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3)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2011-06-13 기출문제)

목록

1. 전자평판에 위성측량장비를 연결하여 필지경계점의 위치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복원하기에 적합한 DGPS방식은?

  1. OTF 방식
  2. RTK 방식
  3. Rapid Static 방식
  4. Stop and Go 방식
(정답률: 76%)
  • RTK 방식은 실시간으로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DGPS 방식으로,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신호를 통해 높은 정확도로 위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지경계점의 위치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복원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지적삼각점의 종횡선 좌표계산에 이용한 투영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우스-상사이중투영법에 의해 좌표계산이 이루어진다.
  2. 중앙경선의 축척계수는 1이다.
  3. 벳셀타원체에서 평면으로 투영하는 방식이다.
  4. 횡원통도법이고 등각투영법이다.
(정답률: 82%)
  • 벳셀타원체에서 평면으로 투영하는 방식이 옳지 않은 것이다. 지적삼각점의 종횡선 좌표계산에 이용되는 투영법은 가우스-상사이중투영법이며, 중앙경선의 축척계수는 1이다. 또한, 이 투영법은 횡원통도법이고 등각투영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적도의 축척별 도곽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도상길이 mm, 지상길이 m이다)

  1. 1/500 축척(도상길이: 300 × 400, 지상길이: 150 × 200)
  2. 1/1,000 축척(도상길이: 300 × 400, 지상길이: 200 × 300)
  3. 1/1,200 축척(도상길이: 333.33 × 416.67, 지상길이: 400 × 500)
  4. 1/2,400 축척(도상길이: 333.33 × 416.67, 지상길이: 800 × 1,000)
(정답률: 92%)
  • "1/1,000 축척(도상길이: 300 × 400, 지상길이: 200 × 300)"에서 도상길이와 지상길이의 비율이 3:4가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다. 도상길이와 지상길이의 비율은 축척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중치(Weigh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측기계의 성능, 관측시의 기상조건과 측량종목에 따라 정해져 있는 객관적인 값으로 부여된다.
  2. 관측횟수에 반비례한다.
  3. 평균제곱근오차(RMSE)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4. 관측거리에 비례한다.
(정답률: 72%)
  • 가중치는 각각의 데이터 포인트가 모델 학습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중치가 높을수록 해당 데이터 포인트가 모델 학습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평균제곱근오차(RMSE)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이유는, 모델이 예측한 값과 실제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RMSE가 작을수록 모델의 예측 성능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중치가 높은 데이터 포인트는 모델의 예측 성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해당 데이터 포인트의 오차가 RMSE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되어 RMSE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적삼각망의 조정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사법은 각조건 또는 각규약에 의하여 각을 조정한 후 순차적으로 변조건 또는 변규약을 조정하는 방법이다.
  2. 엄밀법은 각조건과 변조건을 동시에 고려하여 조정하는 방법이다.
  3. 근사법은 조정서식에서 진수에 의한 표차를 48.4814 × sinα로 산출한다.
  4. 엄밀법은 최소제곱법 이론에 기초한다.
(정답률: 78%)
  • "근사법은 조정서식에서 진수에 의한 표차를 48.4814 × sinα로 산출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지적삼각망에서 진수는 삼각형 내각의 합과 180도의 차이를 의미하며, 이 값은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근사법에서는 이 값을 48.4814 × sinα로 근사하여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거리측량을 스틸테이프로 측정할 때 1회 측정시 2mm의 정오차와 2mm의 우연오차가 생긴다면 전체거리(L)를 n구간(회)으로 나누어 측정했을 경우 전체거리에 대한 확률 오차는?

(정답률: 81%)
  • 전체거리(L)를 n구간으로 나누어 측정할 경우, 각 구간의 길이는 L/n이 된다. 따라서 각 구간에서의 정오차와 우연오차는 각각 2mm/n과 2mm/n√3이 된다. 이를 이용하여 전체거리에 대한 확률 오차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확률오차 = √(n(정오차)^2 + n(우연오차)^2)
    = √(n(2/n)^2 + n(2/√3n)^2)
    = √(4/n + 4/3n)
    = 2√(1/n + 1/3n)

    따라서, n이 커질수록 확률 오차는 작아진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와 같이 n이 증가함에 따라 확률 오차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경위의 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할 때 경계점간 실측거리가 120m인 경우 경계점 좌표에 따라 계산한 거리와의 교차 한계는?

  1. 15 cm
  2. 17 cm
  3. 35 cm
  4. 36 cm
(정답률: 93%)
  • 경위의 측량방법은 삼각측량법으로, 삼각비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한다. 따라서 경계점간 실측거리가 120m인 경우, 경계점 사이의 각도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계산한 거리와 실측거리를 비교한다.

    이때, 경계점 사이의 각도가 작을수록 계산한 거리와 실측거리의 차이가 작아지므로 교차 한계가 작아진다. 반대로, 각도가 클수록 교차 한계가 커진다.

    따라서, 경계점 사이의 각도가 가장 작은 경우인 직각삼각형의 경우 교차 한계가 가장 작아지며, 이때의 교차 한계는 약 15c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 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WGS84 좌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의 질량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직교좌표계이다.
  2. X축은 국제시보국에서 정의한 본초자오선에 평행한 WGS84 기준자오면과 CTP(Conventional Terrestrial Pole)적도면이 교차하는 선이다.
  3. Z축은 지구의 회전축인 CTP(Conventional Terrestrial Pole)의 방향과 수직이다.
  4. SPOT위성영상이나 GPS의 좌표계로 이용된다.
(정답률: 91%)
  • 정답은 "Z축은 지구의 회전축인 CTP(Conventional Terrestrial Pole)의 방향과 수직이다."가 아니다.

    WGS84 좌표계는 지구의 질량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직교좌표계이며, X축은 국제시보국에서 정의한 본초자오선에 평행한 WGS84 기준자오면과 CTP(Conventional Terrestrial Pole)적도면이 교차하는 선이다. 그러나 Z축은 지구의 자전축과 수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적기준점에 대한 용어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기준점은 국토해양부장관이 지적측량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따로 정하는 측량기준점이다.
  2. 지적삼각점은 지적측량 시 수평위치 측량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정한 기준점이다.
  3. 지적삼각보조점은 지적측량 시 수평위치 측량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과 지적삼각점을 기준으로 정한 기준점이다.
  4. 지적도근점은 지적측량 시 필지에 대한 수평위치 측량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 지적삼각점, 지적삼각보조점 및 다른 지적도근점을 기초로 하여 정한 기준점이다.
(정답률: 75%)
  • 정답: "지적기준점은 국토해양부장관이 지적측량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따로 정하는 측량기준점이다."

    해설: 지적기준점은 국토해양부장관이 아니라 지적도 작성을 담당하는 지자체에서 국가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따로 정하는 측량기준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토지의 이동은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의 지번, 지목, 경계 또는 좌표, 면적 등 토지표시사항을 등록, 변경, 말소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 중 측량이 불필요한 토지이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합병
  2. 일필지의 지목변경
  3. 행정구역 변경
  4. 분할
(정답률: 73%)
  • 정답: 분할

    설명: 분할은 기존에 등록된 토지를 나누어 새로운 지번을 부여하는 것으로, 측량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합병, 일필지의 지목변경, 행정구역 변경은 모두 기존에 등록된 토지의 경계나 면적 등을 변경하는 작업으로, 측량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도선 AB에 대한 방위각 150°와 관련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1. 3상한에 해당하며 위거와 경거 모두 (-)값이다.
  2. A점에서 B점에 대한 역방위각은 180°를 빼서 구한다.
  3. 역방위로 나타내면 N60°W이다.
  4. 도북을 기준하여 시계방향으로 30°의 수평각이다.
(정답률: 65%)
  • 정답은 "A점에서 B점에 대한 역방위각은 180°를 빼서 구한다." 이다.

    이유는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되며, 역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측정된다. 따라서 A점에서 B점에 대한 역방위각은 150°에서 180°를 빼면 된다. 이렇게 하면 동쪽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30°의 역방위각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실제면적이 4,000m2인 토지를 1/1,000의 축척인 지적도에 등록할 경우 도면상의 면적은?

  1. 0.004 m2
  2. 0.04 m2
  3. 0.4 m2
  4. 4.0 m2
(정답률: 72%)
  • 1/1,000 축척이므로 1m2의 실제 면적은 0.001m2의 도면상 면적에 해당한다. 따라서 4,000m2의 실제 면적은 4m2의 도면상 면적에 해당하며, 이를 다시 1/1,000 축척에 맞게 계산하면 0.004m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004 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GPS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공위성을 이용한 범지구적 위치결정체계이다.
  2. 4개 이상의 위성에서 보내오는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관측점의 위치를 구한다.
  3. 시간에 관계없이 언제든지 수신이 가능하다.
  4. 관측점으로부터 위성에 대한 고도각이 15°이내에 위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85%)
  • "관측점으로부터 위성에 대한 고도각이 15°이내에 위치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이것은 GPS 측량에서 필수적인 조건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고도각이 15° 이상이면 위성 신호가 지표면과 수직으로 가까워져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측량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GPS 측량을 수행할 때는 고도각이 15° 이내에 위치하는 적절한 관측점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경위의를 이용한 수평각 관측방법 중 배각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각을 2회 이상 반복 관측하여 누적된 값을 평균하는 방법이다.
  2. 시준오차가 많이 발생하며, 방향각법에 비해 읽기오차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3. 최소독치보다 작은 각을 읽을 수 있어 수평각관측방법 중 가장 정밀도가 높다.
  4. 방향수가 많은 삼각측량과 같은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정답률: 62%)
  • "최소독치보다 작은 각을 읽을 수 있어 수평각관측방법 중 가장 정밀도가 높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배각법은 다른 수평각 관측 방법에 비해 정밀도가 낮은 편이며, 최소독치보다 작은 각을 읽을 수 있는 방법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배각법은 하나의 각을 2회 이상 반복 관측하여 누적된 값을 평균하는 방법이며, 방향각법에 비해 읽기 오차의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하지만 시준오차가 많이 발생하므로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3회 이상의 관측이 필요합니다. 또한, 방향수가 많은 삼각측량과 같은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초점거리 160 mm인 카메라로 촬영축척 1/2,000인 수직사진에서 화면의 크기가 20 × 20 cm이고, 중복도가 60%일 때 기선고도비는?

  1. 0.4
  2. 0.5
  3. 0.6
  4. 0.7
(정답률: 67%)
  • 기선고도비는 중복도와 촬영축척에 영향을 받는다. 중복도가 60%이므로 실제 촬영된 영역은 40%이다. 따라서 화면의 크기는 20 × 20 cm의 40%인 8 × 8 cm이다. 이를 초점거리 160 mm와 촬영축척 1/2,000으로 계산하면 실제 촬영된 영역의 크기는 0.8 × 0.8 cm이다. 이를 기준으로 기선고도비를 계산하면 0.5가 된다. 즉, 실제 촬영된 영역의 크기가 1cm²당 몇 개의 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은 삼각형 토지를 한 변 BC와 나란한 선분 XY에 의해 면적비 m : n=1 : 3의 비율로 분할할 때 AB=50 m이면 AX의 길이는?

  1. 10 m
  2. 15 m
  3. 20 m
  4. 25 m
(정답률: 65%)
  • 삼각형 ABC의 면적을 S라고 하면, 삼각형 AXY의 면적은 3S/4이다. 그리고 삼각형 ABC와 삼각형 AXY는 XY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삼각형 ABC의 면적은 삼각형 AXY의 면적의 4배이다. 따라서 S = 4 × 1/4 × BC × AB/2 = BC × AB/2 = 25 × 50 = 1250 (m²)이다.

    또한, 삼각형 AXY의 면적은 m : n = 1 : 3의 비율로 분할되었으므로, 삼각형 AXY의 면적은 3S/4 = 3/4 × 1250 = 937.5 (m²)이다. 따라서, AX = 2 × (2 × 937.5/XY)^(1/2) = 25 (m)이다.

    따라서, 정답은 "25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동형 센서(Passive Sensor)에 기반한 항공사진측량은 그림자의 영향력에 의해 정보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1. LiDAR 기술 연계
  2. GIS/INS 기술 연계
  3. 종중복도와 횡중복도를 늘림
  4. 비행고도를 높임
(정답률: 89%)
  • LiDAR 기술은 수동형 센서와 달리 직접적으로 물체를 탐지하고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그림자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항공사진측량에서 LiDAR 기술을 연계하여 사용하면 그림자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고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축척 1/600지역에서 토지의 원면적이 100 m2 경우 분할 후 각 필지 면적의 합계와 분할 전 면적과의 오차 허용범위는?

  1. 4 m2
  2. 6 m2
  3. 8 m2
  4. 10 m2
(정답률: 43%)
  • 축척 1/600 지역에서 100 m2의 원면적은 실제 면적인 60000 m2에 해당한다. 이를 분할하면 각 필지의 면적은 100 m2이 된다. 따라서 분할 후 각 필지 면적의 합계는 60000/100 = 600이 된다.

    분할 전 면적과의 오차 허용범위는 실제 면적인 60000 m2에서 분할 후 각 필지 면적의 합계인 600을 뺀 값인 59400 m2이다.

    따라서 오차 허용범위는 59400 m2에서 60000 m2까지이며, 이는 60000 m2의 1% 이내이다.

    이에 따라 분할 후 각 필지 면적의 합계와 분할 전 면적과의 오차 허용범위는 4 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일필지의 가로, 세로 거리가 각각 10m인 토지의 면적을 0.1 m2 까지 구하기 위하여 정확하게 읽어야 하는 줄자의 눈금[cm]은?

  1. 0.05
  2. 0.5
  3. 1
  4. 5
(정답률: 37%)
  • 면적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곱한 값이므로, 10m x 10m = 100m2 이다. 이를 0.1 m2 로 나누면 1000이 된다. 따라서, 줄자의 눈금은 1000을 100cm로 나눈 값인 10cm 이다. 이를 다시 10등분하면 1cm 이 되므로, 정확하게 읽어야 하는 눈금은 0.1cm 이다. 이를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5cm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적재조사를 위하여 위성측량을 실시하는 경우 위치정확도를 감소시키는 오차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위성의 기하학적인 배치상태
  2. 사이클 슬립(Cycle Slip)
  3. 다중경로오차
  4. 에포크(Epoch)
(정답률: 77%)
  • 위성측량을 실시할 때 위치정확도를 감소시키는 오차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에포크(Epoch)"입니다. 에포크는 측정 시간을 의미하며, 측정 시간이 오래될수록 위성의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위치정확도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측정 시간을 최대한 짧게 가져가는 것이 위치정확도를 높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