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전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3)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전산학개론
(2011-06-13 기출문제)

목록

1. 토지대장과 지적도에 공통으로 등록되는 사항으로만 묶인 것은?

  1. 소재, 지번, 면적
  2. 소재, 지번, 지목
  3. 소재, 지번, 소유자
  4. 소재, 지목, 면적
(정답률: 85%)
  • 토지대장과 지적도는 모두 토지의 위치와 소유자 등록을 위한 공공문서이기 때문에, 소재지와 지번은 반드시 등록되어야 합니다. 또한, 지목은 해당 토지의 용도를 구분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두 문서 모두에 등록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재, 지번, 지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지적행정시스템의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유번호의 구성은 행정구역코드 10자리(시⋅도 3, 시⋅군⋅구 2, 읍⋅면⋅동 3, 리 2), 대장구분 1자리, 본번 4자리, 부번 4자리 합계 19자리로 구성한다.
  2. 행정구역의 명칭이 변경된 때에는 소관청은 행정구역 변경일 10일전까지 행정구역의 코드변경을 요청하여야 한다.
  3. 행정구역의 코드변경 요청을 받은 국토해양부장관은 지체없이 행정구역코드를 변경하고, 그 변경 내용을 관련기관에 통지하여야 한다.
  4. 행정구역의 명칭이 변경된 경우 소관청은 시⋅도지사를 경유하여 국토해양부장관에게 행정구역의 코드 변경을 요청하여야 한다.
(정답률: 82%)
  • 첫 번째 보기가 옳지 않다. 고유번호의 구성은 행정구역코드 10자리(시⋅도 2, 시⋅군⋅구 3, 읍⋅면⋅동 3, 리 2), 대장구분 1자리, 본번 4자리, 부번 4자리 합계 19자리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필지를 개별화하고 대장과 도면의 등록사항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필지식별번호
  2. 토지자료화일
  3. 지적중첩도
  4. 측지기준망
(정답률: 93%)
  • 필지식별번호는 각각의 토지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번호이며, 이를 통해 필지를 개별화하고 대장과 도면의 등록사항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지식별번호가 정답입니다. 토지자료화일은 토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며, 지적중첩도는 지적도와 지형도를 겹쳐서 표현한 지도입니다. 측지기준망은 측량을 위한 기준점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벡터 데이터의 위상구조와 관련된 용어가 아닌 것은?

  1. Adjacency
  2. Thinning
  3. Connectivity
  4. Containment
(정답률: 81%)
  • 정답: Thinning

    설명: Adjacency는 인접성, Connectivity는 연결성, Containment는 포함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벡터 데이터의 위상구조와 관련된 용어입니다. 하지만 Thinning은 벡터 데이터의 위상구조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Thinning은 영상처리에서 이미지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이미지를 간소화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메타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의 공유, 교환, 유통 등을 용이하게 한다.
  2. 데이터의 내용, 품질, 특징 등을 저장한 데이터이다.
  3. 공간참조를 위한 좌표계, 지도투영법 등을 포함한다.
  4. 도형정보와 속성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91%)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내용, 품질, 특징 등을 저장한 데이터로서, 데이터의 공유, 교환, 유통 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공간참조를 위한 좌표계, 지도투영법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형정보와 속성정보로 구성되어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적전산자료의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적전산자료를 일치시키기 위해 시·도지사는 매분기 말을 기준으로 시·군의 지적전산자료를 시·도의 지적전산정보처리조직에 재구축하여야 한다.
  2. 지적전산자료의 정비내역은 2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3. 지적공부의 멸실 및 훼손에 대비하여 복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2부를 복제하고, 6개월 이상 보관해야 한다.
  4. 사용기관의 장은 지적전산자료가 멸실·훼손된 때에는 행정안전부장관에게 지체없이 보고하여야 한다.
(정답률: 75%)
  • 지적전산자료는 지적공부의 멸실 및 훼손에 대비하여 복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2부를 복제하고, 6개월 이상 보관해야 합니다. 이는 지적전산자료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고, 예기치 못한 사고나 재난 등으로 인해 손실되었을 때에도 복구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적부서가 아닌 부서에서 지적전산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는 업무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별토지소유현황 조회
  2. 대지권등록부 조회
  3. 공유지연명부 조회
  4. 집합건물소유권연혁 조회
(정답률: 82%)
  • 정답: "개인별토지소유현황 조회"

    해설: "개인별토지소유현황 조회"는 지적전산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는 업무 중에서도 개인의 개인정보를 조회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지적부서에서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지적전산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는 업무로 가능하지만, "개인별토지소유현황 조회"는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글이 설명하는 것은?

  1.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2.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3.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
  4. 데이터 어드레스(Data Address)
(정답률: 97%)
  • 이 글은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기업이나 조직에서 생성된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여 분석에 활용하는 데이터 저장소이다.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은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이며,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이다. 데이터 어드레스(Data Address)는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소관청이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을 직권으로 조사⋅측량하여 정정할 수 있는 경우는?

  1. 지적도에 등록된 필지의 면적에 증감이 있는 경우
  2. 등기촉탁의 경우
  3. 등기필 통지의 경우
  4.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 토지이동정리결의서의 내용과 다르게 정리된 경우
(정답률: 84%)
  •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 토지이동정리결의서의 내용과 다르게 정리된 경우는, 지적공부와 토지이동정리결의서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를 직권으로 조사⋅측량하여 정정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등록사항의 변경이 아니라, 등기나 통지 등의 절차적인 문제에 해당하기 때문에 직권으로 조사⋅측량하여 정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SQL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근방식, 경로지정 등의 처리절차를 기술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2.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대화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집합단위의 연산방식이 아닌 레코드 단위의 연산방식을 사용한다.
  4.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 조작어, 데이터 제어어를 모두 지원한다.
(정답률: 90%)
  • "집합단위의 연산방식이 아닌 레코드 단위의 연산방식을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SQL은 집합단위의 연산방식을 사용하며, SELECT, FROM, WHERE, GROUP BY, HAVING, ORDER BY 등의 구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집계하고 처리한다. 이러한 구문들은 집합단위의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도면 디지타이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오버슈트(Overshoot)는 어떤 선분까지 그려야 하는데 그 선분까지 미치지 못한 경우이다.
  2. 언더슈트(Undershoot)는 어떤 선분까지 그려야 하는데 그 선분을 지나치는 경우이다.
  3. 슬리버 폴리곤(Sliver Polygon)은 지적필지를 표현할 때 필지가 아닌데도 조그만 조각이 생겨 필지로 인식하는 경우이다.
  4. 스파이크(Spike)는 영역의 경계선에서 점, 선이 이중으로 입력되는 경우이다.
(정답률: 92%)
  • 슬리버 폴리곤은 지적필지를 표현할 때 필지가 아닌데도 조그만 조각이 생겨 필지로 인식하는 경우이다. 이는 디지타이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중 하나로, 지적필지의 경계선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거나, 경계선이 불분명한 경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는 지적정보의 정확성을 해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적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의 벡터 데이터 분석기법이 아닌 것은?

  1. Spectrum 분석
  2. Overlay 분석
  3. Buffer 분석
  4. Network 분석
(정답률: 88%)
  • "Spectrum 분석"은 주로 물리학이나 전자공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분석 기법으로, 지리정보시스템에서는 활용되지 않는다. 다른 보기인 "Overlay 분석", "Buffer 분석", "Network 분석"은 모두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벡터 데이터 분석에 활용되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KLIS(Korea Land Information System)의 파일 확장자 중 *.jsg가 의미하는 것은?

  1. 측량관측 파일
  2. 측량성과 파일
  3. 세부측량계산 파일
  4. 측량계산 파일
(정답률: 94%)
  • *.jsg는 KLIS에서 사용되는 측량성과 파일을 의미한다. 이 파일은 측량 작업을 수행한 결과물로, 측량 데이터와 계산 결과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 파일은 측량 작업의 성과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적공부와 관련된 전산자료의 활용에 대한 승인권자가 아닌 것은?

  1. 서울특별시장
  2. 국토해양부장관
  3. 경기도지사
  4. 행정안전부장관
(정답률: 80%)
  • 행정안전부장관은 지적공부와 관련된 전산자료의 활용에 대한 승인권자가 아닙니다. 이는 행정안전부가 담당하는 분야가 다른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3차원 지적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3차원 표면자료가 아닌 것은?

  1. Digital Terrain Model
  2. Digital Elevation Model
  3. Digital Surface Model
  4. Digital Network Model
(정답률: 83%)
  • "Digital Network Model"은 지형의 고도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도로, 철도, 하천 등의 교통망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3차원 지적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3차원 표면자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공유지연명부의 등록사항으로만 묶인 것은?

  1. 지번, 지목, 고유번호
  2. 소재, 지번, 좌표
  3. 지번, 소유권 지분, 소유자의 주소
  4. 소재,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면적
(정답률: 89%)
  • 공유지연명부는 공유지의 소유자와 소유권 지분을 등록하는 명부이므로, 지번은 공유지의 위치를 나타내고, 소유권 지분은 공유지의 소유자들 간의 지분을 나타내며, 소유자의 주소는 공유지의 소유자들의 신원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이기 때문에 이 세 가지 사항으로만 묶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치지적 데이터 분석에 활용이 가능한 원격탐사위성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andsat은 지구관측을 위한 원격탐사위성으로 1972년 미국에서 1호 위성이 발사되었다.
  2. MSS는 지도제작을 주목적으로 10 m급의 해상도를 지닌 상업용 위성이다.
  3. KOMPSAT-2는 2006년 발사된 우리나라 위성으로 1 m급의 흑백과 4 m급의 컬러영상을 취득한다.
  4. QuickBird는 상업용 고해상도 위성으로 1m 이하의 흑백영상 취득이 가능하다.
(정답률: 59%)
  • MSS는 지도제작을 주목적으로 10 m급의 해상도를 지닌 상업용 위성이다. - 이 설명이 옳지 않다. MSS는 Landsat 위성 시리즈 중 하나로, 60m 해상도의 멀티스펙트럴 이미지를 취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글이 설명하는 컴퓨터 자료구조는?

  1. 큐(Queue)
  2. 트리(Tree)
  3. 스택(Stack)
  4. 그래프(Graph)
(정답률: 90%)
  • 이 그림은 스택(Stack)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구조를 가지며, 데이터를 쌓아 올리듯이 쌓아 올리고, 가장 위에 있는 데이터를 먼저 꺼내는 자료구조입니다. 이 그림에서도 데이터가 차곡차곡 쌓여 있고, 가장 위에 있는 데이터가 먼저 꺼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택(Stac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지역 중 우리나라의 수치지도 평면직교좌표계상 거리와 지구타원체상 거리의 차이가 가장 큰 곳은?

  1. 경도 125 °E, 위도 36 °N 지역
  2. 경도 125 °E, 위도 37 °N 지역
  3. 경도 126 °E, 위도 37 °N 지역
  4. 경도 127 °E, 위도 36 °N 지역
(정답률: 75%)
  • 우리나라의 수치지도 평면직교좌표계는 지구를 평면으로 펼쳐서 계산하기 때문에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지구타원체상 거리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따라서, 위도가 같은 지역 중에서 경도가 가장 차이나는 지역일수록 수치지도 평면직교좌표계상 거리와 지구타원체상 거리의 차이가 커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도 126 °E, 위도 37 °N 지역"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SQL의 데이터 정의어(DDL)에서 기존 테이블을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1. DROP TABLE
  2. DELETE TABLE
  3. REMOVE TABLE
  4. ERASE TABLE
(정답률: 84%)
  • 정답: DROP TABLE

    설명: DROP TABLE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존 테이블을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DELETE TABLE, REMOVE TABLE, ERASE TABLE은 SQL에서 사용되지 않는 잘못된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