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9)

영사기능사
(2014-03-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일반

1. 디지털시네마(Digital Cinema)의 암호화 파일의 재생을 위해서는 인증된 서버 외에는 콘텐트 상영이 불가능하다.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재생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1. 포렌식 워터마킹(Forensic Watermarking)
  2. KDM(Key Delivery Message)
  3. 링크 인크립션(Rink Encryption)
  4. 콘텐츠 무결성 검사(Contents Integrity)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시네마의 암호화 파일은 인증된 서버에서만 재생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인증된 서버로부터 KDM(Key Delivery Message)을 받아야 한다. KDM은 콘텐츠의 재생을 허용하는 디지털 키로,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재생하기 위해서는 KDM이 필요하다. 따라서 KDM은 디지털시네마에서 콘텐츠 보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네트워크는 여러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중 전송 대상에 따른 분류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니캐스트(Unicast)
  2. 브로드캐스트(Brosdcast)
  3. 싱글캐스트(Singlecast)
  4. 애니캐스트(Anycast)
(정답률: 알수없음)
  • 싱글캐스트는 특정 대상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 대상에 따른 분류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다. 유니캐스트는 한 대상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브로드캐스트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대상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애니캐스트는 여러 대상 중 가장 가까운 대상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디지털시네마 영사기의 요구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트라스트는 최소 2,000 : 1 이어야 한다.
  2. 2K 해상도는 2048×1080을 지원하여야 한다.
  3. 4K 해상도는 4096×2160을 지원하여야 한다.
  4. 컬러 공간은 7bit X′ Y′ Z′를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컬러 공간은 7bit X′ Y′ Z′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은 옳지 않은 요구사항입니다. 디지털 시네마에서는 일반적으로 12bit 또는 16bit의 컬러 깊이를 사용하며, 이는 더 많은 색상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7bit X′ Y′ Z′는 일반적으로 CRT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컬러 공간으로, 디지털 시네마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디지털시네마의 DCP 배급 형태는 외장형 하드(HDD)를 사용한다. DCP를 지원하지 않는 외장형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은 무엇인가?

  1. Ext2
  2. Ext3
  3. NTFS
  4. HFS
(정답률: 알수없음)
  • DCP는 Mac OS X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인 H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DCP를 지원하지 않는 외장형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은 HFS 파일 시스템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HF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래의 그림에서 Ⓐ에 들어가는 것은?

  1. 서버
  2. TMS
  3. 영사기
  4. KDM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영화 상영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영화를 상영하기 위해서는 영화 파일을 서버에서 가져와야 합니다. 이때 TMS는 영화 정보를 관리하고, KDM은 디지털 저작물 보호를 위한 암호화된 키를 관리합니다. 따라서 영화를 상영하기 위해서는 서버, TMS, KDM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영화를 실제로 보여주는 것은 영사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영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3D Digital Progector Calibration을 하기 위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상영관과 영사실의 불필요한 조명은 끈다.
  2. 3D 시스템 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세부 사항 부분은 각 시스템 규정에 따른다.
  3. 3D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3D 안경을 통해서 측정한 밝기가 4.5 fL이 될 수 있도록 밝기를 조정한다.
  4. 3D 시스템과 3D 안경 없이 측정할 경우 14~18 fL이 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3D 시스템과 3D 안경 없이 측정할 경우 14~18 fL이 되어야 한다." 이다. 이유는 3D 디지털 프로젝터의 밝기는 2D 디지털 프로젝터와는 다르게 3D 안경을 통해 이미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밝기가 감소한다. 따라서 3D 시스템과 3D 안경 없이 측정할 경우, 2D 디지털 프로젝터와 같은 밝기 수준인 14~18 fL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1초에 24프레임(Frame)으로 영사하는 디지털시네마의 영상과 오디오가 1프레임(Frame) 싱크가 어긋났다면 몇 [ms](밀리세컨드)인가?

  1. 41
  2. 51
  3. 31
  4. 21
(정답률: 알수없음)
  • 1초에 24프레임으로 영사하는 경우, 1프레임당 걸리는 시간은 1/24초이다. 따라서 1프레임 싱크가 어긋났다면, 최대 1/24초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밀리세컨드(ms)로 환산하면 1/24초 × 1000(ms) = 41.666... ≈ 41(ms) 이므로 정답은 "4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디지털시네마의 화면비율 중 Scope는?

  1. 2048×1080
  2. 2048×858
  3. 3996×2160
  4. 1920×1080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시네마의 화면비율 중 Scope는 2.39:1 입니다. 이 비율은 넓은 화면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며, 2048×858의 해상도를 사용합니다. 이는 2.39:1 비율을 유지하면서 2K 해상도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비율과 해상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Platter System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편의 영화필름으로 여러대의 영사기에서 상영이 가능하다.
  2. 영화 상영 종료 후 다음 상영을 위한 필름 리와인드가 필요없다.
  3. Three-Deck 플래터를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4. 한편의 영화 상영을 위해 2대의 영사기가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편의 영화필름으로 여러대의 영사기에서 상영이 가능하다는 것은 Platter System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한편의 영화 상영을 위해 2대의 영사기가 필요하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latter System은 하나의 플래터에 여러 개의 필름을 감긴 후, 하나의 영사기로 상영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한편의 영화 상영을 위해서는 하나의 영사기만 있으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시네마스코프(2.35:1) 영화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애너모픽 렌지를 사용, 세로폭을 넓게 만든 영화나 스크린 방식이다.
  2. 일반적인 화면을 크게 하기 위하여 확장렌즈를 사용 하도록 만든 영사기이다.
  3. 애너모픽 렌즈를 사용해 촬영하여, 영사할 때 가로폭이 크게 되도록 만든 영화이다.
  4. 표준녹음방식을 개발, 채택한 회사의 상표명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애너모픽 렌즈를 사용해 촬영하여, 영사할 때 가로폭이 크게 되도록 만든 영화이다. 애너모픽 렌즈는 수평 각도를 넓게 촬영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렌즈로, 이를 사용하여 촬영한 영화는 가로폭이 넓어지게 되어 시네마스코프(2.35:1) 비율로 영화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디지털시네마의 스크린 표준 색온도는?

  1. 5,400 K(캘빈)
  2. 5,800 K(캘빈)
  3. 5,200 K(캘빈)
  4. 6,300 K(캘빈)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시네마의 스크린 표준 색온도는 "6,300 K(캘빈)"입니다. 이는 백색광의 색온도 중에서도 자연광에 가장 가까운 색온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색온도로 설정하면 영화를 보는 동안 자연스러운 색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극장 관리 시스템(TMS)의 요구사항으로 올바른 것은?

  1. 로컬 서버의 통합 관리
  2. JPEG2000 압축 해제
  3. Link Encryption (링크 인크립션)
  4. Anti Tamper (안티 템퍼)
(정답률: 알수없음)
  • 로컬 서버의 통합 관리는 여러 지점의 극장에서 사용되는 서버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올바른 요구사항이다. 다른 보기들은 TMS에서 필요한 기능이지만, 이들은 로컬 서버의 통합 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스크린 영상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SMPTE RP40 필름을 사용하여 스크린 이미지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35 : 1
  2. 1.66 : 1
  3. 1.85 : 1
  4. 1.33 : 1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33 : 1"입니다. SMPTE RP40 필름은 스크린 이미지의 비율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는데, 이 비율은 스크린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1.33 : 1"은 스크린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4:3으로, 일반적인 TV 모니터의 비율과 같습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영화는 넓은 스크린 비율을 사용하므로, "2.35 : 1", "1.66 : 1", "1.85 : 1"과 같은 비율이 더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빛이 횡파라는 것을 증명하는 현상은?

  1. 분산
  2. 회절
  3. 간섭
  4. 편광
(정답률: 알수없음)
  • 빛이 횡파라는 것을 증명하는 현상은 "편광"입니다. 편광은 빛의 진행 방향이나 진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 중 하나의 진폭이 다른 형태로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빛이 전자기파이며, 전자기파는 횡파와 종파로 나뉘는데, 편광은 횡파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아이맥스 3D의 상영방식으로 올바른 것은?

  1. 원형(Circular) 편광 방식
  2. 직선(Linear) 편광 방식
  3. 색분리(Color Split) 방식
  4. 셔터 글라스(Shutter Classes)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아이맥스 3D의 상영방식은 "직선(Linear) 편광 방식"입니다. 이는 왼쪽과 오른쪽 눈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직선적인 편광 필터를 적용하여 3D 효과를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렌즈 및 광원

16. 8비트(bit) 컬러와 12비트(bit) 컬러의 차이에 대하여 옳지 않은 것은?

  1. 8비트 컬러는 약 16,776,216의 컬러 표현이 가능하다.
  2. 12비트 컬러는 약 8,589,934,592의 컬러 표현이 가능하다.
  3. 비트가 많아질수록 컬러는 부드러운 계조(gradation)가 가능하다.
  4. 비트가 많아질수록 밝기는 어두워지며 채도가 감소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8비트 컬러는 약 16,776,216의 컬러 표현이 가능하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8비트 컬러는 256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는 256 x 256 x 256 = 16,777,216가지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비트가 많아질수록 밝기가 어두워지며 채도가 감소되는 이유는, 비트가 많아질수록 색상의 세분화가 더욱 미세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8비트 컬러에서는 0부터 255까지의 숫자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각 숫자는 1단계씩 색상의 변화를 나타낸다. 하지만 12비트 컬러에서는 0부터 4095까지의 숫자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각 숫자는 더욱 미세한 색상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로 인해 밝기와 채도가 감소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디지털시네마 서버에서 영사기까지 들어노는 영상의 신호를 128bit 암호화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Link Encryption (링크 인크립션)
  2. Link Decryption (링크 디크립션)
  3. KDM
  4. MXF
(정답률: 알수없음)
  • Link Encryption은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링크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영상 신호가 영사기까지 안전하게 전송될 수 있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Link Decryption은 그 반대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것을 말합니다. KDM은 디지털 영화 배급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권리 관리 도구이며, MXF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파일 형식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Link Encryption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스크린 게인이 높고 편광 방식의 3D 상영을 위해 사용되는 Screen은?

  1. 실버 스크린(Silver Screen)
  2. 매트 화이트 스크린(Matt White Screen)
  3. 펄룩스 스크린(Pearl Lux Screen)
  4. 화이트 스크린(White Screen)
(정답률: 알수없음)
  • 실버 스크린은 반사율이 높은 실버 코팅이 된 스크린으로, 스크린에 비춰진 빛을 더욱 밝고 선명하게 반사시켜 3D 영화를 더욱 선명하게 상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인터 스프로켓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필름을 올바른 경로로 인도하는 장치
  2. 필름에 간헐 운동을 시키는 장치
  3. 늘어진 필름이 바퀴에 감겨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장치
  4. 필름에 팽팽하게 장력을 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 스프로켓은 필름에 간헐 운동을 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는 필름이 올바른 위치에 있도록 유지하고, 영화 프로젝터에서 필름이 움직이는 속도를 조절하는 데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중앙에 있는 하나의 중앙 호스트 주위로 여러 호스트가 점대점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멀티 포인트 구조로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조이다.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버스 형(Bus Type)
  2. 링 형(Ring Type)
  3. 스타 형(Star Type)
  4. 트리 형(Tree Type)
(정답률: 알수없음)
  • 스타 형은 중앙에 있는 하나의 중앙 호스트를 중심으로 여러 호스트가 점대점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스타 형이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Cinema Device의 Panel Size(inch) 및 Pixel Pitch 크기(um)가 틀리게 연결된 것은?

  1. 0.98 inch DMD – 10.75um
  2. 1.25 inch DMD – 13.68um
  3. 1.38 inch DMD – 15.0um
  4. 1.55 inch DMD – 8.5um
(정답률: 알수없음)
  • Panel Size와 Pixel Pitch는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Panel Size가 커질수록 Pixel Pitch도 커집니다. 따라서, Panel Size가 가장 작은 "0.98 inch DMD – 10.75um"와 가장 큰 "1.55 inch DMD – 8.5um"는 연결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Panel Size가 1.38 inch이고 Pixel Pitch가 15.0um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Digital Projector에서 Xenon Lamp 3000W 모델 사용시에 안정적인 배기량은 얼마인가? (단, 배관은 200mm 사용 기준)

  1. 94 L/s – 200 CF/M
  2. 118 L/s – 250 CF/M
  3. 142 L/s – 300 CF/M
  4. 165 L/s – 350 CF/M
(정답률: 알수없음)
  • Xenon Lamp 3000W 모델은 매우 강력한 램프이므로, 이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배기량이 필요합니다. 이 모델에서 안정적인 배기량은 142 L/s – 300 CF/M 입니다. 이는 200mm의 배관을 사용할 때 적절한 배기량으로, 다른 보기들보다 높은 값입니다. 따라서 이 모델을 사용할 때는 142 L/s – 300 CF/M 이상의 배기량이 필요하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배관과 배기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이나믹 레인지의 정격 출력 레벨에서 왜곡되지 않는 최대 출력 레벨까지를 ( )이라고 한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1. 노이즈 플로어
  2. 헤드룸
  3. 클립
  4. 룸레벨
(정답률: 알수없음)
  • 헤드룸은 다이나믹 레인지의 정격 출력 레벨에서 왜곡되지 않는 최대 출력 레벨까지의 여유 공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신호가 최대치에 도달해도 왜곡되지 않고 정확하게 재생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헤드룸이 충분하지 않으면 신호가 클리핑되어 왜곡이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극장 내부에서는 환기 장치나 에어컨, 히터, 영사실 소음에 의해 기본적인 소음원이 항상 존재하게 되어 있다. 이때 만족해야 하는 소음과 차음의 기준으로 알맞은 것은?

  1. NC-15, STC-50
  2. NC-20, STC-55
  3. NC-25, STC-60
  4. NC-30, STC-65
(정답률: 알수없음)
  • 극장 내부에서는 대체로 NC-30, STC-65 이상의 소음과 차음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NC는 Noise Criteria의 약자로 소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STC는 Sound Transmission Class의 약자로 차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NC-30은 일반적인 대화 소리 수준과 비슷한 소음을 나타내며, STC-65는 대부분의 소리를 차단할 수 있는 수준이다. 따라서 극장 내부에서는 이러한 기준을 만족해야 고객들이 편안한 상태에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파워 앰프 시스템에서 순간적으로 낼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뜻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최대 출력
  2. 정격 출력
  3. 표준 레벨
  4. 헤드룸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출력은 파워 앰프 시스템에서 순간적으로 낼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뜻합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큰 소리를 내거나 큰 스피커를 사용할 때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계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최대 출력은 파워 앰프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초점거리가 10cm인 볼록렌즈와 초점거리가 15cm인 오목렌즈를 겹쳐 놓으면 초점거리와 렌즈형태는?

  1. 15cm, 볼록렌즈
  2. 30cm, 볼록렌즈
  3. 15cm, 오목렌즈
  4. 30cm, 오목렌즈
(정답률: 알수없음)
  • 두 렌즈를 겹쳐 놓으면 각 렌즈의 초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빛이 볼록렌즈에서 집중되어 초점거리가 10cm이고, 그 집중된 빛이 오목렌즈에 들어가면 다시 퍼져서 초점거리가 15cm가 됩니다. 이렇게 두 렌즈를 겹쳐 놓으면 빛이 집중되는 거리가 더 멀어지므로 초점거리는 30cm이 되며, 볼록렌즈가 먼저 위치하므로 렌즈형태는 볼록렌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cm, 볼록렌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현재 영화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운드 포맷은 믹싱 스테이지와 상영관에서 ( )를 설정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이것은 저음과 고음역의 보정을 통하여 리얼리티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돌비 스테레오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1. W-Curve
  2. X-Curve
  3. Y-Curve
  4. Z-Curve
(정답률: 알수없음)
  • 현재 영화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운드 포맷은 믹싱 스테이지와 상영관에서 X-Curve를 설정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이것은 저음과 고음역의 보정을 통하여 리얼리티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돌비 스테레오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X-Curve는 상영관에서 사용하는 이퀄라이저의 하나로, 고음과 저음의 레벨을 조절하여 영화음향의 빈틈없는 전달을 돕는다. 이를 통해 영화음향의 몰입감과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서로 접속되어 있는 기기들 사이의 출력과 입력 임피던스를 같게 하여 신호 흐름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레벨 매칭
  2. 임피던스 매칭
  3. 주파수 매칭
  4. 진폭 매칭
(정답률: 알수없음)
  • 서로 접속되어 있는 기기들 사이의 출력과 입력 임피던스를 같게 맞추는 것을 임피던스 매칭이라고 합니다. 이는 신호의 흐름을 최대화하여 효율적인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레벨, 주파수, 진폭에 대한 매칭을 의미하며, 임피던스 매칭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AC-3(Audio Coding-3)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AC-3는 큰 소리와 변화가 심한 소리에는 적은 비트수를, 음량이 작고 변호가 적은 소리에는 많은 비트수를 할당하는 변동비트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2. 인간의 청각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1~5kHz 부근에는 많은 비트를, 그 이외의 잘 듣지 못하는 주파수 대역에는 적은 비트를 부여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압축을 실행한다.
  3. AC-3로 인코딩된 데이터의 전송률은 평균 13:1의 압축률을 가진다.
  4. AC-3는 영화 이외에도 디지털 위성방송, DVD, HDTV 등의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의 청각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1~5kHz 부근에는 많은 비트를, 그 이외의 잘 듣지 못하는 주파수 대역에는 적은 비트를 부여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압축을 실행한다."는 AC-3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다. AC-3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비트를 할당하는 변동비트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는 큰 소리와 변화가 심한 소리에는 적은 비트수를, 음량이 작고 변호가 적은 소리에는 많은 비트수를 할당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압축을 실행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좌우 스피커가 청취자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며, 이 때 두 스피커에서 동일한 음원이 같은 음량으로 재생되면 청취자는 음원의 위치를 센터 축 선상에 있는 것으로 인지하게 되는데 이를 허음상 이라고 한다. 이때 좌측 스피커가 우측에 비해 3dB 높다면 허음상은 어느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가?

  1. 레벨이 작은 우측
  2. 레벨이 큰 좌측
  3. 기존의 축에서 수직으로 이동한다.
  4. 이동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벨이 큰 좌측입니다. 왜냐하면 음량이 더 큰 좌측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더 강하게 들리기 때문에 청취자는 소리가 더 많이 들리는 쪽으로 허음상을 인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좌측 스피커가 우측에 비해 3dB 높다면 허음상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증폭기 및 녹음재생

31. 5.1 채널의 LFE가 뜻하는 것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Low Frequency Enhancement
  2. Low Frequency Extension
  3. Low Frequency Effects
  4. Low Frequency Equaliz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Low Frequency Equalization"

    해설: LFE는 Low Frequency Effects의 약자로, 저주파수 효과를 의미합니다. LFE 채널은 주로 영화나 음악에서 폭발, 지진, 폭풍 등의 저주파수 효과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LFE 채널은 저주파수 대역을 강화하거나 확장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Low Frequency Enhancement" 또는 "Low Frequency Extension"으로도 불립니다. "Low Frequency Equalization"은 LFE 채널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의 오디오 시스템 중에서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DOLBY CP750
  2. QSC DCP-300
  3. CROWN DSi-4000
  4. DATASAT AP2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CROWN DSi-4000은 오디오 프로세서가 아니라 파워 앰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오디오 프로세서로서, 사운드 시스템의 신호 처리 및 분배, 이퀄라이징, 레벨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CROWN DSi-4000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로는 알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세로 길이로 보았을 때 극장 스피커의 세팅 포인트로 알맞은 것은?

  1. 1/2
  2. 1/3
  3. 1/4
  4. 2/3
(정답률: 알수없음)
  • 극장 스크린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16:9이다. 따라서 세로 길이로 보았을 때 스크린의 2/3 지점이 시청자들에게 가장 적절한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극장 스피커의 세팅 포인트이다. 이는 스크린의 중앙에 위치하며, 시청자들이 앉는 좌석과의 거리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영화 상영 시 빛과 거리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빛의 세기는 거리에 비례한다.
  2. 빛의 세기는 거리 제곱에 비례한다.
  3. 빛의 세기는 거리에 반비례한다.
  4. 빛의 세기는 거리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빛의 세기는 거리 제곱에 반비례한다."입니다.

    빛은 일정한 에너지를 가진 입자나 파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빛의 세기는 단위 면적당 입자나 파동의 수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빛이 일정한 세기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의 입자나 파동이 일정한 면적에 분포되어 있어야 합니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빛이 분산되어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단위 면적당 입자나 파동의 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빛의 세기는 거리 제곱에 반비례하게 됩니다. 즉, 거리가 두 배가 되면 빛의 세기는 네 배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0진수 58을 2진수로 변환하면?

  1. 111010
  2. 111110
  3. 110011
  4. 111111
(정답률: 알수없음)
  • 58을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58을 2로 나눕니다. 나머지는 0, 몫은 29입니다.
    2. 29를 2로 나눕니다. 나머지는 1, 몫은 14입니다.
    3. 14를 2로 나눕니다. 나머지는 0, 몫은 7입니다.
    4. 7을 2로 나눕니다. 나머지는 1, 몫은 3입니다.
    5. 3을 2로 나눕니다. 나머지는 1, 몫은 1입니다.
    6. 1을 2로 나눕니다. 나머지는 1, 몫은 0입니다.

    나머지를 아래에서부터 위로 적으면 11101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10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DCP Packing시 지원되는 Sample rate, Sound Channel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16bit – 44.1kHz - Stereo
  2. 24bit – 48kHz - Stereo
  3. 16bit – 44.1kHz – 5.1ch
  4. 24bit – 48kHz – 9.1ch
(정답률: 알수없음)
  • DCP Packing은 디지털 시네마 프로젝터에서 사용되는 포맷으로, 일반적으로 24bit – 48kHz - Stereo 샘플링 레이트와 사운드 채널이 연결되어야 합니다. 이는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양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샘플링 레이트나 사운드 채널을 사용하면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압증폭도가 1000배이면 몇 [dB]인가?

  1. 10dB
  2. 20dB
  3. 40dB
  4. 60dB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증폭도가 1000배이면 20log(1000) = 60dB 이다. 이는 전압이 1000배 증폭되면 파워는 1000의 제곱인 1,000,000배 증폭되기 때문에 10log(1,000,000) = 60dB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dB"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상영관 내 서라운드 채널(LS, RS) 스피커의 음압이 각각 82, 82[dB] 일 때 두 음압의 합으로 알맞은 것은?

  1. 약 79[dB]
  2. 약 82[dB]
  3. 약 85[dB]
  4. 약 88[dB]
(정답률: 알수없음)
  • 서라운드 채널(LS, RS) 스피커는 좌우로 나뉘어져 있으므로, 두 스피커의 음압은 독립적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두 음압의 합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20log(10^(82/20) + 10^(82/20)) = 20log(1.995) ≈ 20log(2) = 6[dB]

    즉, 두 음압의 합은 약 6[dB] 증폭됩니다. 따라서, 두 음압의 합은 약 85[dB]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컨슈머 레벨이라고도 하며 기준 전압이 1[V]인 단위에 316[mV]를 입력하였을 때의 레벨로 알맞은 것은?

  1. 약 0 [dBu]
  2. 약 -10 [dBu]
  3. 약 0 [dBv]
  4. 약 -10 [dBv]
(정답률: 알수없음)
  • 컨슈머 레벨은 전압을 나타내는 단위로, 기준 전압이 1[V]이다. 따라서 316[mV]를 입력하면 316[mV] / 1[V] = 0.316[V]가 되고, 이를 dBv로 변환하면 20log(0.316) ≈ -10[dB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10[dB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파수가 50[Hz]인 교류파형의 주기는?

  1. 10[ms]
  2. 20[ms]
  3. 40[ms]
  4. 50[ms]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는 한 주기당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주파수는 1초당 발생하는 주기의 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50[Hz]인 경우, 1초당 50번의 주기가 발생합니다. 이는 한 주기당 1/50초, 즉 20[ms]가 걸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사인파 교류에 있어서 최대값은 실효값의 몇 배인가?

  1. √3 배
  2. √2 배
  3. 2 배
  4. 2/π 배
(정답률: 알수없음)
  • 사인파의 최대값은 진폭(amplitude)이다. 하지만 교류에서는 진폭이 아닌 실효값(rms value)이 중요하다. 실효값은 진폭의 제곱의 평균값의 제곱근이다.

    사인파의 진폭이 A일 때, 실효값은 A/√2이다. 따라서 최대값은 실효값의 √2배이다.

    즉, 최대값 = 진폭 = A, 실효값 = A/√2 이므로 최대값은 실효값의 √2배이다. 따라서 정답은 "√2 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전류계의 측정 범위를 넓히기 위해 전류계와 병렬로 접속하는 저항기는?

  1. 분류기
  2. 배율기
  3. 변압기
  4. 변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계와 병렬로 접속하는 저항기는 분류기입니다. 분류기는 전류계의 측정 범위를 넓히기 위해 사용되며, 전류계와 병렬로 접속되어 전류를 일정 비율로 분할하여 전류계가 측정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주파수가 60[Hz]인 우리나라 상용전원의 주기는 몇 [ms] 인가?

  1. 16.7 [ms]
  2. 33.4 [ms]
  3. 60 [ms]
  4. 87.6 [ms]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는 주파수의 역수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60[Hz]의 주기는 1/60초 또는 0.0167초입니다. 이를 밀리초로 변환하면 16.7[m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6.7[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의 수평편향판에 가하는 전압의 파형은?

  1. 신호파
  2. 사인파
  3. 톱니파
  4. 펄스파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편향판에 가하는 전압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이며, 이는 일정한 주기로 변화하는 톱니 모양의 파형을 가집니다. 이는 수평축에 대한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며, 톱니파 형태로 나타나는 이유는 수평편향판에 가해지는 전압이 일정한 주기로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톱니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회로에서 R1 = 10[Ω], R2 = 20[Ω], R3 = 30[Ω], R4 = 40[Ω], R5 = 50[Ω] 일 때 합성 저항 RT는 얼마인가?

  1. 120[Ω]
  2. 130[Ω]
  3. 140[Ω]
  4. 150[Ω]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병렬 저항과 직렬 저항이 섞여 있는 복합 회로이다. 따라서 각 부분을 계산하여 전체 저항을 구해야 한다.

    먼저 R1과 R2는 병렬 저항으로 계산할 수 있다.

    1/R1 + 1/R2 = 1/10 + 1/20 = 3/20

    R1과 R2의 병렬 저항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12 = 1 / (1/R1 + 1/R2) = 20/3 [Ω]

    다음으로 R3과 R4는 직렬 저항으로 계산할 수 있다.

    R34 = R3 + R4 = 30 + 40 = 70 [Ω]

    이제 R12과 R5는 병렬 저항으로 계산할 수 있다.

    1/R12 + 1/R5 = 1/(20/3) + 1/50 = 17/300

    R12과 R5의 병렬 저항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125 = 1 / (1/R12 + 1/R5) = 150 [Ω]

    따라서 합성 저항 RT는 150[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영사기와 필름의 구조원리

46.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의 단위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VA], [W], [Var]
  2. [W], [VA], [Var]
  3. [W], [Var], [VA]
  4. [VA], [Var], [W]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A], [W], [Var]" 입니다.

    피상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내며, 단위는 VA (볼트암페어) 입니다. 유효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에 cosθ (cosine of angle between voltage and current)를 곱한 값으로 나타내며, 단위는 W (와트) 입니다. 무효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에 sinθ (sine of angle between voltage and current)를 곱한 값으로 나타내며, 단위는 Var (볼트암페리안) 입니다. 따라서, 피상전력은 VA, 유효전력은 W, 무효전력은 Var의 단위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동기발전기의 난조를 방지하려면 자극면에 유도전동기의 농형 권선과 같은 단락도체를 설치하는데, 이 권선의 명칭은?

  1. 계자권선
  2. 동기권선
  3. 단락권선
  4. 제동권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제동권선은 유도전동기의 자극면에 설치되는 단락도체로, 동기발전기의 난조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유도전동기에서 발생하는 역전류를 차단하여 동기발전기의 회전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제동권선이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에서 8[Ω]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몇 [V] 인가?

  1. 2
  2. 4
  3. 8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압은 전체 전압과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전압인 24[V]에서 16[Ω]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 12[V]를 뺀 나머지 전압이 8[Ω]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됩니다. 즉, 24[V] - 12[V] = 12[V]가 되고, 이를 다시 8[Ω]로 나누면 1.5[A]가 됩니다. 따라서, 8[Ω]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1.5[A] x 8[Ω] = 12[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기를 한쪽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부품의 명칭은?

  1. 저항
  2. 콘덴서
  3. 트랜지스터
  4. 다이오드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반도체 부품입니다. 이는 다이오드 내부에 있는 P-N 접합이라는 구조로 인해 가능합니다. P-N 접합은 양극성과 음극성을 가진 두 개의 반도체 소재가 만나는 부분으로, 양쪽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지만, 한쪽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막아줍니다. 따라서 다이오드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전기회로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피크 팩터는 피크값/실효값으로 시스템의 다이나믹레인지를 결정할 때 사용한다. 핑크 노이즈의 피크 팩터는 얼마인가?

  1. 3 dB
  2. 6 dB
  3. 12 dB
  4. 25 dB
(정답률: 알수없음)
  • 핑크 노이즈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같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피크값과 실효값이 같아진다. 따라서 피크 팩터는 1이 되며, 1에 해당하는 데시벨 값인 0 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 dB"가 아닌 "0 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도체에 3초동안 5[A]의 전류가 흘렀다면 전하는 몇 [C] 인가?

  1. 10 [C]
  2. 15 [C]
  3. 20 [C]
  4. 25 [C]
(정답률: 알수없음)
  • 전하량은 전류와 시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하량은 5[A] x 3[s] = 15[C]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8[Ω] 스피커의 양단장 50[V]가 측정 되었을 때 스피커의 출력은 몇 와트[W] 인가?

  1. 300
  2. 312.5
  3. 330
  4. 315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정보로는 스피커의 출력을 정확히 계산할 수 없습니다. 스피커의 출력은 스피커의 임피던스와 입력 전압 또는 전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피커의 임피던스가 주어지지 않은 이상 정확한 답을 도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회로에서 Vs = 15[V], R1 = 10[Ω], R2 = 20[Ω], R3 = 30[Ω], R4 = 40[Ω], R5 = 50[Ω] 일 때 전류 I는 얼마인가?

  1. 0.1[A]
  2. 0.2[A]
  3. 0.3[A]
  4. 0.4[A]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의 크기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한다는 오므로, 각 저항의 크기에 따라 전류의 분배가 일어난다. 이 회로에서는 R1과 R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두 저항의 등가저항을 구한 후 전체 회로에서의 전류를 구할 수 있다.

    R1과 R2의 등가저항은 다음과 같다.

    1/Req = 1/R1 + 1/R2 = 1/10 + 1/20 = 3/20

    Req = 20/3 [Ω]

    따라서, 전압이 15[V]이고 등가저항이 20/3[Ω]인 회로에서의 전류 I는 다음과 같다.

    I = Vs / Req = 15 / (20/3) = 0.225 [A]

    하지만, 이 전류는 R1과 R2에서만 흐르는 전류이므로, 이를 제외한 나머지 저항들에서의 전류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저항에서의 전압을 구하고, 오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전류를 구한다.

    R3에서의 전압은 다음과 같다.

    V3 = I x R3 = 0.225 x 30 = 6.75 [V]

    R4에서의 전압은 다음과 같다.

    V4 = I x R4 = 0.225 x 40 = 9 [V]

    R5에서의 전압은 다음과 같다.

    V5 = I x R5 = 0.225 x 50 = 11.25 [V]

    따라서, R3, R4, R5에서의 전류는 각각 다음과 같다.

    I3 = V3 / R3 = 6.75 / 30 = 0.225 [A]

    I4 = V4 / R4 = 9 / 40 = 0.225 [A]

    I5 = V5 / R5 = 11.25 / 50 = 0.225 [A]

    따라서, 전체 회로에서의 전류는 각 저항에서의 전류의 합과 같다.

    I = I1 + I2 + I3 + I4 + I5 = 0 + 0 + 0.225 + 0.225 + 0.225 = 0.9 [A]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소수점 첫째자리까지의 정확한 값이므로, 0.9를 10으로 나누어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인 0.1[A]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의 회로에서 a와 c사이의 합성저항은 몇 [Ω] 인가?

  1. 2
  2. 3
  3. 4
  4. 6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c 사이의 합성저항은 병렬저항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병렬저항의 경우, 저항값의 역수들의 합의 역수가 전체 저항값이 됩니다. 따라서 2Ω와 6Ω의 역수를 더한 후 다시 역수를 취한 값이 a와 c 사이의 합성저항이 됩니다.

    1/2 + 1/6 = 2/3

    따라서 a와 c 사이의 합성저항은 3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200[V], 25[A] 전열기가 소비하는 전력은 200[V], 40[W] 전구 몇 개가 소비하는 전력과 같은가?

  1. 20개
  2. 50개
  3. 100개
  4. 125개
(정답률: 알수없음)
  • 전열기의 소비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열기의 소비 전력은 200[V] × 25[A] = 5000[W] 입니다.

    한편, 전구의 소비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구의 전압은 200[V]와 같으므로, 전구의 소비 전력은 200[V] × 40[W] = 8000[W] 입니다.

    따라서, 전열기의 소비 전력과 전구 125개의 소비 전력이 같으려면, 전구 125개의 소비 전력은 5000[W]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하면, 전구 125개의 전류는 5000[W] ÷ 200[V] = 25[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주파수 60[Hz], 회전수 1800[rpm] 인 발전기의 극수는?

  1. 8
  2. 4
  3. 6
  4. 2
(정답률: 알수없음)
  • 발전기의 극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극수 = 120 x 주파수 / 회전수

    따라서, 주어진 발전기의 극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극수 = 120 x 60 / 1800 = 4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C]의 전기량이 두 점 사이을 이동하여 1[J]의 일을 할 때의 전위차를 1[V]라 한다. 전기량을 Q[C], 일의 양을 W[J]라 할 때 전위차 V[V]의 식은?

  1. V = W/Q
  2. V = Q/W
  3. V = Q·W
  4. V = Q2·W
(정답률: 알수없음)
  • 전위차는 일을 한 전기량에 대한 비율로 정의됩니다. 즉, 전위차 V[V]는 일 W[J]을 한 전기량 Q[C]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V = W/Q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10[Ω]인 저항의 컨덕턴스는?

  1. 0.01[Ω]
  2. 0.05[Ω]
  3. 0.1[Ω]
  4. 0.5[Ω]
(정답률: 알수없음)
  • 컨덕턴스는 전기 전도도의 역수이므로, 10[Ω]의 전기 전도도는 1/10 [S]입니다. 여기서 [S]는 시멘스(Siemens)의 단위로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1/10 [S]는 0.1[Ω]의 컨덕턴스를 가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0.1[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200[Ω]의 저항에 1.5[V]의 전압을 인가하면 몇 [mA]의 전류가 흐르겠는가?

  1. 7.5
  2. 8.5
  3. 133
  4. 300
(정답률: 알수없음)
  •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V = IR

    따라서,

    I = V/R

    주어진 문제에서,

    V = 1.5[V]
    R = 200[Ω]

    위의 식에 대입하면,

    I = 1.5[V] / 200[Ω]

    I = 0.0075[A]

    단위를 mA로 바꾸면,

    I = 7.5[mA]

    따라서, 정답은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스피커를 그림과 같이 연결하였을 경우 임피던스는 얼마인가?

  1. 4Ω
  2. 8Ω
  3. 16Ω
  4. 32Ω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피커를 병렬 연결하였으므로, 임피던스는 각 스피커의 임피던스를 역수의 합으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4Ω와 8Ω을 병렬 연결하면 1/4 + 1/8 = 3/8 이므로, 3Ω의 임피던스가 나오게 됩니다. 이어서, 3Ω과 16Ω을 병렬 연결하면 1/3 + 1/16 = 19/48 이므로, 48/19Ω의 임피던스가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는 16Ω이 유일한 선택지이므로, 정답은 16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