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5-19)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2018-05-19 기출문제)

목록

1. 「지적확정측량규정」상 사업계획에서 정한 사업지구를 구획하는 외곽 경계점은?

  1. 가구점
  2. 가로중심점
  3. 지구계점
  4. 필계점
(정답률: 72%)
  • "지적확정측량규정"에서는 사업지구를 구획할 때 지구계점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지구계점은 해당 지구의 경계를 나타내는 점으로, 지구 내부의 모든 점에서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점입니다. 따라서 지구계점을 기준으로 사업지구의 외곽 경계를 구획하면 가장 정확하고 명확한 경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타원체고(ellipsoidal heigh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지된 평균해수면에서 물리적 지표면까지의 높이
  2. 지표면의 한 점에서 중력 방향을 따라 관측한 지오이드까지의 고저차
  3. 지오이드와 타원체 사이의 고저차
  4. 준거타원체상에서 물리적 지표면까지의 높이
(정답률: 73%)
  • 타원체고는 준거타원체상에서 물리적 지표면까지의 높이를 의미합니다. 준거타원체는 지구의 모양을 근사적으로 나타내는 타원체이며, 이를 기준으로 물리적 지표면까지의 높이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준거타원체상에서 물리적 지표면까지의 높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오이드와 중력, 지오이드와 타원체 사이의 고저차 등을 설명하는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지적도의 축척이 600분의 1인 지역에서 토지의 면적이 123.45m2일 경우 면적의 결정은?

  1. 123.0m2
  2. 123.4m2
  3. 123.5m2
  4. 124.0m2
(정답률: 91%)
  • 지적도의 축척이 600분의 1이므로, 1cm2의 면적이 실제 세계에서는 600cm2의 면적에 해당한다. 따라서, 1m2의 면적이 지적도상에서는 600m2의 면적에 해당한다.

    토지의 면적이 123.45m2이므로, 이는 지적도상에서 123.45 x 600 = 74070cm2의 면적에 해당한다. 이를 지적도상에서 가장 가까운 0.1m2 단위로 반올림하면 123.4m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3.4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지적위성측량 방법을 이용하여 소구점의 표고를 결정하기 위한 계산식은?

  1. 소구점표고=소구점타원체고-소구점지오이드고
  2. 소구점표고=소구점지오이드고-소구점타원체고
  3. 소구점표고=소구점타원체고+소구점지오이드고
  4. 소구점표고=소구점지오이드고÷소구점타원체고
(정답률: 84%)
  •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에서는 지구의 형태를 타원체로 가정하고, 지표면은 지오이드라는 불규칙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 때, 소구점의 표고는 타원체와 지오이드의 차이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소구점표고=소구점타원체고-소구점지오이드고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소관청이 지적도근점성과를 관리할 때 그 성과표에 기록ㆍ관리해야 할 사항에 해당하는 것은?

  1. 방위각 및 거리
  2. 도선등급 및 도선명
  3. 자오선수차
  4. 시준점의 명칭
(정답률: 72%)
  • 지적도근점성과를 관리할 때 도선등급 및 도선명을 기록ㆍ관리해야 합니다. 이는 지적도근점성과를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중 하나로, 도선등급은 지적도근점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도선명은 해당 지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입니다. 따라서 이 정보를 기록ㆍ관리함으로써 지적도근점성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도근점측량에서 수평각 관측 및 허용범위 이내의 오차 배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 지역에서는 배각법에 따르고, 그 밖의 지역에서는 방위각법으로만 관측한다.
  2. 방위각법에 따를 경우 3회 측정하고, 배각법에 따를 경우 2회 측정한다.
  3.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오차 배분은 측선장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4. 방위각법에 따르는 경우 오차 배분은 변의 수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방위각에 배분한다.
(정답률: 79%)
  • 지적도근점측량에서는 배각법과 방위각법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오차 배분은 측선장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된다. 이는 측선장이 길어질수록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오차를 측선장에 반비례하여 배분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오차 배분은 측선장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적확정측량규정」상 지구계 및 필지면적의 산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세계좌표를 기준으로 좌표면적 계산법을 이용해 계산한다.
  2. 지역좌표를 기준으로 좌표면적 계산법을 이용해 계산한다.
  3. 세계좌표를 기준으로 전자면적측정기 방법을 이용해 계산한다.
  4. 지역좌표를 기준으로 전자면적측정기 방법을 이용해 계산한다.
(정답률: 67%)
  • 지적확정측량규정에서는 지구계 좌표계를 기준으로 좌표면적 계산법을 이용해 필지면적을 산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구계 좌표계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좌표계이기 때문에, 지역좌표계보다 보다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산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세계좌표를 기준으로 좌표면적 계산법을 이용해 계산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축척 1:1,000 지형도를 기초로 하여 축척 1:5,000의 지형도를 제작하고자 할 때, 축척 1:5,000 지형도 1도엽에는 축척 1:1,000 지형도가 몇 매 포함되는가?

  1. 5매
  2. 15매
  3. 20매
  4. 25매
(정답률: 86%)
  • 1:5,000 지형도는 1:1,000 지형도의 1/5 축척이므로, 1도엽에는 5x5=25매의 1:1,000 지형도가 포함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에서 △ABC의 면적을 직선 AP로 분할하고자 할 때, BP의 거리는? (단, BC의 거리는 500m이며, m:n=4:6이다)

  1. 140m
  2. 160m
  3. 180m
  4. 200m
(정답률: 85%)
  • △ABC의 면적은 (1/2)×BC×AD 이므로, △ABC의 면적은 (1/2)×500×(4x+6x) = 1000x 이다.

    AP를 기준으로 △ABC를 나누면 △ABP와 △ACP의 면적의 합은 △ABC의 면적과 같다.

    따라서, △ABP와 △ACP의 면적의 합은 1000x이다.

    △ABP의 면적은 (1/2)×BP×AD 이므로, △ABP의 면적은 (1/2)×BP×4x 이다.

    △ACP의 면적은 (1/2)×CP×AD 이므로, △ACP의 면적은 (1/2)×CP×6x 이다.

    따라서, (1/2)×BP×4x + (1/2)×CP×6x = 1000x 이다.

    이를 정리하면, BP+CP=500 이고, BP:CP=3:2 이다.

    따라서, BP의 거리는 (3/5)×500 = 300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에는 200m가 없으므로, BP의 거리는 200m가 아닌 다른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적재조사측량규정」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선해석’이란 2대 이상의 고정된 측량기 사이의 3차원 기선벡터(△X,△Y,△Z)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2. ‘라이넥스(RINEX)’란 위성기준점을 이용하여 산출한 보정정보와 이동국이 수신한 GNSS 반송파 위상 신호를 실시간 해석한 자료형식을 말한다.
  3. ‘정지측량(Static)’이란 위성수신기를 관측지점에 일정시간동안 고정하여 연속적으로 위성데이터를 취득한 후 기선해석 및 조정계산을 수행하는 측량방법을 말한다.
  4. ‘세션’이란 당해 측량을 위하여 일정한 관측간격을 두고 GNSS측량기를 동시에 설치하여 지적위성측량을 실시하는 작업 단위를 말한다.
(정답률: 77%)
  • 정답: "‘라이넥스(RINEX)’란 위성기준점을 이용하여 산출한 보정정보와 이동국이 수신한 GNSS 반송파 위상 신호를 실시간 해석한 자료형식을 말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라이넥스(RINEX)는 실시간 해석이 아닌, 측량 후에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교환하기 위한 자료형식이다. 따라서 "위성기준점을 이용하여 산출한 보정정보와 이동국이 수신한 GNSS 반송파 위상 신호를 실시간 해석한" 부분이 옳지 않다.

    라이넥스(RINEX)는 측량 후에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교환하기 위한 자료형식으로, 위성기준점을 이용하여 산출한 보정정보와 이동국이 수신한 GNSS 반송파 위상 신호를 저장한다. 이를 통해 다른 측량기에서도 같은 위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세부측량의 기준 및 방법 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 시 거리측정단위는 1cm로 한다.
  2.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방사법으로 하는 경우에는 1방향선의 도상길이는 20cm 이하로 한다.
  3. 지적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 시 거리측정단위는 5cm로 한다.
  4. 임야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 시 거리측정단위는 50cm로 한다.
(정답률: 81%)
  • 정답: "임야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 시 거리측정단위는 50cm로 한다."

    해설: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방사법으로 하는 경우에는 1방향선의 도상길이는 20cm 이하로 한다. 이유는 방사법으로 측량할 때 거리가 멀어질수록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20cm 이하로 측정하여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측량기준점을 구분할 때 국가기준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위성기준점
  2. 영해기준점
  3. 통합기준점
  4. 지적삼각점
(정답률: 82%)
  • 국가기준점은 대한민국의 공간측량을 위한 기준점으로, 지리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측량기준점입니다. 그러나 지적삼각점은 지적도 작성을 위해 설치된 삼각점으로, 국가기준점과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지적삼각점은 국가기준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우리나라 측량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량의 원점은 대한민국 경위도원점 및 수준원점으로 한다.
  2. 수로조사에서 간출지의 높이와 수심은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측량한다.
  3. 위치는 세계측지계에 따라 측정한 지리학적 경위도와 평균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한다.
  4. 해안선은 해수면이 약최고고조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과의 경계로 표시한다.
(정답률: 63%)
  • "수로조사에서 간출지의 높이와 수심은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측량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수로조사에서 간출지의 높이와 수심은 지반고를 기준으로 측량한다. 이는 수로조사에서 중요한 요소인 간출지의 물의 양과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공 레이저(LiDAR)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림지대에서도 레이저 펄스의 투과가 가능하여 수목고도 추출 및 지형도 제작에 용이하다.
  2. 일반적으로 레이저스캐너와 GPS/INS시스템을 동시에 탑재한다.
  3. 레이저 펄스를 이용하여 지면의 조밀한 3차원 좌표를 측정한다.
  4. 외부표정을 위해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번들조정을 수행한다.
(정답률: 69%)
  • "외부표정을 위해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번들조정을 수행한다."는 항공 레이저(LiDAR)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LiDAR는 대개 GPS/INS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며, 이를 통해 자동으로 번들조정이 수행됩니다. 따라서 지상기준점을 사용하여 번들조정을 수행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그림에서 A점의 타원체고(h)가 57m, 지오이드고(N)가 42m일 때, C점의 표고는? (단, A, B, C점의 지오이드 조건은 동일하다)

  1. 12m
  2. 13m
  3. 14m
  4. 15m
(정답률: 71%)
  • A점과 C점 사이의 수직거리는 지오이드고의 차이와 같다. 따라서 A점과 C점 사이의 수직거리는 57m - 42m = 15m 이다. 그러나 이것은 타원체고를 기준으로 한 거리이므로, 타원체고와 지오이드고의 차이를 고려해 보정해야 한다. 보정값은 타원체고와 지오이드고의 차이인 15m - (57m - 42m) = 0m 이다. 따라서 C점의 표고는 A점의 타원체고에서 보정값을 뺀 값인 57m - 0m = 57m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C점의 표고를 정수로 구하라고 했으므로, 반올림하여 57m에서 44m를 뺀 값인 13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4% 등경사 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주곡선 사이의 도상거리는?

  1. 1cm
  2. 2cm
  3. 4cm
  4. 5cm
(정답률: 35%)
  • 1:50,000 축척 지형도에서 1cm는 현실 세계에서 50,000cm 또는 500m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4% 등경사 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주곡선 사이의 도상거리는 4% × 500m = 20m입니다. 이것은 1cm에 해당하므로 정답은 "1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기복변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사투영사진에서는 기복변위가 없다.
  2. 연직점에서는 기복변위가 발생하지 않는다.
  3. 기복변위는 촬영고도에 비례한다.
  4. 기복변위는 연직점으로부터 상점까지의 거리에 비례한다.
(정답률: 70%)
  • "정사투영사진에서는 기복변위가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기복변위는 촬영하는 시점의 고도와 지형의 불규칙성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정사투영사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기복변위는 촬영하는 시점의 고도에 비례한다. 즉, 고도가 높을수록 기복변위가 커지고, 고도가 낮을수록 기복변위가 작아진다. 이는 지형의 불규칙성이 촬영하는 시점에서 보이는 각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같은 지형에서도 고도가 다르면 기복변위가 다르게 나타난다.

    연직점에서는 기복변위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연직점에서는 지면이 수평으로 보이기 때문에 기복변위가 발생하지 않는다.

    기복변위는 연직점으로부터 상점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지 않는다. 거리는 수평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기복변위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배각법에 의한 각측량 시 시준오차가 ±3″, 눈금읽기오차가 ±3″이고, 3회 측정하였을 경우 배각관측오차는? (단, 정위관측만 시행한 것으로 가정한다)

  1. ±√5
  2. ±√6
  3. ±√7
  4. ±√8
(정답률: 50%)
  • 배각법에 의한 각측량에서는 3회 측정한 결과의 평균값을 사용한다. 따라서, 각 측정에서의 오차는 평균값에서 제거된다. 시준오차와 눈금읽기오차가 각각 ±3″이므로, 3회 측정한 결과의 평균값에서는 이 오차들이 제거된다.

    따라서, 배각관측오차는 오차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으로 계산할 수 있다.

    배각관측오차 = √(시준오차^2 + 눈금읽기오차^2)

    = √(3^2 + 3^2)

    = √18

    = ±√(9×2)

    = ±3√2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8"로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답을 간단화해야 한다.

    √8 = √(4×2) = 2√2

    따라서, 배각관측오차는 ±2√2 이다.

    따라서, 정답은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부정오차의 해석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같은 크기의 (+)오차는 (-)오차보다 자주 발생한다.
  2. 매우 큰 오차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3. 작은 오차가 발생할 확률은 큰 오차가 발생할 확률보다 크다.
  4. 오차들은 확률법칙을 따른다.
(정답률: 83%)
  • "같은 크기의 (+)오차는 (-)오차보다 자주 발생한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측정값이 평균값에서 멀어질수록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평균이 10이고 측정값이 9와 11이라면 9보다 11이 더 멀리 떨어져 있지만, 측정값이 9와 11.5라면 11.5가 더 멀리 떨어져 있지만 9보다 11.5가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같은 크기의 양수 오차는 음수 오차보다 더 자주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상 시ㆍ도 지적재조사위원회에서 심의 및 의결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지적소관청이 수립한 실시계획
  2. 경계설정에 따른 이의신청에 관한 결정
  3. 시ㆍ군ㆍ구별 지적재조사사업의 우선순위 조정
  4. 지적재조사사업지구의 지정 및 변경
(정답률: 69%)
  • "경계설정에 따른 이의신청에 관한 결정"은 지적재조사위원회가 심의 및 의결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는 지적재조사위원회가 아닌 지적소관청에서 결정하는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