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가공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19)

기계가공기능장
(2015-07-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그림과 같이 실린더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로서 유량조절밸브를 실린더의 입구측에 설치한 회로는?

  1. 무부하 회로
  2. 미터 인 회로
  3. 블리드 오프 회로
  4. 미터 아웃 회로
(정답률: 78%)
  • 유량조절밸브를 실린더의 입구측에 설치한 것으로 보아,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실린더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유량계(meter)가 유량조절밸브 앞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량계를 통해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제어한다. 따라서 이 회로는 "미터 인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압축공기의 건조 작용에 쓰이는 흡수식 건조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흡수과정은 화학적 과정이다.
  2. 사용되는 건조제는 폴리에틸렌 등이 있다.
  3. 운전비용이 적게 들고, 효율이 높다.
  4. 외부 에너지 공급이 필요하지 않다.
(정답률: 60%)
  • 흡수식 건조기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건조제에 있는 수분을 흡수하는 화학적 과정을 이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건조제는 폴리에틸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흡수식 건조기는 외부 에너지 공급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운전비용이 적게 들고, 효율이 높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운전비용이 적게 들고, 효율이 높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유체의 흐름에는 층류와 난류가 있다. 어떤 경우에 난류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가?

  1. 점도가 낮고 유속이 클 때
  2. 점도가 낮고 유속이 작을 때
  3. 점도가 높고 유속이 클 때
  4. 점도가 높고 유속이 작을 때
(정답률: 66%)
  • 점도가 낮고 유속이 클 때는 유체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난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또한, 유속이 높을수록 유체 입자들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난류가 발생할 공간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점도가 낮고 유속이 클 때는 난류가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난연성 유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윤활성이 우수하다.
  2. 점도가 높다.
  3. 내화성이 우수하다.
  4. 사용온도 범위가 좁다.
(정답률: 68%)
  • 난연성 유압은 불이 붙어도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유압으로, 내화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높은 온도에서도 변형이나 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기압 실린더의 속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급속 배기 밸브 기호는?

(정답률: 72%)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급속 배기 밸브를 나타내는 기호로, 밸브가 열리면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빠르게 배출되어 속도를 상승시키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유형의 밸브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PLC에 사용되는 전원에 필요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정전압으로 오동작 방지
  2. 전원고장 대비를 위한 보호회로 불필요
  3. 입·출력전압과 내부구동 전압과의 절연유지
  4. 교류전원에서의 소음제거 및 외부소음에서의 오동작방지
(정답률: 80%)
  • 전원고장 대비를 위한 보호회로 불필요는 PLC에 사용되는 전원에 필요한 조건으로 틀린 것입니다. 이는 PLC가 전원 고장 시에도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보호회로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호회로는 전원 고장 시에도 PLC의 내부 회로를 보호하고, 안전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전원고장 대비를 위한 보호회로는 PLC에 사용되는 전원에 필요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제어 시스템 중 시관과는 관계없이 입력신호의 변화에 의해서만 제어가 행해지는 것은?

  1. 논리 제어계
  2. 동기 제어계
  3. 비동기 제어계
  4. 시퀀스 제어계
(정답률: 46%)
  • 비동기 제어계는 입력신호의 변화에 따라 제어가 행해지기 때문에, 시간적인 제약이 없고 시스템의 상태와는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관과는 관계없이 제어가 가능하며, 논리 제어계나 동기 제어계와는 달리 시간적인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동화시스템 보수유지관리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수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2. 기계의 내구연수가 짧아진다.
  3. 생산품의 품질이 균일해진다.
  4. 자동화시스템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한다.
(정답률: 83%)
  • 기계의 내구연수가 짧아진다는 것은 자동화 시스템이 기계를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부적절하게 관리하면서 기계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자동화시스템 보수유지관리의 장점이 아닌 단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공압 시스템의 고장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유압유의 변질
  2. 공압 밸브의 고장
  3. 수분으로 인한 고장
  4. 이물질로 인한 고장
(정답률: 82%)
  • 유압유의 변질은 공압 시스템이 아닌 유압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유압 시스템에서는 유압유가 사용되고, 공압 시스템에서는 압축공기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유압유의 변질은 공압 시스템의 고장원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초음파 센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위칭 주파수가 아주 높다.
  2. 다양한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3. 주위 영향이 적어 옥외 설치가 가능하다.
  4. 정확한 동작 위치를 선책 및 감지할 수 있다.
(정답률: 59%)
  • "스위칭 주파수가 아주 높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초음파 센서는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서 물체와의 반사파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밀링머신의 크기를 나타낼 때 테이블 좌우이송이 450mm, 새들 전후이송이 150mm, 니 상하이송이 300mm일 경우 밀링의 호칭번호는?

  1. No.0
  2. No.1
  3. No.2
  4. No.3
(정답률: 70%)
  • 밀링머신의 호칭번호는 테이블 좌우이송, 새들 전후이송, 니 상하이송 중에서 가장 작은 이송거리를 기준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50mm가 가장 작은 이송거리이므로, 호칭번호는 No.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3/8-16 UCN로 표시되어 있는 태핑을 위하여 드릴링 하려면 약 몇 mm 의 드릴이 적당한가? (단, 3/8-16 UNC의 피치는 1.5875mm이고, 암나사의 골지름은 9.525mm 이다.)

  1. 6
  2. 8
  3. 10
  4. 12
(정답률: 71%)
  • 3/8-16 UNC의 피치는 1.5875mm 이므로, 한 바퀴 회전할 때 나사가 1.5875mm 만큼 이동한다. 따라서, 나사가 완전히 들어가기 위해서는 약 1.5875mm의 공간이 필요하다.

    암나사의 골지름이 9.525mm 이므로, 나사가 들어갈 구멍의 지름은 9.525mm - 2 x 1.5875mm = 6.35mm 이다.

    따라서, 6.35mm의 드릴이 적당하다.

    정답은 "6"이 아니라 "8"인 이유는, 일반적으로 UNC 나사에 대한 드릴링 규격표에서 3/8 UNC에 대한 권장 드릴 사이즈는 8mm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슈퍼 피니싱 가공에서 숫돌의 운동은 초기가공에서 약 몇 mm 의 진폭으로 하는가?

  1. 0.5 ~ 1 mm
  2. 2 ~ 3 mm
  3. 5 ~ 10 mm
  4. 15 ~ 30 mm
(정답률: 72%)
  • 슈퍼 피니싱 가공에서는 매우 작은 진동으로 숫돌을 움직여 표면을 연마합니다. 이 작은 진동의 크기는 대략 2~3mm 정도이며, 이는 초기가공에서 사용되는 공구의 진동 크기보다 훨씬 작습니다. 따라서 슈퍼 피니싱 가공은 매우 정밀한 가공이 필요한 부품에 적합하며, 부드러운 표면을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절삭공구를 재연삭하거나 새로운 절삭공구로 교체하기 위한 절삭공구의 일반적 공구수명 판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절삭공구의 경사면과 여유면의 마모가 일정한 량에 도달할 때
  2. 절삭유의 온도가 일정온도에 달했을 때
  3. 공작물의 온도가 일정온도에 달했을 때
  4. 가공시 경작형 칩 형태에서 유동형 칩 형태로 변경되었을 때
(정답률: 84%)
  • 정답은 "절삭공구의 경사면과 여유면의 마모가 일정한 량에 도달할 때"입니다.

    절삭공구는 가공 작업을 수행하면서 마모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절삭공구의 경사면과 여유면의 마모가 일정한 량에 도달하면, 공구의 성능이 저하되어 가공 정확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절삭공구를 교체하거나 재연삭해야 합니다. 이러한 주기는 절삭공구의 종류와 가공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경사면과 여유면의 마모가 일정한 량에 도달할 때를 기준으로 판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연삭작업시 연삭과열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숫돌의 연삭깊이가 클 때
  2. 공작물의 열적성질이 클 때
  3. 숫돌의 원주속도가 클 때
  4. 건식연삭보다도 습식연삭일 때
(정답률: 82%)
  • 습식연삭은 냉각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연삭과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건식연삭은 냉각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연삭과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건식연삭보다도 습식연삭일 때"는 연삭과열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링머신은 주축이 수평형과 수직형이 있다. 이 중 수평형 보링머신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테이블(table)형
  2. 플로어(floor)형
  3. 크로스 레일(cross rail)형
  4. 플레이너(planer)형
(정답률: 74%)
  • 크로스 레일(cross rail)형 보링머신은 주축과 수직선이 교차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큰 작업물을 가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작업물을 가공하는 테이블(table)형, 플로어(floor)형, 플레이너(planer)형 보링머신과는 구조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배럴가공은 배럴이라는 상자 속에 공작물가 미디어(media), 콤파운드(compound)를 넣고 회전시켜 연마하는 가공이다. 다음 중 미디어와 콤파운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스케일 제거용의 산성 콤파운드에는 염산, 황산을 주로 사용한다.
  2. 미디어로 많이 사용하는 천연 재료는 규석, 규사, 화강암, 석회석이 있다.
  3. 콤파운드는 스케일 제거, 변색 방지, 방청, 윤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4. 미디어로 많이 사용하는 인조 재료는 초경합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괴상, 구상이 있다.
(정답률: 61%)
  • 정답은 "미디어로 많이 사용하는 인조 재료는 초경합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괴상, 구상이 있다." 이다.

    미디어로 많이 사용하는 인조 재료는 실리카, 알루미나, 금강석 등이다. 초경합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괴상, 구상은 콤파운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선반에서 노즈 반지름(nose radius)이 0.2mm인 바이트를 사용하여 Hmax=6.3μm의 이론적 표면거칠기를 얻으려면 이송(feed)을 약 얼마하여야 하는가?

  1. 0.1 mm/rev
  2. 0.2 mm/rev
  3. 0.3 mm/rev
  4. 0.4 mm/rev
(정답률: 50%)
  • 이론적 표면거칠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_a = (0.8 * f * R) / (1.6 + 0.4 * f)

    여기서, R_a는 이론적 표면거칠기, f는 이송, R은 노즈 반지름입니다.

    문제에서 R_a = 6.3μm, R = 0.2mm로 주어졌으므로, 위 식을 이용하여 f를 구할 수 있습니다.

    6.3 = (0.8 * f * 0.2) / (1.6 + 0.4 * f)

    식을 정리하면,

    f = 0.1 mm/rev

    따라서, 이송(feed)을 0.1 mm/rev로 설정해야 이론적 표면거칠기가 Hmax=6.3μ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숫돌의 결합제 중 유기질 결합제가 아닌 것은?

  1. 비트리파이드
  2. 셸락
  3. 고무
  4. 레지노이드
(정답률: 49%)
  • 비트리파이드는 무기질 결합제이며, 나머지 보기인 셸락, 고무, 레지노이드는 모두 유기질 결합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연삭하려는 부품의 형상으로 연삭숫돌의 모양을 만드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로딩
  2. 글레이징
  3. 트루잉
  4. 채터링
(정답률: 78%)
  • 연삭숫돌의 모양을 만드는 것을 트루잉이라고 합니다. 이는 연삭할 부품의 형상과 연삭숫돌의 모양을 일치시켜 부품을 정확하게 연삭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로딩은 연삭숫돌에 부품이 끼어서 생기는 문제, 글레이징은 연삭숫돌 표면이 매끄러워져 연삭능력이 떨어지는 문제, 채터링은 연삭숫돌과 부품 사이에서 생기는 진동으로 인해 부품 표면이 불규칙하게 연삭되는 문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공작물 중 비가공 부분을 감광성 내식피막으로 피복하는 가공법은?

  1. 화학연삭
  2. 화학절단
  3. 화학연마
  4. 화학블랭킹
(정답률: 72%)
  • 화학블랭킹은 비가공 부분을 감광성 내식피막으로 피복하는 가공법입니다. 이는 화학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부식작용을 일으켜 부식된 부분에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감광성 내식피막은 부식작용으로 인해 생성된 산화물이나 화학물질로 인해 부식을 방지하고 내식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가공 부분을 감광성 내식피막으로 피복하는 가공법은 화학블랭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으로 공구선반에서 릴리빙 장치를 이용하여 가공하지 않는 것은?

  1. 밀링커터
  2. 호브
  3. 바이트
(정답률: 72%)
  • 공구선반은 주로 회전하는 작업물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는데, 바이트는 회전하는 작업물을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드릴링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공구선반에서는 가공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바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밀링머시에서 절삭속도가 100m/min, 날 수가 10개, 지름이 100mm인 커터로 1날 당 이송을 0.4mm로 하여 공작물을 가공할 경우 테이블의 이송속도는 약 몇 mm/min인가?

  1. 1020
  2. 1273
  3. 1421
  4. 1635
(정답률: 74%)
  • 이송속도 = 절삭속도 × 이송량 × 날 수 ÷ (π × 지름)

    = 100 × 0.4 × 10 ÷ (π × 100)

    ≈ 1273

    따라서 정답은 "127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가공물의 재질에 따른 드릴의 날끝 각의 범위가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일반재료 : 118°
  2. 주철 : 90~118°
  3. 스테인리스강 : 60~70°
  4. 구리, 구리 합금 : 110~130°
(정답률: 84%)
  • 스테인리스강은 경도가 높고 강도가 강한 재질로, 드릴링 시에는 고온과 압력이 발생하여 날끝이 빠르게 마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날끝 각을 작게 가져가면 날이 더 오래 갈아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테인리스강의 경우에는 60~70°의 범위가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밀링가공에서 래크 절삭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1. 수평 밀링머신
  2. 수직 밀링머신
  3. 생산형 밀링머신
  4. 만능 밀링머신
(정답률: 76%)
  • 래크 절삭장치는 다양한 각도로 절삭이 가능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만능 밀링머신이 필요합니다. 수평 밀링머신과 수직 밀링머신은 회전 방향이 제한적이며, 생산형 밀링머신은 대량 생산에 적합한 머신으로 다양한 각도로 절삭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래크 절삭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만능 밀링머신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액체 호닝에서 분사기구의 노즐과 공작물 표면에 대한 효율적인 분사각도는?

  1. 20~30°
  2. 30~40°
  3. 40~50°
  4. 50~60°
(정답률: 57%)
  • 액체 호닝에서 분사기구의 노즐과 공작물 표면에 대한 효율적인 분사각도는 40~50°이다. 이는 분사각도가 너무 작으면 공작물 표면에 충분한 액체가 분사되지 않아 처리 효율이 떨어지고, 반대로 너무 크면 액체가 흩어져서 처리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40~50°가 적절한 분사각도로 판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 표면에 칠을 하고 변색되는 부분을 판단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베어링, 열기관 등의 표면온도 측정에 이용되는 절삭온도 측정방법은?

  1. 칼로리미터를 사용하는 방법
  2. 시온 도료에 의한 방법
  3. 복사 고온계에 의한 방법
  4. Pbs 광전지를 이용한 온도 측정
(정답률: 78%)
  • 시온 도료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물체 표면에 시온 도료를 칠하고, 그 색상의 변화를 측정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정확하며, 베어링, 열기관 등의 표면온도 측정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드릴파손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이송이 작아 절삭저항이 감소할 때
  2. 절삭 칩이 배출되지 못하고 가득 차 있을 때
  3. 드릴이 길게 고정되어 이송 중 휘어질 때
  4. 시닝(thinning)이 너무 큰 경우
(정답률: 78%)
  • 이송이 작아 절삭저항이 감소할 때가 드릴파손의 원인이 될 수 없는 이유는, 이송이 작아지면 절삭저항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드릴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송이 작아지면 드릴파손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대형이고 무거운 가공물이어서 가공물을 이동시키면서 가공하기 곤란할 때, 사용하기 적합한 드릴링 머신은?

  1. 직립 드릴링 머신
  2. 레이디얼 드릴링 머신
  3. 다축 드릴링 머신
  4. 다두 드릴링 머신
(정답률: 83%)
  • 레이디얼 드릴링 머신은 드릴링 헤드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직립 드릴링 머신과는 달리, 드릴링 헤드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가공물을 고정하고 가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형이고 무거운 가공물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가공이 가능하며, 가공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가공이 가능합니다. 이에 따라 대형 가공물을 가공할 때 적합한 드릴링 머신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선반의 가로 이송대에 8mm의 리드로서 원주를 100등분하여 만든 칼라 눈금의 핸들이 달려 있을 때, 지름 34mm의 둥근막대를 지름 30mm로 절삭하려면 핸들의 눈금을 몇 눈금 돌리면 되는가?

  1. 25
  2. 30
  3. 50
  4. 60
(정답률: 80%)
  • 둥근막대의 지름이 34mm이고 절삭 후 지름이 30mm가 되므로, 반지름은 2mm씩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지름이 4mm씩 줄어들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00등분한 눈금에서 4등분한 25번째 눈금에서 절삭하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연삭작업에서 숫돌 결합제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입자 간에는 기공없이 치밀해야 한다.
  2. 결합력의 조절범위가 넓어야 한다.
  3. 성형성이 좋아야 한다.
  4. 열에 잘 견뎌야 한다.
(정답률: 76%)
  • "입자 간에는 기공없이 치밀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며, 이유는 연삭작업에서는 결합제 내부에 기공이 존재해야만 연삭된 부분이 결합제 내부로 들어가서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결합제 내부에 기공이 존재해야 하며, 이는 결합력의 조절범위가 넓어야 하고 성형성이 좋아야 하며 열에 잘 견뎌야 한다는 조건들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기어의 다듬지 가공시 호브의 이송을 가장 크게 할 수 있는 재료는?

  1. 공구강
  2. 경강
  3. 연강
  4. 주철
(정답률: 63%)
  • 주철은 고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경도가 높아서 다듬지 가공시 호브의 이송을 가장 크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철이 기어의 다듬지 가공시 호브의 이송을 가장 크게 할 수 있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프레스용 금형재료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인성이 클 것
  2. 내마모성이 클 것
  3. 기계가공성이 좋을 것
  4. 열처리 시 치수변화가 많을 것
(정답률: 86%)
  • "열처리 시 치수변화가 많을 것"은 올바른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이유는 금형재료가 열처리되면 내부 구조가 변화하고 금속의 팽창 또는 수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금형 제작 시에는 열처리 전후의 치수 변화를 고려하여 적절한 보상치를 적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이캐스팅용 Al합금에 요구되는 성질로 틀린 것은?

  1. 유동성이 좋을 것
  2. 열간취성이 적을 것
  3. 금형에 대한 점착성이 좋을 것
  4. 응고수축에 대한 용탕 보급성이 좋을 것
(정답률: 70%)
  • 정답은 "열간취성이 적을 것"입니다.

    다이캐스팅은 금형 내부에서 금속 용융 상태에서 주입되는 공정으로, 금형에 대한 점착성이 좋을수록 용융 금속이 금형에 잘 붙어 표면 품질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유동성이 좋을수록 금형 내부로 용융 금속이 잘 흐르고, 응고수축에 대한 용탕 보급성이 좋을수록 금형 내부에서 용융 금속이 균일하게 응고되어 제품의 불량률이 낮아집니다. 반면, 열간취성이 적을수록 금형 내부에서 금속이 녹아내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표면 품질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탄성과 내마멸성, 내식성이 우수하여 스프링 재료로 가장 많이 쓰이는 청동합금은?

  1. Cu-Al계 청동
  2. Mn-Mg계 청동
  3. Cu-Si계 청동
  4. Cu-Sn-P계 청동
(정답률: 62%)
  • Cu-Sn-P계 청동은 탄성과 내마멸성, 내식성이 우수하며, 가공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스프링 재료로 가장 많이 쓰입니다. 또한, Cu-Sn-P계 청동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고온에서 사용되는 부품에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표점거리 50mm, 직경 ø14mm인 인장시편을 시험한 후 시편을 측정한 결과 길이는 늘어나고 직경은 ø12mm로 줄어들었다면, 이 재료의 단면수축율은 약 몇 % 인가?

  1. 13.5
  2. 20.5
  3. 26.5
  4. 36.1
(정답률: 50%)
  • 단면수축율은 (원래 직경-현재 직경)/원래 직경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4-12)/14 x 100 = 14.3%의 단면수축율이 나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길이도 늘어났다고 하였으므로, 표점거리 50mm에서 측정된 변위값을 이용하여 보정해주어야 합니다.

    만약 변위값이 2mm라면, 보정된 길이는 52mm가 됩니다.

    그리고 위에서 구한 단면수축율을 이용하여, (52-50)/50 x 100 - 14.3 = 26.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6.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Fe-C 상태도에서 조직과 결정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δ-Fe는 체심입방구조이다.
  2. 펄라이트(Pearlite)는 공석반응에서 얻을 수 있다.
  3. 시멘타이트(Cementite)는 육방정(Hexagonal)구조이다.
  4. 레데뷰라이트(Ledeburite)는 오스테나이트+시멘타이트의 혼합물이다.
(정답률: 58%)
  • 시멘타이트는 육방정 구조가 아니라 철과 탄소로 이루어진 Fe3C 화합물로서, 철과 탄소 원자가 교차하는 직사각형 격자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멘타이트는 육방정(Hexagonal)구조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주철이 고온에서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면 부피가 커져서 주철의 치수가 달라지고 강도나 수명이 감소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주철의 성장
  2. 주철의 청열취성
  3. 주철의 자연 시효
  4. 주철의 적열취성
(정답률: 66%)
  • 주철이 고온에서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면 주철 내부의 결정 구조가 변화하게 되어 결정의 크기가 커지고, 이로 인해 주철의 부피가 커져서 치수가 달라지는 현상을 주철의 성장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성장은 강도나 수명을 감소시키므로, 주철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탄소강의 연화 및 내부응력제거를 목적으로 적당한 온도까지 가열하고 그 온도를 어느 정도 유지한 다음 서서히 냉각시키는 열처리 방법은?

  1. 불림
  2. 풀림
  3. 담금질
  4. 뜨임
(정답률: 76%)
  • 정답은 "풀림"입니다.

    탄소강의 연화 및 내부응력제거를 위해서는 고온에서 가열한 후 서서히 냉각시켜야 합니다. 이때, 고온에서 가열한 후 그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불림"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내부응력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오히려 새로운 응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탄소강의 연화 및 내부응력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열처리 방법은 "풀림"입니다. 이 방법은 고온에서 가열한 후, 그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한 다음 서서히 냉각시키는 것으로, 내부응력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표면거칠기 측정이 요구되는 주요 대상이 아닌 것은?

  1. 접착력 향상이 요구되는 부분
  2. 내식성 향상이 요구되는 부분
  3. 내면상태 향상이 요구되는 부분
  4. 기구적인 기능 향상이 요구되는 부분
(정답률: 44%)
  • 표면거칠기 측정은 주로 접착력과 마찰력 등의 표면 특성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측정 방법입니다. 따라서 내면상태 향상이 요구되는 부분은 표면거칠기 측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내면상태 향상이란, 제품 내부의 구조나 성질을 개선하여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내열성이나 내구성 등의 물성 개선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내면상태 개선은 제품의 외부 표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표면거칠기 측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참값이 1.732mm인 부품을 측정하였더니 1.7mm였다. 오차율은 약 몇 % 인가?

  1. 0.1
  2. 0.2
  3. 1
  4. 2
(정답률: 49%)
  • 오차율은 (실제값-측정값)/실제값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732-1.7)/1.732 x 100 = 1.83% 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나사의 정밀도에 대한 주요 점검대상이 아닌 것은?

  1. 피치
  2. 리드각
  3. 유효지름
  4. 산의 반각
(정답률: 54%)
  • 리드각은 나사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주요 점검대상이 아닙니다. 피치는 나사의 간격을 나타내는 요소이고, 유효지름은 나사의 지름을 나타내는 요소입니다. 산의 반각은 나사의 각도를 나타내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나사산의 각도 측정에 사용하는 측정기는?

  1. 투영기
  2. 틈새 게이지
  3. 와이어 게이지
  4. 나사 피치 게이지
(정답률: 73%)
  • 투영기는 나사산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 이는 나사산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해 나사산에 대한 빛을 투사하여 그림자를 만들고, 그림자의 모양을 측정하여 각도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투영기가 나사산의 각도 측정에 사용되는 이유는 이러한 작동 원리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어 호브(gear hob)의 측정요소가 아닌 것은?

  1. 외경의 떨림
  2. 웨브(web)의 두께
  3. 호브의 분할 오차
  4. 보스(boss)의 외경 및 측면의 떨림
(정답률: 68%)
  • 기어 호브의 측정요소는 외경의 떨림, 호브의 분할 오차, 보스의 외경 및 측면의 떨림입니다. 그러나 웨브의 두께는 기어 호브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측정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치공구 설계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2. 작업공정을 늘리기 위해
  3.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4. 제품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정답률: 90%)
  • 치공구 설계의 목적은 작업공정을 늘리기 위해 거리가 먼 것을 선택합니다. 이는 생산성을 높이고 제품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상자형 지그(box ji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칩 배출이 용이하다.
  2. 견고하게 클램핑 할 수 있다.
  3. 지그 제작비가 비교적 많이 든다.
  4. 지그를 회전시켜 여러면에서 가공할 수 있다.
(정답률: 57%)
  • "지그 제작비가 비교적 많이 든다."가 틀린 것입니다.

    상자형 지그는 작업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가공할 수 있는 장비로,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고 회전시켜 여러면에서 가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칩 배출이 용이한 이유는 상자형 지그의 밑면에 구멍이 뚫려 있어, 가공 중 발생하는 칩이 쉽게 배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중심 결정에 이용되는 V블록에 있어서 120° V블록과 비교하여 60° V블록이 가지는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작물의 수직 중심선이 쉽게 위치 결정된다.
  2. 공작물의 수평 중심선의 위치 결정이 다소 힘들다.
  3. 위치 결정점 간격이 넓어 기하학적 관리가 양호하다.
  4. 가까운 위치결정구 상에 공작물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더욱 큰 고정력이 요구된다.
(정답률: 51%)
  • 위치 결정에 이용되는 V블록은 각도에 따라 고정력과 위치 결정의 정확도가 달라집니다. 60° V블록은 고정력은 높지만 수평 중심선의 위치 결정이 어렵고, 120° V블록은 수평 중심선의 위치 결정이 쉽지만 고정력이 낮습니다. 따라서 60° V블록은 가까운 위치 결정구 상에 공작물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더욱 큰 고정력이 요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작은 하중이 걸리는 작업은 주로 스프링에 의한 링크에 의해 작동되며 4가지(하향 잠김형, 압착형, 당기기형, 직선이동형) 기본적인 클램핑 작용으로 되어 있는 클램프는?

  1. 캠(cam) 클램프
  2. 토글(toggle) 클램프
  3. 스트랩(strap) 클램프
  4. 쐐기(wedge) 클램프
(정답률: 71%)
  • 토글 클램프는 작은 하중이 걸리는 작업에서 사용되며, 클램핑 작용이 하나의 토글 레버에 의해 작동됩니다. 이는 다른 클램프와 달리 복잡한 조작이 필요하지 않으며, 빠르고 쉽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은 작업에 적합하며, 토글 레버를 누르면 클램핑 작용이 발생하고, 다시 누르면 해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치공구용 게이지에 있어서 한계게이지(limit gauge)의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합부 판정이 쉽다.
  2. 검사하기가 편하고 합리적이다.
  3. 타 제품에 공용하여 사용하기 쉽다.
  4. 취급이 단순하여 미숙련공도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76%)
  • 한계게이지는 각각의 제품에 맞게 제작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타 제품에 공용하여 사용하기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타 제품에 공용하여 사용하기 쉽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고급의 모델링 기법으로 공학적인 해석을 할 때 사용되며 여러 물맂거 성질(부피, 무게중심, 관성모멘트 등)이 제공되는 모델링은?

  1. 솔리드 모델링
  2. 서피스 모델링
  3. 투시도 모델링
  4. 와이어프레임 모델링
(정답률: 85%)
  • 솔리드 모델링은 3차원 공간에서 물체의 내부와 외부를 모두 포함하는 실체 모델링 기법으로, 공학적인 해석에 적합합니다. 부피, 무게중심, 관성모멘트 등 물체의 다양한 물리적 성질을 제공하며, 디자인과 제조 과정에서의 충돌 검사, 조립 시뮬레이션 등에도 활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솔리드 모델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CNC선반의 공구기능(T기능)에서 아래와 같은 지령 중 “07” 부분의 지령이 “00”으로 명령되었을 때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03번 공구의 보정을 취소한다.
  2. 보정기억장치의 00번을 불러 기억된 양만큼 보정한다.
  3. 보정기억장치의 03번을 불러 기억된 양만큼 보정한다.
  4. 공구 03번의 선택에 의해 공구대가 회전하여 절삭가공준비를 한다.
(정답률: 77%)
  • T기능 중 "07"은 보정 기능을 나타내며, "00"으로 명령되면 보정 기능이 해제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명령은 보정 기능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03번 공구의 보정을 취소한다는 것은 보정된 값을 초기화하여 보정을 적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정기억장치의 03번을 불러 기억된 양만큼 보정한다는 보기는 옳지 않다. 공구 03번의 선택에 의해 공구대가 회전하여 절삭가공준비를 한다는 보기도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03번 공구의 보정을 취소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아래 그림과 같이 X, Y, Z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공간상에서 하나의 점을 표시할 때 각축에 대한 X, Y, Z에 대응하는 좌표값으로 표시하는 좌표계는?

  1. 극 좌표계
  2. 직교 좌표계
  3. 원통 좌표계
  4. 구면 좌표계
(정답률: 66%)
  • 이 좌표계는 각 축이 서로 직각인 직교 좌표계입니다. X, Y, Z 축은 서로 수직이며, 각 축에 대응하는 좌표값으로 점을 표시합니다. 따라서 이 좌표계는 직교 좌표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머시닝 센터 프로그램 작업 시 한 블록 내에서 아래와 같이 같은 내용의 워드를 두 개 이상 지령하면 어떻게 실행이 되는가?

  1. M08과 M09가 모두 실행된다.
  2. M08과 M09가 모두 무시된다.
  3. M08은 무시되고 M09가 실행된다.
  4. M08은 실행되고 M09는 무시된다.
(정답률: 79%)
  • 한 블록 내에서 같은 내용의 워드를 두 개 이상 지령하면, 머시닝 센터는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워드를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M08은 무시되고 M09가 실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CA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곡면을 가공할 때 곡면가공법이 아닌 것은?

  1. 잔삭가공
  2. 연삭가공
  3. 포켓가공
  4. 2D 윤곽가공
(정답률: 65%)
  • CAM 소프트웨어는 3차원 곡면을 가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그 중에서도 연삭가공은 2차원적인 가공 방법으로, 회전하는 연삭 도구를 이용하여 평면 상에서 곡면을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곡면을 가공하는 방법 중에서는 연삭가공이 아닌 다른 방법들이 모두 곡면가공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로트에서 랜덤하게 시료를 추출하여 검사한 후 그 결과에 따라 로트의 합격, 불합격을 판정하는 검사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자주검사
  2. 간접검사
  3. 전수검사
  4. 샘플링검사
(정답률: 90%)
  • 로트에서 랜덤하게 추출된 시료를 검사하여 전체 로트의 품질을 추정하는 검사 방법을 샘플링검사라고 합니다. 이는 전체 로트를 모두 검사하는 전수검사에 비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랜덤하게 추출된 시료가 전체 로트를 대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검사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샘플링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TPM 활동 체제 구축을 위한 5가지 기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비초기관리체계 구축 활동
  2. 설비효율하의 개별개선 활동
  3. 운전과 보전의 스킬 업 훈련 활동
  4. 설비경제성검토를 위한 설비투자분석 활동
(정답률: 61%)
  • TPM 활동 체제 구축을 위한 5가지 기둥은 설비초기관리체계 구축 활동, 설비효율하의 개별개선 활동, 운전과 보전의 스킬 업 훈련 활동, 설비경제성검토를 위한 설비투자분석 활동, 그리고 TPM 활동의 전개 및 확산 활동입니다. 이 중에서 설비경제성검토를 위한 설비투자분석 활동은 TPM 활동의 핵심이 아니며, TPM 활동의 목적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 활동은 설비의 경제성을 검토하고 투자 분석을 수행하는 것으로, TPM 활동의 다른 기둥들과는 조금 더 경영적인 측면에서 연관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도수분포표에서 알 수 있는 정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로트 분포의 모양
  2. 100단위당 부적합 수
  3. 로트의 평균 및 표준편차
  4. 규격과의 비교를 통한 부적함품률의 추정
(정답률: 55%)
  • 도수분포표에서 가장 거리가 먼 정보는 "100단위당 부적합 수"입니다. 이는 규격에 맞지 않는 제품의 수를 100단위로 나눈 값으로, 제품의 품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다른 정보들은 로트 분포의 모양, 로트의 평균 및 표준편차, 부적함품률의 추정 등으로 제품의 품질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부적합 수는 직접적으로 제품의 불량률을 나타내므로 가장 중요한 정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전거를 셀 방식으로 생산하는 공장에서, 자전거 1대당 소요공수가 14.5H 이며, 1일 8H, 월 25일 작업을 한다면 작업자 1명 당 월 생산 가능 대수는 몇 대인가? (단, 작업자의 생산종합효율은 80% 이다.)

  1. 10대
  2. 11대
  3. 13대
  4. 14대
(정답률: 59%)
  • 1일 소요공수는 8H 이므로, 1달 소요공수는 8H x 25일 = 200H 입니다.
    작업자 1명이 1달에 생산할 수 있는 자전거 대수는 200H ÷ 14.5H/대 = 13.79대 입니다.
    하지만 작업자의 생산종합효율이 80% 이므로, 실제 생산 가능 대수는 13.79대 x 0.8 = 11.03대 입니다.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 생산 가능 대수는 11대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ASME(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에서 정의되고 있는 제품공정 분석표에 사용되는 기호 중 “저장(Storage)”을 표현한 것은?

(정답률: 77%)
  • 저장을 표현하는 기호는 "□"입니다. 따라서 정답이 "▽"인 이유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미리 정해진 일정단위 중에 포함된 부적합수에 의거 하여 공정을 관리할 때 사용되는 관리도는?

  1. c 관리도
  2. P 관리도
  3. X 관리도
  4. nP 관리도
(정답률: 57%)
  • c 관리도는 불량품의 수를 관리하는 관리도로, 불량품의 수가 일정한 시간 단위나 생산량 단위로 집계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불량품의 수가 일정한 시간 단위나 생산량 단위로 집계되는 경우에 적합한 관리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