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전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22)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전산학개론
(2010-05-22 기출문제)

목록

1. 서로 다른 유형의 공간 데이터를 공유할 목적으로 1992년에 개발되어 미국, 한국 등에서 사용하는 국가지리정보데이터 교환 표준은?

  1. DXF
  2. DIGEST
  3. SDTS
  4. GDF
(정답률: 90%)
  • SDTS는 Spatial Data Transfer Standard의 약자로, 서로 다른 유형의 공간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국제 표준이다. 이 표준은 1992년에 개발되었으며, 미국과 한국 등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SDTS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메타데이터(Metadata)는 데이터의 내용, 품질, 조건, 기타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는 배경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의 역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용가능성(Availability)
  2. 관리정보(Administration)
  3. 최적경로탐색(Optimal path finding)
  4. 사용적절성(Fitness for use)
(정답률: 79%)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배경 정보를 설명하는 역할을 하며, 데이터의 내용, 품질, 조건, 사용 가능성 등을 제공한다. 하지만 최적경로탐색은 데이터의 배경 정보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을 의미하므로 메타데이터의 역할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행정구역의 명칭이 변경된 때에 소관청이 시⋅도지사를 경유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행정구역의 코드변경을 요청해야 하는 시기는?

  1. 행정구역변경일 7일전까지
  2. 행정구역변경일 10일전까지
  3. 행정구역변경일 14일전까지
  4. 행정구역변경일 30일전까지
(정답률: 93%)
  • 행정구역의 명칭이 변경되면 해당 행정구역의 코드도 변경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소관청은 시⋅도지사를 경유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행정구역의 코드변경을 요청해야 합니다. 이때, 행정구역의 변경일로부터 10일 전까지 요청을 해야 합니다. 이는 변경일 이전에 코드 변경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행정구역변경일 10일전까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지적전산화 작업을 통해 수치파일을 작성하는 경우,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레이어의 지정형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필지 경계선은 Line으로 지정된다.
  2. 행정구역 명칭은 Text로 지정된다.
  3. 지번은 Polygon으로 지정된다.
  4. 도곽선은 Line으로 지정된다.
(정답률: 91%)
  • 지번은 Polygon으로 지정된다는 것은 옳은 것이다. 이는 지번이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지역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필지 경계선은 Line으로 지정되고, 도곽선도 Line으로 지정된다. 행정구역 명칭은 Text로 지정되는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적지선정 등에 이용할 수 있는 분석방법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주제도를 결합하거나 공통의 공간 영역을 하나의 결과물로 도출하는 분석방법은?

  1. Spaghetti 분석
  2. Fillet 분석
  3. TIN 분석
  4. Overlay 분석
(정답률: 88%)
  • Overlay 분석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주제도를 결합하거나 공통의 공간 영역을 하나의 결과물로 도출하는 분석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리정보를 다룰 때 매우 유용하며, 예를 들어 도시 계획에서는 도로, 건물, 공원 등의 정보를 결합하여 최적의 위치를 선정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Overlay 분석이다. Spaghetti 분석은 지리정보를 시각화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Fillet 분석은 지형 분석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TIN 분석은 지형 모델링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공간정보의 호환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 표준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모형 표준
  2. 데이터 교환 표준
  3. 데이터 출력 표준
  4. 데이터 내용 표준
(정답률: 73%)
  • 데이터 출력 표준은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식에 대한 표준이며, 공간정보의 호환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 표준의 유형이 아닙니다. 데이터 모형 표준은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표준, 데이터 교환 표준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에 대한 표준, 데이터 내용 표준은 데이터의 내용에 대한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적도면을 전산화할 때 도면접합 불일치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도면축척의 다양성
  2. 원점좌표계의 상이
  3. 지적도면의 변형
  4. 지목의 변경
(정답률: 91%)
  • 지목의 변경은 지적도면을 전산화할 때 도면접합 불일치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지목의 변경이 도면의 위치나 크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도면축척의 다양성, 원점좌표계의 상이, 지적도면의 변형은 모두 도면의 위치나 크기와 관련된 요소들이므로 도면접합 불일치의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구 관측을 목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인공위성 중 수동적 센서(Passive sensor)를 탑재하지 않은 것은?

  1. Landsat 위성
  2. SPOT 위성
  3. IKONOS 위성
  4. Radarsat 위성
(정답률: 66%)
  • Radarsat 위성은 수동적 센서가 아닌 활동적 센서인 레이더(Radar)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주어진 조건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Landsat 위성, SPOT 위성, IKONOS 위성은 모두 수동적 센서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언더슈트(Undershoot)나 오버슈트(Overshoot)가 발생하는 작업에 해당되는 것은?

  1. 벡터데이터의 편집
  2. DEM을 이용한 3차원 모델링
  3. 위성영상을 이용한 주제도 작성
  4. 래스터데이터의 편집
(정답률: 92%)
  • 언더슈트나 오버슈트는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처리나 변환 작업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데이터의 정확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벡터데이터의 편집 작업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라인을 이동시키거나 노드를 추가/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언더슈트나 오버슈트가 발생하면, 라인이나 노드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보다 더 멀리 이동하거나, 라인이나 노드가 겹쳐져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벡터데이터의 편집 작업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중하게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간정보의 데이터 구조는 벡터 구조와 래스터 구조가 있다. 이들 데이터 구조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벡터데이터는 네트워크 연결에 의한 지리적 요소의 연결 표현이 가능하나 래스터데이터는 네트워크 결합이 곤란하다.
  2. 래스터데이터 구조는 위상관계를 정립하기 용이하여 GIS 툴을 이용한 공간분석에 효과적이다.
  3. 벡터데이터 구조는 래스터데이터 구조에 비하여 데이터 구조가 복잡하다.
  4. 래스터데이터는 레이어의 중첩과 조합이 용이하여 공간 시뮬레이션에 효과적이다.
(정답률: 84%)
  • "래스터데이터 구조는 위상관계를 정립하기 용이하여 GIS 툴을 이용한 공간분석에 효과적이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래스터데이터 구조는 공간 데이터를 격자 형태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격자 내 각 셀의 값이 해당 위치의 속성값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는 공간 데이터의 연속성을 나타내기에 적합하지만, 위상관계를 나타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래스터데이터 구조는 위상관계를 나타내는 공간분석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의 구성 요소인 지적측량성과작성 시스템의 주요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적측량검사 파일 작성
  2. 측량성과 파일 작성
  3. 구획경지정리 산출물 작성
  4. 측량준비도 작성
(정답률: 33%)
  • 지적측량검사 파일 작성은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의 구성 요소인 지적측량성과작성 시스템의 주요 기능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지적측량검사 파일이 지적측량성과작성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적측량검사를 위한 별도의 파일로 작성되기 때문입니다. 지적측량검사 파일은 측량 결과를 검토하고 검사하기 위한 파일로, 측량성과 파일과는 별도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도로명 및 건물번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도로명 및 건물번호부여 관리시스템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구간 입력 및 수정 등 도로를 관리하는 기능
  2. 건물군 정보 입력 및 수정 등 건물을 관리하는 기능
  3. 건물번호판 교부대장 등 도로 및 건물에 관련된 대장을 관리하는 기능
  4. 도로 개설시 도로 보상에 필요한 도로정보 등 보상 대상도로를 등록관리하는 기능
(정답률: 88%)
  • "도로 개설시 도로 보상에 필요한 도로정보 등 보상 대상도로를 등록관리하는 기능"은 도로명 및 건물번호부여 관리시스템의 기능이 아닙니다. 이 기능은 도로 보상 관련 법적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도로명 및 건물번호부여 관리시스템과는 별도로 운영됩니다.

    도로 보상에 필요한 도로정보 등 보상 대상도로를 등록관리하는 기능은 도로명 및 건물번호부여 관리시스템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 기능은 도로 보상 관련 법적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도로명 및 건물번호부여 관리시스템과는 별도로 운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객체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기 위해 필요한 3차원 좌표를 취득할 수 있는 측량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raverse 측량
  2. GPS 측량
  3. 항공사진 측량
  4. 항공라이다 측량
(정답률: 91%)
  • Traverse 측량은 2차원 좌표를 취득하는 방법으로, 3차원 모델링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Traverse 측량입니다. GPS 측량, 항공사진 측량, 항공라이다 측량은 모두 3차원 좌표를 취득할 수 있는 측량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의 주요 구성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군⋅구 서버에서는 엔테라 미들웨어를 사용한다.
  2. 3계층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쳐를 기본구조로 한다.
  3. GIS엔진은 PBLIS나 LMIS에서 사용하던 GOTHIC과 SDE의 활용이 가능하다.
  4. 지적측량성과작성시스템에서 경계점 결선, 경계점 등록, 교차점 계산, 분할 후 결선작업에 대한 결과를 저장하는 파일의 확장자는 *.cif 이다.
(정답률: 87%)
  • 정답은 "GIS엔진은 PBLIS나 LMIS에서 사용하던 GOTHIC과 SDE의 활용이 가능하다."이다. KLIS에서는 GOTHIC이나 SDE 대신 ArcGIS를 사용하고 있다.

    지적측량성과작성시스템에서 *.cif 파일은 경계점 결선, 경계점 등록, 교차점 계산, 분할 후 결선작업에 대한 결과를 저장하는 파일의 확장자이다.

    KLIS는 시⋅군⋅구 서버에서는 엔테라 미들웨어를 사용하며, 3계층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쳐를 기본구조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현실세계를 모델링하는 과정은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로 구분된다. 논리적 설계 모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계층형 모델
  2. 객체-관계형 모델
  3. 네트워크형 모델
  4. 관계형 모델
(정답률: 70%)
  • 객체-관계형 모델은 공간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모델이 아니라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모델이기 때문에 논리적 설계 모델에 해당하지 않는다. 공간데이터베이스에서는 계층형 모델, 네트워크형 모델, 관계형 모델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벡터화 변환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처리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Vertex나 Spike 등의 제거를 위한 스무딩화(Smoothing)
  2. 격자데이터에 존재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화(Filtering)
  3. 선형의 패턴을 가늘고 긴 선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기 위한 세선화(Thinning)
  4. 행과 열로 이루어진 격자데이터에서 동일한 속성 값을 묶는 압축화(Compressing)
(정답률: 76%)
  • 행과 열로 이루어진 격자데이터에서 동일한 속성 값을 묶는 압축화(Compressing)는 벡터화 변환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처리단계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고 저장 및 전송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벡터화 변환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적사무처리 담당자 등록절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토해양부장관, 시⋅도지사 및 소관청(사용자권한등록관리청)은 지적공부정리 등을 전산정보처리조직에 의하여 처리하는 담당자(사용자)를 사용자권한등록 파일에 등록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2. 지적전산처리용 단말기를 설치한 기관의 장은 그 소속공무원을 사용자로 등록하고자 할 때 사용자권한등록신청서를 행정안전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신청을 받은 사용자권한등록관리청은 신청내용을 심사하여 사용자권한등록 파일에 사용자의 이름 및 권한과 사용자번호 및 비밀번호를 등록하여야 한다.
  4. 사용자권한등록관리청은 사용자의 근무지 또는 직급이 변경되거나 사용자가 퇴직 등을 한 때에는 사용자권한등록내용을 변경하여야 한다.
(정답률: 83%)
  • 정답: "국토해양부장관, 시⋅도지사 및 소관청(사용자권한등록관리청)은 지적공부정리 등을 전산정보처리조직에 의하여 처리하는 담당자(사용자)를 사용자권한등록 파일에 등록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해설: 문제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지적사무처리 담당자 등록절차에 대한 것인데, 정답을 보면 국토해양부장관, 시⋅도지사 및 소관청이 담당자를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를 등록하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정답인 "지적전산처리용 단말기를 설치한 기관의 장은 그 소속공무원을 사용자로 등록하고자 할 때 사용자권한등록신청서를 행정안전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는 지적사무처리 담당자 등록절차에 대한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적공부에 관한 전산자료를 이용하거나 활용하려는 자가 신청서를 제출한 경우,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심사해야 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자료의 목적 외 사용방지 및 안전관리 대책
  2. 신청절차 및 자료처리 방법의 용이성
  3. 개인의 사생활 침해 여부
  4. 신청 내용의 타당성, 적합성 및 공익성
(정답률: 70%)
  • "신청절차 및 자료처리 방법의 용이성"은 관련 중앙행정기관이 지적공부에 관한 전산자료를 이용하거나 활용하려는 자의 신청서를 심사할 때 고려해야 하는 항목 중 하나입니다. 이는 자료처리 과정에서 효율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신청자가 원활하게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신청서 심사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항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형데이터 취득방법 중 관측 결과물의 자료구조가 다른 것은?

  1. VRS 방식의 GPS에 의한 데이터 취득
  2. 토털스테이션에 의한 데이터 취득
  3. HRV에 의한 데이터 취득
  4. 전자평판에 의한 데이터 취득
(정답률: 69%)
  • HRV에 의한 데이터 취득은 레이더나 위성 등을 이용하여 지표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들과는 자료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HRV는 높이 정보를 그리드 형태로 제공하며, 다른 방식들은 점 형태로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스키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부 스키마는 서브 스키마라고도 한다.
  2. 외부 스키마는 사용자나 프로그래머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정의한다.
  3. 내부 스키마는 자료가 실제로 저장되는 물리적인 데이터의 구조를 말한다.
  4.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접근권한, 보안정책, 무결성 규칙 등을 포함한다.
(정답률: 82%)
  •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개념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나 프로그래머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는 것이 외부 스키마이다. 따라서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접근권한, 보안정책, 무결성 규칙 등을 포함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되는 물리적인 데이터의 구조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