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업공무원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집단적 의사결정방식으로 익명성을 유지하면서 아이디어를 교환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3. 막스 베버(M. Weber)가 제시한 이념적인 조직형태인 관료제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우리나라에서의 대표관료제(representative bureaucracy) 실천 노력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공공선택론(public choice theory)의 접근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한국정부의 개혁에 영향을 준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예산의 법형식은 크게 법률주의와 예산주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예산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예산의 원칙과 그 예외를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지방자치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간의 수평적 협력방식으로만 구성된 것은?
11. 신행정학(new public administration)에서 중시했던 가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2. 근무성적 평정시 평가자가 모든 피평가자들에게 대부분 중간 범위의 점수를 주는 심리적 경향으로 옳은 것은?
13. 엽관주의와 실적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4. 동기이론과 관련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5. 우리나라에서 행정통제를 수행하는 내부통제기관으로만 구성된 것은?
16. 행정재산 중에서 공용재산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것은?
17. 지방자치법상 지방자치단체장에게 부여된 권한 중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장이 대립, 갈등하는 경우의 비상적 해결수단에 속하지 않는 것은?
18. 다양한 정책수단 가운데, 소비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바우처(voucher) 형식을 이용하여 공공서비스를 공급하는 경우들로 구성된 것은?
19. 전자정부가 구현되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장점만으로 구성된 것은?
20.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