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6-21)

9급 지방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2014-06-21 기출문제)

목록

1. 구조화된 웹 문서의 작성을 위해 W3C에서 제정한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는?

  1. HTML
  2. CSS
  3. XML
  4. SGML
(정답률: 72%)
  • XML은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로,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HTML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언어이고, CSS는 스타일을 지정하는 언어이며, SGML은 마크업 언어를 정의하는 메타 언어이다. 따라서, 구조화된 웹 문서의 작성을 위해 W3C에서 제정한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는 XM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CPU의 연산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의 기본 단위로서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것은?

  1. 워드(word)
  2. 바이트(byte)
  3. 비트(bit)
  4. 니블(nibble)
(정답률: 59%)
  • 워드는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로, 보통 2바이트 또는 4바이트 크기를 가지며, CPU의 아키텍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워드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8비트 데이터 A와 B에 대해 다음 비트(bitwise) 연산을 수행하였더니, A의 값에 상관없이 연산 결과의 상위(왼쪽) 4비트는 A의 상위 4비트의 1의 보수이고 연산 결과의 하위(오른쪽) 4비트는 A의 하위 4비트와 같다. B의 값을 이진수로 표현한 것은?

  1. 000011112
  2. 111100002
  3. 100100002
  4. 000010012
(정답률: 60%)
  • 연산 결과의 상위 4비트는 A의 상위 4비트의 1의 보수이므로, A의 상위 4비트가 0이면 상위 4비트는 1로, 1이면 0으로 바뀐다. 따라서 A의 상위 4비트가 어떤 값이든 상위 4비트는 1111이 된다. 연산 결과의 하위 4비트는 A의 하위 4비트와 같으므로, B의 하위 4비트는 A의 하위 4비트와 같다. 따라서 B의 하위 4비트는 0000이 된다. 따라서 B의 값은 상위 4비트가 1111이고 하위 4비트가 0000인 1111000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경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정보를 공유하게 하여 기업의 기간 업무부터 인사 관계까지 기업 활동 전반을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경영 자원의 활용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은?

  1.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2.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3.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4.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정답률: 62%)
  • ERP는 기업 내 모든 부서의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실시간으로 경영 상태를 파악하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경영 자원의 활용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위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중에서 ERP가 가장 적합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C 프로그램의 출력 값은?

  1. 27 37 47 57 67
  2. 37 47 57 67 77
  3. 47 57 67 77 87
  4. 43 53 63 73 83
(정답률: 71%)
  • 이 프로그램은 2차원 배열을 이용하여 구구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배열 arr의 각 원소는 i*j의 값을 가지고 있으며, i는 행 번호, j는 열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arr[0][0]은 0*0, arr[0][1]은 0*1, arr[1][0]은 1*0, arr[1][1]은 1*1의 값을 가지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반복문을 통해 각 원소를 출력하면, 구구단의 3단부터 9단까지의 결과값이 출력된다.

    따라서 출력 값은 "37 47 57 67 7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운영체제에서 교착상태(deadlock)가 발생하기 위한 필요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상호배제(mutual exclusion)
  2.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3. 선점(preemption)
  4. 순환 대기(circular wait)
(정답률: 86%)
  • 선점(preemption)은 교착상태를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로,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을 강제로 빼앗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선점(preemption)은 교착상태를 발생시키는 필요조건 중 하나인 순환 대기(circular wait)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점(preempt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형상 관리는 소프트웨어에 가해지는 변경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2. 기준선(baseline) 변경은 공식적인 절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3. 개발 과정의 산출물인 원시 코드(source code)는 형상 관리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다.
  4. 형상 관리는 소프트웨어 운용 및 유지보수 단계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정답률: 77%)
  • 개발 과정의 산출물인 원시 코드(source code)는 형상 관리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원시 코드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중요한 산출물 중 하나이며, 형상 관리의 대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클러스터(cluster)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러스터 내의 노드들을 연결하기 위해 클러스터 전용 상호연결망이나 LAN을 사용할 수 있다.
  2. 노드를 추가함으로써 클러스터의 확장이 가능하다.
  3. 일부 노드의 고장 발생 시에도 지속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높은 가용성을 추구한다.
  4. 각 노드의 개별적인 운영체제 없이 모든 노드들은 단일 운영체제의 관리하에서 동작한다.
(정답률: 82%)
  • 각 노드의 개별적인 운영체제 없이 모든 노드들은 단일 운영체제의 관리하에서 동작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클러스터 컴퓨터 시스템은 각 노드가 개별적인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클러스터 소프트웨어가 관리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동작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어떤 회사의 한 부서가 155.16.32.*, 155.16.33.*, 155.16.34.*, 155.16.35.*로 이루어진 IP 주소들만으로 서브넷(subnet)을 구성할 때, 서브넷마스크(mask)로 옳은 것은? (단, IP 주소는 IPv4 주소 체계의 비클래스형(classless) 주소 지정이 적용된 것이고, IP 주소의 *는 0~255를 의미한다)

  1. 255.255.252.0
  2. 255.255.253.0
  3. 255.255.254.0
  4. 255.255.255.0
(정답률: 44%)
  • 155.16.32.*, 155.16.33.*, 155.16.34.*, 155.16.35.*는 모두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옥텟(octet)이 같고, 마지막 옥텟이 0부터 255까지 모두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IP 주소들을 하나의 서브넷으로 묶기 위해서는 서브넷마스크를 적절하게 설정해야 한다.

    서브넷마스크는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네트워크 부분은 1로, 호스트 부분은 0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155.16.32.*, 155.16.33.*, 155.16.34.*, 155.16.35.*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부분이 155.16.32.0 ~ 155.16.35.255까지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255.255.252.0은 이를 만족하는 서브넷마스크이다. 이는 첫 번째, 두 번째 옥텟은 모두 네트워크 부분으로 고정되어 있고, 세 번째 옥텟에서 1과 0이 각각 2비트씩 할당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55.16.32.0 ~ 155.16.35.255까지 모두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을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키(ke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퍼키(superkey)는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attribute)들 중에서 각 투플(tuple)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이다.
  2. 후보키(candidate key)는 유일성(uniqueness)과 최소성(minimality)을 만족시킨다.
  3. 기본키(primary key)는 후보키 중에서 투플을 식별하는 기준으로 선택된 특별한 키이다.
  4. 두 개 이상의 후보키 중에서 기본키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후보키를 외래키(foreign key)라고 한다.
(정답률: 80%)
  • 옳지 않은 설명은 "두 개 이상의 후보키 중에서 기본키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후보키를 외래키(foreign key)라고 한다." 이다. 외래키는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참조하는 속성(attribute)이다. 즉,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현재 릴레이션의 속성으로 포함시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한 것은?

  1. NAT
  2. ARP
  3. DHCP
  4. DNS
(정답률: 74%)
  •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해당 호스트의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여 해당 호스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N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음수 표현을 위해 2의 보수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 4비트 덧셈의 결과를 10진수 값으로 표현한 것은?

  1. 0
  2. -7
  3. 15
  4. -1
(정답률: 67%)
  • 2의 보수를 사용하여 음수를 표현할 때, 해당 수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해준다. 따라서, 1101의 2의 보수는 0011이 된다. 따라서, 1101 + 0011 = 0000이 되고, 이는 10진수로 -1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후입선출(LIFO : Last-In First-Out) 형태로서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 이루어지는 자료구조는?

  1. 스택(stack)
  2. 큐(queue)
  3. 트리(tree)
  4. 그래프(graph)
(정답률: 86%)
  • 스택은 후입선출(LIFO) 형태의 자료구조로, 새로운 자료는 항상 스택의 가장 위에 쌓이고, 삭제할 때는 가장 위에 있는 자료부터 삭제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스택은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 이루어지는 자료구조입니다. 따라서 스택이 후입선출 형태의 자료구조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양한 장치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PAN(Personal Area Network)을 위한 통신 규격으로, IEEE 802.15.1 표준으로 채택된 통신 방법은?

  1. 블루투스(Bluetooth)
  2. Wi-Fi(Wireless-Fidelity)
  3.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4. USB(Universal Serial Bus)
(정답률: 79%)
  • 블루투스는 저전력 무선 기술로, 주변에 있는 다른 블루투스 기기와 짧은 거리 내에서 통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AN을 위한 통신 규격으로 적합하며, 다양한 장치들이 서로 쉽게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블루투스는 대부분의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은 .NET 프레임워크(framework)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지원하는 언어이다.
  2. Java는 C++의 특징인 클래스에서의 다중 상속과 포인터를 지원하는 간결한 언어이다.
  3. JavaScript, PHP 및 Ruby는 스크립트 언어이다.
  4. C++는 다형성, 오버로딩, 예외 처리와 같은 객체지향(object-oriented) 프로그래밍의 특징을 가진 언어이다.
(정답률: 53%)
  • 정답은 "Java는 C++의 특징인 클래스에서의 다중 상속과 포인터를 지원하는 간결한 언어이다." 이다. Java는 다중 상속을 지원하지 않으며, 포인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Java는 C++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복잡하고 간결한 언어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RAM 칩을 사용하여 8K × 64비트 기억장치 모듈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4개의 2K× 64비트 RAM 칩 사용
  2. 32개의 1K× 16비트 RAM 칩 사용
  3. 8개의 4K× 8비트 RAM 칩 사용
  4. 4개의 8K× 16비트 RAM 칩 사용
(정답률: 77%)
  • 8개의 4K× 8비트 RAM 칩 사용은 8K × 64비트 기억장치 모듈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8개의 4K× 8비트 RAM 칩을 사용하면 각 칩은 4K × 8비트의 용량을 가지므로, 8개를 사용하면 총 용량은 32K × 8비트가 됩니다. 따라서 8K × 64비트의 용량을 가진 기억장치 모듈을 구성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캐시 메모리 시스템을 구성할 때 일반적으로 캐시 블록은 복수의 워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데, 이것은 어떤 항목이 참조되면 그 근처에 있는 다른 항목들도 곧바로 참조될 가능성이 높다는 메모리 참조의 특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시간적 지역성(temporal locality)
  2. 캐시 일관성(cache coherence)
  3. 공간적 지역성(spatial locality)
  4. 영속적 바인딩(persistent binding)
(정답률: 69%)
  • 공간적 지역성은 메모리 참조가 일어날 때, 참조된 항목 근처에 있는 다른 항목들도 곧바로 참조될 가능성이 높다는 특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은 캐시 메모리 시스템에서 캐시 블록이 복수의 워드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이유가 되며, 캐시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이 높아져 캐시 히트율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RAM의 일종인 DRAM(Dynamic RA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휘발성 메모리이다.
  2. 주기적인 재충전(refresh)이 필요하다.
  3. SRAM(Static RAM)에 비해 접근 속도가 빠르고 저장 밀도가 높다.
  4. 주기억장치로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71%)
  • "주기적인 재충전(refresh)이 필요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DRAM은 충전된 전하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재충전이 필요하다는 것이 맞지만, 이는 DRAM의 특성이며 SRAM과는 무관하다.

    SRAM은 DRAM과 달리 충전된 전하를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주기적인 재충전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SRAM에 비해 접근 속도가 빠르고 저장 밀도가 높다."는 DRAM의 특징 중 하나이다. DRAM은 작은 셀 크기로 높은 저장 밀도를 가지며, 충전된 전하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데이터를 읽기 전에 재충전이 필요하므로 SRAM에 비해 약간 느린 접근 속도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파이프라이닝(pipelining) 기법이 적용된 프로세서에서 파이프라인 실행이 계속될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 파이프라인 전체 또는 일부가 정지(stall)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를 파이프라인 해저드(pipeline hazard)라고 한다. 파이프라인 해저드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구조적 해저드(structural hazard)
  2. 데이터 해저드(data hazard)
  3. 제어 해저드(control hazard)
  4. 병렬 해저드(parallel hazard)
(정답률: 69%)
  • 정답: 병렬 해저드(parallel hazard)

    파이프라인 해저드는 구조적 해저드, 데이터 해저드, 제어 해저드로 나눌 수 있다. 구조적 해저드는 하드웨어 자원이 충분하지 않아 파이프라인이 멈추는 경우를 말하며, 데이터 해저드는 데이터 의존성으로 인해 파이프라인이 멈추는 경우를 말한다. 제어 해저드는 분기 명령어와 같이 제어 흐름이 변경되는 경우를 말한다. 반면, 병렬 해저드는 파이프라인에서 동시에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파이프라인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지만,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CPU 스케줄링 기법 중에서 기아상태(starvation)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는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정답률: 69%)
  • 정답은 "ㄱ, ㄴ, ㄹ"입니다.

    - FCFS(First-Come, First-Served) : 선입선출 방식으로, 먼저 도착한 프로세스부터 처리하는 방식이므로 기아상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SJF(Shortest Job First) :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부터 처리하는 방식이므로,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가 계속해서 대기하는 기아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선점형 SJF는 기아상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RR(Round Robin) : 일정 시간 할당량(time quantum)을 정해놓고, 해당 시간 내에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프로세스는 대기열의 맨 뒤로 보내고, 다음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할당량이 충분히 작으면 기아상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