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6-17)

9급 지방직 공무원 환경공학개론
(2017-06-17 기출문제)

목록

1. 하천에서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과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기물 분해
  2. 재포기
  3. 조류의 호흡
  4. 질산화
(정답률: 93%)
  • 재포기는 하천에서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과정이 아닙니다. 재포기는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소모한 산소가 다시 환원되어 용존산소가 감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재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강에서 부영양화에 의한 조류 번성 시 하천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물에 이취미 물질(Geosmin, 2-MIB)이 증가한다.
  2. 조류번식으로 pH 값이 증가한다.
  3. 하천 수질의 투명도가 낮아진다.
  4. 낮에는 빛을 이용해 물 속의 용존산소가 소모되고 CO2는 생성된다.
(정답률: 84%)
  • "낮에는 빛을 이용해 물 속의 용존산소가 소모되고 CO2는 생성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광합성 작용 때문인데, 조류가 빛을 이용해 광합성 작용을 하면서 물 속의 용존산소를 소모하고 CO2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수질 오염원으로 알려진 비점 오염원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기 강우에 영향을 받지 않아 시간에 따른 오염 물질 농도의 변화가 없다.
  2. 비점 오염원은 점 오염원과 비교하여 간헐적으로 유입되는 특성이 있다.
  3. 비점 오염원 저감 시설로는 인공 습지, 침투 시설, 식생형 시설 등이 있다.
  4. 광산, 벌목장, 임야 등이 비점 오염원에 속하며 오염 물질의 차집이 어렵다.
(정답률: 92%)
  • "초기 강우에 영향을 받지 않아 시간에 따른 오염 물질 농도의 변화가 없다."는 비점 오염원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비점 오염원은 강우나 산사태 등의 자연적인 요인에 따라 오염 물질이 유입되기 때문에 초기 강우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오염 물질 농도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온실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온실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는 CO2이다.
  2. 온실효과는 장파장보다 단파장이 더 크다.
  3. CO2는 복사열이 우주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4. 온실가스는 화석연료 사용과 산업, 농업부등에서 배출된다.
(정답률: 93%)
  • "온실효과는 장파장보다 단파장이 더 크다."는 온실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이다. 이유는 단파장의 태양복사가 지구에 도달하면 지구 표면에서 흡수되어 지구가 가지고 있는 열이 증가하고, 이 열은 대기권에서 장파장으로 방출되지만 온실가스들이 장파장을 흡수하여 지구로 돌아오는 열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활성슬러지 공정을 다음 조건에서 운전할 때, F/M[kgBOD/kgMLVSSㆍd]비는?

  1. 0.01
  2. 0.08
  3. 0.10
  4. 1.00
(정답률: 75%)
  • 활성슬러지 공정에서는 MLVSS 농도와 유입 BOD 양에 따라 F/M 비율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MLVSS 농도가 3000 mg/L 이고, 유입 BOD 양이 300 mg/L 이므로, F/M 비율은 300/3000 = 0.1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하천의 BOD 기준이 2mg/L이고, 현재 하천의 BOD는 1mg/L이며, 하천의 유량은 1,500,000m3/day이다. 하천 주변에 돼지 축사를 건설하고자 할 때, 축사에서 배출되는 폐수로 인해 BOD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사육 가능한 돼지 수[마리]는? (단, 돼지축사 건설로 인한 유량 증가는 없으며, 돼지 1마리당 배출되는 BOD 부하는 2kg/day라고 가정한다)

  1. 500
  2. 750
  3. 1,000
  4. 1,500
(정답률: 82%)
  • BOD 기준은 2mg/L이므로, 하루에 배출 가능한 BOD 양은 다음과 같다.

    2mg/L x 1,500,000m3/day = 3,000kg/day

    이제 돼지 1마리당 배출되는 BOD 부하가 2kg/day이므로, 최대 배출 가능한 돼지 수는 다음과 같다.

    3,000kg/day ÷ 2kg/day = 1,500마리

    하지만, 이미 하천의 BOD 농도가 1mg/L로 기준치를 충족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BOD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돼지 축사에서 배출되는 폐수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BOD 양은 다음과 같다.

    2kg/day x 돼지 수

    이 값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려면,

    2kg/day x 돼지 수 ≤ 3,000kg/day

    돼지 수 ≤ 1,500마리

    하지만 이미 하천의 BOD 농도가 1mg/L로 기준치를 충족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BOD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돼지 수를 더 줄여야 한다. 따라서, 최대 사육 가능한 돼지 수는 다음과 같다.

    1,500마리 x (1mg/L ÷ 2mg/L) = 750마리

    따라서, 정답은 "7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두 개의 저수지에서 한 농지에 동시에 용수를 공급하고자 한다. 이 농업용수는 염분농도 0.1g/L, 유량 8.0m3/sec의 조건을 맞추어야 한다. 이 때 1, 2번 저수지에서 취수해야 하는 유량Q1, Q2[m3/sec]는 각각 얼마인가? (순서대로 Q1, Q2)

  1. 3.5, 4.5
  2. 2.8, 5.2
  3. 1.4, 6.6
  4. 0.9, 7.1
(정답률: 74%)
  • 두 개의 저수지에서 나오는 물의 염분농도와 유량을 고려하여 농지에 공급되는 물의 염분농도와 유량을 맞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저수지에서 나오는 물의 비율을 구해야 한다.

    먼저, 두 개의 저수지에서 나오는 물의 비율을 x:y라고 하면, 농지에 공급되는 물의 염분농도와 유량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염분농도: 0.1 = (0.05x + 0.15y) / (x + y)
    - 유량: 8 = x + y

    위의 두 식을 풀면 x:y = 1:7이 나온다. 따라서, 두 번째 저수지에서 나오는 물의 비율은 7:1이다.

    농지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8m3/sec이므로, 두 개의 저수지에서 취수해야 하는 유량은 각각 0.9m3/sec와 7.1m3/sec이다. 따라서 정답은 "0.9, 7.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대기 오염 물질인 질소 산화물(NOX)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O2는 광화학적 분해 작용 때문에 대기의 O3 농도를 증가시킨다.
  2. NO2는 냉수 또는 알칼리 수용액과 작용하여 가시도에 영향을 미친다.
  3. NO2는 습도가 높은 경우 질산이 되어 금속을 부식시킨다.
  4. NOX 배출의 대부분은 NO2 형태이며 무색 기체이다.
(정답률: 83%)
  • NOX 배출의 대부분은 NO2 형태이며 무색 기체이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NO2는 갈색을 띠는 기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도시 쓰레기 소각장의 다이옥신 생성 및 방출 억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각 과정 중에서 다이옥신의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경우에도 파괴될 수 있도록 550℃ 이상의 고온에서 1초 동안 정체하도록 한다.
  2. 다이옥신은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과정 중 300℃ 부근에서 재형성된다.
  3. 쓰레기 소각로에서의 배출 공정을 개선하여 배출 기준 이하가 되도록 제거, 감소시킨다.
  4. 분말 활성탄을 살포하여 다이옥신이 흡착되게 한 후, 이를 전기 집진기에 걸러서 다이옥신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정답률: 90%)
  • 정답은 "다이옥신은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과정 중 300℃ 부근에서 재형성된다."이다. 다이옥신은 소각로에서 생성되는 유해물질 중 하나이며, 300℃ 부근에서 재형성되기 때문에 550℃ 이상의 고온에서 1초 동안 정체시켜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다. 따라서, 다이옥신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쓰레기 소각로의 운영 방식을 개선하거나, 다른 대안적인 처리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LC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각종 부하를 원료ㆍ자원 채취부터 폐기까지의 전과정에 걸쳐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방법이다.
  2. 복수 제품간의 환경 오염 부하의 비교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3. 목적 및 범위설정, 목록분석, 영향평가, 전과정 결과해석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4.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정한 환경경영시스템(EMS)에 대한 국제 규격이다.
(정답률: 70%)
  • 전과정평가(LC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정한 환경경영시스템(EMS)에 대한 국제 규격이다." 이다. LCA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EMS와는 다른 개념이다. EMS는 조직이 환경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ISO 14001 등의 규격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소음의 마스킹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파의 간섭에 의해 일어난다.
  2. 크고 작은 두 소리를 동시에 들을 때 큰 소리만 듣고 작은 소리는 듣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3. 고음이 저음을 잘 마스킹 한다.
  4. 두 음의 주파수가 비슷할 때는 마스킹 효과가 더 커진다.
(정답률: 98%)
  • 고음이 저음을 잘 마스킹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오히려 저음이 고음을 잘 마스킹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저음의 파장이 길어서 고음의 파장을 덮어버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차 생산력은 1차 생산자에 의해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에서 생물량이 생산되는 속도이다. 이러한 1차 생산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수확 측정법
  2. 산소 측정법
  3. 엽록체 측정법
  4. 일산화 탄소 측정법
(정답률: 72%)
  • 일산화 탄소 측정법은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1차 생산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1차 생산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ors, 환경호르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쓰레기 소각장 등 각종 연소 시설에서 발생되는 대표적 환경호르몬은 DDT이다.
  2. 식품 및 음료수의 용기 내부, 병뚜껑 및 캔의 내부에서 비스페놀A가 검출된다.
  3. 각종 플라스틱 가소제에서 프탈레이트류와 같은 환경호르몬이 검출된다.
  4. 각종 산업용 화학물질, 의약품 및 일부 천연물질에도 내분비계 장애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거론되고 있다.
(정답률: 71%)
  • "쓰레기 소각장 등 각종 연소 시설에서 발생되는 대표적 환경호르몬은 DDT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인 이유는 DDT는 쓰레기 소각장 등 각종 연소 시설에서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는 농업용 살충제로 널리 사용되어 지구 환경에 노출되어 발생한 환경호르몬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퇴비화의 적정 온도는 25∼35℃이다.
  2. pH는 9 이상이 적절하다.
  3. 수분이 너무 지나치면 혐기 조건이 되기 쉬우므로 4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C/N비는 낮아진다.
(정답률: 75%)
  • 유기성 폐기물을 퇴비화하는 과정에서 미생물이 분해하여 생성되는 질소와 탄소의 비율을 C/N비라고 한다. 이 비율은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낮아지는데, 이는 미생물이 질소를 더 많이 소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퇴비화가 완료되면 C/N비가 낮아져서 질소가 풍부해지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생활 폐기물을 선별 후 분석하여 다음의 수분 함량 측정치를 얻었다. 전체 수분 함량[%]은?

  1. 18.4
  2. 25.2
  3. 28.0
  4. 32.5
(정답률: 74%)
  • 생활 폐기물을 선별 후 분석하여 얻은 결과물에서 수분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음식물"이다. 따라서, 음식물의 수분 함량인 70%를 전체 폐기물의 수분 함량에서 빼면 된다.

    100% - 70% = 30%

    따라서, 전체 수분 함량은 30%이다.

    30% 중에서 선택지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8.0" 이므로 정답은 "28.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주변 소음이 전혀 없는 야간에 소음 레벨이 70dB인 풍력발전기 10대를 동시에 가동할 때 합성 소음 레벨[dB]은?

  1. 73
  2. 75
  3. 76
  4. 80
(정답률: 70%)
  • 10대의 풍력발전기가 모두 동시에 가동될 때, 각 발전기의 소음 레벨은 독립적으로 합산되는 것이 아니라, 로그함수를 이용하여 합산된다. 따라서, 70dB인 발전기 1대와 70dB인 발전기 10대의 합성 소음 레벨은 약 80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유해 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의 일반적인 절차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용량/반응평가 → 노출평가 → 유해성 확인 → 위해도 결정
  2. 노출평가 → 용량/반응평가 → 유해성 확인 → 위해도 결정
  3. 유해성 확인 → 용량/반응평가 → 노출평가 → 위해도 결정
  4. 노출평가 → 유해성 확인 → 용량/반응평가 → 위해도 결정
(정답률: 64%)
  • 일반적인 절차는 "유해성 확인 → 용량/반응평가 → 노출평가 → 위해도 결정" 순서이다.

    먼저 유해성을 확인하고, 그 다음에는 해당 물질의 용량과 반응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다. 이후에는 노출평가를 통해 인체가 해당 물질에 노출될 가능성과 정도를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위해도를 결정하여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

    따라서, "유해성 확인 → 용량/반응평가 → 노출평가 → 위해도 결정"이 올바른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토양 및 지하수 처리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세척공법(soil washing)은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 처리에 효과적이다.
  2. 바이오벤팅공법(bioventing)은 휘발성이 강하거나 생분해성이 높은 유기물질로 오염된 토양 처리에 효과적이며 토양증기추출법과 연계하기도 한다.
  3. 바이오스파징공법(biosparging)은 휘발성 유기물질로 오염된 불포화토양층 처리에 효과적이다.
  4. 열탈착공법(thermal desorption)은 오염 토양을 굴착한 후, 고온에 노출시켜 소각이나 열분해를 통해 유해물질을 분해시킨다.
(정답률: 81%)
  • "바이오스파징공법(biosparging)은 휘발성 유기물질로 오염된 불포화토양층 처리에 효과적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바이오스파징공법은 지하수나 토양 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생물학적 처리 기술 중 하나로, 오염된 지하수나 토양에 공기나 산소를 주입하여 오염물질을 분해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휘발성 유기물질로 오염된 불포화토양층 처리에 특히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환경영향평가에서 영향평가 및 대안비교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가치측정 방법
  2. 감응도분석 방법
  3. 매트릭스분석 방법
  4. 스코핑 방법
(정답률: 61%)
  • 매트릭스분석 방법은 영향평가에서 대안비교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영향 등을 고려하여 대안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를 행렬 형태로 나타내어 대안간의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가장 적합한 대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유량이 10,000m3/d이고 BOD 200mg/L인 도시 하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포기조의 용량은 10,000m3이고 MLSS 농도는 2,000mg/L이다. 이 때 BOD 용적부하와 F/M비(BOD 슬러지 부하로 지칭하기도 함)는 각각 얼마인가?

  1. BOD 용적부하:0.20kg/m3ㆍd, F/M비:0.10kg-BOD/kg-SSㆍd
  2. BOD 용적부하:0.10kg/m3ㆍd, F/M비:0.20kg-BOD/kg-SSㆍd
  3. BOD 용적부하:0.10kg-BOD/kg-SSㆍd, F/M비:0.20kg/m3ㆍd
  4. BOD 용적부하:0.20kg-BOD/kg-SSㆍd, F/M비:0.10kg/m3ㆍd
(정답률: 77%)
  • BOD 용적부하는 일일 유입량에 대한 BOD 양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BOD 용적부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BOD 용적부하 = (유량) x (BOD 농도) / (포기조 용량)
    = (10,000m3/d) x (200mg/L) / (10,000m3)
    = 2kg/d

    F/M비는 포기조 내의 MLSS 양 대비 일일 유입 BOD 양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F/M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M비 = (유입 BOD 양) / (MLSS 양 x 포기조 용량)
    = (10,000m3/d) x (200mg/L) / (2,000mg/L x 10,000m3)
    = 0.10kg-BOD/kg-SS·d

    따라서 정답은 "BOD 용적부하:0.20kg/m3·d, F/M비:0.10kg-BOD/kg-SS·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