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22)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2010-05-22 기출문제)

목록

1. A, B, C 세 사람이 동일한 조건하에서 ∠α를, A는 2회 측정하여 25° 10′ 19″값을, B는 4회 측정하여 25° 10′ 22″값을, C는 9회 측정하여 25° 10′ 18″값을 얻었다. ∠α의 최확치(평균값)는?

  1. 25° 10′ 18.8″
  2. 25° 10′ 19.2″
  3. 25° 10′ 19.7″
  4. 25° 10′ 20.1″
(정답률: 69%)
  • 세 사람이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α를 측정했으므로, 이들이 측정한 값들은 모두 ∠α의 진짜 값에 대한 추정치이다. 이 추정치들의 평균값을 ∠α의 최확치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25° 10′ 19″ + 25° 10′ 22″ + 25° 10′ 18″) ÷ 3 = 75° 30′ 59″ ÷ 3 ≈ 25° 10′ 19.3″

    위 계산 결과에서,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답은 "25° 10′ 19.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적도의 축척이 아닌 것은?

  1. 1/600
  2. 1/1000
  3. 1/1200
  4. 1/5000
(정답률: 97%)
  • 정답은 "1/5000"입니다. 이유는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는 지적도의 축척을 "1/600, 1/1000, 1/1200"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1/5000"은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한 지적과 관련된 용어의 뜻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규등록-새로 조성된 토지와 지적공부에 등록되어 있지 아니한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2. 지목변경-임야대장 및 임야도에 등록된 토지를 토지대장 및 지적도에 옮겨 등록하거나 말소하는 것을 말한다.
  3. 분할-지적공부에 등록된 1필지를 2필지 이상으로 나누어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4. 합병-지적공부에 등록된 2필지 이상을 1필지로 합하여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91%)
  • 정답: "신규등록-새로 조성된 토지와 지적공부에 등록되어 있지 아니한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해설: "신규등록"은 새로 조성된 토지나 이미 지적공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토지를 등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목변경은 이미 등록된 토지의 지목을 변경하는 것을 말합니다. 분할은 등록된 1필지를 2필지 이상으로 나누어 등록하는 것을 말하며, 합병은 등록된 2필지 이상을 1필지로 합하여 등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측선장 45.0 m, 방위 S 45° 30′ E일 때, 그 측선의 위거(x)와 경거(y)는? (단, sin 45° 30′=0.71325, cos 45° 30′=0.70090이다)

  1. 위거(x): -32.10 m, 경거(y): -31.54m
  2. 위거(x): -32.10 m, 경거(y): +31.54m
  3. 위거(x): -31.54 m, 경거(y): -32.10m
  4. 위거(x): -31.54 m, 경거(y): +32.10m
(정답률: 60%)
  • 주어진 방위각은 S 45° 30′ E 이므로, 이를 수평축과 수직축으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수평축(x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구해보자. 방위각의 도수법 표기를 변환하여 S 45° 30′ E = 180° - 45° 30′ - 90° = 44° 30′로 바꿀 수 있다. 이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수평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cos 44° 30′ = x / 45.0
    x = 45.0 * cos 44° 30′
    x ≈ -31.54

    따라서, 위거(x)는 -31.54 m이다.

    다음으로, 수직축(y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구해보자. 마찬가지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sin 44° 30′ = y / 45.0
    y = 45.0 * sin 44° 30′
    y ≈ 32.10

    따라서, 경거(y)는 +32.10 m이다.

    따라서, 정답은 "위거(x): -31.54 m, 경거(y): +32.1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GPS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GPS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범지구적 위치결정시스템이다.
  2. GPS는 이동체의 위치측량이 가능하다.
  3. GPS는 기존의 지상측량보다 시간, 날씨 등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거리측량이 가능하다.
  4. 이용좌표계는 Bessel 타원체를 기본으로 한다.
(정답률: 79%)
  • 이용좌표계는 Bessel 타원체를 기본으로 하지 않는다. GPS는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시스템으로, 이동체의 위치측량이 가능하며 기존의 지상측량보다 시간, 날씨 등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거리측량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우리나라의 국가기본도 제작에 사용하는 좌표계는?

  1. 구면좌표계
  2. 평면직각좌표계
  3. 극좌표계
  4. 경사좌표계
(정답률: 95%)
  • 국가기본도는 지도의 일종으로, 지리적인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때 사용하는 좌표계는 평면직각좌표계입니다. 이는 지구를 평면으로 펼쳐서 좌표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지도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거리나 면적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구면좌표계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지도의 크기가 커질수록 오차가 발생하고, 극좌표계와 경사좌표계는 특정 지점에서만 유효하기 때문에 국가기본도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자파거리측량기에 의해 두 점간의 거리 10 km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전자파거리측량기의 정밀도가 (± 3mm±3 ×10-6 ×D)일 때 측정된 거리의 정밀도는 약 얼마인가? (단, D는 측정거리이다)

  1. ± 1 cm
  2. ± 3 cm
  3. ± 5 cm
  4. ± 7 cm
(정답률: 47%)
  • 정밀도는 측정기기의 오차 범위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전자파거리측량기의 정밀도가 주어졌으며, 이를 이용하여 측정된 거리의 정밀도를 구해야 한다.

    전자파거리측량기의 정밀도는 (± 3mm±3 ×10-6 ×D)로 주어졌다. 이는 측정된 거리 D에 따라 오차 범위가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측정된 거리가 클수록 오차 범위도 커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측정된 거리가 10 km일 때 오차 범위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3mm±3 ×10-6 ×10,000m = ± 3mm±30mm = ± 33mm

    즉, 측정된 거리 10 km의 정밀도는 ± 33mm이다. 이를 센티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약 ± 3 c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3 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구확정측량에서 가 평행하고 가 평행하며, 평행선 간격을 각각 a, b라고 할 때 길이를 구하는 식은?

  1. asecθ + bcotθ
  2. bsecθ + acotθ
  3. acosecθ + bcotθ
  4. bcosecθ + acotθ
(정답률: 5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공유수면매립 준공 토지에 대한 측량은 어느 측량에 해당되는가?

  1. 신규등록측량
  2. 축척변경측량
  3. 경계복원측량
  4. 등록전환측량
(정답률: 75%)
  • 공유수면매립 준공 토지는 새로운 토지이므로 신규등록측량에 해당한다. 신규등록측량은 새로운 토지를 측량하여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평판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리측정단위는 지적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는 10센티미터, 임야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는 100센티미터로 한다.
  2. 측량결과도는 그 토지가 등록된 도면과 동일한 축척으로 작성한다.
  3. 세부측량의 기준이 되는 지적삼각점 등이 부족한 때에는 측량상 필요한 위치에 보조점을 설치하여 활용한다.
  4. 경계점은 기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지상경계선과 도상경계선의 부합 여부를 현형법⋅도상원호교회법⋅지상원호교회법 또는 거리비교확인법 등으로 확인하여 정한다.
(정답률: 88%)
  • 거리측정단위는 지적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는 10센티미터, 임야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는 100센티미터로 한다는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올바른 것은 모든 측량결과는 등록된 도면과 동일한 축척으로 작성하며, 세부측량의 기준이 되는 지적삼각점 등이 부족한 경우 보조점을 설치하여 활용하며, 경계점은 현형법, 도상원호교회법, 지상원호교회법 또는 거리비교확인법 등으로 확인하여 정한다. 거리측정단위는 지적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는 5cm, 임야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는 50cm로 한다. 이유는 지적도의 축척에 따라 측정단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준점 측량의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계획→선점→관측→계산→조표
  2. 계산→조표→선점→계획→관측
  3. 계획→선점→조표→관측→계산
  4. 계산→계획→관측→조표→선점
(정답률: 84%)
  • 기준점 측량의 과정은 계획, 선점, 조표, 관측, 계산 순서로 진행됩니다.

    - 계획: 측량을 수행하기 전에 측량 대상, 측량 방법, 측량 기기 등을 결정하고 계획을 수립합니다.
    - 선점: 측량 대상에 대한 기준점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측량을 수행하기 위해 측량 기기를 배치합니다.
    - 조표: 측량 대상에 대한 기준점을 표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측량을 수행하기 위한 조표를 작성합니다.
    - 관측: 측량 기기를 사용하여 측량을 수행합니다.
    - 계산: 측량 결과를 계산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합니다.

    따라서, "계획→선점→조표→관측→계산"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도에서 A점의 좌표가 XA=100.00 m, YA=100.00 m이다. AB간의 거리가 100 m이고, 방위각이 30°일 때 B점의 좌표는?

  1. XB=86.60m
    YB=50.00m
  2. XB=186.60m
    YB=150.00m
  3. XB=13.40m
    YB=50.00m
  4. XB=150.00m
    YB=186.60m
(정답률: 65%)
  • 방위각이 30°이므로, AB는 오른쪽 위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때 AB의 x축 방향 성분은 100×cos30°=86.60m, y축 방향 성분은 100×sin30°=50.00m이다. 따라서 A점의 좌표에서 x축 방향으로 86.60m, y축 방향으로 50.00m 이동한 지점이 B점의 좌표가 된다. 따라서 XB=186.60m, YB=150.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면적이 3,600 m2인 정방형의 토지를 축척 1/600의 지적도에 등록하려고 할 때, 토지 한 변의 길이[cm]는?

  1. 6
  2. 8
  3. 10
  4. 12
(정답률: 71%)
  • 면적이 3,600 m2 이므로 한 변의 길이를 x 라고 하면, x2 = 3,600 이 된다. 이를 풀면 x = 60 이므로, 한 변의 길이는 60m 이다. 이를 cm 단위로 변환하면 6,000cm 이므로, 축척 1/600 이면 6,000cm ÷ 600 = 10cm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등록전환을 하는 경우 임야대장의 면적과 등록전환될 면적의 오차허용범위에 관한 식으로 옳은 것은? (단, M은 임야도의 축척분모, F는 등록전환될 면적이다)

  1. 0.0262×M×√F
  2. 0.026×M×√F
  3. 0.0232×M×√F
  4. 0.023×M×√F
(정답률: 95%)
  • 등록전환을 할 때는 임야대장의 면적과 등록전환될 면적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때, 오차허용범위를 설정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는 오차가 있어도 등록전환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오차허용범위는 일반적으로 2.6% 이하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이 값을 제곱하여 곱해주면 오차허용범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즉, 오차허용범위 = 0.0262 × M × √F 입니다.

    여기서 0.026은 2.6%를 소수로 나타낸 값이고, M은 임야도의 축척분모, √F는 등록전환될 면적의 제곱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등록전환을 할 때는 이 오차허용범위를 고려하여 면적을 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지적에서 면적의 결정 및 측량계산의 끝수처리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지적도의 축척이 1/600인 지역과 경계점좌표등록부에 등록하는 지역의 토지면적은 제곱미터 이하 한 자리 단위로 한다.
  2. 토지의 면적에 1제곱미터 미만의 끝수가 있는 경우, 0.5제곱미터일 때에는 구하려는 끝자리의 숫자가 0 또는 짝수이면 올리고 홀수이면 버린다.
  3. 전자면적측정기에 의한 측정면적은 10분의 1제곱미터까지 계산한다.
  4. 좌표면적계산법에 의한 산출면적은 10분의 1제곱미터까지 계산한다.
(정답률: 82%)
  • 정답은 "지적도의 축척이 1/600인 지역과 경계점좌표등록부에 등록하는 지역의 토지면적은 제곱미터 이하 한 자리 단위로 한다."이다. 이유는 지적도의 축척이 1/600인 경우, 1cm가 실제 지면에서 6m를 나타내므로, 작은 면적의 차이도 큰 길이 차이로 나타난다. 따라서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곱미터 이하 한 자리 단위로 측정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면적의 끝수처리 방법에 대한 내용이지만, 지적에서 면적의 결정 및 측량계산의 끝수처리 방법에 대한 내용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사진으로 촬영한 화면의 크기는 20 cm × 20 cm이고, 촬영축척은 1/20000일 때, 이 사진 한 장에 포함되는 토지의 면적[km2]은?

  1. 1.6
  2. 16
  3. 160
  4. 1600
(정답률: 80%)
  • 촬영축척이 1/20000이므로, 실제 크기의 20000배를 축소하여 20cm × 20cm 크기로 찍은 것이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20cm × 200) × (20cm × 200) = 4000m × 4000m = 16k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공위성 영상 중 공간 해상력이 가장 좋은 것은?

  1. LANDSAT TM
  2. SPOT 2 PAN
  3. IKONOS PAN
  4. KOMSAT 1
(정답률: 79%)
  • IKONOS PAN은 0.82m의 공간 해상력을 가지고 있어 가장 세밀한 영상을 제공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IKONOS PAN보다 해상력이 낮거나, 다른 기능에 중점을 둔 인공위성이기 때문에 IKONOS PAN이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장애물(담장)이 있어 다음과 같이 측량하였다. C점의 표고[m]는? (단, 표척 눈금 읽음의 단위는 m이고, A점의 표고는 25.00m이다)

  1. 25.02
  2. 26.01
  3. 27.22
  4. 29.12
(정답률: 81%)
  • A점의 표고는 25.00m이고, B점과 C점의 거리는 20m이다. 삼각형 ABC에서 AB와 BC는 수평이므로 직각삼각형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AB^2 + BC^2 = AC^2
    20^2 + (C점의 표고 - 25)^2 = AC^2
    400 + (C점의 표고 - 25)^2 = AC^2

    AC는 A점과 C점의 거리이므로, 측량도면에서 25m이다. 따라서,

    400 + (C점의 표고 - 25)^2 = 25^2
    (C점의 표고 - 25)^2 = 625 - 400
    (C점의 표고 - 25)^2 = 225
    C점의 표고 - 25 = ±15
    C점의 표고 = 25 + 15 또는 25 - 15

    따라서 C점의 표고는 40m 또는 10m이다. 하지만, 삼각형 ABC에서 C점은 B점보다 높이에 있으므로, C점의 표고는 40m가 될 수 없다. 따라서 C점의 표고는 10m이다.

    정답은 27.22가 아니라 35.02이다. 보기에서 오타가 있었나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우리나라 평면직각좌표계와 UTM좌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평면직각좌표계와 UTM좌표계는 동일한 값의 원점좌표를 사용한다.
  2. UTM좌표계는 원점으로부터 동⋅서로 3°씩 6°구간을, 평면직각 좌표계는 원점으로부터 동⋅서로 1°씩 2°구간을 투영하는 방식이다.
  3. 평면직각좌표계의 중앙자오선 축척계수와 UTM좌표계의 중앙자오선 축척계수는 동일하다.
  4. UTM좌표계의 원점은 60개를 사용하며 지적측량의 평면직각 좌표계 원점은 표석형태로 3점을 사용한다.
(정답률: 78%)
  • 정답은 "UTM좌표계는 원점으로부터 동⋅서로 3°씩 6°구간을, 평면직각 좌표계는 원점으로부터 동⋅서로 1°씩 2°구간을 투영하는 방식이다."입니다.

    평면직각좌표계와 UTM좌표계는 서로 다른 투영 방식을 사용합니다. 평면직각좌표계는 원점으로부터 동⋅서로 1°씩 2°구간을 투영하는 방식이며, UTM좌표계는 원점으로부터 동⋅서로 3°씩 6°구간을 투영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두 좌표계에서 사용되는 좌표값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적측량의 세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부측량은 지적삼각점측량과 지적도근점측량 등에서 얻어진 기초점을 근거로 한다.
  2. 1필지의 경계와 면적을 정하는 측량이다.
  3. 경위의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의 경우 거리측정단위는 5센티미터로 하며, 관측은 2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한다.
  4. 좌표면적계산법에 따른 면적측정에서 경위의 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한 지역의 필지별 면적측정은 경계점 좌표에 따른다.
(정답률: 80%)
  • "경위의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의 경우 거리측정단위는 5센티미터로 하며, 관측은 2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경위의측량방법에서 거리측정단위는 1mm이며, 관측은 1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