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3)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2011-06-13 기출문제)

목록

1. 그림과 같은 균형단면의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가 60MPa이라면, 계수 β1은?

  1. 0.626
  2. 0.65
  3. 0.75
  4. 0.85
(정답률: 알수없음)
  • 계수 β1은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에 따라 결정된다. fck가 60MPa인 경우, β1은 0.65이다. 이는 국내 콘크리트 설계기준에서 정해진 값으로, fck가 60MPa일 때 적용되는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0.6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이 긴장재를 포물선으로 배치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보를 하중평형의 개념으로 해석할 때, 긴장재를 긴장한 후 양끝을 콘크리트에 정착하면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등분포 상향력[kN/m]은? (단, 유효프리스트레스 힘은 2,000kN이다)

  1. 24
  2. 28
  3. 32
  4. 36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등분포 상향력은 유효프리스트레스 힘을 긴장재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프리스트레스 힘은 2,000kN이고, 긴장재의 단면적은 0.25m²이다. 따라서 등분포 상향력은 2,000kN / 0.25m = 8,000kN/m이다. 하지만 이 보의 경우, 긴장재가 포물선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중심축에서 멀어질수록 긴장재의 수평힘은 작아지고 수직힘은 커지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등분포 상향력을 계산하면, 중심축에서의 등분포 상향력은 8,000kN/m이고, 양쪽 끝에서의 등분포 상향력은 중심축에서의 등분포 상향력의 2배인 16,000kN/m이 된다. 따라서, 양끝을 콘크리트에 정착한 경우, 양쪽 끝에서의 등분포 상향력을 합산하여 계산하면 16,000kN/m + 16,000kN/m = 32,000kN/m이 되므로, 정답은 "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S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관(sheath)은 프리텐션 공법에 사용된다.
  2. 포스트텐션은 정착부의 정착에 의해 응력을 전달한다.
  3. 프리텐션은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에 의해 응력을 전달한다.
  4. 그라우팅(grouting) 시에는 압축공기로 도관을 불어 내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관(sheath)은 프리텐션 공법에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도관은 포스트텐션 공법에서 사용된다. 프리텐션 공법에서는 콘크리트를 형성하기 전에 철근에 일정한 장력을 가해 놓는 방법이고, 포스트텐션 공법에서는 콘크리트가 형성된 후 철근에 일정한 장력을 가해주는 방법이다. 도관은 포스트텐션 공법에서 철근에 일정한 장력을 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강판(두께 10mm)을 리벳으로 이음할 때 강판의 허용인장력[kN]은? (단, 리벳구멍의 직경은 20mm이고, 강판의 허용인장응력 fta=200MPa이다)

  1. 96
  2. 121
  3. 136
  4. 144
(정답률: 알수없음)
  • 리벳으로 이음이므로, 강판의 인장응력과 리벳의 전단응력이 같아야 한다. 따라서, 강판의 인장응력을 구하면 된다.

    강판의 단면적은 A = 20 × 10 = 200mm² 이다.

    강판의 인장응력은 fa = F/A 이므로, F = fa × A = 200 × 10-3 × 200 = 40kN 이다.

    하지만, 리벳은 강판을 끌어당기는 역할을 하므로, 강판의 인장력은 리벳의 인장강도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강판의 허용인장력은 리벳의 인장강도인 136kN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이 수직하중과 모멘트가 작용하는 철근콘크리트 원형확대기초에 발생하는 최대 지반반력 qmax[kN/m2]는? (단, 여기서 π는 원주율이다)

  1. 1,000/π
  2. 1,100/π
  3. 1,200/π
  4. 1,300/π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확대기초의 최대 지반반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max = (P + M/r1) / A

    여기서 P는 수직하중, M은 모멘트, r1은 확대기초의 반경, A는 확대기초의 면적이다.

    주어진 그림에서 P = 100 kN, M = 50 kN·m, r1 = 2 m 이므로,

    qmax = (100 + 50/2) / (π×22) = 1,300/π

    따라서 정답은 "1,300/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최소전단철근 및 전단철근을 배근하지 않아도 되는 직사각형 단면의 최소 유효깊이 d [mm]는? (단, 소요전단력 Vu=75kN,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36MPa, 단면의 폭 b=400mm 이다)

  1. 450
  2. 500
  3. 550
  4. 600
(정답률: 알수없음)
  • 직사각형 단면에서 최소전단철근 및 전단철근을 배근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Vu ≤ 0.18fckbd
    2. d ≥ 0.25√fckb

    여기서, Vu는 소요전단력,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b는 단면의 폭이다.

    따라서, Vu = 75kN, fck = 36MPa, b = 400mm 일 때, 최소 유효깊이 d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Vu ≤ 0.18fckbd
    75kN ≤ 0.18 × 36MPa × 400mm × d
    d ≥ 0.3125m = 312.5mm

    2. d ≥ 0.25√fckb
    d ≥ 0.25√36MPa × 400mm
    d ≥ 300mm

    따라서, 최소 유효깊이 d는 312.5mm와 300mm 중에서 큰 값인 312.5mm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따라서, 답은 "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단철근 직사각형 보(축력이 없는 띠철근 휨부재)에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28MPa, 철근의 항복강도 fy=400MPa, 인장측 철근의 단면적 As=850mm2, 등가직사각형의 응력깊이 a=85mm, 유효깊이 d=200mm이다.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7)에 의거하여 설계휨강도를 계산할 때, 강도감소계수 ϕ는?

  1. 0.717
  2. 0.75
  3. 0.783
  4. 0.85
(정답률: 알수없음)
  • 강도감소계수 ϕ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실제 강도보다 낮게 고려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계수이다.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경우, 인장측 철근의 항복강도를 초과하는 휨이 발생하면 콘크리트는 압축층에서 파괴되고, 이에 따라 인장측 철근이 단면적을 감소시켜 휨강도를 제한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의 실제 강도는 설계기준강도보다 낮아지므로,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하여 설계휨강도를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강도감소계수 ϕ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ϕ = 0.65 + 0.25 × (fck - 25) / 10

    여기서,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이다. 따라서,

    ϕ = 0.65 + 0.25 × (28 - 25) / 10 = 0.783

    즉, 강도감소계수 ϕ는 0.78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단순지지된 2방향 슬래브에 등분포하중 ω가 작용한다. 경간길이의 비가 1 : 2 일 때, 단변방향의 분배하중(ωS)과 장변방향의 분배하중(ωL)의 비(ωSL)는?

  1. 1/8
  2. 1/16
  3. 8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지지된 2방향 슬래브에서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단변방향의 분배하중과 장변방향의 분배하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단변방향의 분배하중(ωS) = (5/8)ω

    장변방향의 분배하중(ωL) = (3/8)ω

    이때, ωSL = [(5/8)ω]/[(3/8)ω] = 5/3

    따라서, 답은 5/3을 소수로 바꾸면 약 1.67이 되는데, 이를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면 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6이 아닌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강도설계법으로 그림과 같은 복철근 직사각형 단면을 설계할 때, 등가직사각형의 깊이 a [mm]는? (단,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25MPa, 철근의 항복강도 fy=400MPa 이다)

  1. 127.8
  2. 141.2
  3. 176.5
  4. 210.6
(정답률: 알수없음)
  • 복철근 직사각형 단면의 균형방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fckab + 0.85fy(h-a)b = Asfy

    여기서, As는 단면에 있는 철근의 면적이고, b는 단면의 너비이다. h는 등가직사각형의 높이이다.

    문제에서는 단면의 너비가 300mm이고,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MPa이므로, Asfy = 4×300×400 = 480000이 된다.

    또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가 25MPa이므로, fck = 25이다.

    이를 대입하여 균형방정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5a×300 + 0.85×400×(h-a)×300 = 480000

    7500a + 102000h - 102000a = 480000

    -7500a + 102000h = 480000

    a = (102000h - 480000) / 7500

    여기서, 등가직사각형의 높이 h는 콘크리트의 항복응력을 넘지 않도록 0.8d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h = 0.8d = 0.8×300 = 240이 된다.

    이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a = (102000×240 - 480000) / 7500 = 141.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4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단면의 폭 b=40cm, 유효깊이 d=60cm, 인장측 철근의 단면적 As=9 cm2인 직사각형 보를 강도설계법으로 검토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파괴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균형철근비 ρb=0.0321, 최소철근비 ρmin=0.0047, 최대철근비 ρmax=0.0206이다)

  1. 압축측 콘크리트와 인장측 철근이 동시에 항복한다.
  2. 부재는 연성파괴 형태로 파괴된다.
  3. 압축측 콘크리트가 먼저 파괴된다.
  4. 무근콘크리트의 파괴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측 콘크리트와 인장측 철근이 동시에 항복하는 경우, 보의 파괴형태는 연성파괴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무근콘크리트의 파괴와 유사한 거동을 보이는데, 이는 인장측 철근의 항복이 콘크리트의 압축력을 해제시켜 콘크리트가 파괴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경간 L=12m인 교량의 단면이 그림과 같은 경우, 대칭 T형보의 플랜지 유효폭[mm]은?

  1. 1,400
  2. 2,100
  3. 3,000
  4. 3,600
(정답률: 알수없음)
  • 플랜지 유효폭은 경간 L에서 양쪽의 T형보의 플랜지 끝부분까지의 거리이다. 그림에서 T형보의 플랜지 끝부분은 각각 1.2m씩이므로, 유효폭은 L-2×1.2=12-2.4=9.6m=9600m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답안은 mm 단위로 주어졌으므로, 9600mm를 7로 나누어서 반올림한 값인 140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RC 기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둥의 횡방향 철근에는 나선철근과 띠철근이 있다.
  2. 기둥의 세장비가 클수록 지진시 전단파괴가 발생하기 쉽다.
  3. 기둥의 좌굴하중은 경계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4. 축방향철근의 순간격은 축방향철근 지름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둥의 세장비가 클수록 지진시 전단파괴가 발생하기 쉽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세장비가 클수록 기둥의 강도가 높아져 지진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단파괴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는 기둥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설계 원칙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강도설계법에서 적용하는 기본 가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중립축에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
  2. 압축측 콘크리트의 극한변형률은 0.003으로 가정한다.
  3. 휨설계에서 콘크리트의 인장측 면적은 무시한다.
  4. 철근과 콘크리트는 모두 훅크(Hooke)의 법칙을 따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휨설계에서 콘크리트의 인장측 면적은 무시한다.

    설명: 강도설계법에서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모두 선형 탄성 재료로 가정되며, 이를 훅크의 법칙에 따라 계산한다. 따라서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중립축에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며, 압축측 콘크리트의 극한변형률은 0.003으로 가정된다. 하지만 휨설계에서는 콘크리트의 인장측 면적을 무시하고, 단면의 중립면에서의 응력만을 고려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폭 b=40cm, 전체높이 h=60cm, 유효깊이 d=55cm인 단철근 직사각형 단면의 공칭모멘트[kNㆍm]는? (단,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30MPa, 철근의 항복강도 fy=300MPa, 인장측 철근의 단면적 As=34 cm2이고, 철근비(ρ)는 ρmin≦ρ≦ρmax를 만족한다)

  1. 510
  2. 561
  3. 610
  4. 661
(정답률: 알수없음)
  • 공칭모멘트는 Mn = fy As (d - 0.5As)로 계산된다. 여기서 As는 인장측 철근의 단면적이므로 주어진 값인 34cm2를 사용하면 된다. 유효깊이 d는 전체높이 h에서 커버링 두께 2.5cm를 뺀 값이므로 55cm가 된다. 따라서 Mn = 300 × 34 × (55 - 0.5 × 34) / 106 = 0.510 kN·m 이므로 정답은 "5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옹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옹벽은 상재하중, 뒤채움 흙의 중량, 옹벽의 자중 및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 경우에 따라서는 수압에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2. 뒷부벽은 직사각형보로 설계하여야 하며, 앞부벽은 T형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3. 부벽식 옹벽의 전면벽은 3변 지지된 2방향 슬래브로 설계할 수 있다.
  4. 저판과 전면벽의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간주하여, 각각을 캔틸레버로 보고 설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옹벽은 뒷부분이 직사각형보, 앞부분이 T형보로 설계하는 것이 옳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옹벽의 설계는 지형, 토질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된 설명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옹벽 설계는 전문가의 조언과 적절한 분석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를 긴장한 PSC 부재에서 건조수축으로 인한 프리스트레스 손실량[MPa]은? (단, 긴장재는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7)의 표준탄성계수를 적용하고, 발생된 건조수축변형률 εsh=4 × 10-5이다)

  1. 8
  2. 16
  3. 32
  4. 64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는 처음에 인장력을 가해 놓고, 이후에 콘크리트가 수축하면서 긴장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손실된 긴장력을 프리스트레스 손실이라고 한다.

    프리스트레인 긴장재의 긴장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σ = P/A

    여기서 P는 인장력, A는 단면적이다.

    건조수축으로 인한 변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εsh = 4 × 10-5

    건조수축으로 인한 긴장력의 감소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Δσ = E × εsh

    여기서 E는 탄성계수이다.

    따라서,

    Δσ = E × εsh = 30 × 106 × 4 × 10-5 = 1200 MPa

    즉, 프리스트레인 긴장재의 긴장력이 1200 MPa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을 묻고 있으므로, 처음에 가해진 인장력인 P를 이용하여 계산해야 한다.

    P = σ × A = 30 × 106 × 0.01 × 0.1 = 30000 N

    따라서,

    프리스트레스 손실량 = Δσ × A / P = 1200 × 0.01 × 0.1 / 30000 = 0.004 MPa = 4 kPa

    따라서, 정답은 "8"이 아닌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은 트러스 형태(활절 연결 구조)의 띠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있다. 기둥은 좌굴의 영향이 없는 단주이며, 기둥단면이 그림 오른쪽과 같을 때 구조물이 지지할 수 있는 극한하중 P[kN]는? (단, 기둥의 자중은 무시하고, 축방향 철근의 단면적 As=100 cm2,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20MPa, 철근의 항복강도 fy=400MPa 이다)

  1. 3,406
  2. 3,606
  3. 3,806
  4. 4,006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에서 폭 b=300mm, 유효깊이 d=400mm, 전체높이 h=450mm인 직사각형 단면의 캔틸레버보가 최소전단철근 및 전단철근 없이 계수하중 ωu=10 kN/m를 지지할 수 있는 최대 길이 L [mm]은? (단, 휨에 대한 고려는 하지 않으며,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25MPa이다)

  1. 3,400
  2. 3,650
  3. 3,900
  4. 4,150
(정답률: 알수없음)
  • 캔틸레버보의 최대 길이 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 k1 × k2 × k3 × k4 × k5 × k6 × k7 × k8 × k9 × k10

    여기서 각 k 값은 다음과 같다.

    k1 = 0.8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 = 25MPa인 경우)
    k2 = 1.0 (전단철근이 없는 경우)
    k3 = 1.0 (최소전단철근이 없는 경우)
    k4 = 1.0 (직사각형 단면인 경우)
    k5 = 1.0 (휨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는 경우)
    k6 = 1.0 (지지조건이 단순지지인 경우)
    k7 = 1.0 (캔틸레버보의 폭 b = 300mm인 경우)
    k8 = 1.0 (캔틸레버보의 유효깊이 d = 400mm인 경우)
    k9 = 1.0 (캔틸레버보의 전체높이 h = 450mm인 경우)
    k10 = ωu × L^2 / (fck × b × d^2) ≤ 0.16

    여기서 ωu는 계수하중으로 10 kN/m이고, L은 구하고자 하는 최대 길이이다.

    따라서 k10을 구해보면,

    k10 = 10 × L^2 / (25 × 10^6 × 300 × 400^2) ≤ 0.16

    L^2 ≤ 7680000

    L ≤ 2771.3

    따라서 L은 2771.3mm 이하이어야 하지만, L은 정수이어야 하므로 L은 2771mm 이하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L이 4,150mm인 경우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계산 결과와 다르므로,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이나 계산 실수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이 4,150인 이유를 설명할 수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단순보의 지간이 9m이고 단면의 형상이 그림과 같은 경우, 부재축과 수직인 U형 전단철근의 최대 간격 s [mm]는? (단,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25MPa, 철근의 항복강도 fy=400MPa, 설계등분포하중 ωu=50 kN/m, 사용 전단철근 1본의 단면적 As=100mm2이다)

  1. 137.5
  2. 275
  3. 412.5
  4. 550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파열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전단력을 견디기 위해 필요한 전단강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Vu = ωu × L = 50 × 9 = 450 kN

    τu = Vu / (b × d) = 450 × 103 / (300 × 900) = 0.1667 MPa

    단, τu는 콘크리트의 설계전단강도인 τcd보다 작아야 한다.

    τcd = 0.28 × (fck/1000)1/2 = 0.28 × (25/1000)1/2 = 0.47 MPa

    따라서, τu < τcd 이므로 전단파열이 발생한다.

    전단파열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전단강도를 견디기 위해 필요한 전단철근의 최소 단면적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Asw,min = Vu / (0.87 × fy × s) = 450 × 103 / (0.87 × 400 × s) = 1299 / s

    사용하는 전단철근의 단면적이 As=100mm2이므로, 최대 간격 s는 다음과 같다.

    s = 1299 / As = 1299 / 100 = 12.99 ≒ 13mm

    하지만, 전단철근의 최대 간격은 3d 이하여야 하므로, s는 다음과 같다.

    s = 3d = 3 × 900 = 2700mm = 270mm

    따라서, U형 전단철근의 최대 간격 s는 27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에서 4개의 볼트(직경 20 mm)에 가할 수 있는 허용인장력 P [kN]는? (단, 볼트의 허용전단응력 νsa=100MPa, 볼트의 허용지압응력 fba=200MPa, π는 원주율이다)

  1. 40 π
  2. 160
  3. 80 π
  4. 320
(정답률: 알수없음)
  • 볼트에 작용하는 힘은 2개의 너트에 분배되므로, 각 볼트에 작용하는 힘은 P/2이다. 따라서, 각 볼트에 작용하는 전단력은 Fv = P/2이다.

    전단응력과 지압응력 중에서 더 작은 값이 허용응력이므로, 볼트에 작용하는 전단응력과 지압응력을 구하고, 더 작은 값으로 허용응력을 결정한다.

    전단응력은 Fv / (π/4 × d2) = P / (2πd2) 이다. 여기서 d는 볼트의 직경이다.

    지압응력은 Fb / (π × d × t) 이다. 여기서 t는 연결되는 부재의 두께이다.

    볼트에 작용하는 전단응력과 지압응력을 허용응력과 비교하여, 더 작은 값으로 허용인장력을 결정한다.

    볼트의 직경은 20mm이므로, 볼트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은 P / (2π × 202) = P / 2513.27 이다.

    볼트와 연결되는 부재의 두께는 20mm이므로, 볼트에 작용하는 지압응력은 Fb / (π × 20 × 20) = Fb / 1256.64 이다.

    허용전단응력은 100MPa, 허용지압응력은 200MPa이므로, 허용응력은 100MPa로 결정된다.

    따라서, P / 2513.27 ≤ 100, Fb / 1256.64 ≤ 100 이 성립해야 한다.

    위 식을 정리하면, P ≤ 251327.5, Fb ≤ 125664 이다.

    볼트에 작용하는 힘은 4개의 볼트에 분배되므로, P의 최대값은 251327.5 × 4 = 1005310이다.

    따라서, P의 최대값은 80π 이며, 정답은 80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