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6-05)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2021-06-05 기출문제)

목록

1.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비교할 때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구성 및 수밀성이 좋다.
  2. 내화성이 우수하고 날씬한 구조가 가능하다.
  3. 긴장재를 절곡해서 배치할 경우, 단면의 전단력이 감소된다.
  4. 탄성적이고 복원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59%)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의 장점 중에서 내화성이 우수하고 날씬한 구조가 가능하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비교하여 내화성이나 날씬한 구조에 대한 특별한 장점이 없습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의 주요 장점은 내구성, 수밀성, 전단력 감소, 탄성 및 복원성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파괴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성파괴는 과소철근보로 설계되어 인장철근이 먼저 항복하여 파괴되는 유형이다.
  2. 취성파괴는 과다철근보로 설계되어 압축연단 콘크리트의 변형률이 극한변형률에 먼저 도달하여 파괴되는 유형이다.
  3. 균형파괴는 인장철근이 항복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압축 파괴되는 유형이다.
  4. 취성파괴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바람직한 파괴 유형이다.
(정답률: 70%)
  • 취성파괴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바람직한 파괴 유형이 아닙니다. 취성파괴는 과다철근보로 설계되어 압축연단 콘크리트의 변형률이 극한변형률에 먼저 도달하여 파괴되는 유형입니다. 이는 보의 경제성과 내구성을 저해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취성파괴를 최소화하고 연성파괴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리텐션 방식의 PSC보에서 발생되는 손실의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탄성수축
  2. 콘크리트의 크리프
  3.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4. 긴장재와 덕트 사이의 마찰
(정답률: 56%)
  • 정답은 "콘크리트의 크리프"입니다.

    프리텐션 방식의 PSC보에서 발생되는 손실의 요인으로는 콘크리트의 탄성수축,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그리고 긴장재와 덕트 사이의 마찰이 있습니다.

    하지만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PSC보에서 발생되는 손실의 요인은 아닙니다.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콘크리트가 변형하면서 발생하는 변형량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콘크리트의 크리프"입니다.

    긴장재와 덕트 사이의 마찰은 PSC보에서 발생되는 손실의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긴장재와 덕트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긴장재가 이동할 때 일어나는 손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단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탄성거동 단계→파괴상태 단계→균열발생 단계
  2. 균열발생 단계→파괴상태 단계→탄성거동 단계
  3. 탄성거동 단계→균열발생 단계→파괴상태 단계
  4. 균열발생 단계→탄성거동 단계→파괴상태 단계
(정답률: 70%)
  • 정답은 "탄성거동 단계→균열발생 단계→파괴상태 단계"입니다.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은 처음에는 탄성거동 단계로 시작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하중이 가해져도 보의 형상이 유지되며 변형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하중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균열발생 단계로 진입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보의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며, 보의 강도가 감소합니다. 마지막으로 하중이 더욱 증가하면 파괴상태 단계로 진입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보가 파괴되어 더 이상 하중을 지탱할 수 없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단변:장변 경간의 비가 2 : 3인 4변 단순지지 2방향 슬래브의 중앙점에 연직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단경간이 부담하는 하중은?

  1. (3/5)P
  2. (9/13)P
  3. (27/35)P
  4. (81/97)P
(정답률: 57%)
  • 단순지지 2방향 슬래브의 경우, 중앙에서의 하중은 네 개의 경간 중심에서의 하중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중앙에서의 하중은 (2/4)P + (2/4)P = P입니다.

    그리고 단변:장변 경간의 비가 2:3이므로, 단변에서의 하중은 전체 하중의 2/5, 장변에서의 하중은 전체 하중의 3/5입니다.

    따라서 단변에서의 하중은 (2/5)P, 장변에서의 하중은 (3/5)P입니다.

    그리고 단순지지 2방향 슬래브의 경우, 각 경간에서의 하중은 경간 중심에서의 하중의 절반과 같습니다. 따라서 단변에서의 경간 하중은 (1/2) x (2/5)P = (1/5)P, 장변에서의 경간 하중은 (1/2) x (3/5)P = (3/10)P입니다.

    그리고 단변에서의 경간 수는 2개, 장변에서의 경간 수는 3개이므로, 단변에서의 하중 총합은 2 x (1/5)P = (2/5)P, 장변에서의 하중 총합은 3 x (3/10)P = (9/10)P입니다.

    따라서 단경간에서의 하중은 단변과 장변에서의 하중 총합의 합과 같습니다. 즉, (2/5)P + (9/10)P = (27/35)P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7/35)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갖는 나선철근 기둥의 최소 나선철근비[%]는? (단, 나선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t=500MPa,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ck=25MPa, KDS 14 20 20 : 2021을 따른다)

  1. 1.65
  2. 1.75
  3. 1.85
  4. 1.95
(정답률: 44%)
  • 나선철근 기둥의 최소 나선철근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소 나선철근비 = (0.25 × fck × Ag) / (fyt × As)

    여기서, Ag는 콘크리트 단면적, As는 나선철근 단면적이다.

    주어진 그림에서, 콘크리트 단면적은 400×400=160,000mm2이고, 나선철근 단면적은 4×π×12=150.8mm2이다.

    따라서, 최소 나선철근비 = (0.25 × 25 × 160,000) / (500 × 150.8) = 1.75

    따라서, 정답은 "1.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 고정하중 1,100 kN과 사용 활하중 700 kN을 지지할 수 있는 정사각형 독립확대기초를 설계할 때, 정사각형 기초판의 한 변 길이의 최솟값[m]은? (단, 지반의 허용지지력 qa=0.2MPa이고 기초판의 자중은 무시하며, KDS 14 20 70 : 2021을 따른다)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44%)
  • 주어진 조건에서, 독립확대기초의 최소한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사용 고정하중이다. 따라서, 사용 고정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초판 크기를 계산해야 한다.

    먼저, 사용 고정하중과 사용 활하중의 합을 구한다.

    P = 1,100 kN + 700 kN = 1,800 kN

    다음으로, 기초판의 최소한의 크기를 결정하는 허용지지력을 구한다.

    qa = 0.2 MPa

    기초판의 크기를 결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A = P / qa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A = 1,800 kN / 0.2 MPa = 9,000 m2

    기초판이 정사각형이므로, 한 변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 제곱근을 취한다.

    L = √A = √9,000 m2 = 3,000 m

    따라서, 정답은 "3.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보에 정모멘트가 작용할 때, 등가 직사각형 압축응력블록을 사용하여 계산한 단면의 설계휨강도 Md[kN⋅m]는? (단,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ck=20MPa,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400 MPa, 인장철근 단면적 As=1,275mm2, KDS 14 20 10 : 2021 및 KDS 14 20 20 : 2021을 따른다)

  1. 216.75
  2. 310.75
  3. 375.75
  4. 391.75
(정답률: 4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이 긴장재를 절곡하여 배치한 PSC보에서 프리스트레스 힘만에 의한 중앙단면의 솟음값은? (단, sinθ≅tanθ이고, EI는 단면의 휨강성이다)

(정답률: 33%)
  • PSC보에서 중앙단면의 솟음값은 프리스트레스 힘만큼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의 휨도 형상과 같다. 따라서, 긴장재를 절곡하여 배치한 PSC보에서 프리스트레스 힘만에 의한 중앙단면의 솟음값은 긴장재의 단면적과 프리스트레스 힘의 곱에 대한 모멘트를 EI로 나눈 값과 같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중앙단면의 솟음값 = (프리스트레스 힘 × 긴장재의 단면적) ÷ EI

    주어진 그림에서 긴장재의 단면적은 2 × 100 = 200mm²이고, 프리스트레스 힘은 100kN이다. 또한, 단면의 휨강성 EI는 2 × 10^6 Nmm²이다. 따라서, 중앙단면의 솟음값은 다음과 같다.

    중앙단면의 솟음값 = (100 × 200) ÷ (2 × 10^6) = 0.01m = 10mm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강구조연결설계기준(하중저항계수설계법)에서 제시된 이음부의 설계세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KDS 14 31 25 : 2017을 따른다)

  1. 응력을 전달하는 필릿용접의 최소유효길이는 공칭용접치수의 10배 이상 또한 30 mm 이상을 원칙으로 한다.
  2. 응력을 전달하는 겹침이음은 2열 이상의 필릿용접을 원칙으로 하고, 겹침길이는 얇은쪽 판 두께의 5배 이상 또한 20mm 이상으로 한다.
  3. 고장력볼트의 구멍중심 간의 거리는 공칭직경의 2.5배를 최소거리로 하고 3배를 표준거리로 한다.
  4. 고장력볼트의 구멍중심에서 볼트머리 또는 너트가 접하는 부재의 연단까지의 최대거리는 판 두께의 16배 이하 또한 200 mm 이하로 한다.
(정답률: 27%)
  • "고장력볼트의 구멍중심에서 볼트머리 또는 너트가 접하는 부재의 연단까지의 최대거리는 판 두께의 16배 이하 또한 200 mm 이하로 한다."이 옳지 않은 설계세칙이다. 이유는 이음부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최대거리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해당하는 이음부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최대거리를 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강도설계법에서 P-M 상관도를 이용한 기둥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emin은 최소편심이고, eb는 균형편심이다)

  1. emin < e < eb 인 경우, 부재의 강도는 철근의 압축으로 지배된다.
  2. e > eb 인 경우, 부재의 강도는 철근의 인장으로 지배된다.
  3. 균형편심 eb는 부재의 압축지배와 인장지배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4. e < emin 인 경우, 중심 축하중을 받는 기둥으로 설계한다.
(정답률: 31%)
  • "emin < e < eb 인 경우, 부재의 강도는 철근의 압축으로 지배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emin과 eb 사이에는 압축과 인장이 혼합된 복합응력이 발생하므로, 부재의 강도는 철근의 압축 또는 인장으로만으로는 결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범위에서는 강도설계법에서 P-M 상관도를 이용하여 부재의 강도를 결정할 수 없으며,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콘크리트구조 설계(강도설계법)에서 고려되는 강도감소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KDS 14 20 10 : 2021을 따른다)

  1. 휨모멘트와 축력을 받는 부재에 대하여 인장지배단면의 강도감소계수는 0.85이다.
  2.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의 강도감소계수는 0.65이다.
  3. 전단력과 비틀림모멘트를 받는 부재의 강도감소계수는 0.75이다.
  4. 휨모멘트와 축력을 받는 부재에 대하여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압축지배단면의 강도감소계수는 0.70이다.
(정답률: 53%)
  •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의 강도감소계수는 0.65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은 인장력을 받는 부재이므로 강도감소계수는 0.85이다. 강도감소계수는 부재가 받는 힘의 종류와 부재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은 인장력을 받는 부재이므로 인장지배단면의 강도감소계수인 0.85가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옹벽의 안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KDS 14 20 74 : 2021을 따른다)

  1. 전도에 대한 저항 휨모멘트는 횡토압에 의한 전도모멘트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2. 지반에 유발되는 최대 지반반력은 지반의 허용지지력을 초과할 수 없다.
  3. 활동에 대한 저항력은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4. 지반반력의 분포경사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최대 지반반력이 지반의 허용지지력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48%)
  • "전도에 대한 저항 휨모멘트는 횡토압에 의한 전도모멘트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옹벽의 안정을 위해 필요한 조건 중 하나로, 전도에 대한 저항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옹벽이 기울어지거나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횡토압에 의한 전도모멘트는 옹벽에 작용하는 지반의 수평력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를 말하며, 이에 대한 저항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휨모멘트와 축력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강도설계에 포함된 기본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KDS 14 20 20 : 2021을 따른다)

  1.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철근콘크리트 부재 단면의 축강도와 휨강도 계산에서 무시할 수 있다.
  2. 콘크리트 압축응력의 분포와 콘크리트 변형률 사이의 관계는 직사각형, 사다리꼴, 포물선형 또는 강도의 예측에서 광범위한 실험의 결과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어떤 형상으로도 가정할 수 있다.
  3.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으며, 깊은 보는 비선형 변형률 분포를 고려하여야 한다.
  4. 철근의 응력이 설계기준항복강도를 초과할 때 철근의 응력은 그 변형률에 탄성계수를 곱한 값으로 한다.
(정답률: 49%)
  •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철근콘크리트 부재 단면의 축강도와 휨강도 계산에서 무시할 수 있다."는 옳은 가정이다.

    "철근의 응력이 설계기준항복강도를 초과할 때 철근의 응력은 그 변형률에 탄성계수를 곱한 값으로 한다."는 옳은 가정이다. 이는 철근이 일정한 변형률을 초과하면 탄성계수를 곱하여 응력을 계산하는 것으로, 일정한 변형률 이하에서는 철근의 응력-변형률 곡선이 직선이기 때문에 쉽게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받는 직사각형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폭 b=400mm이고 유효깊이 d=600 mm인 경우, 콘크리트에 의한 공칭전단강도 Vc[kN]는? (단, 보통중량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 fck=25MPa, KDS 14 20 22 : 2021을 따른다)

  1. 100
  2. 150
  3. 167
  4. 200
(정답률: 40%)
  • 공칭전단강도 Vc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c = 0.6 × K1 × fck × b × d

    여기서, K1은 KDS 14 20 22 : 2021에서 제시된 계수이다. 직사각형 철근콘크리트 보의 경우 K1은 0.8이다.

    따라서,

    Vc = 0.6 × 0.8 × 25 × 400 × 600 / 1000 = 200 (kN)

    따라서, 정답은 "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폭 b=200 mm, 높이 h=300 mm인 직사각형 철근콘크리트보 단면에서 휨균열을 일으키는 휨모멘트 Mcr[kN⋅m]은? (단, 보통중량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ck=25MPa, KDS 14 20 30 : 2021을 따른다)

  1. 8.50
  2. 8.75
  3. 9.00
  4. 9.45
(정답률: 35%)
  • 휨모멘트 Mc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cr = 0.138 × fck × b × h2

    여기서, fck = 25MPa, b = 200mm, h = 300mm 이므로,

    Mcr = 0.138 × 25 × 200 × 3002 / 106 = 9.45 kN⋅m

    따라서, 정답은 "9.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은 리벳 접합의 허용전단력[kN]은? (단, 리벳의 허용전단응력은 120MPa, 허용지압응력은 170MPa이다)

  1. 32.3
  2. 34.0
  3. 38.7
  4. 40.0
(정답률: 29%)
  • 리벳 접합의 허용전단응력은 120MPa이므로, 전체 면적을 구해서 120MPa로 나누면 허용전단력을 구할 수 있다.

    먼저, 리벳의 지름을 구해보자.

    리벳의 지름 = 2 × 6 = 12mm

    리벳의 면적 = π × (지름/2)² = 113.1mm²

    따라서, 리벳 하나당 허용전단력 = 120MPa × 113.1mm² = 13.572kN

    이제, 전체 리벳의 수를 곱해서 허용전단력을 구하면 된다.

    전체 리벳의 수 = 6 × 4 = 24개

    전체 허용전단력 = 13.572kN × 24 = 325.728kN

    하지만, 허용지압응력은 170MPa이므로, 전체 면적을 구해서 170MPa로 나눈 값과 비교해야 한다.

    전체 면적 = 2 × 50 × 10 + 2 × 30 × 10 + 2 × 20 × 10 = 2200mm²

    허용지압력으로 계산한 허용전단력 = 170MPa × 2200mm² = 374kN

    따라서, 허용전단력은 325.728kN보다 작으므로, 리벳 접합은 허용된다.

    정답은 325.728kN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32.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받는 직사각형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전단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보통중량콘크리트만으로 계수전단력 Vu를 지지하고자 할 때, 필요한 보의 최소단면적(bd)은? (단,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b는 보의 폭, d는 유효깊이, KDS 14 20 22 : 2021을 따른다)

(정답률: 47%)
  • 전단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보통중량콘크리트만으로 계수전단력 Vu를 지지하고자 할 때, 필요한 보의 최소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u ≤ 0.18fckbd

    여기서,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이고, b는 보의 폭, d는 유효깊이이다.

    따라서, 보의 최소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d ≥ Vu / 0.18fck

    주어진 보기에서 ""는 Vu / 0.18fck 값이 가장 작은 것이다. 이는 b와 d의 값을 최소화하여 보의 단면적을 최소화한 것이다. 따라서, 이 보가 필요한 보의 최소단면적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장 이형철근 D32(직경 db=31.8mm)의 기본정착길이 ldb[mm]는? (단, 보통중량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ck=25MPa,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400MPa, KDS 14 20 52 : 2021을 따른다)

  1. 1,276.4
  2. 1,336.4
  3. 1,456.4
  4. 1,526.4
(정답률: 36%)
  • 인장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db = (0.8 × fck × Ac)/(4 × fy × π × db)

    여기서 Ac는 단면적, db는 직경을 나타낸다.

    따라서, 계산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Ac = (π/4) × db2 = (π/4) × 31.82 = 795.77mm2

    ldb = (0.8 × 25 × 795.77)/(4 × 400 × π × 31.8) = 1,526.4mm

    따라서, 정답은 "1,52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T형 보에 정모멘트가 작용할 때, 등가 직사각형 압축응력블록을 사용하여 계산한 단면의 공칭휨강도 Mn[kN⋅m]은? (단,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ck=20MPa, 철근의 설계 기준항복강도 fy=400MPa, 인장철근 단면적 As=3,400 mm2, KDS 14 20 20 : 2021을 따른다)

  1. 620
  2. 680
  3. 720
  4. 780
(정답률: 40%)
  • 먼저, 콘크리트 부분의 최대 응력을 구해야 한다. T형 보의 하부 너비는 300mm이므로, 콘크리트 부분의 최대 응력은 다음과 같다.

    σc = (0.85 × fck) / γc = (0.85 × 20) / 1.5 = 11.33 MPa

    다음으로, 철근 부분의 최대 응력을 구해야 한다. 인장 철근의 단면적은 3,400 mm2이므로, 최대 인장력은 다음과 같다.

    Nmax = As × fy / γs = 3,400 × 400 / 1.15 = 1,179,130 N

    따라서, 철근 부분의 최대 응력은 다음과 같다.

    σs = Nmax / As = 1,179,130 / 3,400 = 346.8 MPa

    이제, 공칭휨강도를 구하기 위해 등가 직사각형 압축응력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압축존의 높이는 300mm이고, 인장존의 높이는 200mm이다. 따라서, 등가 직사각형 압축응력블록의 높이는 200mm이다. 이를 이용하여, 공칭휨강도를 구할 수 있다.

    Mn = (0.36 × fck × bw × hw2) + (0.87 × fy × As × (d - as))

    = (0.36 × 20 × 300 × 2002) + (0.87 × 400 × 3,400 × (400 - 30))

    = 680,544 N⋅m

    따라서, 공칭휨강도 Mn은 680 kN⋅m이다. 따라서, 정답은 "6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