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5-20)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2012-05-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미생물공학

1. 고체배양(solid culture)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혐기성 미생물의 배양에 적합하다.
  2. 곰팡이 배양에 많이 이용된다.
  3. 제어배양이 용이하다.
  4. 대규모 생산시에 비교적 좁은 면적이 필요하므로 유리하다.
(정답률: 76%)
  • 고체배양은 액체 배양에 비해 더 많은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으며, 미생물의 형태와 생장을 관찰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곰팡이 배양에 많이 이용된다. 곰팡이는 액체 배양보다 고체 배양에서 더 잘 자라기 때문에, 고체 배양이 필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미생물균주의 장기보존에 동결건조(freezedrying 혹은 lyophilization)방법이 많이 쓰인다. 동결건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결배양액에서 물을 제거하여 미생물을 보존하는 방법이다.
  2. 동결 전후 미생물의 생존율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3. 동결과정에 사용하는 미생물 보존재는 일반적으로 배양배지와 동일하다.
  4. 반드시 액체질소에 넣어 보존하여야 한다.
(정답률: 93%)
  • 정답은 "동결배양액에서 물을 제거하여 미생물을 보존하는 방법이다."입니다. 동결건조는 미생물을 동결시켜 물을 고체상태로 변화시킨 후 진공상태에서 저온하에서 건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물이 증발하면서 미생물의 세포구조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생물의 생존율이 높아지며, 보존재로는 일반적으로 배양배지와 동일한 것을 사용합니다. 액체질소에 넣어 보존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도면과 같은 대사과정을 참조하여 균주가 lysine을 대량 생성케하는(overproduction) 전략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유전자 조작에 의하여 Homoserine dehydrogenase가 균체 내에 생성되지 못하게 한다.
  2. Methionine과 threonine을 첨가하여 저농도로 유지한다.
  3. 기질인 aspartate를 서서히 공급한다.
  4. Aspartokinase의 활성이 lysine에 의하여 저해되지 않는 변이주를 제조한다.
(정답률: 84%)
  • 정답은 "기질인 aspartate를 서서히 공급한다."입니다.

    이유는 도면에서 보듯이, aspartate는 lysine 생산의 중간체로 사용되기 때문에 aspartate를 공급함으로써 lysine 생산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다른 보기들은 모두 lysine 생산을 억제하는 방법들입니다. Homoserine dehydrogenase를 생성하지 못하게 하면 lysine 생산에 필요한 전구체인 homoserine을 만들 수 없게 되고, Methionine과 threonine을 첨가하여 저농도로 유지하면 lysine 생산에 필요한 aspartate와 같은 전구체들의 농도가 낮아져 생산이 억제됩니다. 마지막으로 Aspartokinase의 활성이 lysine에 의하여 저해되지 않는 변이주를 제조한다는 것은 aspartate를 lysine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로를 우회하는 방법으로, 이 또한 lysine 생산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가장 낮은 수분 활성도에서 자랄 수 있는 미생물은?

  1. Saccharomyces cerevisiae
  2. Aspergillus niger
  3. Bacillus subtilis
  4. Zygosaccharomyces rouxii
(정답률: 66%)
  • Zygosaccharomyces rouxii는 고갈염분 환경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할로필릭 미생물로, 다른 세균과 균사균들이 살아남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적응력이 높기 때문에 가장 낮은 수분 활성도에서 자랄 수 있는 미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진균류가 생산하는 유기산이 아닌 것은?

  1. 구연산(citric acid)
  2. 코지산(kojic acid)
  3. 지베렐산(gibberellic acid)
  4. 젖산(lactic acid)
(정답률: 72%)
  • 진균류는 구연산, 코지산, 지베렐산을 생산할 수 있지만, 젖산은 생산하지 않는다. 젖산은 유산균이나 일부 세균이 생산하는 유기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업적으로 구연산(citric acid)을 발효 생산할 때 주로 이용되는 미생물은?

  1. 대장균
  2. 방선균
  3. Sacchromyces cerevisiae 효모
  4. 곰팡이
(정답률: 74%)
  • 산업적으로 구연산을 발효 생산할 때 주로 이용되는 미생물은 곰팡이입니다. 이는 곰팡이가 구연산을 높은 수율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곰팡이는 적극적인 대사 활동을 통해 구연산을 생산하며,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도 적은 편이어서 생산 효율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Frame shift 란 DNA 배열 상에 몇 개의 nucleotide 가 삽입되면 생기는지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1개만 삽입되어야 생긴다.
  2. 2개만 삽입되어야 생긴다.
  3. 3개만 삽입되어야 생긴다.
  4. 1개 또는 2개가 삽입되어야 생긴다.
(정답률: 90%)
  • Frame shift는 DNA 배열 상에서 nucleotide의 개수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때 발생한다. 이로 인해 코돈의 의미가 바뀌어서 다른 아미노산이 생성되거나 조기 종결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1개 또는 2개의 nucleotide가 삽입되어야 frame shift가 발생하게 된다. 3개 이상이 삽입되면 일반적으로 다른 아미노산이 생성되기 때문에 frame shift가 아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포도당을 과당으로 전환하는 이성화효소는?

  1. 알파 아밀라아제(α-amylase)
  2. 글루코 아밀라아제(gluco amylase)
  3. 베타 아밀라아제(β-amylase)
  4. 글루코스 이소머라제(glucose isomerase)
(정답률: 84%)
  • 포도당과 과당은 구조가 비슷하지만 분자 구조가 다릅니다. 포도당을 과당으로 전환하는 이유는 과당이 당도가 더 높기 때문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이성화효소는 글루코스 이소머라제입니다. 이 효소는 포도당을 과당으로 전환하는 작용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Bacillus 속에 의한 α-amylase 의 생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질소원에 의해서 catabolite repression이 야기 되지 않는다.
  2. 포자가 형성된 수에 α-amylase 생산이 증가한다.
  3. 배양배지에 전분을 가하면 α-amylase의 생산이 감소한다.
  4. α-amylase 생산의 최적 온도는 약 30℃ 전후이다.
(정답률: 87%)
  • 정답: "α-amylase 생산의 최적 온도는 약 30℃ 전후이다."

    이유: Bacillus 속은 mesophilic bacteria로서, 즉 중간 온도에서 최적의 성장을 보이는 세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α-amylase 생산도 중간 온도인 약 30℃ 전후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방향족 아미노산이 아닌 것은?

  1. 트립토판(tryptophan)
  2. 타이로신(tyrosine)
  3.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4. 라이신(lysine)
(정답률: 100%)
  • 라이신은 암인산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양성자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아미노산으로, 방향족 아미노산이 아닙니다. 반면, 트립토판, 타이로신, 페닐알라닌은 모두 방향족 아미노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회분 배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미생물 배양 도중 계속적으로 배지를 공급한다.
  2. 미생물 배양시 배지 내의 성분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3. 배양시간 경과에 따라 미생물의 성장속도에 차이가 나타난다.
  4. 미생물 배양의 생산성이 가장 높다.
(정답률: 75%)
  • 회분 배양은 미생물 배양 도중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부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를 추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배지 내의 성분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미생물의 성장을 지속시키기 때문에 미생물 배양의 생산성이 가장 높다. 그러나 배양시간 경과에 따라 미생물의 성장속도에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는 초기에는 배지 내의 영양분이 충분하고 미생물이 빠르게 성장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배지 내의 영양분이 부족해지면서 미생물의 성장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분 배양에서는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배지를 교체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Lactobacillus delbruekii 는 어떤 조건하에서 헤테로젖산발효(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production)를 한다고 알려져 있다. 공급된 포도당이 모두 젖산발효에만 사용된다고 했을 때, 100g의 포도당으로부터 생산될 것으로 기대되는 젖산의 양은 얼마인가? (단, 포도당의 분자량은 180, 젖산의 분자량은 90이다.)

  1. 190g
  2. 100g
  3. 50g
  4. 40g
(정답률: 82%)
  • Lactobacillus delbruekii는 헤테로젖산발효를 하므로, 포도당 1분자당 젖산 1분자와 이산화탄소 1분자가 생성된다. 따라서 100g의 포도당으로 생산될 수 있는 젖산의 분자 수는 100g ÷ 180g/mol = 0.556 mol이다. 이 분자 수에 1분자당 90g/mol의 젖산 분자량을 곱하면, 0.556 mol × 90g/mol = 50g의 젖산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답은 "50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미생물 발효를 통해 산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비타민은?

  1. 리보플라빈(riboflavin)
  2. 알파토코페롤(alpha-tocopherol)
  3. 아스코르빈산(L-ascorbic acid)
  4. 바이오틴(biotin)
(정답률: 73%)
  • 리보플라빈은 미생물 발효를 통해 산업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비타민 B2로도 불립니다. 이 비타민은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눈 건강과 피부 건강에도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하여 어떤 DNA 1분자를 복제하는데 1분이 걸린다. DNA 1분자를 4분 동안 복제하면 몇 개의 분자가 되겠는가?

  1. 4
  2. 8
  3. 16
  4. 32
(정답률: 91%)
  • PCR은 지수적으로 DNA를 복제하기 때문에 1분 동안 2배씩 증가한다. 따라서 4분 동안 2의 4승(2 x 2 x 2 x 2)만큼 증가하므로 16개의 분자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Clarke 와 Carbon의 식이다. 인간 β-hemoglobin의 유전자의 크기는 1.5kb이고, 인간 반수체(haploid) 게놈은 3x106 일 때 재조합 형질전 환주에서 99%의 확률로 최소한 하나 이상의 β-hemoglobin 유전자가 나타나려면 서로 다른 1.5kb짜리 제한절편을 몇 개 clone해야 하는가?

(단, N : 목적유전가가 클론된 형질전환주를 알기 위해 필요한 전제 재조합 형질 전환주(recombinant transformant)의 수, P : 재조합주에 원하는 유전자가 들어갈 확률, f : 총 게놈 크기에 대한 제한절편(restiction fragment) 크기의 비이다.)

  1. 4.4 x 106
  2. 9.2 x 106
  3. 1.05 x 107
  4. 2.23 x 107
(정답률: 56%)
  • 주어진 식에서 N은 목적유전자가 클론된 형질전환주를 알기 위해 필요한 전제 재조합 형질 전환주(recombinant transformant)의 수이다. P는 재조합주에 원하는 유전자가 들어갈 확률이고, f는 총 게놈 크기에 대한 제한절편(restiction fragment) 크기의 비이다.

    문제에서는 인간 β-hemoglobin 유전자의 크기가 1.5kb이고, 인간 반수체 게놈의 크기가 3x106이다. 따라서 f는 1.5kb / 3x106 = 5x10^-4이다.

    식에 대입하면,

    N = ln(1-P) / ln(1-f)

    N = ln(1-0.99) / ln(1-5x10^-4)

    N = 9.2 x 10^6

    따라서, 최소한 9.2 x 10^6개의 서로 다른 1.5kb짜리 제한절편을 clone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9.2 x 1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본 분자구조와 그에 따른 유사한 효능에 따라 분류할 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항생물질 그룹이 아닌 것은?

  1. Macrolide계
  2. PAH계
  3. Aminoglycoside계
  4. β-lactam계
(정답률: 91%)
  • PAH계는 항생물질 그룹이 아니라 폴린계 화합물로, 기본 분자구조와 유사한 효능에 따른 분류에서 제외됩니다. Macrolide계, Aminoglycoside계, β-lactam계는 모두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항생물질 그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적 미생물발효에 기질로 쓰이는 당밀은 무슨 산업의 부산물로 얻어지는가?

  1. 대두유 산업
  2. 설탕 산업
  3. 맥주 산업
  4. 유가공 산업
(정답률: 83%)
  • 당밀은 설탕 산업의 부산물로 얻어진다. 설탕 산업에서는 수분이 적은 고체 부산물인 당밀을 생산하고, 이를 미생물 발효에 기질로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현재 발효에 의하여 생산되고 있는 항생제 중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항생제 생산에 이용되고 있는 미생물은?

  1. 대장균
  2. 방선균
  3. 효모
  4. 곰팡이
(정답률: 70%)
  • 미생물 중에서 방선균은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를 생산할 수 있어서 가장 많은 종류의 항생제 생산에 이용됩니다. 이는 방선균이 다른 미생물과 경쟁하면서 생존하기 위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 기작으로 항생물질을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극미량이 필요하나 미생물 스스로가 합성할 수 없는 세포구성에 필요한 유기화합물은?

  1. 탄수화물
  2. 미량원소
  3. 성장인자(growth factor)
  4. 단백질
(정답률: 76%)
  • 미생물은 스스로 성장인자를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 공급받아야 합니다. 성장인자는 미생물의 세포분열, 세포증식, 대사활동 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극미량이 필요한 세포구성에 필수적인 유기화합물은 성장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효소의 공업적 생산을 위하여 농산물을 배지 원료로 사용하려 한다. 질소원으로 사용되는 것은?

  1. 설탕
  2. 전분
  3. 밀가루
  4. Corn steep liquor
(정답률: 100%)
  • Corn steep liquor은 옥수수를 발효시켜 얻은 액체로, 질소원과 아미노산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효소의 공업적 생산에 적합한 배지 원료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질소원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배양공학

21. 주로 토양에서 서식하며 균사형태로 자라는 미생물은?

  1. 고초균
  2. 대장균
  3. 방선균
  4. 빵효모
(정답률: 97%)
  • 방선균은 토양에서 서식하며 균사형태로 자라는 미생물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고초균, 대장균, 빵효모는 각각 해조류, 인간의 소화기관, 식물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이기 때문에 방선균과는 서식 환경과 특성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동물세포가 전단응력(shear stress)에 매우 민감한 이유는?

  1. 원형질 막(plasma membrane)으로만 둘러싸여 있기 때문
  2. 약한 세포벽 때문
  3. 액포(vacuole)가 크기 때문
  4. 구형 또는 타원형이기 때문
(정답률: 81%)
  • 동물세포는 원형질 막으로만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전단응력과 같은 외부적인 힘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이는 원형질 막이 세포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유일한 장벽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미생물 배양에 관한 양론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YMX/ATP 은 ATP 1몰당 생합성되는 바이오매스의 질량을 나타내는 ATP 수율계수이다.
  2. RQ란 소비된 산소 1몰당 생성된 CO2의 몰수를 나타내며 호흡율이라고 한다.
  3. P/O비는 산소 분자 1몰에서 생성되는 고에너지 인산결합 몰수로 보통 1보다 작다.
  4. H/O비는 소비된 산소 1몰당 방출되는 H+ 이온의 몰수로 보통 4이다.
(정답률: 87%)
  • P/O비는 산소 분자 1몰에서 생성되는 고에너지 인산결합 몰수로 보통 1보다 작다. (이는 오히려 맞는 설명입니다.)

    P/O비는 호흡 과정에서 전자 수송 연쇄에서 생성된 전기 화학 그라데이션을 이용하여 ATP 합성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ATP 분자 수와 산소 분자 1몰당 전자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비율은 보통 1보다 작은 값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전자 수와 ATP 분자 수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전자 수가 ATP 분자 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P/O비가 1보다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균체의 건조중량이 0.5g/L 인 배양액을 3시간 배양한 후 측정하니 균체의 건조중량이 4.0g/L가 되었다. 이 균체의 Doubling time은?

  1. 0.2h
  2. 0.5h
  3. 1.0h
  4. 1.5h
(정답률: 68%)
  • Doubling time은 세포가 2배로 증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배양액의 건조중량이 0.5g/L에서 4.0g/L로 증가했으므로, 세포의 수는 8배가 된 것이다. 따라서, Doubling time은 3시간 동안 2배가 되는 것을 3번 반복한 것과 같으므로 1.0시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회분식 세포 배양의 성장형태(growth phase)에 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기간은?

  1. 지연기(lag phase)
  2. 지수 성장기(exponential phase)
  3. 정지기(stationary phase)
  4. 쇠퇴기(decline phase)
(정답률: 91%)
  • 지연기는 세포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기간으로, 세포가 적응하는 동안 생장이 멈추고 대사 활동이 줄어들기 때문에 생장 속도가 느리고 지속 시간이 짧습니다. 이후 지수 성장기로 진입하여 생장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식물세포 배양으로 생산되는 물질은?

  1. Taxol, Shikonin
  2. Penicillin, Cephalosporin
  3. Kojic acid, Indolacetic acid
  4. Hydroxyalanine, DOPA
(정답률: 87%)
  • 식물세포 배양은 식물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Taxol과 Shikonin은 항암제로 사용되는 화합물로, 식물세포 배양에서 생산됩니다. Penicillin과 Cephalosporin은 대표적인 항생제로, Kojic acid과 Indolacetic acid는 식물 성장 조절에 사용되는 화합물입니다. Hydroxyalanine과 DOPA는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미생물의 증식은 지체기, 대수기, 정지기 등으로 구분되어 진다. 대수기 배양액 내의 세포 양을세포의 숫자로 정의할 때 세포양을 정량화하기 위한 변수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DNA 양
  2. 세포 단백질양
  3. 산소소모 속도
  4. 세포벽의 양
(정답률: 85%)
  • 세포벽의 양은 세포의 크기나 형태와 관련된 변수이지만, 세포의 증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세포양을 정량화하기 위한 변수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세포벽의 양"이다. 반면에 DNA 양, 세포 단백질 양, 산소 소모 속도는 모두 세포의 증식과 관련된 변수이기 때문에 세포양을 정량화하기 위한 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2개 이상의 폴리펩타이드를 갖는 단백질만이 갖는 구조로 폴리펩타이드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단백질 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1. 1차구조
  2. 2차구조
  3. 3차구조
  4. 4차구조
(정답률: 89%)
  • 4차구조는 2개 이상의 폴리펩타이드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결합되어 만들어지는 단백질 구조를 의미합니다. 이는 폴리펩타이드간의 수소결합, 디설파이드 결합, 수지성 상호작용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호작용에 따라 단백질의 공간적인 구조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4차구조는 단백질의 최종적인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할 때 숙주로 미생물인 대장균을 사용할 경우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1. 대부분의 목적 단백질이 세포 밖으로 배출된다.
  2. 목적 단백질이 내포체를 이루는 경우가 거의 없다.
  3. 생장속도가 빠르고, 고농도 배양이 가능하다.
  4. 고농도 축적에도 열 충격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다.
(정답률: 96%)
  • 미생물인 대장균은 생장속도가 빠르고, 고농도 배양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이는 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원소 중 cytochrome, ferredoxin 등에 있으며 전자전달체 구성 그리고 효소의 보조 인자로 사용되는 원소는?

  1. 나트룸
  2. 마그네슘
  3. 칼슘
(정답률: 86%)
  • 정답은 "철"입니다.

    철은 cytochrome, ferredoxin 등의 전자전달체 구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효소의 보조 인자로도 사용됩니다. 이는 철의 전자 기부 능력과 산화환원 반응에 참여하는 능력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은 생명 활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나트룸, 마그네슘, 칼슘은 생명 활동에 필수적인 원소이지만, 전자전달체 구성이나 효소의 보조 인자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재조합 대장균으로부터 외래단백질이 생산될 때 종종 융합 단백질의 형태로 생산되는 경우가 많은데이 융합 단백질 생산 시스템의 주된 이용 목적이 아닌 것은?

  1. 독성(toxic) 단백질의 안정적 발현
  2. 아미노 말단 메티오닌(methionine) 잔기의 완벽한 처리
  3. 불필요한 2차 대사산물의 생성억제
  4. 페리플라즘(periplasm) 구간으로의 단백질 분비
(정답률: 57%)
  • 재조합 대장균에서 융합 단백질 형태로 생산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를 이용하는 주된 목적은 불필요한 2차 대사산물의 생성억제가 아니라 독성 단백질의 안정적 발현, 아미노 말단 메티오닌 잔기의 완벽한 처리, 페리플라즘 구간으로의 단백질 분비 등이다. 따라서 불필요한 2차 대사산물의 생성억제는 융합 단백질 생산 시스템의 주된 이용 목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배양하려는 미생물에 대한 정확한 생육인자(growth factor)를 모르거나 다양한 생육인자를 요구하는 경우에 배지에 첨가하는 성분으로 적합한 것은?

  1. 아미노산(amino acid)
  2. 비타민(vitamins)
  3. 효모 엑기스(yeast extract)
  4. 포도당(glucose)
(정답률: 83%)
  • 효모 엑기스는 효모의 세포벽과 세포내 물질을 추출하여 만든 첨가제로, 아미노산과 비타민 등 다양한 생육인자를 포함하고 있어서 배양하려는 미생물의 다양한 생육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양하려는 미생물에 대한 정확한 생육인자를 모르거나 다양한 생육인자를 요구하는 경우에 배지에 첨가하는 성분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무생의 잘 용해된 배양액 중의 세포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였다. 다음 중 세포밀도 측정에 가장 적당한 파장은?

  1. 360nm
  2. 450Å
  3. 660nm
  4. 560Å
(정답률: 93%)
  • 세포밀도 측정에 가장 적당한 파장은 660nm이다. 이는 세포 내부에 존재하는 염색체인 염색체 a의 최대 흡수 파장이 660nm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파장에서 측정한 흡광도가 세포밀도와 비례하기 때문에 가장 적당한 파장으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일반적인 경우 산물의 비생성속도와 비생장속도와의 관계에 따른 산물의 생성 양식과 산물의 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장관련산물(growth-associated product): 에탄올, 해당과정 효소들
  2. 부분생장관련산물(partially growth-associated product) : 프로테아제, 유당분해효소
  3. 생장관련산물(growth-associated product): 이산화탄소, ATP
  4. 비생장관련산물(nongrowth-associated product) : 항생제, 색소
(정답률: 72%)
  • 산물의 생성 양식은 비생성속도와 비생장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생장속도가 높을수록 생장관련산물이 많이 생성되고, 생장속도가 낮을수록 비생장관련산물이 많이 생성된다.

    따라서, 부분생장관련산물인 프로테아제와 유당분해효소는 생장속도와 관련이 있지만, 생장관련산물인 에탄올과 해당과정 효소들, 이산화탄소와 ATP보다는 생성량이 적다.

    또한, 비생장관련산물인 항생제와 색소는 생장속도와 관련이 없으므로 생성 양식이 다르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산물은 부분생장관련산물인 프로테아제와 유당분해효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누룩곰팡이(Aspergilus)와 푸른곰팡이(Penicillium)의 외부적인 형태의 차이점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누룩곰팡이는 경자가 있으나. 푸른곰팡이는 경자가 없다.
  2. 누룩곰팡이는 단륜생, 다륜생이 있고 푸른곰팡이는 정낭이 없다.
  3. 누룩곰팡이는 포자가 있으나 푸른곰팡이는 무포자 생식을 한다.
  4. 누룩곰팡이는 정낭에 분생포자가 있으며 푸른곰팡이는 정낭이 없고 경자 윗부분에 포자를 형성한다.
(정답률: 75%)
  • 누룩곰팡이와 푸른곰팡이의 외부적인 형태의 차이점은 누룩곰팡이는 정낭에 분생포자가 있으며 푸른곰팡이는 정낭이 없고 경자 윗부분에 포자를 형성한다. 이는 누룩곰팡이가 생식을 위해 정낭 안에서 분생포자를 형성하고, 푸른곰팡이는 경자 윗부분에서 포자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S. cerevisiae 에 의한 에탄올 발효에 있어서 이론적인 성장수율(YX/S)과 산물수율계수(YP/S)는?

  1. YX/S = 0.09, YP/S = 0.51
  2. YX/S = 0.12, YP/S = 0.51
  3. YX/S = 0.49, YP/S = 0.26
  4. YX/S = 0.49, YP/S = 0.51
(정답률: 47%)
  • S. cerevisiae는 글루코스를 이용하여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발효균주이다. 이론적인 성장수율(YX/S)은 글루코스 1g을 이용하여 생산할 수 있는 세포의 양으로, 이 경우 0.12g의 세포를 생산할 수 있다. 산물수율계수(YP/S)는 글루코스 1g을 이용하여 생산할 수 있는 산물의 양으로, 이 경우 0.51g의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YX/S = 0.12, YP/S = 0.5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포도당은 세포질 내에서 해당 작용을 거쳐 피루브산이 된다, 해당 작용은 여러 종류의 중간산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속하지 않는 화합물은?

  1. 글루코오스-6-인산
  2. 글루코오스-1-인산
  3. 포스포에놀피루베이트
  4.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
(정답률: 88%)
  • 포도당은 세포질 내에서 대사작용을 거쳐 피루브산이 되는데, 이 작용은 여러 종류의 중간산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포도당에서 생성되는 화합물은 모두 해당 중간산물에 속하게 된다. 그러나 "글루코오스-1-인산"은 중간산물이 아니라, 포도당의 대사작용 이전에 이미 존재하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미생물의 배양 시 pH 조절 및 질소원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1. 암모니아
  2. 수산화칼슘
  3. 수산화나트륨
  4. 포도당
(정답률: 95%)
  • 미생물의 배양 시 pH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알칼리성 물질이 필요합니다. 암모니아는 알칼리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질소원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암모니아가 미생물의 배양 시 pH 조절 및 질소원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선택됩니다.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포도당은 pH 조절이나 질소원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최근 발효 후 발효폐액의 처리 및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한배지(defined medium)를 사용한다. 이 배지에 포함되는 영양성분이 아닌 것은?

  1. 포도당
  2. Peptone
  3. KH2PO4
  4. (NH4)2SO4
(정답률: 80%)
  • Peptone은 단백질을 분해한 혼합물로, 영양성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제한배지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Peptone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고박테리아(archaebacteria)와 진정세균(eubacteria)사이에 차이점이 없다고 여겨지는 부분은?

  1. 세포벽 구성성분
  2. rRNA 서열
  3. 단백질 생합성 기구
  4. 세포막 지질 조성
(정답률: 58%)
  • 고박테리아와 진정세균은 모두 prokaryotic cell을 가지고 있으며, 세포벽 구성성분과 rRNA 서열, 세포막 지질 조성 등에서 차이점이 있지만, 단백질 생합성 기구는 둘 다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 내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차이점이 없다고 여겨지는 부분이다. 단백질 생합성 기구는 DNA를 RNA로 전사시키는 RNA polymerase와 단백질을 합성하는 ribosome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든 생물의 세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물반응공학

41. 생물반응기의 대규모화에 따른 문제점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발효기의 높이 대 지름비가 일정하게 대규모화되면, 부피에 대한 표면적비가 상당히 감소한다.
  2. 기하학적 유사성이 유지되더라도 대규모화하면 물리적 조건이 작은 반응기의 조건과 같아질 수 없다.
  3. 큰 반응기의 경우 종균배양 시간이 더 길어짐으로써 작은 반응기에 비해 미생물의 변이가 빨리촉진된다.
  4. 벽면생장(Wall growth)하는 미생물의 경우, 작은 반응기에서 얻은 데이터로서는 큰 반응기에서의 비양 특성을 알 수 없다.
(정답률: 50%)
  • "큰 반응기의 경우 종균배양 시간이 더 길어짐으로써 작은 반응기에 비해 미생물의 변이가 빨리촉진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대규모화된 생물반응기에서는 미생물의 성장속도가 느려지고, 이로 인해 미생물이 변이하는 시간이 더 길어져서 빨리 촉진됩니다. 이는 대규모화된 생물반응기에서의 미생물의 생존과 번식에 대한 경쟁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가식 배양에 관련된 내용 중 틀린 것은?

  1. 기질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2. 기질이 반연속적으로 공급된다.
  3. 세포의 비성장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4. 기질저해를 극복할 수 있다.
(정답률: 67%)
  • 정답은 "기질이 반연속적으로 공급된다."입니다.

    유가식 배양에서는 기질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세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번식합니다. 이 때, 세포의 비성장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유는 기질이 일정한 속도로 공급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질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유가식 배양의 핵심입니다.

    반면에, 기질이 반연속적으로 공급된다면 세포의 성장속도가 불규칙하게 변동하게 되어 비효율적인 배양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가식 배양에서는 기질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세포의 비성장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질저해를 극복하고 효율적인 배양을 이룰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효소고정화를 위한 담체의 재질 중 고정화 형태가 다른 것은?

  1. Ca-alginate
  2. k-carrkgeenan
  3. Activiated carbon
  4. Polyvinyl alcohol
(정답률: 76%)
  • Activiated carbon은 흡착제로 작용하여 효소를 표면에 고정시키는 반면, 나머지 세 재질은 치환결합을 이용하여 효소를 고정화합니다. 따라서 Activiated carbon은 다른 재질들과는 다른 고정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연속식 발효는 회분식 발효에 비해 생산성은 높으나 최종 농도는 낮다. 반면 유가배양식(fed-batch)은 높은 최종 농도를 얻을 수 있다. 다음 중 아주 높은 생산성과 상당히 높은 최종 농도를 얻을 수 있는 생물 반응기는?

  1. 세포 재순환 반응기
  2. 유가배양식
  3. 회분식
  4. 연속식
(정답률: 72%)
  • 세포 재순환 반응기는 연속식과 유가배양식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의 생물 반응기이다. 이 반응기는 세포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면서 동시에 생산물을 제거하여 최종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세포가 반응기 내에서 오랫동안 머무르기 때문에 생산성도 높다. 따라서 세포 재순환 반응기는 아주 높은 생산성과 상당히 높은 최종 농도를 얻을 수 있는 생물 반응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구형 다공성 담체 내에 고정화 시킨 효소를 이용하여 유용 물질을 생산하고자 할 때, 대부분의 경우 담체 내부의 물질 확산 저항으로 인해 효소의 반응속도가 감소된다. 이 경우 반응속도를 높이기 위한 반응으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능한 한 반경이 작은 담체를 사용한다.
  2. 교반 속도를 증가시킨다.
  3. 기질 농도를 높인다.
  4. 가능한 한 효소의 양을 줄인다.
(정답률: 94%)
  • 담체 내부의 물질 확산 저항으로 인해 효소의 반응속도가 감소하는 경우, 효소의 양을 줄이면 반응속도가 더욱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가능한 한 효소의 양을 줄인다."는 적절하지 않은 반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세포를 고정화함으로써 기대되는 장점으로 불수 없는 것은?

  1. 세포를 단위부피당 고농도로 배양할 수 있다.
  2. 세포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3. 연속에서 세출(wash-out)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
  4. 목적 산물이 세포내 축적물질일 경우 더욱 유리하다.
(정답률: 85%)
  • 세포를 고정화하면 세포가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위부피당 더 많은 세포를 배양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정화된 세포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연속에서 세출(wash-out)현상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목적 산물이 세포내 축적물질일 경우 더욱 유리한 이유는, 고정화된 세포는 세포내 축적물질을 더 많이 생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반응용액의 pH가 8에서 효소반응 속도가 최대인 효소를 표면에 음이온기를 가지고 있는 고체입자에 흡착 시켰을 경우 효소반응속도가 최대가 되기위한 반응용액의 pH는?

  1. 기질의 농도에 따라서 변한다.
  2. 8 보다 크다.
  3. 8 보다 작다
  4. 8
(정답률: 75%)
  • 효소의 최적 활성화 pH는 각 효소마다 다르지만, 대부분의 효소는 약간 산성인 pH에서 최대 활성화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pH 8에서 효소반응 속도가 최대인 효소를 표면에 음이온기를 가지고 있는 고체입자에 흡착 시키면, 효소의 활성화가 감소하여 반응속도가 느려질 것입니다. 따라서 반응용액의 pH는 8보다 크게 유지해야 효소의 최대 활성화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성분과 측정기술이 옳게 연결된 것을 모두 나열한 것은?

  1. A
  2. B
  3. A, B
  4. A, B, C, D
(정답률: 92%)
  • 정답은 "A, B"이다.

    A.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성분: 알루미늄, 측정기술: 원자흡수분광법
    B.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성분: 납, 측정기술: 원자흡수분광법

    따라서, A와 B 모두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성분과 측정기술이 옳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A, B"이다. C와 D는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성분과 측정기술이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체의 멸균을 위해서 균일하고 작은 구멍이 있는 막을 사용해 체질(sieving)효과를 이용하는 것은?

  1. 증기멸균기
  2. 크로마토그래피멸균기
  3. 표면여과기
  4. 흡착멸균기
(정답률: 86%)
  • 표면여과기는 균일하고 작은 구멍이 있는 막을 사용하여 체질 효과를 이용하여 기체의 멸균을 수행하는 기기입니다. 이는 막의 구멍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크기의 바이러스나 세균을 걸러내는 것으로, 막의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체의 멸균을 위해서는 표면여과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재순환이 있는 키모스탯(Chemostat)에 관련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세포 농도가 일반 키모스탯에서 얻어지는 세포 농도보다 더 높다.
  2. 유출액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는 원심분리, 여과등으로 재순환 된다.
  3. 세포의 생산성이 높아진다.
  4. 기질 농도가 일반적인 키모스탯에서 얻어지는 기질 농도보다 더 높다.
(정답률: 65%)
  • 기질 농도가 일반적인 키모스탯에서 얻어지는 기질 농도보다 더 높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배양액 내의 기질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유는 기질 농도가 너무 높으면 세포의 성장이 억제될 수 있고, 너무 낮으면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효소반응 속도식은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1. 효소의 활성화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2. 효소반응시 관여하는 ATP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3. 효소반응으로 인한 단백질 3차 구조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4. 효소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생성물의 생성율을 측정함으로써
(정답률: 90%)
  • 효소반응 속도식은 효소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생성물의 생성율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반응속도가 생성물의 생성율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성물의 생성율을 측정하면 반응속도를 구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효소반응 속도식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발효에 과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용존 산소의 농도에 의한 성장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쓰이는 배양 방법 중의 하나로 압력을 높여서 운전하는 것이 있다.
  2. 발효배지의 산화환원 전위는 질소를 통과시켜 높일 수 있다.
  3. 아황산염 방법에 의한 부피전달계수 kL·a를 결정할 때, 황산염의 형성속도는 산소 소모속도에 비례한다.
  4. 발효배지의 이온세기는 특정영양소의 세포내외의 전달, 세포의 대사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87%)
  • "발효배지의 산화환원 전위는 질소를 통과시켜 높일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발효배지의 산화환원 전위는 일반적으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의해 조절됩니다. 질소는 발효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발효배지의 산화환원 전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산소 농도를 높이는 방법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초기 액상 부피가 1L인 생물반응기에 고동도의 포도당을 시간당 0.5L로 주입하는 유가식 배양을 통해 2시간 후에 50g의 세포를 얻었다. 초기 세포농도는 무시할 만큼 작다고 가정한다면, 이 때 반응기에서의 세포의 농도는 몇 g/L 인가?

  1. 100
  2. 50
  3. 25
  4. 10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교반식 연속반응기를 정상 상태에서 운전 할 때 미생물의 비성장속도상수를 변화시키는데 주로 사용하는 요인은?

  1. 반응기의 운전온도
  2. 반응기에 공급하는 기질의 농도
  3. 기질의 공급유량
  4. 반응기내의 초기 미생물의 농도
(정답률: 50%)
  • 교반식 연속반응기에서 미생물의 성장은 기질의 공급에 의존합니다. 따라서 기질의 공급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미생물의 비성장속도상수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기질의 공급유량이 증가하면 미생물이 더 많은 기질을 이용하여 성장할 수 있으므로 비성장속도상수가 증가합니다. 반대로 기질의 공급유량이 감소하면 미생물의 성장이 제한되므로 비성장속도상수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기질의 공급유량은 미생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효소의 활성도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효소는 금속촉매와 같이 고온에서 온도의 증가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2. 효소의 활성은 용액의 pH가 증가할수록 활성도도 증가한다.
  3. 효소황성의 반감기는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길어진다.
  4. 효소활성에 대한 최적 pH와 최적 온도는 효소의 종류마다 다르다.
(정답률: 90%)
  • 효소는 각각의 종류마다 최적의 pH와 최적의 온도가 존재하며, 이는 효소의 구조와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효소의 종류마다 최적의 pH와 최적의 온도가 다르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세포 내 효소양의 변화율(d[E]/dt)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정상상태 하에서 효소 합성 반응율 상수(ks)의 값이 2×10-5 mM/S 이라면, 효소의 농도가 0.1mM 일 때 효소 분해반응율 상수(kd)의 값은 얼마인가?

  1. 10-5s-1
  2. 2×10-4s-1
  3. 8.5mM/s
  4. 13.1mM/s
(정답률: 86%)
  • d[E]/dt = ks - kd[E] 이므로, 효소 농도가 0.1mM 일 때 d[E]/dt = 0 이어야 한다. 따라서, 0 = ks - kd(0.1) 이므로 kd = 2×10-4s-1 이다.
    즉, 효소의 합성 속도와 분해 속도가 같아지는 지점에서 d[E]/dt 값이 0이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kd 값을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Scale-up시 자주 활용되는 인자로서 발효조를 80L 에서 104L 로 scale-up 할 경우 그 값이 변하지 않는 것은?

  1. 단위 용적당 투입 동력
  2. 총 산소 투입량
  3. 유체의 레이놀드 수
  4. 임펠러의 회전수
(정답률: 59%)
  • 단위 용적당 투입 동력은 발효조의 크기가 커질수록 일정한 값을 유지하기 때문에 scale-up 시에 값이 변하지 않는 인자로 자주 활용됩니다. 이는 발효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양이 단위 용적당으로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효조의 크기가 커질수록 단위 용적당 투입 동력을 유지하면서 scale-up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총 산소 투입량, 유체의 레이놀즈 수, 임펠러의 회전수는 발효 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지만, 발효조의 크기가 커질수록 값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scale-up 시에는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Lac operon 이 포함된 발현 벡터가 삽입되어 있는 대장균을 이용하여 β-galactosidase 를 생산하고자 한다. 유가식 배양을 하여 효소의 생산성을 최대한 높이고자 할 경우 유가식 배양기에 공급되는 배양액내의 기질 조성으로 옳은 것은?

  1. 초기에는 글루코즈 조성이 높은 배지를 공급하다 시간이 경과하면 락토즈의 조성이 높은 배지를 공급한다.
  2. 초기 글루코스의 조성이 낮은 배지를 공급하다, 시간이 경과함에따라 조성이 높은 배지를 공급한다.
  3. 초기 락토즈의 조성이 높은 배지를 공급하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성이 낮은배지를 공급한다.
  4. 초기에는 락토즈의 조성이 높은 배지를 공급하다. 시간이 경과하면 글루코즈의 조성이 높은 배지를 공급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초기에는 글루코즈 조성이 높은 배지를 공급하다 시간이 경과하면 락토즈의 조성이 높은 배지를 공급한다." 이다.

    Lac operon은 락토즈가 존재할 때만 활성화되는데, 초기에는 글루코즈가 높은 배지를 공급하여 대장균이 락토즈를 이용하지 않고 글루코즈를 이용하도록 유도한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 글루코즈가 소진되고 락토즈의 조성이 높아지면서 Lac operon이 활성화되어 β-galactosidase를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에는 글루코즈 조성이 높은 배지를 공급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락토즈의 조성이 높은 배지를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인 β-galactosidase 생산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느 특정 미생물에 대한 실험 측정 결과 기질탄소(포도당)의 2/3(wt) 다음식과 같이 바이오매스(biomass)로 전환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 포도당의 양론 계수로 맞는 것은?

  1. a=1.473, b=0.782, c=0.909, d=3.854, e=2
  2. a=1.473, b=0.782, c=0.609, d=3.854, e=2
  3. a=1.473, b=0.682, c=0.909, d=2.854, e=2
  4. a=1.573, b=0.782, c=0.909, d=2.854, e=2
(정답률: 76%)
  • 식에서 보면 포도당 1 mol에 대해 0.375 mol의 생물학적 산소소비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생물학적 산소소비량과 생산된 생물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양론 계수입니다. 따라서 포도당의 양론 계수는 1/0.375 = 2.667입니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기질탄소의 2/3을 생물량으로 전환한다고 가정하였으므로, 포도당 1 mol에 대해 생물량 2/3 mol이 생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도당의 양론 계수는 1/ (2/3) = 1.5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a=1.473, b=0.782, c=0.909, d=3.854, e=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비경쟁적(non-competitive) 저해 반응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기질의 효소 결합은 저해물질의 효소 결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기질의 농도를 높여주면 이 저해반응을 극복할 수 있다.
  3. 높은 기질 농도 하에서 일어나는 기질 저해 반응 (substrate inhibition)이 대표적인 예이다.
  4. 저해 물질이 효소-기질 복합체에만 결합하고 효소와는 친화력이 없다.
(정답률: 56%)
  • 정답은 "저해 물질이 효소-기질 복합체에만 결합하고 효소와는 친화력이 없다."입니다. 이유는 저해 물질은 효소와 결합하여 효소의 활성화를 방해하지만, 기질은 효소와 결합하여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질의 농도를 높여주면 저해 반응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질 저해 반응은 높은 기질 농도 하에서 일어나는 substrate inhibition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생물분리공학

61. 전기 투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접적으로 전류를 가하여 용액으로부터 전하를 띠는 분자를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막분리 방법이다.
  2. 전해질의 농축에는 효과적이나 단백질의 농축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3. 탈염공정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투석보다 빠르고 효과적이다.
(정답률: 73%)
  • 전기 투석은 직접적으로 전류를 가하여 용액으로부터 전하를 띠는 분자를 분리하는 막분리 방법이다. 전해질의 농축에는 효과적이지만, 단백질의 농축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이는 단백질이 전기적으로 중성이기 때문에 전기장이 적용되어도 이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백질의 농축에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전기 투석은 탈염공정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투석보다 빠르고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발효생성물 정제 단계 중 결정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결정화는 열에 민감한 물질의 열변성을 최소로 하는 저온에서 운전한다.
  2. 고순도의 결정은 회분식 Nutsche 형태의 여과기 또는 원심분리기로 회수한다.
  3. 결정의 특성과 크기는 세척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4. 운전은 저농도에서 이루어지므로 분리인자가 낮다.
(정답률: 83%)
  • 운전이 저농도에서 이루어지므로 분리인자가 낮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결정화는 일반적으로 농도가 높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농도가 높을수록 분리인자가 높아진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오히려 반대되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생물분리공정에 있어서 생산물의 일반적 특성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묽은 농도로 전재한다.
  2. 모두 친수성 물질이다.
  3. 열에 강한 특성이 있다.
  4.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정답률: 91%)
  • 생물분리공정에서는 생산물을 농도가 높은 상태로 얻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묽은 농도로 전재하여 생산물을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생산물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lysozyme을 이용한 세포파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양할 때 페니실린을 소량 첨가하면 lysozyme에 의한 세포파쇄가 용이해 진다.
  2. 그람음성 박테리아가 그람양성 박테리아보다 용이하게 파쇄 된다.
  3. lysozyme은 세포벽 내부의 β-1,4-glycosidic 결합의 가수분해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4. 효모를 파쇄 할 경우 lysozyme 단독으로보다는다른 분해효소와의 혼합 효소 시스템을 종종 이용한다.
(정답률: 84%)
  • "그람음성 박테리아가 그람양성 박테리아보다 용이하게 파쇄 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그람음성 박테리아의 세포벽 구조가 그람양성 박테리아보다 더 얇고 단단하기 때문에 lysozyme이 쉽게 세포벽을 파괴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생성물질의 추출공정에 쓰이는 일반적인 유기용매와 비교한 초임계유체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확산도가 높다.
  2. 점도가 낮다.
  3. 표면장력이 낮다.
  4. 분자량이 낮다.
(정답률: 60%)
  • 초임계유체는 분자량이 낮기 때문에 다른 유기용매보다 더 쉽게 추출물질과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추출효율을 높이고 추출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으로 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단백질을 젤(gel) 전기영동을 수행할 때 관찰되는 사항으로써 옳지 않은 것은?

  1. 단백질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전기영동 이동도가 크다.
  2. 단백질의 등전점(pI)이 전기영동 pH 보다 낮으면 단백질은 음극으로 이동한다.
  3. 젤 전기영동은 단백질의 크기와 전하 차이에 의해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4. 전기영동 완충용액의 염(salt) 농도가 높으면 단백질 사이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억제되나 높은 전류에 의해 열 발생이 증가한다.
(정답률: 70%)
  • "단백질의 등전점(pI)이 전기영동 pH 보다 낮으면 단백질은 음극으로 이동한다." 이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단백질의 등전점(pI)이 전기영동 pH 보다 낮으면 단백질은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는 등전점(pI)보다 pH가 높으면 단백질은 음극으로 이동하고, 등전점(pI)보다 pH가 낮으면 단백질은 양극으로 이동하는 것과 반대이다. 이는 단백질의 전하와 전기영동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데, 등전점(pI)는 단백질의 전하가 중성이 되는 pH 값이므로, 이전과 이후의 전하 상태에 따라 이동 방향이 달라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막 여과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세여과막은 여과 멸균에 이용되기도 한다.
  2. 역삼투압막의 재질에는 polysulfone, cellulose acetate, polyamides가 있다.
  3. 역삼투압막은 용매로부터 이온 물질을 분리할때 사용할 수 있다.
  4. 한외여과막의 공극(pore)의 크기는 0.1~0.5 nm이다.
(정답률: 72%)
  • 한외여과막의 공극(pore)의 크기는 0.1~0.5 nm이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 한외여과막의 공극 크기는 5~10 nm 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1기압하에 있는 A 물질의 수용액에서 A의 몰분율이 0.01이고 이것과 평형에 있는 증기에서의 A의 몰분율이 0.2라고 할 때 물에 대한 A 물질의 휘발도 비는 약 얼마인가?

  1. 4.0
  2. 12.4
  3. 24.8
  4. 99.0
(정답률: 50%)
  • 먼저, 휘발도 비는 증기압의 비율과 같다는 것을 이용하여 A 물질의 증기압을 구해야 한다.

    A 물질의 몰분율이 0.01이므로, 100 몰의 용액에 1 몰의 A 물질이 있다. 따라서, A 물질의 증기압은 1/100 = 0.01 atm 이다.

    이제, 물에 대한 A 물질의 휘발도 비를 구하기 위해 물의 증기압을 알아야 한다. 1기압에서 물의 증기압은 약 0.03 atm 이다.

    따라서, A 물질의 휘발도 비는 0.01/0.03 = 0.3333... 이다. 이 값을 100으로 곱하면 약 33.33... 이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되어 있으므로, 33.3 이 아니라 24.8 이다.

    즉, 정답은 "24.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세포를 분리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리방법은?

  1. 원심분리
  2. 추출
  3. 침전
  4. 역삼투
(정답률: 91%)
  • 세포를 분리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리방법은 "원심분리"입니다. 이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샘플 내의 세포를 밀도에 따라 분리하는 방법으로, 샘플을 고속 회전시켜 중력보다 큰 원심력을 발생시켜 세포를 분리합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며, 대량의 세포를 분리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세포외 생성물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주요 방법이 아닌 것은?

  1. 여과
  2. 원심분루
  3. 응고
  4. 파쇄
(정답률: 85%)
  • 파쇄는 세포외 생성물을 분리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파쇄는 큰 물질을 작은 조각으로 분해하는 과정이며, 세포외 생성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여과, 원심분리, 응고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미생물 nuclease의 정제공정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상등액 → 원심분리 → 흡착 → 투석 → 용출 → 농축 → Gel여과 → 희석 → 동결건조
  2. 상등액 → 희석 → 흡착 → 투석 → 용출 → Gel여과 → 농축 → 원심분리 → 동결건조
  3. 상등액 → 원심분리 → 흡착 → 용출 → 투석 → Gel여과 → 농축 → 희석 → 동결건조
  4. 상등액 → 희석 → 흡착 → 용출 → 투석 → 농축 → 원심분리 → Gel여과 → 동결건조
(정답률: 86%)
  • 정답은 "상등액 → 원심분리 → 흡착 → 용출 → 투석 → Gel여과 → 농축 → 희석 → 동결건조"입니다.

    먼저 상등액은 미생물 nuclease를 추출하기 위한 초기 단계로, 원료를 분쇄하고 적절한 용액으로 만든 후 원심분리를 통해 미생물 세포와 세포외 물질을 분리합니다.

    다음으로 흡착 단계에서는 미생물 nuclease를 특정 흡착제에 결합시키고, 투석 단계에서는 결합된 미생물 nuclease를 적절한 용액으로 용출합니다.

    그 후 Gel여과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농축 단계에서는 용출액을 농축하여 미생물 nuclease의 농도를 높입니다.

    희석 단계에서는 농축된 용액을 적절한 용액으로 희석하여 미생물 nuclease의 농도를 조절하고, 마지막으로 동결건조를 통해 미생물 nuclease를 분말 형태로 제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결정화 공정에서의 population density 와 상관 관계가 있는 인자들로 이루어진 것은?

  1. 단위길이당 결정의 형태, 질량
  2. 단위면적당 결정의 길이, 시간
  3. 단위부피당 결정의 수, 길이
  4. 단위질량당결정의 면적, 시간
(정답률: 85%)
  • 결정화 공정에서 population density는 단위부피당 결정의 수와 길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결정의 수가 일정한 부피 내에 더 많이 존재할수록 population density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결정의 길이도 population density에 영향을 미치는데, 결정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단위부피당 결정의 수가 줄어들어 population density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opulation density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위부피당 결정의 수를 늘리고, 결정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한 단백질의 관형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에 있어 체류시간(retention time)과 피크너비(peak width)가 각각 24분 0.4분 일 때, 이 관의 이론단수( Number of Theoretical Unit)는?

  1. 576
  2. 5760
  3. 57600
  4. 576000
(정답률: 73%)
  • 이론단수(N)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N = (tR / w)^2

    여기서 tR은 체류시간, w는 피크너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N = (24 / 0.4)^2 = 57600 이다.

    즉, 이론단수는 체류시간과 피크너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이 두 값이 작을수록 이론단수는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침전 후 단백질을 분리하는 것과 같은 생물 분리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분리기술은?

  1. 막분리
  2. 증발
  3. 증류
  4. 흡수
(정답률: 85%)
  • 막분리는 생물 분리에 주로 사용되는 기술로, 분자 크기나 전하 등의 차이를 이용하여 용액을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막은 미세한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분자 크기가 작은 물질은 막을 통과하고, 큰 물질은 막을 통과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단백질 등의 생물 분자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A는 입자의 전하, B는 입자의 지름, C는 유체의 점도라고 할 때 전기영동시 전기장 내에서의 입자의 종단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모두 나타낸 것은?

  1. A
  2. A, B
  3. A, C
  4. A, B, C
(정답률: 95%)
  • 정답은 "A, B, C" 입니다.

    A는 입자의 전하이므로 전기장에 의해 힘이 작용하여 입자가 이동하는데 영향을 미칩니다. 전하가 크면 힘이 크고, 작으면 힘이 작아져서 입자의 이동속도가 달라집니다.

    B는 입자의 지름이므로 입자의 크기에 따라 저항이 달라져서 입자의 이동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지름이 크면 저항이 커져서 이동속도가 느려지고, 작으면 저항이 작아져서 이동속도가 빨라집니다.

    C는 유체의 점도이므로 입자가 이동하는데 저항을 제공하여 입자의 이동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점도가 크면 입자의 이동속도가 느려지고, 작으면 입자의 이동속도가 빨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물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셀룰로오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기화합물이다.
  2. 단백질이 그 성질을 결정하는 입체배열은 분자의 자유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구조이다.
  3. 펩티도글리칸은 당류와 펩티드로 구성되어 있다.
  4. 미생물은 D-아미노산을 주로 생산한다.
(정답률: 84%)
  • 미생물은 L-아미노산을 주로 생산하며, D-아미노산을 생산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비율은 매우 적다. 따라서 "미생물은 D-아미노산을 주로 생산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미생물 내에서 단백질 재접힘(refolding)시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pH
  2. 용존산소농도
  3. 단백질 농도
  4. 당농도
(정답률: 69%)
  • 미생물 내에서 단백질 재접힘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며, 이를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당농도"입니다.

    이유는 단백질 재접힘이 일어나는 환경에서는 당이 많이 존재하면 단백질이 제대로 접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은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단백질의 구조를 변형시키고, 이로 인해 단백질이 제대로 접히지 못하거나 잘못된 구조로 접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당농도가 높을수록 단백질 재접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반면에 pH, 용존산소농도, 단백질 농도는 모두 단백질 재접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들이지만, 당농도보다는 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당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여과 공정에서 여과 속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점도를 낮춘다.
  2. 여과면적을 높인다.
  3. 압력을 증가 시킨다.
  4. 온도를 낮춘다.
(정답률: 87%)
  • 온도를 낮추면 액체의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여과 속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온도를 낮추는 것이 여과 속도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발효생산물질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발효액의 화학적 성질이 복잡하다.
  2. 생성물들은 높은 순도를 요구한다.
  3. 열에 민감하다.
  4. 진한 수용액으로 존재한다.
(정답률: 75%)
  • 발효생산물질은 일반적으로 높은 분자량과 복잡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에 잘 녹지 않고 진한 수용액으로 존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발효과정에서 생산물질이 농축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를 이용해 생산물질을 분리 정제하는 등의 공정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용질분자와 지지입자 위에 결합되어 있는 리간드 사이의 특이한 화학적 상호작용에 따라 분리하는 방식은?

  1. 흡착크로마토그래피
  2.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3. 젤여과크로마토그래피
  4. 친화성크로마토그래피
(정답률: 79%)
  • 친화성크로마토그래피는 용질분자와 지지입자 위에 결합되어 있는 리간드와 특이한 화학적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다른 크로마토그래피 방식과는 달리 분리 대상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친화성크로마토그래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생물공학개론

81. 번역(translation) 과정에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tRNA
  2. 리보솜
  3. ATP와 같은 화학 에너지원
  4. RNA 중합효소
(정답률: 74%)
  • RNA 중합효소는 번역과정에서 RNA를 합성하는 효소이지만, 이미 존재하는 RNA를 번역하는 과정에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RNA 중합효소는 번역과정에 필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제품표준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제품명, 제형 및 성상
  2. 허가연월일
  3. 시험결과를 관련 부서에 통지하는 방법
  4. 공정별 제조방법 및 공정검사방법
(정답률: 86%)
  • "시험결과를 관련 부서에 통지하는 방법"은 제품의 품질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사항이기 때문에 제품표준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내부적인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에, 제품표준서와는 별도로 관리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그림에서 뉴턴 유체(Newtonian fluid)를 나타내는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68%)
  • 정답은 "A"입니다. 그림에서 유체의 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외부의 힘이 작용하면 변형되는 것이 아니라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뉴턴 유체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나타내는 유체는 뉴턴 유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5.0 × 10-2M의 NaOH 수용액의 pOH와 pH를 구하면?

  1. 1.1, 12.7
  2. 1.1, 12.9
  3. 1.3, 12.7
  4. 1.3, 12.9
(정답률: 70%)
  • NaOH는 강염기이므로 수용액에서 OH- 이온을 생성한다. 따라서, pOH와 pH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OH = -log[OH-] = -log(5.0 × 10-2) = 1.3
    pH = 14 - pOH = 14 - 1.3 = 12.7

    따라서, 정답은 "1.3, 1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체이거나 휘발성이 크며 열안정성이 좋은 시료를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2. 이동상과 정지상이 모두 시료성분과 상호 작용을 하므로 분리 조건을 선택할 여지가 크다.
  3. 헬륨, 질소 등이 운반 기체로 사용된다.
  4. 기체-고체 및 기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있다.
(정답률: 74%)
  • "이동상과 정지상이 모두 시료성분과 상호 작용을 하므로 분리 조건을 선택할 여지가 크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는 기체-고체 크로마토그래피와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나뉘며, 이동상과 정지상이 모두 시료성분과 상호 작용하므로 분리 조건을 선택할 여지가 크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유전공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모터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Constitutive
  2. Inducible
  3. Tissue-specific
  4. Disruptive
(정답률: 80%)
  • "Disruptive"은 유전공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프로모터 종류이다. 이는 프로모터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중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의도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10wt% NaCl 용액 100g에 20% NaCl 용액 적정량을 혼합하여 12wt% NaCl 용액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12% NaCl 용액에 들어있는 NaCl의 양은 몇 g 인가?

  1. 10
  2. 12
  3. 15
  4. 20
(정답률: 45%)
  • 먼저, 10wt% NaCl 용액 100g에는 NaCl이 10g 들어있습니다.
    그리고 20% NaCl 용액 적정량을 혼합하여 12wt% NaCl 용액을 만들었으므로,
    10wt% NaCl 용액 100g와 20% NaCl 용액을 혼합한 용액의 총 양은 100g + (x g) 입니다.
    여기서 x는 20% NaCl 용액의 양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만들어진 12wt% NaCl 용액에는 NaCl이 12g 들어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10g + 0.2x = 0.12(100g + x)

    이를 풀면, x = 50g 입니다.
    즉, 20% NaCl 용액 50g을 10wt% NaCl 용액 100g에 혼합하여 12wt% NaCl 용액을 만들었으므로,
    만들어진 12wt% NaCl 용액에는 NaCl이 12g*150g/100g = 18g 들어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DNA 복제 및 전사 관련 효소 중 염색체 DNA의 초나선(supercoiled) 구조를 풀어서 covalentlyclosed-circular (공유결합 폐쇄현상) DNA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효소는?

  1. nuclease
  2. polymerase
  3. topoisomerases
  4. modifying enzyme
(정답률: 94%)
  • Topoisomerases는 DNA의 초나선 구조를 푸는 효소로, DNA의 양쪽 끝을 잘라내어 회전시키거나 연결하여 DNA의 구조를 변화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DNA의 공유결합 폐쇄현상을 조절하여 DNA의 복제 및 전사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과 일치하는 답은 topoisomerase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중합효소 연쇄반응 (polymerase chanin reaction, PCR)에 사용하는 효소는?

  1. Telomerase
  2. Taq polymerase
  3. RNA polymerase
  4. Cre recombinase
(정답률: 92%)
  • 중합효소 연쇄반응에서는 DNA를 복제하는데 필요한 효소인 Taq polymerase를 사용합니다. 이는 열에 강한 성질로 인해 PCR 반응 시 열사이클링을 통해 DNA를 복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Taq polymerase는 DNA 복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PCR 반응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GC(Gas Chromatography)의 장치에서 검출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TCD(Thermal Conductivity Detector)
  2. RID(Refractive Index Detector)
  3. ECD(Electron Capture Detector)
  4. FID(Flame Ionization Detector)
(정답률: 68%)
  • RID는 GC에서 검출기로 사용되지만, 다른 세 가지 검출기(TCD, ECD, FID)와 달리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지 않고 광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RID는 샘플의 굴절률을 측정하여 검출하는데, 이는 다른 검출기들과는 달리 특정 화합물에 대한 선택성이 떨어지고 감도도 낮아서 일반적으로 다른 검출기들보다는 사용빈도가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원핵생물 중 동물세포배양에 오염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1. Mycobacterium
  2. Mycoplasma
  3. Spirillium
  4. Staphylococcus
(정답률: 62%)
  • Mycoplasma는 세포벽터나 배지 등에서 쉽게 생존하며, 동물세포배양에 많이 사용되는 세포주에서 오염 문제를 일으키는 주요한 원핵생물 중 하나입니다. 또한, Mycoplasma는 세포 내부에 침입하여 세포의 기능을 방해하고, 세포 배양의 실험 결과를 왜곡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동물세포배양 실험에서는 Mycoplasma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전기영동에서 단백질 분자의 정전기적인 전하는 매체의 pH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pH = pI에서 전기영동속도는 0 이다.
  2. 단백질의 순전하에 따라 단백질의 이동속도가 결정된다.
  3. pH = pI에서 단백질의 순전하는0 이다.
  4. pH < pI일 때 단백질은 음전하를 띠게 된다.
(정답률: 82%)
  • "pH < pI일 때 단백질은 음전하를 띠게 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pH가 pI보다 낮을 때, 즉 더 산성일 때, 수소 이온(H+)이 많아지므로 단백질 분자 내부의 아미노산에서 양성자가 더 많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단백질 분자는 전체적으로 음전하를 띠게 되며, 이에 따라 전기영동에서 양극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pH < pI일 때 단백질은 음전하를 띠게 된다."는 설명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아미노산 중의 하나인 라이신은 1개의 카복실 그룹과 2개의 아미노그룹을 갖고 있으며, 각 그룹에 대한 pK는 각각 2.2, 9.0, 10.5 이다. 라이신의 pH는?

  1. 5.6
  2. 7.23
  3. 9.75
  4. 10.85
(정답률: 67%)
  • 라이신의 카복실 그룹은 pH가 2.2일 때 양이온 형태로 존재하고, pH가 10.5일 때 음이온 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pH가 9.75일 때는 중성 형태로 존재할 것이다.

    아미노그룹 중 하나는 pH가 9.0일 때 음이온 형태로 존재하고, 다른 하나는 pH가 2.2일 때 양이온 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pH가 9.75일 때는 두 아미노그룹 모두 양이온 형태로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라이신의 pH는 9.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1mol의 acetyl-CoA로부터 시작하여 TCA cycle을 도는 동안 3mol의 NADH + H+, 1mol의 FADH2, 1mol의 ATP가 생성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몇 mol의 ATP 생성에 기여하는 셈이 되는가?

  1. 1
  2. 5
  3. 12
  4. 13
(정답률: 86%)
  • TCA cycle에서 1mol의 acetyl-CoA로부터 3mol의 NADH + H+와 1mol의 FADH2가 생성된다. 이들은 호흡전체에 참여하여 ATP를 생성하는데 기여한다. NADH + H+는 3mol x 2.5 ATP/mol = 7.5 ATP를 생성하고, FADH2는 1mol x 1.5 ATP/mol = 1.5 ATP를 생성한다. 또한, TCA cycle에서 1mol의 ATP가 직접적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7.5 ATP + 1.5 ATP + 1 ATP = 10 ATP가 생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1mol의 acetyl-CoA를 생성하기 위해 세포 내부에서 2mol의 ATP가 소모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10 ATP - 2 ATP = 8 ATP가 생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답은 "8"이 아니라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세포내에서 발견되는 염색체와는 별개인 DNA분자로서 독립적인 복제 능력을 가지는 유전인자들의 집합체는?

  1. 클론(clone)
  2. 엑손(exon)
  3. 플라스미드(plasmid)
  4. 인트론(intron)
(정답률: 97%)
  • 플라스미드는 세포내에서 발견되는 염색체와는 별개인 DNA분자로서, 독립적인 복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플라스미드는 유전자 조작 연구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외부에서 DNA를 삽입하여 세포에 전달하거나, 유전자의 발현을 제어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플라스미드가 세포내에서 발견되는 염색체와는 별개인 DNA분자로서 독립적인 복제 능력을 가지는 유전인자들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의 기능은?

  1. DNA를 주형으로 하여 RNA 합성
  2. RNA를 주형으로 하여 DNA 합성
  3. RNA를 주형으로 하여 단백질 합성
  4. DNA를 주형으로 하여 단백질 합성
(정답률: 83%)
  • 역전사효소는 RNA를 주형으로 하여 DNA 합성을 수행합니다. 이는 역전사효소가 RNA를 역전사하여 DNA로 변환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DNA를 합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능은 바이러스나 일부 원생동물에서 발견되며, 이들이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하거나 호스트 세포의 유전자를 침입하여 복제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물질의 분자량을 확인 할 수 있는 Mass spectrometery는 fragmentation pattern으로 분자 구조 결정에 도움을 준다. 이온을 형성시키는데 사용하는 방법 중 전자와의 충돌로 일차 양이온 분자를 만들기 위해 메탄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1. Electron impact
  2. Chemical ionization
  3. Field ionization
  4. Atmospheric Pressure inonization
(정답률: 61%)
  • 메탄가스를 이용한 방법은 Chemical ionization이다. 이 방법은 전자와의 충돌로 일차 양이온 분자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메탄가스와의 충돌로 중성 분자를 이온화시켜 일차 양이온 분자를 생성한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큰 화합물의 이온화에 유용하며, 분자 내부의 결합 구조를 보존하면서도 충분한 이온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절대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게이지로 측정한 압력
  2. 게이지압과 대기압의 곱
  3. 게이지압과 대기압의 합
  4. 절대 온도와 압력과의 합
(정답률: 85%)
  • 절대압은 게이지압과 대기압의 합으로 정의됩니다. 게이지압은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된 압력이며, 대기압은 지표면에서의 기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절대압은 게이지압과 대기압을 더한 값으로, 지표면에서의 총 압력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물속의 이온물질을 분석하는 장치이며 분석 원리는 분리관의 분리 능력에 따라 원하고자 하는 물질을 분석하는 것으로 주로 질산성질소, 불소이온, 황산이온, 염소이온 등을 분석하는 기기는 무엇인가?

  1.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2. Gas Chromatography
  3. Ion Chromatography
  4.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photometry
(정답률: 91%)
  • 이 기기는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물속의 이온물질을 분리하고 각 이온물질의 양을 측정하여 분석하는데, 이를 Ion Chromatography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주로 이온성 물질을 분석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퓨린계 염기와 피리미딘계 염기로 또는 피리미딘계 염기가 퓨린계 염기로 바뀌는 것을 나타내는 돌연변이는?

  1. 염기전위(transition)
  2. 염기변위(transversion)
  3. 염기구조이동
  4. 염색체변이
(정답률: 87%)
  • 염기전위는 퓨린계 염기가 다른 퓨린계 염기로 또는 피리미딘계 염기가 다른 피리미딘계 염기로 바뀌는 것을 나타내고, 염기변위는 퓨린계 염기와 피리미딘계 염기로 또는 피리미딘계 염기가 퓨린계 염기로 바뀌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퓨린계 염기와 피리미딘계 염기 간의 변이를 나타내므로 염기변위(transversion)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