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5-12)

9급 지방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2012-05-12 기출문제)

목록

1.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TTP는 하이퍼텍스트를 전송하는 프로토콜로서 TCP를 사용하며 잘 알려진 포트 80번을 사용한다.
  2. TCP는 연결 지향형으로 UDP보다 신뢰성이 높은 프로토콜이다.
  3. SNMP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장치들을 관리하는 네트워크관리 프로토콜이다.
  4. SMTP는 이메일 수신자가 수신된 이메일을 이메일 서버로부터 가져올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73%)
  • 옳지 않은 설명은 "SNMP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장치들을 관리하는 네트워크관리 프로토콜이다." 이다.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암호화 기법은?

  1. 공개 키 암호화
  2. 스니핑(Sniffing)
  3. 비밀 키 암호화
  4. DES(Data Encryption Standard)
(정답률: 85%)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송신자는 수신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수신자는 자신의 비밀키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복호화한다. 이러한 방식은 스니핑과 같은 중간자 공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밀 키 암호화보다 안전하다. 따라서 이 암호화 기법은 "공개 키 암호화"이다. DES는 다른 암호화 기법이므로 선택지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RFID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2. 접촉하지 않아도 인식이 가능한 기술이다.
  3. RFID 리더는 안테나를 통해 태그와 교신하여 태그 칩 내에 저장된 정보를 읽는다.
  4. RFID 태그는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전지를 통한 직접적인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한다.
(정답률: 76%)
  • RFID 태그는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전지를 통한 직접적인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일부 RFID 태그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전지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파일을 보조기억장치에 블록단위로 저장할 때 다음 그림과 같은 공간할당 방식은?

  1. 연속 할당(Continuous Allocation)
  2. 연결 할당(Linked Allocation)
  3. 색인 할당(Indexed Allocation)
  4. 압축 할당(Compressed Allocation)
(정답률: 69%)
  • 연결 할당 방식은 파일을 불연속적인 블록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각 블록은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어 파일의 순서와 상관없이 저장이 가능하다. 이 방식은 파일의 크기가 동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빈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포인터를 저장해야 하므로 저장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며, 파일의 접근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인터럽트(Interrupt) 발생 시 수행되는 작업순서로 옳은 것은?

  1. ㄱ→ㄴ→ㄹ→ㄷ
  2. ㄱ→ㄷ→ㄴ→ㄹ
  3. ㄴ→ㄱ→ㄷ→ㄹ
  4. ㄴ→ㄱ→ㄹ→ㄷ
(정답률: 47%)
  •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수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으로 이동하여 해당 인터럽트를 처리합니다. 따라서, ㄴ(현재 수행중인 작업 중단) → ㄱ(ISR로 이동) → ㄷ(해당 인터럽트 처리) → ㄹ(이전 작업으로 복귀) 순서로 작업이 수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ㄴ→ㄱ→ㄷ→ㄹ"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회로도에 아래 표와 같은 입력 신호 값이 주어졌을 때 출력 신호 값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36%)
  • 입력 신호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를 통해 출력 신호가 1이 되므로, 출력 신호는 1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객체지향 개념과 관계 개념을 통합한 것이다.
  2.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와 연산을 일체화한 객체를 기본 구성요소로 사용한다.
  3.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레코드들을 그래프 구조로 연결한다.
  4. 계층형 데이터베이스는 레코드들을 트리 구조로 연결한다.
(정답률: 62%)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레코드들을 그래프 구조로 연결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릴레이션(테이블)들 간의 관계를 통해 데이터를 구성하며, 레코드들은 각각의 테이블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그래프 구조로 연결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정보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마이닝은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연관된 규칙이나 패턴을 찾아 관련 정보를 추출한다.
  2.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호스트의 물리 주소(Physical Address)를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프로토콜이다.
  3. IPv6에서는 유니캐스트, 애니캐스트, 멀티캐스트를 지원한다.
  4. 증강현실은 실세계 위에 가상세계의 정보를 겹쳐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정답률: 58%)
  • 정보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ARP는 호스트의 물리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프로토콜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은 가중치 그래프이다. Kruska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어진 그래프의 최소비용 신장트리를 찾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소비용 신장트리의 비용은 24이다.
  2. 최소비용 신장트리에 네 번째로 추가되는 간선은 V1과 V4를 연결한 것이다.
  3. 그래프에서 간선의 수가 n개일 때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는 O(n2)이다.
  4. 새로운 간선을 추가할 때마다 사이클이 형성되는지 확인한다.
(정답률: 54%)
  • "그래프에서 간선의 수가 n개일 때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는 O(n2)이다." 인 이유는 옳지 않다. Kruskal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ElogE)이며, E는 간선의 수이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간선의 수가 n개일 때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는 O(nlog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객체지향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일한 클래스의 객체들은 서로 다른 클래스 변수 값을 가진다.
  2. 클래스의 객체에 대한 연산을 정의하는 부프로그램을 메소드라한다.
  3. 클래스가 하나의 부모 클래스를 갖는 것을 단일상속이라 한다.
  4.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은 객체지향 소프트웨어의 정적모델과 동적모델을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65%)
  • "동일한 클래스의 객체들은 서로 다른 클래스 변수 값을 가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클래스 변수가 객체마다 고유한 값을 가지지 않고, 클래스 전체에서 공유되는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클래스의 객체들은 서로 같은 클래스 변수 값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글에서 설명하는 것은?

  1. IPTV
  2. VoIP
  3. IPv6
  4. IPSec
(정답률: 71%)
  • 이미지에서 보이는 전화기와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는 인터넷 전화를 의미하는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다중 접근방식은?

  1. FDMA
  2. ALOHA
  3. Token Ring
  4. CSMA/CD
(정답률: 78%)
  • - 다중 접근 방식: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방식
    - 조건:
    1. 충돌이 발생하면 감지할 수 있어야 함
    2. 충돌이 발생한 경우, 재전송을 위한 백오프 알고리즘이 필요함
    -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을 감지하여 다른 컴퓨터가 전송 중인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감지하여 재전송을 위한 백오프 알고리즘을 실행함. 따라서 위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므로 정답이 됨.
    -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여 각 컴퓨터가 독립적으로 사용함. 충돌이 발생하지 않지만, 대역폭이 낭비될 수 있음.
    - ALOHA: 데이터를 전송할 때 충돌이 발생하면 일정 시간 후에 재전송함. 충돌이 많이 발생하여 대역폭이 낭비될 수 있음.
    - Token Ring: 토큰이라는 신호를 사용하여 한 컴퓨터씩 차례대로 데이터를 전송함. 충돌이 발생하지 않지만, 토큰이 손실되면 전체 네트워크가 멈출 수 있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분산기술을 이용하여 트랜잭션 처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지역 사이트에 있는 모든 DBMS가 동일해야 한다.
  3. 데이터 중복기술을 이용하여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4. 트랜잭션의 원자성을 보장하기 위해 2단계 완료 규약(Two-Phase Commit Protocol)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49%)
  • "지역 사이트에 있는 모든 DBMS가 동일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분산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지역 사이트마다 다른 DBMS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지역 사이트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한 DBMS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SRT(Shortest Remaining Time)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남은 실행시간이 긴 작업은 기아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없다.
  2.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은 자신의 남은 실행시간보다 짧은 실행시간을 가진 작업에 의해 선점된다.
  3. MLQ(Multi Level Queue) 알고리즘의 변형된 형태이며 우선순위 큐를 사용한다.
  4. 라운드 로빈 알고리즘과 같이 반드시 클록(Clock) 인터럽트를 필요로 한다.
(정답률: 49%)
  • 정답은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은 자신의 남은 실행시간보다 짧은 실행시간을 가진 작업에 의해 선점된다." 이다.

    SRT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현재 실행 중인 작업보다 남은 실행시간이 더 짧은 작업이 있으면 그 작업으로 선점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를 통해 짧은 작업이 먼저 실행되어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고, 긴 작업이 기아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남은 실행시간이 긴 작업은 기아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없다."는 설명도 옳다.

    MLQ 알고리즘과 라운드 로빈 알고리즘과는 다르게 SRT 알고리즘은 우선순위 큐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클록 인터럽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폭포수(Waterfall) 모델은 요구사항이 잘 이해되고 시스템 개발 중 급격한 변경이 없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2. 컴포넌트 기반(Component-based) 모델은 개발될 소프트웨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3. 나선형(Spiral) 모델은 프로토타입핑(Prototyping) 모델의 반복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4. V 모델은 폭포수 모델에 시스템 테스트와 검증 작업을 강조한 것이다.
(정답률: 61%)
  • "나선형(Spiral) 모델은 프로토타입핑(Prototyping) 모델의 반복성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나선형 모델은 프로토타입핑 모델과 유사하게 반복적인 개발 과정을 거치며 위험 분석과 평가를 통해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모델이다. 따라서 나선형 모델은 프로토타입핑 모델의 반복성을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RAI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RAID 0은 모든 데이터를 복사하여 별도의 디스크에 저장하며, 하나의 디스크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실시간으로 모든 데이터의 복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 RAID 1은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하며, 데이터 전송이 병렬로 이루어져 읽기와 쓰기 성능이 개선되지만 디스크 오류 시 데이터 복구가 어렵다.
  3. RAID 2는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하며, 해밍코드를 사용하는 패리티를 항상 하나의 패리티 디스크에만 저장한다.
  4. RAID 5는 별도의 패리티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스크에 패리티를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분산하여 저장한다.
(정답률: 40%)
  • RAID 5는 별도의 패리티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스크에 패리티를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분산하여 저장한다. 이는 데이터와 패리티가 모두 분산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하나의 디스크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복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C언어 프로그램의 실행 후 출력 결과로 옳은 것은?

  1. k = 3, j = 2
  2. k = 2, j = 3
  3. k = 2, j = 2
  4. k = 3, j = 3
(정답률: 35%)
  • 이 프로그램은 두 개의 변수 k와 j를 선언하고, k에 2를 대입한 후 j에 k++를 대입한다. 이때 k++는 k의 값을 1 증가시키고, 이전 k의 값을 반환한다. 따라서 j에는 2가 대입된다. 그리고 k에 ++j를 대입한다. 이때 ++j는 j의 값을 1 증가시키고, 증가된 j의 값을 반환한다. 따라서 k에는 3이 대입된다. 따라서 정답은 "k = 3, j =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CPU가 명령어를 처리하는 과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ㄴ→ㄷ→ㅁ→ㄱ→ㄹ
  2. ㄷ→ㄱ→ㄴ→ㄹ→ㅁ
  3. ㄷ→ㄴ→ㅁ→ㄱ→ㄹ
  4. ㄷ→ㄹ→ㄴ→ㅁ→ㄱ
(정답률: 46%)
  • CPU가 명령어를 처리하는 과정은 Fetch(가져오기) → Decode(해석) → Execute(실행) → Memory(저장) 순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ㄷ→ㄴ→ㅁ→ㄱ→ㄹ" 순서가 옳다.

    1. Fetch: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온다. (ㄷ)
    2. Decode: 가져온 명령어를 해석한다. (ㄴ)
    3. Execute: 명령어를 실행한다. (ㅁ)
    4. Memory: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ㄱ)
    5. 다음 명령어를 가져와서 반복한다. (ㄹ)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리피터는 약한 신호를 원래대로 재생하는 장비로서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2. 수동허브는 단말기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다중포트 스위치이며 전송계층에서 동작한다.
  3. 브리지는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를 검사하여 그 프레임을 계속 전달해야 할 지 아니면 버려야 할 지를 결정하며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4. 라우터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최적 경로를 결정해주는 역할을 하며 전송계층에서 동작한다.
(정답률: 50%)
  • 브리지는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를 검사하여 그 프레임을 계속 전달해야 할 지 아니면 버려야 할 지를 결정하며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이는 브리지가 MAC 주소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필터링하고 전달할지 결정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CPU 관련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는 한 번에 하나의 명령어와 하나의 데이터만을 순서대로 실행한다.
  2. 슈퍼스칼라(Superscalar)는 다수의 명령어 실행 유니트(Instruction Execution Unit)를 이용하여 각 사이클마다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동시에 실행한다.
  3. 명령어 파이프라이닝(Pipelining)은 명령어 수행과정을 둘 이상의 단계로 나누어 여러 명령어를 중첩하여 실행한다.
  4. VLIW(Very Long Instruction Word)는 하나의 명령어 형식에 다수의 연산코드를 포함시켜 여러 개의 기능 유니트(Function Unit)에서 연산들을 동시에 실행한다.
(정답률: 53%)
  •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는 한 번에 하나의 명령어와 다수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기술이므로, 주어진 보기 중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는 한 번에 하나의 명령어와 하나의 데이터만을 순서대로 실행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