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stree"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계층 구조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kill"은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명령어입니다. "jobs"는 현재 쉘에서 실행 중인 작업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renice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2.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프로세스 ID(PID), 사용자 이름, 프로세스의 그룹ID(GID)를 이용한다.
  3.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NI 값에 상관없이 지정한 NI 값으로 바로 설정된다.
  4. NI 값을 낮추면 프로세스의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정답률: 41%)
  •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NI 값에 상관없이 지정한 NI 값으로 바로 설정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renice 명령어는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며, NI 값을 낮추면 프로세스의 우선순위가 높아집니다. 하지만 현재 NI 값과 지정한 NI 값 중 더 높은 값을 적용합니다. 즉, 현재 NI 값이 더 낮으면 지정한 NI 값으로 변경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crontab 설정에 대한 예이다. crontab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매일 같이 새벽 3시 정각에 /root/bin/backup.sh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2. 매일 같이 오후 3시 정각에 /root/bin/backup.sh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3. 매일 같이 오전과 오후 3시 정각에 /root/bin/backup.sh 프로그램을실행한다.
  4.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새벽 3시 정각에 /root/bin/backup.sh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정답률: 87%)
  • crontab 설정에서 첫 번째 숫자는 분(minute)을 나타내고, 두 번째 숫자는 시(hour)를 나타낸다. 세 번째 숫자는 일(day)을 나타내는데, *로 설정하면 매일을 의미한다. 네 번째 숫자는 월(month)을 나타내고, 다섯 번째 숫자는 요일(day of week)을 나타낸다. 0은 일요일, 1은 월요일, 2는 화요일, ..., 6은 토요일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의 crontab 설정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새벽 3시 정각에 /root/bin/backup.sh 프로그램을 실행한다."라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sof 명령어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맵(Memory Map) 정보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2. jobs 명령어는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프로세스나 현재 중지된 프로세스의 목록을 출력해 준다.
  3. top 명령어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때 사용한다.
  4. pstree 명령어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트리(Tree) 구조로 출력해 준다.
(정답률: 73%)
  • 정답은 "lsof 명령어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맵(Memory Map) 정보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가 아니다. lsof 명령어는 열려있는 파일과 해당 파일을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top 명령어 실행시 출력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현재 시스템의 CPU 사용량
  2. 현재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
  3.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사용량
  4. 현재 시스템의 스왑(SWAP) 사용량
(정답률: 68%)
  •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사용량"은 top 명령어 실행시 출력되지 않는다. top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의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스왑(SWAP) 사용량 등을 출력한다. 네트워크 사용량을 확인하려면 다른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ifconfig나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top 명령어 실행 후 메모리 사용량(RES)에 따라 프로세스를 정렬하여 보여 주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P
  2. s
  3. h
  4. M
(정답률: 62%)
  • "M"은 메모리 사용량(RES)에 따라 프로세스를 정렬하여 보여주는 옵션입니다. "P"는 프로세스 ID에 따라 정렬하고, "s"는 프로세스 스위치 수에 따라 정렬하며, "h"는 헤더 정보를 출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메모리 사용량에 따라 프로세스를 정렬하여 보고 싶다면 "M" 옵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프로세스 생성 시 부여되는 식별번호로 알맞은 것은?

  1. PID
  2. PPID
  3. CMD
  4. TTY
(정답률: 84%)
  • PID(Process ID)는 프로세스 생성 시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번호이다. 이 번호는 해당 프로세스를 구분하는 유일한 값으로 사용되며, 다른 프로세스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PPID는 부모 프로세스의 PID, CMD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명령어, TTY는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터미널 장치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편집기로 알맞은 것은?

  1. nano
  2. pico
  3. emacs
  4. vim
(정답률: 80%)
  • 이미지에서 보이는 명령어는 리눅스나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이며, 이 중에서도 "vim"은 터미널에서 사용하는 텍스트 편집기 중 하나입니다. "nano"와 "pico"는 더 간단한 편집기이며, "emacs"는 더 복잡한 편집기입니다. 따라서, 이 이미지에서는 "vim"이 가장 적합한 편집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vi 편집기 실행 시 명령 모드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할 때 사용하는 키(key)로 옳지 않은 것은?

  1. w
  2. i
  3. a
  4. o
(정답률: 77%)
  • 정답: "w"

    vi 편집기에서 명령 모드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할 때 사용하는 키는 "i", "a", "o"이다. "i"는 현재 커서 위치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a"는 현재 커서 다음 위치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하며, "o"는 현재 줄 다음 줄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w"는 단어(word)를 저장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사용자와 파일 권한 설정이 아래와 같다. 다음 중 vi로 편집중인 file.txt 파일을 강제적으로 저장하고 빠져 나올 때 사용하는 ex 모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w!
  2. :wq!
  3. :wq
  4. :q!
(정답률: 80%)
  • 사용자는 user1이며, 파일 file.txt의 소유자는 user2이다. user1은 해당 파일에 대해 쓰기 권한이 없기 때문에 강제 저장을 위해서는 "!"를 추가하여 ":wq!"를 입력해야 한다. ":wq"는 저장 후 종료이지만, 권한이 없는 파일에서는 저장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강제 저장을 위해 "!"를 추가해야 한다. ":w!"는 강제 저장을 의미하며, ":q!"는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wq!"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vi 편집기에서 문서의 각 라인 번호를 표시해 주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set nu
  2. :set nonu
  3. :set ai
  4. :set noai
(정답률: 84%)
  • 정답: :set nu

    설명: ":set nu" 명령은 vi 편집기에서 문서의 각 라인 번호를 표시해 주는 명령이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왼쪽에 각 라인의 번호가 표시되어 편집 작업을 할 때 특정 라인을 찾거나 수정할 때 유용하다.

    ":set nonu" 명령은 라인 번호를 표시하지 않는 명령이다.

    ":set ai" 명령은 자동 들여쓰기 기능을 활성화하는 명령이다.

    ":set noai" 명령은 자동 들여쓰기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pico 편집기에서 커서의 위치를 해당 줄의 끝으로 이동하는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Ctrl]+[x]
  2. [Ctrl]+[e]
  3. [Ctrl]+[p]
  4. [Ctrl]+[f]
(정답률: 68%)
  • 정답: [Ctrl]+[e]

    이유:
    - [Ctrl]+[x]: 현재 파일을 저장하고 편집기를 종료하는 조합
    - [Ctrl]+[p]: 이전 줄로 이동하는 조합
    - [Ctrl]+[f]: 다음 문자로 이동하는 조합

    따라서, [Ctrl]+[e] 조합은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끝으로 이동하는 조합이다. "end of line"의 약자인 "eol"과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vi 편집기에서 file.txt 파일을 편집 중 비정상 종료가 되었을 때 생기는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

  1. file.txt.swap
  2. file.txt.swp
  3. .file.txt.swap
  4. .file.txt.swp
(정답률: 58%)
  • 정답: ".file.txt.swp"

    vi 편집기는 파일을 편집할 때 .swp 파일을 생성합니다. 이 파일은 편집 중 비정상 종료가 되었을 때 생성되며, 편집 중인 파일의 백업 파일 역할을 합니다. 파일명은 기존 파일명 앞에 "."이 붙은 형태로 생성됩니다. 따라서 "file.txt" 파일의 .swp 파일명은 ".file.txt.swp"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중( 괄호) 안에들어갈내용으로알맞은것은?

  1. tmake
  2. cmake
  3. amake
  4. kmake
(정답률: 79%)
  • 이미지에서 보이는 파일 이름이 "CMakeLists.txt" 이므로, 이 파일을 사용하여 빌드 시스템을 생성하는 빌드 자동화 도구인 "cmake"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cmak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deb 패키지의 이름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는 것은?

  1. cron : 패키지 이름
  2. 3.0pl1 : 패키지 릴리즈
  3. 124 : 패키지 아키텍처
  4. i386 : 패키지 버전
(정답률: 72%)
  • deb 패키지의 이름 형식은 "패키지 이름 : 패키지 버전-패키지 릴리즈 패키지 아키텍처" 이다. 따라서 "cron : 패키지 이름"은 패키지 이름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backup 디렉토리를 backup.tar.gz 으로 압축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tar -cvzf /backup backup.tar.gz
  2. tar -tvzf /backup backup.tar.gz
  3. tar -cvzf backup.tar.gz /backup
  4. tar -tvzf backup.tar.gz /backup
(정답률: 58%)
  • 정답은 "tar -cvzf backup.tar.gz /backup"입니다.

    tar: tar 명령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c: 새 아카이브를 만든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v: 아카이브에 추가되는 파일 목록을 출력합니다.
    -z: gzip으로 압축합니다.
    -f: 아카이브 파일 이름을 지정합니다.

    따라서 "tar -cvzf backup.tar.gz /backup" 명령어는 /backup 디렉토리를 backup.tar.gz로 압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rpm 명령어를 사용하여 openssh 패키지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rpm -qa | grep openssh
  2. rpm -e | grep openssh
  3. rpm -Fvh openssh
  4. rpm -ivh | grep openssh
(정답률: 74%)
  • 정답: "rpm -qa | grep openssh"

    설명:

    - "rpm -qa"는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나열하는 명령어이다.
    - "|"는 파이프(pipe)라는 기호로, 앞의 명령어의 결과를 뒤의 명령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grep"은 특정 문자열을 검색하는 명령어이다.
    - 따라서 "rpm -qa | grep openssh"는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 중에서 "openssh"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패키지를 검색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openssh 패키지가 시스템에 설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중rpm 명령어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rpm -i : 패키지를 설치한다.
  2. rpm -U : 패키지 정보를 확인한다.
  3. rpm -F : 패키지를 제거한다.
  4. rpm -e : 패키지를 검증한다.
(정답률: 71%)
  • rpm -i는 패키지를 설치하는 옵션이다. i는 install의 약자이며, rpm 명령어를 통해 패키지를 설치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get-dpk
  2. dpk-get
  3. get-apt
  4. apt-get
(정답률: 77%)
  • "apt-get"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패키지를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한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apt"는 Advanced Packaging Tool의 약자이며, 이를 통해 패키지를 검색하고 설치, 업그레이드, 삭제할 수 있습니다. "apt-get"은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 중 하나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apt-get"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yum 사용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yum -y install telnet-server
  2. yum telnet-server
  3. yum list telnet-server
  4. yum search telnet-server
(정답률: 67%)
  • 정답은 "yum telnet-server"입니다. 이유는 "yum telnet-server" 명령어는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어가 아니라, 패키지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패키지를 설치하려면 "yum -y install telnet-server"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yum list telnet-server"는 시스템에 이미 설치된 패키지를 보여주고, "yum search telnet-server"는 패키지 검색 결과를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rpm 패키지 설치시에 의존성을 검사하지 않고 패키지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query
  2. --verify
  3. --freshen
  4. --nodeps
(정답률: 84%)
  • 정답: "--nodeps"

    설명: "--nodeps" 옵션은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고 패키지를 설치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의존성 문제로 인해 패키지 설치가 실패할 수 있지만, 이미 설치된 패키지의 의존성 문제를 무시하고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옵션을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하며,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패키지를 설치하면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아래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LPRng
  2. CUPS
  3. FreeBSD
  4. sysV
(정답률: 72%)
  • 위의 그림은 프린터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LPRng은 이 중에서 프린터 서버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 LPRng은 LPD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린터를 관리하며,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LPRng이 프린터 서버 소프트웨어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정답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중 리눅스사운드드라이버의 유형으로틀린것은?

  1. OSS
  2. OSS/free
  3. ALSA
  4. SANE
(정답률: 73%)
  • 정답은 "SANE"입니다.

    "SANE"은 스캐너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입니다.

    리눅스 사운드 드라이버의 유형은 "OSS", "OSS/free", "ALSA"입니다. "OSS"는 Open Sound System의 약자로, 초기 리눅스 사운드 시스템이었습니다. "OSS/free"는 "OSS"의 무료 버전입니다. "ALSA"는 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의 약자로, 현재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운드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프린터 스풀(spool) 기본 디렉토리는 경로로 알맞은 것은?

  1. /var/spool/lpd/
  2. /var/log/spool/lpd/
  3. /etc/spool/lpd/
  4. /var/print/spool/lpd/
(정답률: 52%)
  • 정답은 "/var/spool/lpd/"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프린터 스풀(spool)은 프린터 작업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 공간입니다.
    - 스풀 디렉토리는 일반적으로 /var/spool/ 디렉토리에 위치합니다.
    - lpd는 Line Printer Daemon의 약자로, 프린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몬입니다.
    - 따라서, 프린터 스풀 디렉토리는 /var/spool/lpd/ 디렉토리에 위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LSA 사운드 장치를 초기화 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alsactl init
  2. alsactl restore
  3. alsactl store
  4. alsactl reflash
(정답률: 54%)
  • 정답: "alsactl init"

    이유: ALSA는 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의 약자로,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사운드 드라이버이다. ALS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운드 장치를 초기화해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alsactl init"이다. 이 명령어는 ALSA 설정 파일을 읽어들여 사운드 장치를 초기화하고, ALSA 드라이버를 시작한다. 따라서 ALS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alsactl init" 명령어를 실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alsactl 명령어의 옵션 중 –f를 적용하였을 때, 기본적으로 선택되는 환경 설정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sound.conf
  2. /etc/alsactl.state
  3. /etc/asound.state
  4. /etc/sound.state
(정답률: 40%)
  • 옵션 -f는 alsactl이 사용할 환경 설정 파일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f 옵션을 사용하면 지정한 파일이 alsactl에 의해 읽혀지게 됩니다. 기본적으로는 /etc/asound.state 파일이 선택되어 사용됩니다. 이 파일은 ALSA(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의 설정 파일로, 시스템 전반적인 오디오 설정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alsactl을 사용하여 오디오 설정을 변경하고자 할 때는 이 파일을 수정하거나, -f 옵션을 사용하여 다른 파일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lp –n 5 /etc/passwd 라는 명령어를 실행 하였을 때 해당되는 결과물로 알맞은 것은?

  1. /etc/passwd 파일의 내용이 모두 출력된다.
  2. /etc/passwd 파일의 내용 중 5번째 줄 이하만 출력된다.
  3. /etc/passwd 파일의 내용 중 5번째 줄 이상만 출력된다.
  4. /etc/passwd 파일의 내용이 모두 5장 출력된다.
(정답률: 65%)
  • 정답: "/etc/passwd 파일의 내용 중 5번째 줄 이하만 출력된다."

    lp -n 옵션은 출력할 페이지 수를 지정하는 것이며, 여기서는 5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etc/passwd 파일은 일반적으로 한 페이지 이하의 크기이므로, 이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 중 5번째 줄 이하만 출력합니다. 즉, 파일 전체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만 출력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활용

49. 다음 그림의 디스플레이 매니저로 알맞은 것은?

  1. XDM
  2. KDM
  3. GDM
  4. QDM
(정답률: 55%)
  • 정답은 "XDM"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XDM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KDE, GNOME, Qt 등의 데스크톱 환경과 함께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매니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리눅스 부팅 시에 X 윈도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fstab
  2. /etc/xdm
  3. /etc/inittab
  4. /etc/xorg.conf
(정답률: 66%)
  • 정답은 "/etc/inittab"입니다. 이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의 초기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파일로, 시스템 부팅 시에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파일에서 X 윈도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을 추가하면, 시스템 부팅 시에 X 윈도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데스크톱 환경으로 틀린 것은?

  1. GNOME
  2. KDE
  3. XFce
  4. Mutter
(정답률: 65%)
  • "Mutter"는 데스크톱 환경이 아니라 윈도우 매니저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데스크톱 환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GNOM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TK+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2. GPL 라이선스만 따른다.
  3. GNU 프로젝트에 의해 만들어졌다.
  4. 대표적인 데스크톱 환경이다.
(정답률: 66%)
  • 정답: "GPL 라이선스만 따른다."

    GNOME은 GTK+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GNU 프로젝트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대표적인 데스크톱 환경이다. 그러나 GNOME은 GPL 라이선스뿐만 아니라 LGPL 라이선스와 MPL 라이선스도 따른다. 따라서 "GPL 라이선스만 따른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X 서버에서 X 클라이언트 허가를 위해 생성한 키 값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xauth
  2. xhost
  3. xmodmap
  4. xwininfo
(정답률: 70%)
  • 정답: xauth

    설명: xauth 명령은 X 서버에서 X 클라이언트 허가를 위해 생성한 키 값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X 클라이언트가 X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xhost, xmodmap, xwininfo는 X 서버와 관련된 다른 명령어들이며, xauth와는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X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IP 주소 및 호스트명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xauth
  2. xhost
  3. xmodmap
  4. xwininfo
(정답률: 76%)
  • 정답은 "xhost"입니다.

    xhost 명령은 X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IP 주소 및 호스트명을 확인하고 설정하는 명령입니다. 이 명령을 사용하여 특정 IP 주소나 호스트명을 추가하면 해당 IP 주소나 호스트에서 X 서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X 서버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xauth는 X 서버에서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명령입니다. xmodmap은 X 서버에서 키보드 매핑을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xwininfo는 X 서버에서 윈도우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PDF 문서를 볼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evince
  2. GIMP
  3. totem
  4. eog
(정답률: 63%)
  • 정답: evince

    설명: evince는 GNOME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되는 문서 뷰어로, PDF, PostScript, DjVu, TIFF 등 다양한 형식의 문서를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PDF 문서를 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GIMP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totem은 동영상 플레이어, eog는 이미지 뷰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은 X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창을 확인하는 명령이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echo DISPLAY
  2. echo $DISPLAY
  3. echo XTERM
  4. echo $XTERM
(정답률: 67%)
  • 정답: echo $DISPLAY

    이유: X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X 서버와 통신하여 실행되기 때문에, 실행되는 창의 디스플레이 환경 변수를 확인해야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환경 변수는 $DISPLAY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echo $DISPLAY 명령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LAN 구성 방식 중 버스(Bus)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나의 통신회선에 여러 컴퓨터를 연결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2. 연결되는 컴퓨터의 수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이 좌우된다.
  3. 단말기의 추가 및 제거가 어렵지만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4. 신호 반사에 의한 상호 간섭을 막기 위해 종단에는 종단기(Terminator)가 필요하다.
(정답률: 67%)
  • 버스(Bus)형은 단말기의 추가 및 제거가 어렵지만 설치비용이 저렴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버스형은 하나의 통신회선에 여러 컴퓨터를 연결해서 전송하는 방식이며, 연결되는 컴퓨터의 수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이 좌우됩니다. 또한 신호 반사에 의한 상호 간섭을 막기 위해 종단에는 종단기(Terminator)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버스형은 단말기를 추가하거나 제거하기가 어려워 유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구성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100Mbps의 전송속도에 전송매체는 UTP-5 또는 STP를 사용하는 케이블로 알맞은 것은?

  1. 100BASE-2
  2. 100BASE-5
  3. 100BASE-TX
  4. 100BASE-FX
(정답률: 55%)
  • 100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UTP-5 또는 STP 케이블은 100BASE-TX입니다. 100BASE-2는 10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케이블이며, 100BASE-5는 100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지만 케이블의 길이 제한이 있습니다. 100BASE-FX는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으로, UTP-5 또는 STP 케이블과는 다른 전송매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송 매체를 광섬유 케이블(Optical Fiber Cable)을 사용하여 설계된 링 구조의 통신망으로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해 토큰 패싱 방법을 사용한다. 1982년 10월에 미국표준협회의 X3T9.5 커미티에서 표준화되었고, ISO 규격으로 승인되었다."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Token Ring
  2. FDDI
  3. X.25
  4. Ethernet
(정답률: 45%)
  • 전송 매체로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고 링 구조의 통신망에서 토큰 패싱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FDD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이더넷 환경에서 다중 접속의 반송파 감지 및 충돌 탐지 방식을 뜻하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CSMA/CA
  2. CSMA/CD
  3. FDDI
  4. DQDB
(정답률: 67%)
  • 정답: CSMA/CD

    설명: CSMA/CD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의 약자로, 이더넷 환경에서 다중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을 감지하여 다른 기기가 전송 중인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그러나 충돌이 발생하면 전송을 중단하고 일정 시간 동안 기다린 후 다시 전송을 시도합니다. 이 방식은 이더넷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 중 일반적인 이더넷 연결에 사용하는 T586B의 배열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흰주, 주, 흰녹, 파, 흰파, 녹, 흰갈, 갈
  2. 흰주, 주, 흰녹, 녹, 흰파, 파, 흰갈, 갈
  3. 흰녹, 녹, 흰주, 파, 흰파, 주, 흰갈, 갈
  4. 흰녹, 녹, 흰파, 파, 흰주, 주, 흰갈, 갈
(정답률: 69%)
  • 일반적인 이더넷 연결에 사용하는 T586B의 배열 순서는 "흰주, 주, 흰녹, 파, 흰파, 녹, 흰갈, 갈" 입니다. 이는 568B 표준에 따른 배열 순서로, 이더넷 케이블의 양 끝단을 이어주는 RJ45 커넥터에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이 배열 순서는 데이터 전송 시에 필요한 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정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TCP/IP 관련 계층이 나머지 셋과 틀린 것은?

  1. IMAP
  2. DNS
  3. ICMP
  4. SSH
(정답률: 48%)
  • ICMP는 TCP/IP 모델의 4개 계층 중 어느 하나에도 속하지 않는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IP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ICMP는 TCP/IP 모델의 4개 계층 중 어느 하나에도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OSI 계층으로 알맞은 것은?

  1. (ㄱ)세션계층 (ㄴ)전송계층
  2. (ㄱ)세션계층 (ㄴ)네트워크 계층
  3. (ㄱ)표현계층 (ㄴ)네트워크 계층
  4. (ㄱ)표현계층 (ㄴ)전송계층
(정답률: 56%)
  • (ㄱ)표현계층은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고 암호화/복호화를 담당하며, (ㄴ)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에 따라, 주어진 그림에서는 데이터의 형식 변환과 암호화/복호화를 담당하는 (ㄱ)표현계층과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ㄴ)네트워크 계층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삼바(SAMBA)와 가장 관계가 깊은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CIFS
  2. NFS
  3. IRC
  4. portmap
(정답률: 58%)
  • SAMBA는 리눅스/유닉스 시스템에서 Windows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이 때, SAMBA는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Windows와의 파일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삼바와 가장 관계가 깊은 프로토콜은 CIF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FT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FTP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Proftpd나 Vsftpd 등을 설치해야 한다.
  2. 공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FTP 서버에서는 anonymous라는 계정을 제공한다.
  3. FTP 서버에서는 21번 포트 하나만 열어두면 파일 전송이 가능하다.
  4. ftp라는 클라이언트 명령어를 사용해서 FTP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정답률: 71%)
  • FTP 서버에서는 21번 포트 하나만 열어두면 파일 전송이 가능하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FTP 서버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20번 포트와 제어를 위한 21번 포트 두 개의 포트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두 개의 포트를 열어두어야 파일 전송이 가능합니다.

    FTP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Proftpd나 Vsftpd 등을 설치해야 하며, 공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FTP 서버에서는 anonymous라는 계정을 제공합니다. 또한 ftp라는 클라이언트 명령어를 사용해서 FTP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ssh 명령을 이용해서 IP주소가 192.168.12.22번인 ssh 서버를 접속하려고 한다. 다음 중 현재 계정인 posein이 아닌 yuloje 계정으로 변경하여 접속할 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l yuloje
  2. -r yuloje
  3. -p yuloje
  4. -u yuloje
(정답률: 50%)
  • 정답은 "-l yuloje"이다. "-l" 옵션은 로그인할 사용자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l yuloje"는 yuloje 사용자로 로그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r", "-p", "-u" 옵션은 각각 원격지 경로, 포트번호, 사용자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이므로 현재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파일 전송 및 다운로드 진행상황을 ‘#’으로 확인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FTP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bi
  2. sharp
  3. hash
  4. status
(정답률: 62%)
  • 정답은 "hash"입니다.

    FTP에서 파일 전송 및 다운로드 진행상황을 확인하려면 "hash" 명령을 사용합니다. 이 명령은 파일 전송 중에 전송된 바이트 수를 #으로 표시하여 진행 상황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파일 전송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IRC
  2. CIFS
  3. RPC
  4. imap
(정답률: 54%)
  • 이 그림은 Remote Procedure Call (RPC) 프로토콜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RPC는 네트워크 상에서 프로그램 간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해당 요청에 대한 결과를 반환해주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RPC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답은 "RP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텔넷(Telne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격지에 있는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2. 텔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계정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3. 텔넷의 포트 번호는 23번이다.
  4. 평문 전송을 하여 SSH보다 보안상 안전하다.
(정답률: 73%)
  • 텔넷은 평문 전송을 하기 때문에 SSH보다 보안상 취약하다. SSH는 암호화된 통신을 제공하여 보안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C 클래스 주소 대역에서 넷마스크값을 255.255.255.192로 설정했을 경우에 서브넷에 속한 전체 호스트의 개수로 알맞은 것은?

  1. 64
  2. 128
  3. 192
  4. 256
(정답률: 66%)
  • C 클래스 주소 대역은 192.0.0.0 ~ 223.255.255.255 이다. 넷마스크값을 255.255.255.192로 설정하면 6비트가 서브넷을 위한 비트로 사용되므로 총 2^6 = 64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다. 각 서브넷마다 호스트 주소를 할당할 수 있으므로 각 서브넷마다 최대 호스트 수는 2^6 - 2 = 62개가 된다. 따라서 전체 호스트 수는 64개의 서브넷에 각각 62개의 호스트를 할당할 수 있으므로 64 * 62 = 3968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조건일 경우에 사용 가능한 호스트 IP 주소 개수로 알맞은 것은?

  1. 255
  2. 254
  3. 253
  4. 252
(정답률: 46%)
  • 주어진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이므로, 호스트 부분의 비트는 8개이다. 따라서 호스트 IP 주소 개수는 2의 8승에서 2개(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뺀 256-2=254개이다. 하지만 첫 번째 IP 주소와 마지막 IP 주소는 각각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사용되므로, 사용 가능한 호스트 IP 주소 개수는 254-2=252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252"가 아닌 "2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새로운 네트워크 주소 설정을 위해 기존의 네트워크 주소를 삭제하는 예제로 알맞은 것은?

  1. route del net 192.168.12.0 netmask 255.255.255.0
  2. route del -net 192.168.12.0 netmask 255.255.255.0
  3. route del default net 192.168.12.0 netmask 255.255.255.0
  4. route del default -net 192.168.12.0 netmask 255.255.255.0
(정답률: 41%)
  • 정답: "route del -net 192.168.12.0 netmask 255.255.255.0"

    이유:
    - route: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하는 명령어
    - del: 삭제(delete)를 의미하는 옵션
    - -net: 삭제할 대상이 네트워크(network)임을 나타내는 옵션
    - 192.168.12.0: 삭제할 대상의 네트워크 주소(network address)
    - netmask 255.255.255.0: 삭제할 대상의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값

    따라서, "route del -net 192.168.12.0 netmask 255.255.255.0"는 라우팅 테이블에서 192.168.12.0/24 네트워크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이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 주소를 삭제하고, 새로운 네트워크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상황과 가장 관계가 깊은 netstat 명령의 State값으로 알맞은 것은?

  1. SYS-SENT
  2. ESTABLISHED
  3. SYN_RECEIVED
  4. CLOSED
(정답률: 46%)
  • 이 상황에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SYN 패킷을 받아들인 상태이므로, netstat 명령의 State값은 "SYN_RECEIVED"가 가장 관계가 깊다. 이 값은 TCP 연결 설정 과정 중에서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SYN 패킷을 받아들인 상태를 나타내며, 이후에는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ACK 패킷을 보내고 연결이 완료되면 "ESTABLISHED" 상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시스템에 설정되어 있는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arp
  2. ifconfig
  3. ethtool
  4. netstat
(정답률: 50%)
  • 정답은 "netstat"입니다.

    "arp"는 주소 해결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을 사용하여 IP 주소를 물리적인 MAC 주소로 매핑하는데 사용되며,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i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하는 데에는 "-a" 옵션을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지만, 이 명령어는 최근 버전의 운영체제에서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ethtool"은 이더넷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netstat"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r" 옵션을 사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여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명령어가 가장 알맞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arp
  2. ifconfig
  3. mii-tool
  4. ethtool
(정답률: 54%)
  • "ethtool"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확인하고 제어하는 명령어이다. 위의 그림에서는 Ethernet 인터페이스의 속도, 전이중/반이중 설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데 가장 적합한 명령어는 "ethtool"이다.

    - "arp": ARP 캐시 테이블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명령어
    -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넷마스크, MAC 주소 등을 확인하고 설정하는 명령어
    - "mii-tool": Ethernet 인터페이스의 미디어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

  1. /etc/hosts
  2. /etc/host.conf
  3. /etc/sysconfig/network
  4. /etc/resolv.conf
(정답률: 48%)
  • 이미지에서 보이는 명령어는 "cat"으로, 해당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괄호 안에는 출력하고자 하는 파일명이 들어가야 한다. "/etc/hosts"는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파일로, 이 파일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고자 할 때 "/etc/hosts"를 입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에서 설명하는 클러스터링 기술로 알맞은 것은?

  1. 고계산용 클러스터
  2. 부하분산 클러스터
  3. 고가용성 클러스터
  4. 임베디드 클러스터
(정답률: 37%)
  • 이 그림은 고성능 컴퓨팅을 위한 고계산용 클러스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고계산용 클러스터는 대규모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를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며, 각 컴퓨터는 고성능의 CPU와 메모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고성능 컴퓨팅이 가능해지며, 대용량 데이터 처리나 과학기술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고계산용 클러스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고계산용 클러스터
  2. 부하분산 클러스터
  3. 고가용성 클러스터
  4. 임베디드 시스템
(정답률: 64%)
  • 이 그림은 작은 컴퓨터와 다양한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기기들은 모두 작은 용량과 낮은 전력 소비를 필요로 하며, 특정한 목적을 위해 설계된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이 그림은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빅데이터 관련 기술 중 분석된 데이터의 의미와 가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술로 알맞은 것은?

  1. Hadoop
  2. R
  3. NoSQL
  4. HBase
(정답률: 46%)
  • 정답은 "R"입니다. R은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에 특화된 프로그래밍 언어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그래프와 차트를 제공합니다. Hadoop은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분산 시스템, No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다른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하며, HBase는 NoSQL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로, 대용량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에서 설명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알맞은 것은?

  1. IaaS
  2. SaaS
  3. PaaS
  4. DaaS
(정답률: 58%)
  • 이 그림은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즉,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정답은 "Iaa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