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9-13)

리눅스마스터 2급
(2014-09-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다음 명령어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단, 해당명령어는 ihd유저로 실행하였다. 각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이름과 동일한 그룹에만 소속되어 있다.)

  1. ihd 사용자는 ihd 파일에 대해서만 실행권한을 갖고, ihd2 파일을 실행할 수 없다.
  2. 해당 디렉토리에 대한 권한이 없기 때문에 퍼미션은 변경되지 않는다.
  3. staff 그룹은 ihd2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4. 모든 사용자는 ihd 파일을 ihd 사용자의 권한으로 실행할 수 있다.
(정답률: 65%)
  • 해당 명령어는 "chmod g+x ihd"로, 현재 디렉토리에서 ihd 파일의 그룹에 실행 권한을 추가하는 명령어이다. 이는 ihd 사용자와 같은 그룹에 속한 다른 사용자들도 ihd 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든 사용자는 ihd 파일을 ihd 사용자의 권한으로 실행할 수 있다."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home/user1를 포함한 하위디렉토리 및 파일의 소유자를 white로 변경하고자 할 때 알맞은 것은?

  1. chsh -R white /home/user1
  2. chmod -R white /home/user1
  3. chown -R white /home/user1
  4. chuser -R white /home/user1
(정답률: 84%)
  • 해당 디렉토리와 파일의 소유자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chown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R 옵션을 사용하여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까지 모두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하고자 하는 소유자를 지정해주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chown -R white /home/user1"이다.

    - chsh: 사용자의 쉘을 변경하는 명령어
    - chmod: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 chuser: 사용자의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어 (하지만 리눅스에서는 chown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명령어의 결과로 ihd.sh 스크립트에 SetUID의 설정으로 틀린 것은?

  1. chmod 3755 ihd.sh
  2. chmod 4755 ihd.sh
  3. chmod 5755 ihd.sh
  4. chmod 6755 ihd.sh
(정답률: 68%)
  • 정답은 "chmod 5755 ihd.sh"입니다.

    chmod 3755 ihd.sh: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가지고 있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와 실행 권한만 가지고 있으며, SetUID가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chmod 4755 ihd.sh: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 SetUID 권한을 가지고 있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와 실행 권한만 가지고 있습니다.

    chmod 5755 ihd.sh: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 SetUID, SetGID 권한을 가지고 있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와 실행 권한만 가지고 있습니다. SetGID가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chmod 6755 ihd.sh: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 SetUID, SetGID, Sticky Bit 권한을 가지고 있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와 실행 권한만 가지고 있습니다. Sticky Bit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chmod 3755 ihd.sh"가 정답입니다. 이는 소유자는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 가지고 있으며, SetUID가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리눅스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디렉토리 파일은 파일 및 디렉토리의 이름뿐 아니라 해당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한 포인터가 들어있는 파일이다.
  2. 일반파일은 텍스트, 또는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 할 수 있다.
  3. 파일확장자의 의미가 없으며, 파일 속성을 변경하여 실행 파일로 사용할 수 있다.
  4. 파일명내에 공백이나 필드분리자를 포함할수있다.
(정답률: 73%)
  • "파일확장자의 의미가 없으며, 파일 속성을 변경하여 실행 파일로 사용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는 파일 확장자가 없어도 파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파일 속성을 변경하여 실행 파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일부 파일에 한정되며, 일반적으로는 실행 파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파일이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 파일이어야 합니다.

    파일명 내에 공백이나 필드 분리자를 포함할 수 있는 이유는, 리눅스에서는 파일명을 문자열로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일명에 공백이나 필드 분리자가 포함되어 있어도, 이를 문자열로 인식하여 파일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명령어의 빈칸에 알맞은 내용으로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알맞은 것은?(조건 : IDE 방식의 P-ATA에 연결된 2번째 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을 ext4 파일시스템 형식으로 read-only 옵션을 주어 마운트하려고 한다.)

  1. ⓐ ext4 - ⓑ /dev/hda1
  2. ⓐ ext4 - ⓑ /dev/hdb1
  3. ⓐ /dev/hda1 - ⓑ ext4
  4. ⓐ /dev/hdb1 - ⓑ ext4
(정답률: 70%)
  • "ⓐ ext4 - ⓑ /dev/hdb1"이 정답이다.

    - "ⓐ ext4" : 첫번째 빈칸에는 파일시스템 형식을 지정하는데, 문제에서는 ext4 파일시스템 형식을 사용하라고 명시하고 있다.
    - "ⓑ /dev/hdb1" : 두번째 빈칸에는 마운트할 디스크와 파티션을 지정하는데, 문제에서는 IDE 방식의 P-ATA에 연결된 2번째 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을 사용하라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dev/hdb1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home 파일시스템의 무결성에 문제가 생겨 파일 시스템 체크를 하고자 한다. e2fsck 명령어의 모든 질문에 yes 라는 답변으로 반복하여 처리하고자 할 경우 사용하여야 할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e2fsck -y /home
  2. e2fsck -Y /home
  3. e2fsck -f /home
  4. e2fsck –9F /home
(정답률: 78%)
  • 정답: e2fsck -y /home

    이유: e2fsck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 체크를 수행하는 명령어이다. -y 옵션은 모든 질문에 yes 라는 답변으로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home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에 문제가 생겨 파일 시스템 체크를 하고자 할 경우 e2fsck -y /home 명령어를 사용하여 모든 질문에 자동으로 yes 라는 답변으로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MS-DOS의 chkdsk 명령어나 Windows 운영체제의 디스크검사와 유사한 기능의 리눅스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fdisk
  2. chkconfig
  3. parted
  4. e2fsck
(정답률: 63%)
  • 정답: e2fsck

    설명: e2fsck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 중 ext2, ext3, ext4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스크 검사 및 복구 도구입니다. chkdsk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여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손상된 파일 시스템을 복구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e2fsck가 MS-DOS의 chkdsk나 Windows 운영체제의 디스크 검사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리눅스 명령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mount 명령어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디스크의 파티션을 생성·삭제·확인하는데 사용한다.
  2. 파일시스템의 무결성 오류를 수정할 때 사용한다.
  3. 파티션의 파일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4. CD-ROM과 같은 광학드라이브를 /mnt 같은 디렉토리에 붙여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정답률: 77%)
  • CD-ROM과 같은 광학드라이브를 /mnt 같은 디렉토리에 붙여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 mount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연결)하는데 사용되며, CD-ROM과 같은 광학 드라이브를 /mnt 같은 디렉토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권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chown
  2. chmod
  3. chfile
  4. chdir
(정답률: 76%)
  • 정답: chown

    설명: chown은 "change owner"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chown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home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df –9k /home
  2. df -sk /home
  3. du –sk /home
  4. dd –9k /home
(정답률: 76%)
  • 정답은 "du –sk /home"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df –9k /home":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한 공간과 사용 중인 공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home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은 아닙니다.
    - "df -sk /home":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한 공간과 사용 중인 공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home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은 아닙니다.
    - "du –sk /home": /home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s 옵션은 하위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합산하여 보여주고, -k 옵션은 결과를 킬로바이트 단위로 보여줍니다.
    - "dd –9k /home": /home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가 아닙니다. dd 명령어는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시스템에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여 사용하려 할 때의 사용되는 명령어의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mkfs -> fdisk -> mount
  2. mkfs -> mount -> fdisk
  3. mount -> mkfs -> fdisk
  4. fdisk -> mkfs -> mount
(정답률: 74%)
  • 정답은 "fdisk -> mkfs -> mount" 입니다.

    먼저 fdisk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이후 mkfs 명령어를 사용하여 해당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마지막으로 mount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합니다. 이 순서를 따르지 않으면 파일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거나 마운트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ihd 사용자의 .bash_profile의 내용을 복사하여 .bashrc 파일을 새로 생성하려할 때 사용할 수 없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단, 현재 로그인한 유저는 ihd 이다.)

  1. cp ${HOME}/.bash_profile ${HOME}/.bashrc
  2. cp $HOMEDIR/.bash_profile $HOMEDIR/.bashrc
  3. cp ~ihd/.bash_profile ~ihd/.bashrc
  4. cp ~/.bash_profile ~/.bashrc
(정답률: 52%)
  • "cp $HOMEDIR/.bash_profile $HOMEDIR/.bashrc"은 사용할 수 없는 명령어이다. 이유는 $HOMEDIR 변수가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HOME} 변수를 사용해야 한다. ${HOME} 변수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경로를 나타내는 환경 변수이다. 따라서 "cp ${HOME}/.bash_profile ${HOME}/.bashrc"이 올바른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리눅스시스템에서 xclock 이라는 명령어의 결과 localhost 3번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계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었다. 이 경우 DISPLAY 변수의 설정 값으로 알맞은 것은?

  1. export DISPLAY=:0.0
  2. export DISPLAY=:3.0
  3. export DISPLAY=3:0.0
  4. export DISPLAY=3:
(정답률: 68%)
  • xclock 명령어는 X Window System을 사용하여 GUI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명령어이다. 이때 DISPLAY 변수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를 지정하는 환경 변수이다.

    위의 상황에서 xclock 명령어가 localhost 3번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계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었으므로, DISPLAY 변수는 ":3.0"으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export DISPLAY=:3.0"이다. 이는 DISPLAY 변수를 현재 쉘에서만 유효한 환경 변수로 설정하고, 값으로 ":3.0"을 할당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리눅스시스템에서 history | wc –{l의 명령어의 결과가 100 으로 표시되었다. 이 값이 나오도록 먼저 실행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export HISTFILESIZE=100
  2. export HISTSIZE=100
  3. export HISTLENGTH=100
  4. export HISTLIST=100
(정답률: 77%)
  • 정답: "export HISTSIZE=100"

    설명:
    - history 명령어는 이전에 실행한 명령어들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 "|" 기호는 앞의 명령어의 결과를 뒤의 명령어의 입력으로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 wc 명령어는 입력된 텍스트의 라인 수, 단어 수, 문자 수 등을 세는 역할을 한다.
    - "-l" 옵션은 라인 수만을 출력하도록 지정한다.
    - 따라서 "history | wc -l" 명령어는 이전에 실행한 명령어들의 라인 수를 출력한다.
    - "export HISTSIZE=100" 명령어는 history 명령어에서 보여줄 이전 명령어의 최대 개수를 100으로 지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이전 명령어의 개수가 100개로 제한되어 history | wc -l 명령어의 결과가 100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리눅스시스템에서 파일을 삭제할 때 실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말 삭제할 것인지 묻도록 설정하고자 한다. 다음 중 올바른 설정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alias rm=rm –{i
  2. alias rm='rm -i'
  3. alias rm=(rm –9i)
  4. alias rm=`rm –9i`
(정답률: 82%)
  • 정답: "alias rm='rm -i'"

    해설: "alias rm='rm -i'"는 rm 명령어를 실행할 때마다 -i 옵션을 추가하여 삭제 여부를 묻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실수로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올바른 설정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현재 사용자의 로그인 쉘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csh
  2. chsh
  3. chshell
  4. changesh
(정답률: 83%)
  • 정답은 "chsh"입니다.

    "chsh"는 "change shell"의 약자로, 현재 사용자의 로그인 쉘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기본 쉘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거나 오타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사용자가 로그인후 입력한 명령어의 리스트를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history
  2. command
  3. cmds
  4. listcmd
(정답률: 85%)
  • 정답은 "history"입니다. "history" 명령어는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를 다시 사용하거나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mmand", "cmds", "listcmd"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etc/profile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시스템 전체(모든 사용자)에 적용되는 환경변수와 시작관련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2. 시스템 전체(모든 사용자)에 적용되는 alias와 함수를 설정한다.
  3. 개인사용자의 환경설정과 시작프로그램 설정과 관련이 있는 파일로 로그인시에 읽어 들인다.
  4. 개인 사용자가 정의한 alias와 함수들이 있는 파일이다. alias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면 이 파일에 설정한다.
(정답률: 64%)
  • /etc/profile 파일은 시스템 전체(모든 사용자)에 적용되는 환경변수와 시작관련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파일이다. 이 파일은 로그인시에 읽어들여 시스템 전체에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ctrl] + [z] 입력 시에 전송되는 시그널로 알맞은 것은?

  1. SIGHUP
  2. SIGTERM
  3. SIGINT
  4. SIGTSTP
(정답률: 63%)
  • 정답: SIGTSTP

    [ctrl] + [z] 입력 시에 전송되는 시그널은 SIGTSTP이다. 이 시그널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일시 중지시키는 시그널로, 프로세스는 일시 중지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ctrl] + [z] 입력을 통해 프로세스를 다시 실행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의 조건으로 crontab 등록할 때 알맞은 것은?

  1. 0 4 1,3,5 * * /home/ihd/backup.sh
  2. 4 0 * * 1,3,5 /home/ihd/backup.sh
  3. 0 4 * * 1,3,5 /home/ihd/backup.sh
  4. 0 4 1,3,3 * * /home/ihd/backup.sh
(정답률: 82%)
  • 해당 crontab은 "매주 월, 수, 금요일 새벽 4시에 /home/ihd/backup.sh 스크립트를 실행하라"는 의미이다.

    분(hour) : 0

    시(day) : 4

    일(month) : 1,3,5

    요일(week) : *

    즉, 매주 월, 수, 금요일 새벽 4시에 실행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분(hour)과 시(day)의 순서가 바뀌거나, 일(month)이 중복되거나, 요일(week)이 잘못 지정되어 있어 해당 조건에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nice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으로 NI 값을 설정할 때 사용한다.
  2. 일반 사용자만이 NI 값을 감소시켜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다.
  3. NI 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4. NI의 기본값은 0이고, 지정 가능한 값의 범위는 -20 ~ 19까지이다.
(정답률: 77%)
  • 일반 사용자만이 NI 값을 감소시켜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모든 사용자가 NI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만, root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모든 프로세스의 NI 값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보다 더 큰 권한을 가지게 됩니다. NI 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는 설명은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crontab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 : crontab에 설정된 내용을 출력한다.
  2. -e : crontab의 내용을 작성하거나 수정한다.
  3. -r : crontab의 내용을 복사한다.
  4. -u : root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다룰 때 사용한다.
(정답률: 70%)
  • "-r : crontab의 내용을 복사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crontab 명령어에는 -r 옵션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ps의 주요 옵션 중 틀린 것은?

  1. a : 터미널과 연관된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2. u : 프로세스의 소유자를 기준으로 출력한다.
  3. e : 해당 프로세스에 관련된 환경변수 정보를 함께 출력한다.
  4. f : 데몬 프로세스처럼 터미널에 종속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f : 데몬 프로세스처럼 터미널에 종속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이다.

    ps의 주요 옵션 중 f 옵션은 프로세스 간의 부모-자식 관계를 트리 형태로 출력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데몬 프로세스와 같이 터미널에 종속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출력하는 옵션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데몬(daemon)
  2. 클라이언트
  3.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4.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정답률: 87%)
  • "데몬(daemon)"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다른 프로세스들과는 달리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거나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리눅스에서 최초로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PID 1번을 할당받는 프로세스로 알맞은 것은?

  1. shell
  2. init
  3. cron
  4. df
(정답률: 83%)
  • 정답: init

    설명: init 프로세스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최초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로,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init 프로세스는 다른 모든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이며,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를 관리합니다. 따라서 init 프로세스는 PID 1번을 할당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기본 프로세스가 교체되면서 새로운 프로세스로 할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exec
  2. fork
  3. ps
  4. replace
(정답률: 66%)
  • 정답은 "exec"입니다.

    "exec"는 현재 프로세스의 이미지를 새로운 프로세스 이미지로 교체하는 시스템 호출입니다. 이를 통해 현재 프로세스의 기본 프로세스가 교체되면서 새로운 프로세스로 할당됩니다. 이 때, 새로운 프로세스는 현재 프로세스의 메모리 공간을 공유하며, 새로운 코드와 데이터를 로드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 프로세스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데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계속 실행되는 프로세스이다.
  2. 데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법에는 standalone 방식과 inet 방식이 있다.
  3. standalone 방식과 inet 방식은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상주하여 클라이언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4. 리눅스에서는 서버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들이 이에 해당하고 보통 이름 뒤에 데몬을 뜻하는 d를 붙인다.
(정답률: 74%)
  • 정답은 "standalone 방식과 inet 방식은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상주하여 클라이언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이다."가 아니다.

    데몬은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계속 실행되는 프로세스이다. 데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법에는 standalone 방식과 inet 방식이 있다. 리눅스에서는 서버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들이 이에 해당하고 보통 이름 뒤에 데몬을 뜻하는 d를 붙인다. 그러나 standalone 방식과 inet 방식은 모든 관련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상주하는 것이 아니라, standalone 방식은 데몬 프로세스만 메모리에 상주하고, inet 방식은 데몬 프로세스와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가 각각 메모리에 상주하며 통신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kill 옵션 중 시그널의 목록을 확인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l
  2. -u
  3. -p
  4. -a
(정답률: 83%)
  • "-l" 옵션은 kill 명령어에서 시그널의 목록을 확인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시그널의 이름과 해당 시그널에 대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ill -l" 명령어를 실행하면 SIGTERM, SIGKILL, SIGINT 등의 시그널 목록과 각 시그널의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vi 편집기에서 현재 커서가 위치한 문자부터 줄의 끝까지 삭제할 때 'D' 명령을 사용한다. 다음 중 emacs에서도 동일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Alt]+[k]
  2. [Ctrl]+[k]
  3. [Alt]+[d]
  4. [Ctrl]+[p]
(정답률: 60%)
  • 정답: [Ctrl]+[k]

    설명: vi 편집기에서 'D' 명령은 현재 커서 위치부터 줄의 끝까지 삭제하는 명령이다. 이와 유사한 emacs 명령은 '[Ctrl]+[k]'이다. '[Ctrl]+[k]'는 현재 커서 위치부터 줄의 끝까지 삭제하는 명령이다. 이는 vi 편집기에서 'D' 명령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pico 편집기에서 편집된 내용을 저장하는 단축키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Ctrl]+[x]
  2. [Ctrl]+[o]
  3. [Ctrl]+[y]
  4. [Ctrl]+[v]
(정답률: 56%)
  • 정답: "[Ctrl]+[o]"

    설명: pico 편집기에서 "[Ctrl]+[o]"는 현재 편집 중인 파일을 저장하는 단축키 조합입니다. "o"는 "write out"의 약자이며, 현재 편집 중인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따라서, "[Ctrl]+[o]"는 편집된 내용을 저장하는 단축키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리눅스 에디터의 종류와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vi는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편집기로 빌 조이가 개발하였다.
  2. emacs는 리처드 스톨만이 매크로기능이 있는 텍스트 교정 및 편집기로 개발하였다.
  3. pico는 워싱턴대학에서 만든 유닉스용 편집기로 윈도우의 메모장처럼 사용이 간편하다.
  4. nano는 자유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가 아니므로 소스의 수정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78%)
  • "nano는 자유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가 아니므로 소스의 수정이 불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이다. nano는 GNU General Public License (GPL) 라이선스로 배포되는 자유 소프트웨어이며, 소스 코드의 수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vi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vi를 처음 실행하면 명령 모드로 진입한다.
  2. 명령 모드 상태에서 입력 명령을 실행하면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
  3. 입력 모드에서 [%] 키를 누르면 명령 모드로 돌아온다.
  4. 명령 모드에서 ‘:’를 입력하면 화면 아래쪽에 프롬프트가 나타난다.
(정답률: 79%)
  • 입력 모드에서 [%] 키를 누르면 명령 모드로 돌아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이는 입력 모드에서 명령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단축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편집기로 알맞은 것은?

  1. vim
  2. emacs
  3. pico
  4. nano
(정답률: 62%)
  • 이미지에서 보이는 명령어 창이 emacs의 편집기 화면과 유사하다. 따라서 정답은 "emac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vi로 ihd.txt라는 파일을 열면서 커서의 위치를 20번째 줄로 위치시키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

  1. vi + ihd.txt
  2. vi +20 ihd.txt
  3. vi–920 ihd.txt
  4. vi –|r ihd.txt
(정답률: 87%)
  • 정답은 "vi +20 ihd.txt"입니다.

    이유는 "+" 기호를 사용하여 vi 에디터에서 파일을 열면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은 파일을 열면서 20번째 줄로 커서를 이동시키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vi +20 ihd.txt" 명령어를 입력하면 ihd.txt 파일을 열면서 커서가 20번째 줄에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yum 저장소 파일인 CentOS-Base.repo의 주요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base] : yum 패키지 서버의 기본 경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2. [updates] : 업데이트된 패키지를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3. [extras] :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추가 패키지 경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4. [contrib] : 존재하는 패키지들의 기능적 확장과 관련 있는 패키지 경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정답률: 60%)
  • "[contrib] : 존재하는 패키지들의 기능적 확장과 관련 있는 패키지 경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contrib]는 CentOS에서 제공하는 공식 저장소 중 하나로, 기능적 확장과 관련된 패키지를 제공한다. 이 저장소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활성화하려면 CentOS-Base.repo 파일에서 enabled=1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주요 항목 중에서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rpm 패키지를 설치시 의존성을 검사하지 않기 위해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nodeps
  2. --hash
  3. --percent
  4. --noscripts
(정답률: 85%)
  • 정답: "--nodeps"

    설명: "--nodeps" 옵션은 rpm 패키지를 설치할 때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의존성 문제로 인해 패키지 설치가 실패할 수 있지만, 이미 설치된 패키지와 충돌하지 않는다면 강제로 설치할 수 있다. 이 옵션은 의존성 검사를 무시하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nautilus이라는 패키지를 apt-get 명령으로 제거할 때 알맞은 것은?

  1. apt-get remove nautilus
  2. apt-get nautilus remove
  3. apt-get nautilus clean
  4. apt-get clean nautilus
(정답률: 75%)
  • 정답은 "apt-get remove nautilus"입니다.

    "apt-get remove"는 패키지를 제거하는 명령어이고, "nautilus"는 제거하고자 하는 패키지의 이름입니다. 따라서 "apt-get remove nautilus" 명령어를 사용하여 nautilus 패키지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올바른 명령어 형식이 아니거나, nautilus 패키지를 제거하는 명령어가 아니므로 선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totem이라는 패키지를 yum으로 업데이트 할 때 알맞은 것은?

  1. yum update totem
  2. yum search totem
  3. yum list totem
  4. yum update
(정답률: 84%)
  • 정답은 "yum update totem"입니다.

    "yum update"는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업데이트합니다. 하지만 "totem" 패키지만 업데이트하려면 "yum update totem"을 사용해야 합니다.

    "yum search totem"은 시스템에 totem과 관련된 패키지를 검색합니다.

    "yum list totem"은 시스템에 설치된 totem 패키지를 나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yum 명령어 중 ‘High Availability'이라는 그룹과 연관된 패키지 정보를 출력할 때 알맞은 것은?

  1. groupinstall
  2. install
  3. groupinfo
  4. info
(정답률: 75%)
  • 정답은 "groupinfo"입니다.

    "yum groupinfo High Availability" 명령어를 사용하면 High Availability 그룹에 속한 패키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해당 그룹에 속한 패키지의 설명, 의존성, 크기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반면에 "groupinstall"은 해당 그룹에 속한 모든 패키지를 설치하고, "install"은 특정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info"는 특정 패키지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groupinfo"가 가장 알맞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gzip 옵션 중 결과를 표준 출력으로 보낼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d
  2. -l
  3. -c
  4. -9
(정답률: 48%)
  • "-c" 옵션은 gzip 압축을 통해 생성된 결과를 표준 출력으로 보내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로 저장하지 않고도 압축된 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tar 명령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 : 기존의 tar 파일 뒤에 파일을 추가한다.
  2. -C : 디렉토리를 변경할 때 사용한다.
  3. -x : 생성된 tar 파일을 푼다.
  4. -f : 파일이 생성되었을 때의 권한을 그대로 유지하게 해준다.
(정답률: 53%)
  • "-f : 파일이 생성되었을 때의 권한을 그대로 유지하게 해준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이 옵션은 tar 파일을 생성할 때 파일의 권한 정보를 그대로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추후에 tar 파일을 풀 때 파일의 권한 정보가 유지되어 원래 파일과 동일한 권한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make install
  2. gcc
  3. make
  4. configure
(정답률: 58%)
  • 위 그림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configure"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전에 시스템 환경에 맞게 소프트웨어를 설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configure"가 정답입니다. "make"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실행 파일을 만드는 과정을 말하고, "gcc"는 C 언어 컴파일러입니다. "make install"은 컴파일된 실행 파일을 시스템에 설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동일 네트워크상에서 윈도우시스템에 프린터가 공유되어있는데 프린터에 연결하기 위하여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Unix Printer
  2. local
  3. Samba Printer
  4. JetDirect
(정답률: 79%)
  • 정답은 "Samba Printer"입니다. 이유는 Samba는 윈도우와 리눅스/유닉스 간의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윈도우 시스템에서 공유한 프린터를 리눅스/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Samba를 이용하여 연결해야 합니다. 따라서 Samba Printer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리눅스 시스템에서 ihd.txt 라는 문서를 출력하고자 할 때 프린터로 출력물을 받을 수 있는 명령어로 틀린 것은?(단, 프린트 시스템은 cups를 사용하며 1.3 버전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시스템이다.)

  1. lpr ihd.txt
  2. lpr -r ihd.txt
  3. lpr –9q ihd.txt
  4. cat ihd.txt | lpr
(정답률: 51%)
  • 정답: "lpr –9q ihd.txt"

    설명:
    - "lpr ihd.txt": ihd.txt 파일을 기본 프린터로 출력한다.
    - "lpr -r ihd.txt": ihd.txt 파일을 출력하고 출력 대기열에서 제거한다.
    - "lpr –9q ihd.txt": ihd.txt 파일을 출력하되, 우선순위를 9로 설정하고, 출력 대기열에 추가한다.
    - "cat ihd.txt | lpr": ihd.txt 파일의 내용을 표준 출력으로 보내고, 이를 lpr 명령어로 출력한다.

    따라서, ihd.txt 파일을 출력하고자 할 때 프린터로 출력물을 받을 수 있는 명령어는 "lpr –9q ihd.txt"이다. 이는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여 빠르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리눅스 사운드카드 제어 명령에 대한 옵션 설명 중 틀린 것은?

  1. alsactl -f : 사운드카드의 정보를 다시 읽어 들일 때 강제로 복구해온다.
  2. alsactl -v : alsactl 명령어의 버전을 출력한다.
  3. alsactl -h : help모드로 alsactl 명령어의 사용법을 출력한다.
  4. alsactl -d : 디버그 모드를 사용한다.
(정답률: 56%)
  • 정답: alsactl -f : 사운드카드의 정보를 다시 읽어 들일 때 강제로 복구해온다. (틀림)

    해설: alsactl -f 옵션은 사운드카드의 정보를 다시 읽어 들일 때 강제로 복구해오는 것이 아니라, 저장된 mixer 설정 파일을 로드하여 적용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이 옵션은 사운드카드의 상태를 복구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된 설정을 적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리눅스시스템에서 사운드카드의 볼륨을 조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단, 리눅스 사운드시스템으로 ALSA를 사용 중이다.)

  1. alsactl –9v
  2. alsactl -V
  3. alsamixer
  4. volctl
(정답률: 60%)
  • 정답은 "alsamixer"입니다. ALSA는 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의 약자로 리눅스에서 사운드를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 alsamixer는 ALSA의 일부로, 터미널에서 실행되는 사운드 카드의 볼륨을 조정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를 통해 마스터 볼륨, PCM 볼륨, 마이크 볼륨 등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alsactl은 ALSA의 설정을 관리하는 명령어이며, volctl은 볼륨을 조정하는 명령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PCI 슬롯에 새로운 사운드카드를 추가한 후 리눅스 시스템에 인식이 잘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 하고자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lspci
  2. printpci
  3. pciq
  4. pciquery
(정답률: 70%)
  • 정답은 "lspci"입니다.

    lspci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PCI 버스를 통해 연결된 장치들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사운드카드가 PCI 슬롯에 추가되었을 때, lspci를 사용하여 시스템이 해당 장치를 인식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문제가 있는 경우 해당 장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hd.txt 파일의 내용이 /dev/usb/lp0 파일로 덮어씌워져 프린트 장치가 삭제된다.
  2. /dev/usb/lp0 프린터는 USB로 연결되어있다.
  3. ihd.txt 파일의 내용이 /dev/usb/lp0 프린터로 출력된다.
  4. cat ihd.txt | lpr 과 같이 장치명을 쓰지 않아도 출력을 할 수 있다.
(정답률: 69%)
  • "/dev/usb/lp0 프린터는 USB로 연결되어있다."가 틀린 설명이다. /dev/usb/lp0은 USB 프린터를 나타내는 장치 파일이지만, USB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USB 프린터가 아닌 네트워크 프린터나 병렬 포트 프린터도 /dev/usb/lp0으로 표현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활용

49. 다음 중 윈도우 매니저와 설명이 알맞은 것은?

  1. twm : 다른 많은 윈도우 매니저의 조상이며, 최초의 ICCM 윈도우 매니저이다.
  2. Mutter : GNOME 2.x의 기본 윈도우 매니저이다.
  3. Metacity : GNOME 3.x 버전의 기본 윈도우 매니저이다.
  4. hpwm : 고성능(High Performance) 윈도우 매니저이다.
(정답률: 46%)
  • twm은 다른 많은 윈도우 매니저의 조상이며, 최초의 ICCM 윈도우 매니저입니다. ICCM은 Inter-Client Communication Conventions Manual의 약자로, X Window System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규정하는 표준입니다. 따라서 twm은 X Window System에서 윈도우 매니저의 기본적인 기능을 정의하고 있으며, 이후 다른 많은 윈도우 매니저들이 twm을 기반으로 발전해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KDE의 Konqueror 응용프로그램에서 담당하지 않는 기능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파일 관리
  2. E-Mail 관리
  3. ftp 접속
  4. 웹브라우저 접속
(정답률: 76%)
  • 정답은 "파일 관리"입니다. Konqueror는 파일 관리, E-Mail 관리, ftp 접속, 웹브라우저 접속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Konqueror가 담당하지 않는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X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192.168.1.200의 첫 번째 실행된 X 서버의 두 번째 모니터로 전송하는 설정을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export DISPLAY="192.168.1.200:0.1"
  2. export DISPLAY="192.168.1.200:0.2"
  3. export DISPLAY="192.168.1.200:1.0"
  4. export DISPLAY="192.168.1.200:2.0"
(정답률: 62%)
  • 정답: export DISPLAY="192.168.1.200:0.1"

    이유: X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X 서버에 연결하여 실행되는데, 이때 X 서버의 주소를 DISPLAY 환경 변수에 설정해야 한다. "192.168.1.200"는 X 서버의 IP 주소를 나타내고, ":0.1"은 첫 번째 실행된 X 서버의 두 번째 모니터를 나타낸다. 따라서 "export DISPLAY="192.168.1.200:0.1""이 X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192.168.1.200의 첫 번째 실행된 X 서버의 두 번째 모니터로 전송하는 설정을 위한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X 윈도우 설정을 위해 사용하는 명령으로 틀린 것은?

  1. xf86cfg
  2. Xconfigurtator
  3. xwindows-env-setup
  4. system-config-display
(정답률: 42%)
  • 정답은 "xwindows-env-setup"입니다.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X 윈도우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들입니다. "xf86cfg"는 XFree86 설정 도구이며, "Xconfigurator"는 Red Hat Linux에서 사용되는 X 윈도우 설정 도구입니다. "system-config-display"는 Fedora 및 Red Hat Linux에서 사용되는 그래픽 환경 설정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xrun - ⓑ xprocess
  2. ⓐ xstart - ⓑ xwindow
  3. ⓐ startx - ⓑ xinit
  4. ⓐ runx - ⓑ x86
(정답률: 63%)
  • 그래픽 환경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X Window System이 필요하다. X Window System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X 서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startx나 xinit 명령어를 사용한다. 그 중에서도 startx는 더욱 간편하게 X 서버를 시작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 startx - ⓑ xini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오피스 프로그램 패키지의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LibreOffice Writer
  2. LibreOffice Impress
  3. LibreOffice Draw
  4. LibreOffice PowerPoint
(정답률: 67%)
  • 정답: LibreOffice Impress

    설명: LibreOffice Impress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오피스 프로그램 패키지 중 하나로, 프리젠테이션을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LibreOffice Impress와는 다른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들이며, LibreOffice PowerPoint는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윈도우 전용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GNOME의 기반이 되는 라이브러리로 알맞은 것은?

  1. GTK+
  2. QT
  3. Trolltech
  4. Gwenview
(정답률: 66%)
  • 정답: GTK+

    설명: GNOME은 GTK+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한다. GTK+는 GNOME Desktop Environment에서 사용되는 GUI 라이브러리로, C 언어로 작성되었으며,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다. GTK+는 GNOME Desktop Environment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GNOME 데스크톱 기반의 파일 관리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GIMP
  2. nautilus
  3. evince
  4. totem
(정답률: 58%)
  • 정답은 "nautilus"입니다. GNOME 데스크톱 환경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파일 관리 프로그램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GIMP), PDF 뷰어(evince), 동영상 플레이어(tote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에서 설명하는 프로토콜의 기능으로 알맞은 것은?

  1. 흐름제어(Flow Control)
  2. 연결 제어(Connection Control)
  3. 전송 서비스(Transmission Service)
  4. 멀티플렉싱(Multiplexing)
(정답률: 39%)
  • 이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데이터의 크기나 속도 등을 조절하는 흐름제어와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연결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대신에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전송 서비스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프로토콜의 기능은 전송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netstat의 status 결과와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TIME-WAIT : 패킷 처리가 끝났지만 분실 되었을지 모를 느린 세그멘트를 위해 당분간 소켓을 닫고 유지하는 상태
  2. CLOSING : 정상적으로 확인 메시지를 받고 소켓을 종료하는 상태
  3. LAST_ACK : 원격 호스트가 종료를 위해 소켓을 열어놓고 마지막 ACK 패킷을 기다리는 상태
  4. SYS-SENT:로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원격 호스트에 연결을 요청한 상태
(정답률: 46%)
  • netstat의 status 결과가 "SYS-SENT"인 경우, 이는 로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원격 호스트에 연결을 요청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즉,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연결 요청을 보내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에서 설명하는 OSI 7계층 중 해당하는 계층으로 알맞은 것은?

  1. 세션 계층
  2. 표현 계층
  3. 응용 계층
  4. 전송 계층
(정답률: 6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표현 계층에서 처리된다. 표현 계층은 데이터의 표현, 압축, 암호화 등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FDDI
  2. X.25
  3. Ethernet
  4. Token Ring
(정답률: 70%)
  • 위 그림은 Token Ring 네트워크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Token Ring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토큰이라는 신호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각 컴퓨터가 토큰을 받아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시 토큰을 넘기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서 데이터 충돌이나 혼잡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전송이 가능합니다. 이에 반해 FDDI는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X.25은 패킷 교환망을 위한 프로토콜, Ethernet은 CSMA/CD 방식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특징이 있지만 Token Ring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Token R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X.25
  2. FDDI
  3. Token Ring
  4. Ethernet
(정답률: 55%)
  • 이 그림은 패킷 교환 방식의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는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합니다. 이를 위해 패킷에는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주소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바로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입니다.

    그림에서 보면,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 "X.25"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X.25은 고속 패킷 교환망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 프로토콜은 패킷의 주소 정보를 처리하고, 패킷의 전송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X.25이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에서 설명하는TCP/IP 관련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2.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3. IP (Internet Protocol)
  4.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정답률: 67%)
  • 이 그림은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의 패킷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ICMP는 인터넷 상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등의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이는 Type 필드와 Code 필드는 ICMP 메시지의 종류와 세부 정보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회선교환방식 및 패킷교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선교환방식의 대표적인 예가 전화이다.
  2. 패킷교환방식은 이론상 호스트의 무제한 수용이 가능하다.
  3. 회선교환방식은 고정된 대역폭을 할당받아 전송된다.
  4. 패킷교환방식은 회선교환방식에 비해 지연이 덜하다.
(정답률: 61%)
  • 정답은 "패킷교환방식은 회선교환방식에 비해 지연이 덜하다." 이다.

    이유는 패킷교환방식은 데이터를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에 전체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내는 회선교환방식에 비해 지연이 적다. 패킷은 경로를 따라 전송되기 때문에 중간에 혼잡이 발생하면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회선교환방식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IPv4 주소 체계에서 십진 표기법으로 B클래스 서브넷 마스크로 알맞은 것은?

  1. 255.255.255.255
  2. 255.255.255.0
  3. 255.255.0.0
  4. 255.0.0.0
(정답률: 78%)
  • B클래스는 첫 번째 두 개의 옥텟이 네트워크 주소를 나타내고, 세 번째와 네 번째 옥텟이 호스트 주소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B클래스 서브넷 마스크는 첫 번째 두 개의 옥텟이 모두 255이고, 세 번째와 네 번째 옥텟이 0인 형태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5.255.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TCP - ⓑ NIS - ⓒ realmd
  2. ⓐ NIS - ⓑ RPC - ⓒ portmap
  3. ⓐ NAS - ⓑ CIFS - ⓒ xinetd
  4. ⓐ UDP - ⓑ HTTP - ⓒ yum
(정답률: 53%)
  • 주어진 그림은 RPC(Remote Procedure Call)을 사용하는 시스템 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RPC는 분산 시스템에서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해 사용되며,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합니다. 이 때,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해 포트 번호가 필요한데, 이 포트 번호를 관리하는 것이 portmap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NIS - ⓑ RPC - ⓒ portma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route 명령의 항목 중 Flags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U :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2. D : 테이블 엔트리가 설정된 경우, ICMP 리다이렉트 메시지로 운영된다.
  3. P : 테이블 엔트리가설정된경우, ICMP 리다이렉트 메시지에 의해 수정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4. G : 라우트가 게이트웨이로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정답률: 42%)
  • "D : 테이블 엔트리가 설정된 경우, ICMP 리다이렉트 메시지로 운영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D : 테이블 엔트리가 삭제된 경우, ICMP 리다이렉트 메시지로 운영된다."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Flags 중 D는 해당 라우팅 엔트리가 삭제된 경우를 나타내며, ICMP 리다이렉트 메시지를 통해 대체 경로를 찾아야 함을 나타냅니다. P는 테이블 엔트리가 설정된 경우, ICMP 리다이렉트 메시지에 의해 수정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U는 해당 인터페이스가 사용 중임을 나타냅니다. G는 해당 라우팅 엔트리가 게이트웨이로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C 클래스 기준으로 넷마스크 값이 “255.255.255.192“인 경우(4개의 서브넷) 해당 C 클래스 대역 전체에서 호스트가 사용 가능한 IP 주소의 개수로 알맞은 것은?

  1. 256개
  2. 254개
  3. 252개
  4. 248개
(정답률: 47%)
  • 넷마스크 값이 "255.255.255.192"인 경우, 2비트를 서브넷 ID로 사용하므로 4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습니다. 나머지 6비트는 호스트 ID로 사용됩니다. 호스트 ID에서 2개의 주소(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하면 6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숫자를 호스트 ID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6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숫자는 2의 6승인 64개입니다. 그러나 2개의 주소를 제외하므로 호스트가 사용 가능한 IP 주소의 개수는 64-2=62개입니다. 이를 4개의 서브넷에 대해 적용하면 62*4=248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8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에서 네임 서빙을 받는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host.conf
  2. /etc/sysconfig/network
  3. /etc/hosts
  4. /etc/sysconfig/network.conf
(정답률: 40%)
  • 정답: "/etc/host.conf"

    설명: "/etc/host.conf"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네임 서빙을 받는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order"라는 옵션을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order hosts,bind"라고 설정하면 먼저 "/etc/hosts" 파일에서 호스트 이름을 찾고, 그 다음에는 DNS 서버에서 찾습니다. 이 파일은 다른 파일들과 달리 시스템 전체에서 공유되는 파일이므로, 시스템 전체에서 동일한 우선순위가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P 주소는 특수한 번호로 각 컴퓨터마다 고유한 값으로 제공한다.
  2. IPv4는 32비트의 이진 숫자로 구성된다.
  3. IP주소는 0.0.0.0∼255.255.255.255 사이의값을갖는다.
  4. IP 주소는 첫 4비트 영역의 값에 따라 A, B, C, D 총 4개의 클래스로 나뉜다.
(정답률: 61%)
  • IP 주소는 첫 4비트 영역의 값에 따라 A, B, C, D 총 4개의 클래스로 나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현재는 클래스 대신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를 사용하여 IP 주소를 구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도메인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는 아직 한글 도메인을 허가하지 않는다.
  2. 최상위 도메인은 kr(대한민국), us(미국)과 같은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만 사용한다.
  3. 도메인은 루트 도메인 아래에 역트리 형태의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다.
  4. 우리나라의 국가인터넷 주소는 반드시 국가 도메인인 kr 앞에 기관의 성격을 나타내는 co, or 등을 반드시 표기하여야 한다.
(정답률: 47%)
  • 도메인은 인터넷 주소 체계에서 루트 도메인을 기준으로 역트리 형태의 계층적 구조로 구성되며, 각 계층은 점(.)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www.example.com에서 com은 최상위 도메인이고, example은 com의 서브도메인이며, www는 example의 서브도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TCP 프로토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결지향 전송 프로토콜이다.
  2. UDP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3. 안전성과 신뢰성이 뛰어나다.
  4. 3-way handshaking 연결 방식을 갖는다.
(정답률: 70%)
  • TCP 프로토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UDP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이다. TCP는 연결 지향적이며 안전성과 신뢰성이 높은 프로토콜이지만, 이러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오버헤드가 발생하므로 UDP에 비해 속도가 느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www 기반의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웹브라우저로 틀린 것은?

  1. 파이어폭스
  2. 갈레온
  3. 컨쿼러
(정답률: 57%)
  • 리눅스에서는 빔을 웹브라우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빔은 텍스트 편집기로, 웹브라우저가 아닙니다. 따라서 "빔"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ftp 명령어와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upload : 로컬시스템에 있는 파일을 원격의 서버로 전송한다. send 명령과 동일하다.
  2. move : 접속된 서버의 디렉토리를 이동한다.
  3. get : 원격의 서버에 있는 파일을 로컬시스템으로 가져온다.
  4. open : 파일을 열어서 사용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60%)
  • get 명령어는 FTP 클라이언트가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원격 서버에 있는 파일을 로컬 시스템으로 가져오는 명령어입니다. 즉, 다운로드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하드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o : 로컬 루프백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장치이며, IP는 127.0.0.1로 설정된다.
  2. dl0 : 패러럴 포트로 구동되는 포켓 어댑터 장치
  3. ppp0 : 패러럴 케이블을 사용하는 패러럴 라인 인터페이스 장치
  4. eth0 : 이더넷 카드 인터페이스 장치
(정답률: 47%)
  • 정답은 "dl0 : 패러럴 포트로 구동되는 포켓 어댑터 장치"이다.

    ppp0은 패러럴 케이블을 사용하는 패러럴 라인 인터페이스 장치로,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PPP(Point-to-Point Protocol)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lo는 로컬 루프백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장치로, 자신의 IP 주소인 127.0.0.1로 통신할 수 있다.

    eth0은 이더넷 카드 인터페이스 장치로,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관련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iptables
  2. route
  3. ethtool
  4. netchange
(정답률: 56%)
  • 이 명령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는 명령입니다. 예를 들어, 이 명령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의 속도, 전이중/반이중 모드, MAC 주소 등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방화벽 설정, 라우팅 테이블 설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등과 관련된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tracettl
  2. traceroute
  3. tracegw
  4. traceping
(정답률: 67%)
  • 이 그림은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이 어떤 경로로 전달되는지를 확인하는 명령어를 실행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패킷이 거쳐가는 라우터들의 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가 "traceroute" 입니다. "tracerttl"은 TTL 값을 변경해가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찾는 명령어이고, "tracegw"는 게이트웨이를 찾는 명령어입니다. "traceping"은 ICMP 패킷을 이용하여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서버 가상화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생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알맞은 것은?

  1. virbr0
  2. ppp0
  3. plip0
  4. dl0
(정답률: 68%)
  • 정답: "virbr0"

    서버 가상화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가상 머신들이 호스트와 통신하기 위한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생성됩니다. 이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virbr0"입니다. 이는 "Virtual Bridge 0"의 약자로, 가상 머신들이 호스트와 통신하기 위한 가상 브리지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virbr0"이 서버 가상화 프로그램에서 생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알맞습니다. "ppp0", "plip0", "dl0"은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에서 설명하는 클러스터 기법으로 알맞은 것은?

  1. Linux Virtual Server Cluster
  2. High Availability Cluster
  3. Beowulf Cluster
  4. Super Computing Cluster
(정답률: 46%)
  • 이 그림은 "Linux Virtual Server Cluster"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클러스터 기법은 여러 대의 서버를 하나의 가상 서버로 묶어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서버의 가용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버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서버가 이를 대신하여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켜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윈도 모바일
  2. 심비안
  3. IOS
  4. 안드로이드
(정답률: 70%)
  • 이 보기는 모바일 운영체제(OS)를 나타내는 것이며, "윈도 모바일", "심비안", "IOS", "안드로이드" 중에서 안드로이드는 구글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리눅스 표준화 동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리눅스는 POSIX(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표준에 따른다.
  2. 리눅스는 운영체제와 관련한 국제 표준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운영체제이다.
  3. 리눅스는 UNIX와의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 UNIX의 소스코드를 재활용하여 개발·배포 되어진다.
  4. 리눅스는 인터넷 프로토콜 표준 등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한 국제 표준을 채용하고 있다.
(정답률: 48%)
  • "리눅스는 UNIX와의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 UNIX의 소스코드를 재활용하여 개발·배포 되어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리눅스는 UNIX와의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 UNIX의 소스코드를 재활용하지 않습니다. 리눅스는 UNIX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완전히 다른 운영체제입니다. 리눅스는 POSIX(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표준을 따르며, 운영체제와 관련한 국제 표준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 프로토콜 표준 등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한 국제 표준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