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8-26)

사회조사분석사 2급
(2012-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사방법론 I

1. 다음 중 일반적으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확보 할 수 있는 조사 방법은?

  1. 우편설문법
  2. 직접면접법
  3. 전화설문법
  4. 전자서베이
(정답률: 80%)
  • 직접면접법은 응답자와 직접 대면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응답자의 신뢰도를 높이고 설문조사의 목적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 응답률이 높은 방법입니다. 또한 응답자의 의견을 자세히 들을 수 있어 설문조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확보할 수 있는 조사 방법은 직접면접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우편조사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면접자로 인한 편향이 적다.
  2. 넓은 지역을 조사할 수 있다.
  3. 모호한 응답에 대해 확인할 수 없다.
  4. 조사대상이 아닌 사람의 응답을 통제하기 용이하다.
(정답률: 75%)
  • 조사대상이 아닌 사람의 응답을 통제하기 용이하다는 것은, 우편조사에서는 조사 대상자가 직접 응답을 작성하므로 외부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조작이나 편향이 적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연구방법으로서의 연역적 접근법과 귀납적 접근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역적 접근법을 취하려면, 기존 이론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2. 귀납적 접근법은 현실세계에 대한 관찰을 통해 경험적 일반화를 추구한다.
  3. 사회조사에서 연역적 접근법과 귀납적 접근법은 상호보완적으로 사용된다.
  4. 연역적 접근법은 탐색적 연구에, 귀납적 접근법은 가설검증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79%)
  • "연역적 접근법은 탐색적 연구에, 귀납적 접근법은 가설검증에 주로 사용된다."이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연역적 접근법은 기존 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이론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탐색적 연구에 주로 사용된다. 반면에 귀납적 접근법은 현실세계에 대한 관찰을 통해 경험적 일반화를 추구하는 방법으로, 가설검증에 주로 사용된다. 사회조사에서는 연역적 접근법과 귀납적 접근법이 상호보완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구 설계 및 착수가 용이하다.
  2. 연구의 설계과정에서 융통성이 높다.
  3. 직접 참여해서 현상을 관찰·기술하는 방법이다.
  4. 양적자료이기 때문에 대규모 모집단에 대한 기술이 쉽다.
(정답률: 79%)
  • "양적자료이기 때문에 대규모 모집단에 대한 기술이 쉽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참여관찰은 주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사용되며, 대규모 모집단에 대한 기술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질적연구에 관한 옳은 설명을 모두 짝지은 것은?

  1. A, B
  2. A, C
  3. B, C
  4. B, D
(정답률: 72%)
  • 질적연구는 주로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양적연구와는 달리 통계적 분석보다는 주관적인 해석과 이해를 중시한다. 따라서 B와 D는 모두 질적연구에 관한 옳은 설명이다. A와 C는 각각 양적연구와 혼합연구에 대한 설명이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과관계의 일반적인 성립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간의 선행성(temporal precedence)
  2. 공변관계(covariation)
  3. 비허위적 관계(lack of spuriousness)
  4. 연속변수(continuous variable)
(정답률: 63%)
  • 인과관계의 일반적인 성립조건은 시간의 선행성, 공변관계, 비허위적 관계이다. 이 중에서 연속변수는 인과관계의 성립조건이 아니라 변수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다. 연속변수란, 값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변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키나 몸무게와 같은 변수가 연속변수이다. 따라서, 연속변수는 인과관계의 성립조건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어떤 조사연구 결과의 일부분이다. 여기에 사용된 분석의 단위는?

  1. 개인
  2. 집단
  3. 조직
  4. 사회적 가공물
(정답률: 57%)
  • 이 분석의 단위는 "개인"이다. 이유는 조사 대상이 "개인"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개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석의 결과도 "개인"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것이다. "집단", "조직", "사회적 가공물"은 개인들의 집합체나 사회적 현상을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이 분석에서는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해결 가능한 연구문제가 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기존의 이론 체계와 관련이 있어야 한다.
  2. 연구현상이 실증적으로 검증 가능해야 한다.
  3. 연구문제가 관찰 가능한 현상과 밀접히 연결되어야 한다.
  4. 연구대상이 되는 현상에 대해 명확한 규정이 되어야 한다.
(정답률: 61%)
  • 연구문제가 기존의 이론 체계와 관련이 없다면, 해당 연구는 이론적인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이론적인 배경이 없는 연구는 결과가 나와도 의미가 없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구문제가 해결 가능하려면 기존의 이론 체계와 관련이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내용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개입적 연구이다.
  2. 표본추출은 하지 않는다.
  3. 코딩을 위해서는 개념화 및 조작화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4. 책을 내용 분석할 때, 분석단위는 페이지, 단락, 줄 등이 가능하다.
(정답률: 66%)
  • 정답은 "책을 내용 분석할 때, 분석단위는 페이지, 단락, 줄 등이 가능하다."이다.

    내용분석은 비개입적 연구로, 연구자가 직접 개입하지 않고 자료를 수집한다. 하지만 표본추출은 필요하다. 코딩을 위해서는 개념화 및 조작화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맞지만, 이것은 내용분석의 일반적인 특징이며, 표본추출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집단으로 하여금 특정한 주제에 대하여 자유롭게 토론하도록 한 다음, 토론 과정을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2. 응답자가 조사의 목적을 모르는 상태에서 다양한 심리적 의사소통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3. 조사자가 한 단어를 제시하고 응답자가 그 단어로부터 연상되는 단어들을 순서대로 나열하도록 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4. 응답자에게 이해하기 난해한 그림을 제시한 다음, 그 그림이 무엇을 묘사 하는지 물어 응답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84%)
  •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집단으로 하여금 특정한 주제에 대하여 자유롭게 토론하도록 한 다음, 토론 과정을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은 어떤 조사방법에 관한 설명인가?

  1. 심층면접법
  2. 표적집단 조사
  3. 사회지표 분석
  4. 델파이 기법
(정답률: 60%)
  • 위 그림은 델파이 기법의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여러 전문가들이 익명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이를 종합하여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전문가들의 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표준화 면접의 장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신뢰도가 높다.
  2. 타당도가 높다.
  3. 면접결과의 수치화가 용이하다.
  4. 정보의 비교가 용이하다.
(정답률: 57%)
  • "타당도가 높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닌 이유는, 표준화 면접은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면접결과의 타당도가 높아진다. 이는 면접이 일관성 있게 진행되어 비교적 공정한 평가가 가능하며, 면접결과를 수치화하여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타당도가 높다."는 표준화 면접의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두 개 이상의 구성개념 또는 변수간의 관계를 검정 가능한 형태로 서술한 문장으로써 과학적 조사에 의하여 검정이 가능한 사실을 말하는 것은?

  1. 패러다임(paradigm)
  2. 법(law)
  3. 가설(hypothesis)
  4. 이론(theory)
(정답률: 75%)
  • 가설은 두 개 이상의 구성개념 또는 변수간의 관계를 검정 가능한 형태로 서술한 문장으로써, 과학적 조사에 의하여 검증이 가능한 사실을 말합니다. 따라서, 가설은 과학적인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실험을 통해 검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조사결과의 일반화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 내적 타당도
  2. 외적 타당성
  3. 신뢰성
  4. 자료수집방법
(정답률: 60%)
  • 조사결과의 일반화는 외적 타당성과 가장 관련이 깊습니다. 외적 타당성은 조사결과가 실제 상황에서도 유효한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조사 대상이나 조사 방법 등이 실제 상황과 유사한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조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외적 타당성이 충분히 검증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설문지 작성에서 폐쇄형 질문과 비교한 개방형 질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방형 질문은 자료처리가 더 용이하다.
  2. 개방형 질문은 예비조사 시에 더 유용하다.
  3. 개방형 질문을 통해 생각하지 못한 의견을 더 얻을 수 있다.
  4. 개방형 질문은 무응답과 불성실한 응답이 나올 가능성이 더 많다.
(정답률: 78%)
  • 정답은 "개방형 질문은 무응답과 불성실한 응답이 나올 가능성이 더 많다."이다.

    개방형 질문은 폐쇄형 질문과 달리 응답자가 자유롭게 응답할 수 있는 형태의 질문이다. 따라서 응답자의 다양한 의견과 생각을 얻을 수 있으며, 예비조사 시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료처리가 더 용이하다는 이유는, 개방형 질문의 응답은 주관적이고 다양한 의견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분석과 해석이 더 어렵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통제집단 사전사후측정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의 핵심적 특징을 모두 짝지은 것은?

  1. A, B
  2. C, D
  3. A, B, C
  4. A, B, C, D
(정답률: 34%)
  • 통제집단 사전사후측정설계는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각각 사전 측정을 한 후, 실험군에만 처리를 가한 후 사후 측정을 하는 설계이다. 이 때, 핵심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처리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하여 처리의 효과를 검증한다.
    B. 사전 측정을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여 초기 차이를 제거하고 처리의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한다.
    C. 통제집단을 사용하여 외부 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처리의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한다.

    따라서 정답은 "A, B, C"이다. D는 통제집단을 사용하지 않는 설계이므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관찰시기와 행동발생시기의 일치여부를 기준으로 관찰기법을 분류한 것은?

  1. 직접(direct)/간접(indirect) 관찰
  2. 자연적(natural setting)/인위적(contrived setting) 관찰
  3. 체계적(structured)/비체계적(unstructured) 관찰
  4. 공개적(undisguised)/비공개적(disguised) 관찰
(정답률: 60%)
  • 관찰시기와 행동발생시기의 일치여부를 기준으로 관찰기법을 분류한 것은 "직접(direct)/간접(indirect) 관찰"이다. 직접 관찰은 행동이 발생하는 동시에 관찰하는 것이고, 간접 관찰은 행동이 발생한 후에 기록된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탐색적 조사방법(exploratory research)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관분야의 관련문헌 조사
  2. 연구문제에 정통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3. 변수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조사
  4.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소수의 사례조사
(정답률: 75%)
  • 변수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조사는 탐색적 조사방법이 아니라 설명적 조사방법에 해당한다. 이는 이미 존재하는 이론이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탐색적 조사방법보다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분석단위와 관련된 잠재적 오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동어반복의 오류
  2. 생태학적 오류
  3. 개인주의적 오류
  4. 환원주의적 오류
(정답률: 73%)
  • "동어반복의 오류"는 분석단위와는 관련이 없는 오류이다. 이 오류는 연구자가 같은 단어나 구를 반복해서 사용하여 문장이 단조롭고 지루해지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분석단위와는 관련이 없으며, 문장 구성에 대한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심층면접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피면접자와 친밀한 관계(rapport)를 형성해야 한다.
  2. 비밀보장, 안정성 등 피면접자가 편안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피면접자의 대답을 주의 깊게 경청하여야 하며, 이전의 응답과 연결시켜 생각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4. 피면접자가 대답을 하는 도중에 응답내용에 대해 평가적인 코멘트를 자주해 주는 것이 좋다.
(정답률: 79%)
  • "피면접자가 대답을 하는 도중에 응답내용에 대해 평가적인 코멘트를 자주해 주는 것이 좋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피면접자가 불편하고 방어적인 분위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면접관은 피면접자의 대답을 주의 깊게 듣고, 이해하며, 질문을 더 하거나 요약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화를 이어나가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인간의 무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 태도 등을 알아내기 위하여 모호한 자극을 응답자에게 제시하여 반응을 알아보는 자료수집 방법은?

  1. 관찰법(obsrvational method)
  2. 면접법(depth interview)
  3. 투사법(projective technique)
  4.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
(정답률: 76%)
  • 투사법은 응답자가 자신의 무의식적인 가치, 태도 등을 드러내는 것을 돕기 위해 모호한 자극을 제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응답자가 자신의 내면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더욱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응답자의 무의식적인 부분을 파악하기에 유용하다. 따라서 정답은 "투사법(projective techniqu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가급적 적은 수의 변수로, 보다 많은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1. 간결성의 원칙(principle of parsimony)
  2. 관료제의 철칙(iron law of bureaucracy)
  3. 배제성의 원칙(principle of exclusiveness)
  4. 포괄성의 원칙(principle of exhaustiveness)
(정답률: 58%)
  • 간결성의 원칙(principle of parsimony)은 가능한 적은 수의 변수를 사용하여 보다 많은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원칙입니다. 이는 불필요한 변수를 배제하고 모델의 복잡성을 줄여서 모델의 해석과 예측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간결성의 원칙은 과학적 연구나 모델링에서 매우 중요한 원칙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적연구는 연구대상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을 통하여 밝히는 연구이다.
  2. 질적연구는 강제적 측정과 통제된 측정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3. 질적연구는 주관적ㆍ해석적 연구방법이다.
  4. 양적연구는 확인 지향적 또는 확증적 연구방법이다.
(정답률: 72%)
  • "질적연구는 강제적 측정과 통제된 측정을 이용하는 방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질적연구는 주로 개인이나 집단의 경험, 태도, 행동 등을 이해하기 위해 개방적이고 유연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강제적이거나 통제된 측정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양적연구와 관련된 내용으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연구에 사용할 가설이 좋은 가설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기준과 거리가 먼 것은?

  1. 가설의 표현은 간단명료해야 한다.
  2. 가설은 계량화 할 수 있어야 한다.
  3. 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4. 동일 연구분야의 다른 가설이나 이론과 연관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78%)
  • 가설이 다른 가설이나 이론과 연관이 있으면, 그 가설이나 이론에 영향을 받아 검증 결과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에 사용할 가설은 독립적이고, 다른 가설이나 이론과 연관이 없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면접의 바람직한 요령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되도록 면접은 간략히 한다.
  2. 면접 시에 제3자가 개입하지 못하도록 한다.
  3. 면접대상자에게 신분을 알리기 위해 신분증을 제시한다.
  4. 면접자는 면접표의 정리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8%)
  • 면접자는 면접표의 정리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하는 것이 좋다. - 이유: 면접자가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여 면접관이 면접자의 실력과 역량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질문문항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1. 응답 범주의 의미가 불분명하다.
  2. 응답 범주들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
  3. 응답 범주들 간의 관계가 상호배타적이지 않다.
  4. 응답 가능한 상황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지 않다.
(정답률: 75%)
  • 이미지에서 제시된 응답 범주들이 모든 가능한 상황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응답자가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응답을 선택하기 어렵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개별적인 질문이 결정된 이후 응답자에게 제시하는 질문순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수한 것을 먼저 묻고 그 다음에 일반적인 것을 질문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2. 질문내용은 가급적 구체적인 용어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3. 개인 사생활에 관한 질문과 같이 민감한 질문은 가급적 뒤로 배치하는 것이 좋다.
  4. 질문은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자연스럽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80%)
  • "특수한 것을 먼저 묻고 그 다음에 일반적인 것을 질문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이유는 특수한 질문을 먼저 물어보면 응답자가 더욱 집중하고 정확한 답변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종류의 스포츠를 좋아하시나요?"라는 일반적인 질문보다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는 무엇인가요?"라는 특수한 질문이 먼저 나오면 응답자는 더욱 구체적인 답변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어떤 설계방식에 해당하는가?

  1. 집단비교설계(static-group comparison)
  2. 솔로몬 4집단 설계(Solomon four-group design)
  3. 통제집단 사후측정설계(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4. 통제집단 사전사후측정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정답률: 59%)
  • 이 설계방식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각각 사전테스트를 실시한 후 실험을 진행하고, 사후테스트를 실시하여 두 그룹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통제집단 사전사후측정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과학적 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구의 목적은 현상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2. 과학적 연구는 핵심적, 실증적 그리고 주관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3. 예측을 위한 연구는 이론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4. 연구의 결론은 자료가 제공하는 범위 안에서 내려져야 한다.
(정답률: 69%)
  • "과학적 연구는 핵심적, 실증적 그리고 주관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과학적 연구는 주관적인 요소를 최대한 배제하고, 객관적인 데이터와 증거를 바탕으로 수행됩니다. 따라서 주관적인 요소를 최소화하고, 가능한 한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질문지에 사용되는 질문이나 진술을 작성하는 원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항목들이 명확해야 한다.
  2. 질문항목들은 되도록 짧아야 한다.
  3. 부정어가 포함된 질문을 반드시 포함.
  4. 편견에 치우친 항목과 용어를 지양한다.
(정답률: 81%)
  • "부정어가 포함된 질문을 반드시 포함."은 다른 항목들은 질문지 작성의 원칙과 관련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이지만, 이 항목은 질문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부정어가 포함된 질문은 응답자의 혼란을 유발하고, 질문의 목적을 왜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항목은 다른 항목들과는 달리 질문의 구체적인 내용과 효과에 집중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사방법론 II

31. 다음 중 가장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는 측정의 수준은?

  1. 서열측정
  2. 비율측정
  3. 등간측정
  4. 명목측정
(정답률: 66%)
  • 비율측정은 절대적인 0점이 존재하며, 모든 측정값이 양수인 경우에 사용된다. 따라서 가장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는 측정의 수준은 비율측정이다. 비율측정은 크기와 비율을 모두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의 판매량을 비율측정으로 측정하면, 그 제품이 전체 판매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거트만척도에서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에 얼마나 가까운가를 측정하는 것은?

  1. 단일차원계수
  2. 스캘로그램
  3. 재생가능계수
  4. 최소오차계수
(정답률: 56%)
  • 거트만척도에서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측정하는 것은 "재생가능계수"입니다. 이는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높은 재생가능계수는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단일차원계수", "스캘로그램", "최소오차계수"는 거트만척도와는 관련이 있는 지표이지만, 이상적인 패턴과의 일치도를 측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에 관한 옳은 설명을 모두 짝지은 것은?

  1. A, D
  2. B, C, D
  3. A, B, C
  4. A, B, C, D
(정답률: 51%)
  • 구성타당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특성을 측정하기에 적절한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올바른 측정도구를 사용하고, 적절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가 실제로 해당 개념이나 특성을 잘 반영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A, D는 구성타당도의 내용타당도와 관련된 것이다. 내용타당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특성을 잘 반영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A는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특성을 잘 반영하는지를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검증한 경우"를 의미하고, D는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특성을 잘 반영하는지를 이론적으로 검증한 경우"를 의미한다.

    B, C, D는 구성타당도의 외적타당도와 관련된 것이다. 외적타당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특성과 다른 개념이나 특성과의 관계를 평가하는 것으로, B는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특성과 다른 개념이나 특성과의 관계를 검증한 경우"를 의미하고, C는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특성과 다른 측정도구와의 관계를 검증한 경우"를 의미한다. D는 이미 위에서 언급한 내용타당도와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A, D"와 "B, C,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사람들이 동정심을 측정하기 위해, 동정심을 지하도 입구의 거지에게 자선을 베푸는 정도로 정의 하였다면, 이러한 정의는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개념적 정의
  2. 실제적 정의
  3. 조작적 정의
  4. 사전적 정의
(정답률: 64%)
  • 이러한 정의는 "조작적 정의"이다. 이는 동정심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일부러 특정한 상황을 조작하여 정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정의는 일반적인 개념적 정의나 사전적 정의와는 다르게 특정한 상황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문항의 질과 관계없이 문항수가 많을수록 신뢰도는 증가한다.
  2.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
  3. 타당도란 측정한 값과 진정한 값과의 일치 정도를 의미한다.
  4. 신뢰도란 반복 측정 결과의 일관성과 관련이 있다.
(정답률: 67%)
  • "문항의 질과 관계없이 문항수가 많을수록 신뢰도는 증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문항의 질이 낮으면 문항수가 많아도 신뢰도는 증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문항의 질과 관계없이 문항수가 많을수록 신뢰도가 증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맞는 경향이 있지만, 문항의 질이 낮으면 문항수가 많아도 신뢰도가 증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항의 질을 고려하여 적절한 문항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타당도는 측정한 값과 진정한 값과의 일치 정도를 의미하며, 신뢰도는 반복 측정 결과의 일관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니며, 타당도와 신뢰도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을 구분할 때, 밀도(density)와 같이 어떤 사물이나 사건의 속성을 측정하기 위해 관련된 다른 사물이나 사건의 속성을 측정하는 것은?

  1. 추론측정(derived measurement)
  2. 임의측정(measurement by fiat)
  3. 본질측정(fundamental measurement)
  4. A급 측정(measurement of A magnitude)
(정답률: 51%)
  • "추론측정(derived measurement)"은 어떤 사물이나 사건의 속성을 측정하기 위해 관련된 다른 사물이나 사건의 속성을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원래 측정하려는 속성이 직접적으로 측정되지 않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물체의 질량과 부피를 측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질량과 부피는 밀도를 추론하기 위한 측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측정도구의 내용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자문을 구한다.
  2. 측정대상과 관련된 이론들을 판단기준으로 사용한다.
  3. 패널토의나 워크숍 등을 통하여 타당도에 관한 의견을 수렴한다.
  4. 측정도구를 반복하여 측정하고 그 관계를 알아본다.
(정답률: 63%)
  • 측정도구의 내용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측정도구를 반복하여 측정하고 그 관계를 알아본다."가 아닌 다른 것들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자문을 구한다." : 측정도구의 내용이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지식과 경험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문을 구한다.
    - "측정대상과 관련된 이론들을 판단기준으로 사용한다." : 측정도구의 내용이 해당 측정대상과 관련된 이론들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판단기준으로 사용한다.
    - "패널토의나 워크숍 등을 통하여 타당도에 관한 의견을 수렴한다." : 측정도구의 내용이 다양한 전문가들과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타당성을 검증한다.

    반면에 "측정도구를 반복하여 측정하고 그 관계를 알아본다."는 내용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이 아니라 신뢰도나 일관성 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내용타당도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모집단을 동질적인 특성을 가진 몇 개의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 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을 모두 짝지은 것은?

  1. A, D
  2. A, C
  3. B, D
  4. A, B, C
(정답률: 62%)
  • 이 방법은 계층적 샘플링이라고 불리며, 모집단을 비슷한 특성을 가진 여러 개의 집단으로 나눈 후 각 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모집단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A와 C가 정답이다. B와 D는 다른 방법들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방법이므로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서열측정을 위한 방법으로 단순합산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척도는?

  1. 거트만(Guttman)척도
  2. 서스톤(Thurstone)척도
  3. 리커트(Likert)척도
  4. 보가더스(Bogardus)척도
(정답률: 58%)
  • 리커트 척도는 각 항목에 대해 5단계 정도의 선택지를 제공하고, 이를 단순합산하여 총점을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서열측정을 위한 방법으로 단순합산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척도는 리커트 척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적인 표본추출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표본크기 결정 → 모집단 확정 → 표본틀 결정 → 표본추출방법 결정 → 표본추출
  2. 모집단 확정 → 표본크기 결정 → 표본틀 결정 → 표본추출방법 결정 → 표본추출
  3. 모집단 확정 → 표본틀 결정 → 표본추출방법 결정 → 표본크기 결정 → 표본추출
  4. 표본틀 결정 → 모집단 확정 → 표본크기 결정 → 표본추출방법 결정 → 표본추출
(정답률: 69%)
  • 일반적인 표본추출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모집단을 확정하고, 이후에 표본틀을 결정합니다. 그 다음으로 표본추출방법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표본크기를 결정합니다. 마지막으로 결정된 방법에 따라 표본을 추출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집단 확정 → 표본틀 결정 → 표본추출방법 결정 → 표본크기 결정 → 표본추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어떤 제품의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아주 좋아한다, 좋아한다, 싫어한다, 아주 싫어한다”와 같은 보기를 사용하였다. 이는 어떤 척도로 측정된 것인가?

  1. 서열척도
  2. 명목척도
  3. 등간척도
  4. 비율척도
(정답률: 69%)
  • 이 보기는 서열척도로 측정된 것입니다. 서열척도는 각 항목들 간의 상대적인 순위를 매기는 척도로, 각 항목의 절대적인 크기나 간격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주 좋아한다"와 "좋아한다" 사이의 간격이 "좋아한다"와 "싫어한다" 사이의 간격과 같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간의 지능을 머리의 크기로 측정하였다면 머리의 크기라는 측정도구는 어떤 문제가 있는가?

  1. 신뢰도
  2. 타당도
  3. 내적일관성
  4. 무작위적 오류
(정답률: 72%)
  • 머리의 크기는 인간의 지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타당도가 낮다. 이는 머리의 크기가 인간의 지능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인간의 지능은 뇌의 구조와 기능, 학습 능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머리의 크기만으로는 인간의 지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머리의 크기는 인간의 지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타당도가 낮은 측정도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확률표본추출방법(probability sampling)에 해당하는 것은?

  1. 단순무작위표본추출(sampl random sampling)
  2. 유의표본추출(purposive sampling)
  3. 눈덩이표본추출(snowball sampling)
  4. 할당표본추출(quota sampling)
(정답률: 71%)
  • 단순무작위표본추출은 모집단의 모든 개체가 동일한 확률로 표본에 포함될 수 있는 방법으로, 모집단에서 임의로 선택된 개체들로 이루어진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확률적인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확률표본추출방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정이란 사물이나 사건의 속성에 수치를 부여하는 작업이다.
  2. 측정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중요한 기능을 한다.
  3. 경험의 세계와 추상적인 관념의 세계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4. 측정은 과학적 연구에서 필수적이다.
(정답률: 66%)
  • "측정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중요한 기능을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측정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적인 판단보다는 객관적인 기준과 체계에 따라 측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측정 도구와 절차가 고안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측정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표본의 하위집단 분포를 의도적으로 정하여 표본을 임의로 추출하는 방법은?

  1.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2. 군집표본추출법(cluster sampling)
  3. 눈덩이표본추출(snowball sampling)
  4. 할당표본추출법(quota sampling)
(정답률: 43%)
  • 할당표본추출법은 특정 하위집단의 비율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전체 인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할 수 있으며, 특정 집단의 비율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표본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척도구성방법을 비교척도구성(comparative scaling)과 비비교척도구성(non-comparative scaling)으로 구분할 때 비교척도구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쌍대비교법(paired comparison)
  2. 순위법(rank-order)
  3. 연속평정법(continuous rating)
  4. 고정총합법(constant sum)
(정답률: 48%)
  • 비교척도구성 방법 중에서 연속평정법은 비교적인 개념이 아니라 각 항목에 대한 평가를 직접적으로 수치화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비교척도구성에 해당하지 않는다. 즉, 정답은 "연속평정법(continuous rat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1000명으로 구성된 모집단에서 100명을 뽑아 연구를 하고자 할 때 첫번째 사람은 무작위로 추출하고 그 다음부터는 목록에서 매 10번째 사람을 뽑아 표본을 구성하는 것은 어떤 표본추출방법에 해당하는가?

  1. 단순무작위표본추출(simple random sampling)
  2. 체계적표본추출(systematic sampling)
  3. 층화표본추출(stratified sampling)
  4. 편의표본추출(convinience sampling)
(정답률: 72%)
  • 정답: 체계적표본추출(systematic sampling)

    체계적표본추출은 모집단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매 10번째 사람을 뽑는 것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체계적표본추출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매개변수(intervening variabl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원인변수 혹은 가설변수라고 하는 것으로서 사전에 조작되지 않은 변수를 의미한다.
  2. 결과변수라고 하며, 독립변수의 원인을 받아 일정하게 변화된 결과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는 변수를 의미한다.
  3.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면서도 그 이유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변수를 의미한다.
  4. 개입변수라고도 불리며, 종속변수에 일정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독립변수에 의하여 설명되지 못하는 부분을 설명해 주는 변수를 말한다.
(정답률: 69%)
  • 매개변수는 종속변수에 일정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되지 못하는 부분을 설명해주는 변수를 말합니다. 이는 개입변수라고도 불리며, 원인변수나 결과변수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실험에서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처치를 하는 변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외적변수(extraneous variable)
  2.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
  3. 매개변수(intervening variable)
  4.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정답률: 65%)
  • 독립변수는 실험에서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위해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처치하는 변수이다. 다른 변수들이 변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변수이며,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따라서 정답은 "독립변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집락표본추출(cluster sampl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확률표본추출(probability sampling)의 하나로써 표본오차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2. 완전한 표본틀(sampling frame)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며, 비교적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전국규모의 조사에 많이 사용된다.
  3. 집락 내에서는 동질성이 크고 집락 간에는 이질성이 크도록 집락을 설정하면, 표본오차(sampling error)와 조사비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
  4. 조사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집락을 2개 이상의 단계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정답률: 58%)
  • "집락 내에서는 동질성이 크고 집락 간에는 이질성이 크도록 집락을 설정하면, 표본오차(sampling error)와 조사비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집락표본추출에서는 집락 내에서는 동질성이 작고 집락 간에는 이질성이 크도록 집락을 설정해야 표본오차와 조사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집락 내에서 동질성이 크다면, 표본 내의 다양성이 적어져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사음 사례에서 사용한 척도는?

  1. 이미지(image) 척도
  2. 거트만(Guttman) 척도
  3. 서스톤(Thurstone) 척도
  4. 의미분화(semantic differential)척도
(정답률: 66%)
  • 사음 사례에서 사용한 척도는 "의미분화(semantic differential)척도"이다. 이는 양 끝단에 반대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들을 놓고 중간에 해당하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하는 척도이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에서는 "친절함"과 "무례함"이 양 끝단에 위치하고, 중간에는 "보통"이라는 단어가 위치하고 있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자신이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를 쉽게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측정오차(error of measuremen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체계적 오차는 상호상쇄(self-compensation)되는 경향도 있다.
  2. 체계적 오차는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편향(bias)이다.
  3. 비체계적 오차는 측정대상, 측정과정, 측정수단 등에 따라 일관성 없이 영향을 미침으로써 발생한다.
  4. 측정의 오차를 신뢰성 및 타당성과 관련지었을 때 신뢰성과 타당성을 정도의 개념이 아닌 존재개념이다.
(정답률: 65%)
  • "측정의 오차를 신뢰성 및 타당성과 관련지었을 때 신뢰성과 타당성을 정도의 개념이 아닌 존재개념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측정의 오차를 신뢰성과 타당성과 관련지었을 때, 이들은 정도의 개념으로서 존재하며, 측정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조작적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제측정의 전(前) 단계이다.
  2. 관찰가능성 여부가 중요하다.
  3. 특정개념은 한 가지의 조작적 정의를 갖는다.
  4.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경험세계와 연결시키는 과정이다,
(정답률: 64%)
  • "특정개념은 한 가지의 조작적 정의를 갖는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사실, 특정 개념은 여러 가지의 조작적 정의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연구자나 연구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동일한 상황에서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동일한 대상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2번 이상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여 신뢰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1. 재검사법(test-retest method)
  2. 복수양식법(parallel-forms technique)
  3. 반분법(split-half method)
  4. 내적일관성법(internal consistency method)
(정답률: 71%)
  • 재검사법은 동일한 상황에서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동일한 대상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2번 이상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여 신뢰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다른 측정도구나 대상을 사용하지 않고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측정을 반복하여 결과를 비교하기 때문에 가장 간단하고 직접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사회과학에서 척도를 사용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하나의 지표로는 측정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개념을 측정 가능하다.
  2. 변수에 대한 양적 측정치를 제공함으로 통계적 조작이 가능하다.
  3. 여러 개의 지표를 하나의 점수로 나타내어 자료를 단순화한다.
  4. 척도는 양적인 속성을 질적인 계열로도 전환 가능하다.
(정답률: 67%)
  • 사회과학에서 척도를 사용하는 이유는 변수를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해서이다. 척도는 양적인 속성을 질적인 계열로도 전환 가능하므로, 양적인 측정치를 제공하고 통계적 조작이 가능하며, 여러 개의 지표를 하나의 점수로 나타내어 자료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지표로는 측정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개념도 측정 가능하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사회과학에서 척도를 사용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하나의 지표로는 측정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개념을 측정가능하다.
  2. 변수에 대한 양적 측정치를 제공함으로 통계적 조작이 가능하다.
  3. 여러 개의 지표를 하나의 점수로 나타내어 자료를 단순화 한다.
  4. 척도는 양적인 속성을 질적인 계열로도 전환이 가능하다.
(정답률: 9%)
  • 사회과학에서 척도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 개의 지표를 하나의 점수로 나타내어 자료를 단순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개념을 측정할 수 있고, 변수에 대한 양적 측정치를 제공하여 통계적 조작이 가능합니다. 또한 척도는 양적인 속성을 질적인 계열로도 전환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눈덩이표본추출(snowball sampl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회적 연결망을 이용한 표본추출방법이다.
  2. 모집단의 구성비율을 이용해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3. 희귀한 사건이나 현상에 대해 조사할 때 주로 사용한다.
  4. 확률적 표본추출방법이 아니므로 통계적 추론을 할 수 없다.
(정답률: 55%)
  • "모집단의 구성비율을 이용해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눈덩이표본추출은 초기 표본을 무작위로 선정한 후, 해당 표본 내에서 추가적인 표본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모집단의 구성비율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 추출된 표본은 모집단을 대표하지 않을 수 있으며, 통계적 추론을 할 수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표본의 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집단의 동질성이 높으면 표본의 크기는 작아진다.
  2. 독립변수의 카테고리가 세분화될수록 표본의 크기는 커진다.
  3. 사용하고자 하는 변수의 수가 많을수록 표본수가 커져야한다.
  4. 표본의 크기가 같을 경우 단순무작위표본추출방법보다 층화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면 표본오차가 커진다.
(정답률: 66%)
  • "표본의 크기가 같을 경우 단순무작위표본추출방법보다 층화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면 표본오차가 커진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층화표본추출방법은 모집단을 층으로 나누어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각 층에서 추출된 표본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표본오차가 줄어든다. 따라서, 표본의 크기가 같을 경우 층화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스피어만-브라운(Spearman-Brown) 공식은 어떤 경우에 사용되는가?

  1. 동형검사 신뢰도 추정
  2. Kuder-Richardson 신뢰도 추정
  3. 반분신뢰도로 전체 신뢰도 추정
  4. 범위의 축소로 인한 예언타당도에 대한 교정
(정답률: 56%)
  • 스피어만-브라운 공식은 반분신뢰도로 전체 신뢰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반분신뢰도는 테스트나 설문지의 일부 항목을 사용하여 전체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공식은 특히 테스트나 설문지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일부 항목만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표본추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집단 표본추출틀(sampling frame)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무응답오차가 나타난다.
  2. 표본의 크기는 질문지 내용과 문항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3. 표본의 크기는 표본오차에 정비례하고 비표본오차에 반비례한다.
  4. 전수조사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표본오차 때문에 전수조사가 표본조사보다 부정확할 가능성이 있다.
(정답률: 62%)
  • 전수조사는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방법이지만, 이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일부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하는 표본조사 방법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표본추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표본오차 때문에 전수조사보다 부정확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 모집단 표본추출틀(sampling frame)이 일치하지 않거나, 무작위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본추출 과정에서는 가능한 모든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중하게 계획하고 실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회통계

61. 평균이 μ이고, 표준편차가 δ 인 모집단으로부터 크기가 짝수 n(=2m) 인 임의표본(확률표본)을 추출하였을 때 처음 m개의 평균 어떤 분포를 따르게 되는가?

  1. 평균이 μ 이고 표준편차가 인 정규분포
  2. 평균이 μ 이고 표준편차가 인 정규분포
  3. 평균이 μ 이고 표준편차가 인 정규분포
  4. 평균이 μ 이고 표준편차가 인 정규분포
(정답률: 34%)
  •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크기가 n인 임의표본의 평균은 모집단의 평균 μ과 같고, 표준편차는 / √n 이 된다. 따라서, 처음 m개의 평균은 평균이 μ이고 표준편차가 / √m 인 정규분포를 따르게 된다. 이는 보기 중 "평균이 μ 이고 표준편차가 인 정규분포"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성별 평균소득에 관한 설문조사자료를 정리한 결과, 집단 내 평균제곱(mean squares within groups)은 50, 집단 간 평균제곱(mean squares between groups)은 25로 나타났다. 이 경우에 값은?

  1. 0.5
  2. 2
  3. 25
  4. 75
(정답률: 40%)
  • F값은 집단 간 평균제곱을 집단 내 평균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F값은 25/50 = 0.5 이다. 이 값은 집단 간 차이가 집단 내 차이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성별에 따른 평균소득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통계조사시 한 가구를 조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64가구를 임의 추출하여 조사한 결과 평균 소요시간이 30분, 표준편차가 5분이었다. 한 가구를 조사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시간에 대한 95%의 신뢰구간하한과 상한은 각각 얼마인가? (단, Z0.025=1.96, Z0.05=1.645 )

  1. 28.8, 31.2
  2. 28.4, 31.6
  3. 29.0, 31.0
  4. 28.5, 31.5
(정답률: 44%)
  • 평균 소요시간이 30분이고, 표준편차가 5분인 경우, 한 가구를 조사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시간에 대한 95%의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신뢰구간 = 평균 ± (Z0.025 × (표준편차 / √n))

    여기서, n은 표본의 크기이며, 여기서는 64이다.

    따라서, 신뢰구간 = 30 ± (1.96 × (5 / √64)) = 30 ± 1.225

    즉, 신뢰구간하한은 30 - 1.225 = 28.775, 상한은 30 + 1.225 = 31.225 이다.

    따라서, 정답은 "28.8, 3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사회조사분석사 시험 응시생 500명의 통계학 성적의 평균점수는 70점 이고, 표준편차는 10점이라고 한다. 통계학 성적이 정규분포를 한다고 가정할 때, 성적이 50점에서 90점 사이인 응시자는 약 몇 명인가?(단, P(Z<2)=0.9772)

  1. 498명
  2. 477명
  3. 378명
  4. 250명
(정답률: 55%)
  • 우선, 표준정규분포에서 Z값이 2일 때의 확률은 0.9772이다. 따라서, 성적이 50점에서 90점 사이인 응시자의 비율은 전체 응시자 중 Z값이 -2보다 크고 2보다 작은 비율과 같다. 이를 계산하면,

    P(-2 < Z < 2) = P(Z < 2) - P(Z < -2)
    = 0.9772 - 0.0228
    = 0.9544

    즉, 성적이 50점에서 90점 사이인 응시자의 비율은 약 95.44%이다. 따라서, 전체 응시자 수인 500명에서 이 비율을 곱한 값이 성적이 50점에서 90점 사이인 응시자의 수가 된다.

    500 x 0.9544 = 477

    따라서, 성적이 50점에서 90점 사이인 응시자는 약 477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어느 대리점에서 제품을 팔기 위하여 고객들을 면담하고 있다. 면담을 실시한 고객이 제품들을 구입할 확률은 0.2이고 고객들 사이에 물품구입 여부는 독립적이다. 3명의 사람이 면담하였을 때, 적어도 한 사람이 제품을 구매할 확률은?

  1. 0.800
  2. 0.512
  3. 0.488
  4. 0.160
(정답률: 63%)
  • 적어도 한 사람이 제품을 구매할 확률은 전체 확률에서 아무도 제품을 구매하지 않을 확률을 뺀 값과 같다.

    전체 확률은 각각의 고객이 제품을 구매할 확률의 곱과 같다.

    P(전체 확률) = 0.2 x 0.2 x 0.2 = 0.008

    아무도 제품을 구매하지 않을 확률은 각각의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지 않을 확률의 곱과 같다.

    P(아무도 제품을 구매하지 않을 확률) = 0.8 x 0.8 x 0.8 = 0.512

    따라서, 적어도 한 사람이 제품을 구매할 확률은

    P(적어도 한 사람이 제품을 구매할 확률) = P(전체 확률) - P(아무도 제품을 구매하지 않을 확률)

    = 0.008 - 0.512

    = 0.488

    따라서, 정답은 "0.48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A항아리에서 3개의 붉은 구슬과 2개의 흰구슬이 있고, B항아리에는 4개의 붉은 구슬과 3개의 흰구슬이 있다. A항아리에서 무작위로 하나를 꺼내 B항아리에 넣었다고 한다. B항아리에서 하나의 구슬을 꺼낼때, 붉은 구슬일 확률은?

  1. 0.08
  2. 0.58
  3. 0.38
  4. 0.20
(정답률: 48%)
  • 먼저 A항아리에서 꺼낸 구슬이 붉은 구슬일 확률은 3/5이고, 흰 구슬일 확률은 2/5이다. 이 중 하나를 B항아리에 넣었으므로, B항아리에는 붉은 구슬이 4개 중 1개가 추가되어 총 5개의 붉은 구슬과 흰 구슬이 3개 중 1개가 추가되어 총 4개의 흰 구슬이 있다.

    따라서 B항아리에서 구슬을 꺼낼 때 붉은 구슬일 확률은 (5/9) x (1/2) = 5/18 이고, 이는 약 0.58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일반적인 단순 회귀모형에서 잔차에 의한 제곱합(sum of squares due to errors:SSE)이 4,339이고, 회귀에 의한 제곱합(sum of squares due to regression:SSR)이 11,963일 때, 표본의 결정계수는?

  1. 2.76
  2. 0.27
  3. 0.362
  4. 0.73
(정답률: 40%)
  • 결정계수는 SSR/SST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SST는 전체 제곱합으로, SST = SSR + SSE 입니다. 따라서 SST = 11,963 + 4,339 = 16,302입니다. 결정계수는 SSR/SST = 11,963/16,302 = 0.73입니다. 이는 모형이 종속변수의 변동성의 약 73%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4 × 5 분할표 자료에 대한 독립성검정을 위한 카이제곱 통계량의 자유도는?

  1. 9
  2. 12
  3. 19
  4. 20
(정답률: 57%)
  • 카이제곱 통계량의 자유도는 (행의 개수 - 1) x (열의 개수 - 1) 입니다. 따라서 4 x 5 분할표에서는 (4-1) x (5-1) = 3 x 4 = 12 이므로 정답은 "12" 입니다. 이는 각 행과 열의 합이 독립적으로 주어졌을 때, 기대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검정하는 카이제곱 검정에서 사용되는 공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6개의 공정한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는 개수를 X 라 할 때, X 의 평균과 분산은?

  1. 평균 : 3.0, 분산 : 1.25
  2. 평균 : 3.0, 분산 : 1.50
  3. 평균 : 2.5, 분산 : 1.25
  4. 평균 : 2.5, 분산 : 1.50
(정답률: 58%)
  • 동전을 던지면 앞면이 나올 확률과 뒷면이 나올 확률이 각각 1/2 이므로, 6개의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는 개수 X 는 이항분포를 따른다. 이항분포의 평균은 np, 분산은 np(1-p) 이다. 여기서 n=6, p=1/2 이므로, 평균은 6*(1/2)=3.0, 분산은 6*(1/2)*(1/2)=1.50 이다. 따라서 정답은 "평균 : 3.0, 분산 : 1.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성별과 지지하는 정당 사이에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 자료를 통해 카이제곱 검증을 하려고 한다. 남자 100명 중 A 정당 지지자 80명, B 정당 지지자 20명, 여자 100명중 A 정당 지지자 40명, B 정당 지지자 60명이다. 성별과 정당 사이에 관계가 없을 경우 남자와 여자 각각 몇 명이 A 정당을 지지한다고 기대할 수 있는가?

  1. 남자 : 40명, 여자 : 60명
  2. 남자 : 50명, 여자 : 50명
  3. 남자 : 60명, 여자 : 60명
  4. 남자 : 70명, 여자 : 30명
(정답률: 39%)
  • 카이제곱 검증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대도수를 구해야 한다. 기대도수는 전체 샘플 수에 각 카테고리별 비율을 곱한 값이다.

    전체 샘플 수는 남자 100명 + 여자 100명 = 200명이다.

    A 정당을 지지하는 비율은 남자 중 80명, 여자 중 40명으로 총 120명이다. 전체 샘플 중 A 정당을 지지하는 비율은 120/200 = 0.6이다.

    따라서, 기대도수는 다음과 같다.

    - 남자 : 100 x 0.6 = 60명
    - 여자 : 100 x 0.6 = 60명

    따라서, 정답은 "남자 : 60명, 여자 : 60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분산이 동일한 정규분포를 따르는 두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추출하여 다음 표와 같은 결과를 구하였다. 이들 모집단의 분산의 추정치로 옳은 것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28%)
  • 표본분산의 공식은 (n-1)로 나누어진 항이 있기 때문에, 표본의 크기가 작을수록 모집단의 분산을 과소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표본의 크기가 작을수록 분산의 추정치는 작아지게 된다. 이 문제에서는 표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분산의 추정치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어느 여론조사기관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흡연율을 조사하고자 한다. 95% 신뢰수준에서 흡연율 추정의 오차한계가 1% 이내가 되기 위한 표본의 크기는?(단,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 Z 는 P(Z>1.96)=0.025를 만족한다.)

  1. 6,604
  2. 7,604
  3. 8,604
  4. 9,604
(정답률: 46%)
  • 오차한계가 1% 이내가 되기 위해서는 실제 흡연율에서 0.5% 이내로 추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Z값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1.96 * (표준편차 / √n) = 0.005

    여기서 표준편차는 모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0.5로 가정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1.96 * (0.5 / √n) = 0.005

    n = (1.96 / 0.005)² * 0.5² = 9,604

    따라서, 표본의 크기는 9,604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모집단 (1, 2, 3, 4)로부터 무작위로 2개의 수를 복원으로 추출한다. 추출한 두 숫자의 평균의 기댓값과 분산은?

  1. 기댓값 : 2.5, 분산 : 0.884
  2. 기댓값 : 1.25, 분산 : 0.625
  3. 기댓값 : 2.5 분산 : 0.625
  4. 기댓값 : 1.25 분산 : 0.884
(정답률: 35%)
  • 두 수를 복원으로 추출하므로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는 (1,1), (1,2), (1,3), (1,4), (2,1), (2,2), (2,3), (2,4), (3,1), (3,2), (3,3), (3,4), (4,1), (4,2), (4,3), (4,4) 이며, 이 중에서 두 수의 평균은 2.5가 됩니다.

    두 수의 분산은 모집단의 분산과 같으므로, 모집단의 분산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모집단의 평균 : (1+2+3+4)/4 = 2.5

    모집단의 분산 : [(1-2.5)^2 + (2-2.5)^2 + (3-2.5)^2 + (4-2.5)^2]/4 = 1.25

    따라서, 두 수의 분산은 1.25/2 = 0.62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댓값 : 2.5, 분산 : 0.62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일원배치법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를 정리한 다음 분산분석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총 관측자료수는 142개이다.
  2. 인자의 Month로서 수준 수는 8개이다.
  3. 유의수준 0.05에서 인자의 효과가 인정되지 않는다.
  4. 오차항의 분산 추정값은 11913이다.
(정답률: 46%)
  • 답: "총 관측자료수는 142개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분산분석표는 일원배치법 모형에서 인자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이다. 이 표에서 총 관측자료수는 "합" 열의 마지막 행인 "142"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각 수준별로 측정된 관측값의 합계를 모두 더한 값이다.

    인자의 Month로서 수준 수는 8개이다. 이는 "요인" 열의 마지막 행인 "8"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Month라는 인자가 8개의 수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의수준 0.05에서 인자의 효과가 인정되지 않는다. 이는 "F" 열의 마지막 행인 "1.47"과 "P-value" 열의 마지막 행인 "0.19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인자의 효과가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차항의 분산 추정값은 11913이다. 이는 "오차" 열의 마지막 행인 "11913"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각 수준별로 측정된 관측값과 해당 수준의 평균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항의 분산 추정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A병원과 B병원에서 각각 6명의 환자를 상대로 하여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여 진료서비스를 받기까지의 대기시간(단위:분)을 조사한 것이다. 두 병원의 진료서비스 대기시간에 대한 비교로 옳은 것은?

  1. A병원 평균 = B병원 평균, A병원 분산 < B병원 분산
  2. A병원 평균 = B병원 평균, A병원 분산 > B병원 분산
  3. A병원 평균 > B병원 평균, A병원 분산 < B병원 분산
  4. A병원 평균 < B병원 평균, A병원 분산 > B병원 분산
(정답률: 47%)
  • A병원과 B병원의 평균 대기시간이 같으므로, 두 병원의 분산을 비교해야 한다. A병원의 분산이 B병원의 분산보다 작으므로, A병원의 대기시간이 더 일관되고 예측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A병원의 대기시간이 더 안정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분산분석(ANOVA)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산분석은 두 개 이상의 집단간 평균차이를 검정할 때 사용된다.
  2. 분산분석은 연속형 변수인 종속변수가 분류변수라 일컬어지는 독립변수에의해 만들어진 실험조건에서 측정된 경우이다.
  3. 관측값의 영향을 주는 요인은 등간척도나 비율척도이다.
  4. 분산분석의 가설검정에는 F 분포 통계량을 이용한다.
(정답률: 33%)
  • "관측값의 영향을 주는 요인은 등간척도나 비율척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분산분석에서는 독립변수가 범주형 변수일 때 사용되며, 이 때 독립변수의 수준 간 차이를 검정합니다. 따라서 독립변수는 명목척도이어야 하며, 관측값의 척도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한국도시연감에 의하면 1998년 1월 1일 당시 한국도시들의 재정자립도 평균은 53.4%이고 표준편차는 23.4이다. 또한 이 자료에서 서울의 재정자립도는 98.0%로 나타났다. 서울 재정자립도의 표준점수(Z 값)는?

  1. 1.91
  2. -1.91
  3. 1.40
  4. -1.40
(정답률: 50%)
  • 서울의 재정자립도가 평균보다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표준점수(Z 값)를 구하려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Z = (서울 재정자립도 - 평균) / 표준편차

    여기서 서울 재정자립도는 98.0%, 평균은 53.4%, 표준편차는 23.4이다. 따라서,

    Z = (98.0 - 53.4) / 23.4 = 1.91

    즉, 서울의 재정자립도는 평균보다 약 1.91 표준편차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1.9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표본평균의 분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본평균의 분포의 평균은 모집단의 평균과 동일하다.
  2. 표본의 크기가 어느 정도 크면 표본평균의 분포는 근사적 정규분포를 따른다.
  3. 표본평균의 분포는 모집단의 분포와 동일하다.
  4. 표본평균의 분포의 분산은 표본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38%)
  • "표본평균의 분포는 모집단의 분포와 동일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표본평균의 분포는 모집단의 분포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설명됩니다. 중심극한정리는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표본평균의 분포가 근사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표본평균의 분포는 모집단의 분포와는 다르지만,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모집단의 평균과 표본평균의 평균은 거의 같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상관분석을 위해 산점도에서 관찰해야 할 자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선형 또는 비선형 관계의 여부
  2. 이상점의 존재 여부
  3. 자료의 층화 여부
  4. 원점(0, 0)의 통과 여부
(정답률: 39%)
  • 원점(0, 0)의 통과 여부는 상관분석을 위해 산점도에서 관찰해야 할 자료의 특징과는 무관합니다. 상관분석은 두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므로, 두 변수가 원점을 통과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점(0, 0)의 통과 여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행변수가 M 개의 범주를 갖고 열 번수가 N 개의 범주를 갖는 분할표에서 행변수와 열변수가 서로 독립인지를 검정하고자 한다. (i, j) 셀의 관측도수를 Oij, 귀무가설하에서의 기대도수의 추정치를 라 할 때, 이 검정을 위한 검정 통계량은?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다음은 중회귀식 = 36.689 + 3.372X1 + 0.532X2의 회귀계수표 이다. 다음 ( )에 알맞은 값은?

  1. A = 1.21, B = 3.59, C = 0.08
  2. A = 2.65, B = 0.09, C = 9.41
  3. A = 10.21, B = 36, C = 0.8
  4. A = 36.69, B = 3.96, C = 26.5
(정답률: 50%)
  • 회귀식에서 X1의 회귀계수는 3.372이고, X2의 회귀계수는 0.532이다. 따라서 X1이 1만큼 증가하면 Y는 3.372만큼 증가하고, X2가 1만큼 증가하면 Y는 0.532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X1과 X2가 각각 1.1배씩 증가하면, Y는 약 3.71 + 0.59 = 4.3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이용하여 보기를 검증해보면, A = 1.21, B = 3.59, C = 0.08일 때, 1.21 × 3.372 + 3.59 × 0.532 + 0.08 = 4.3 정도가 되므로, 정답은 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어느 회사원이 승용차로 출근하는 길에 신호등이 5개있다고 한다. 각 신호등에서 빨간 등에 의해 신호 대기할 확률은 0.2이고, 각 신호등에서 신호 대기 여부는 서로 독립적이라고 가정한다. 어느 날 이 회사원이 5개의 신호등 중 1개의 신호등에서만 빨간 등에 의해 신호대기에 걸리고 출근할 확률을 구하는 식은?

  1. (0.2)1
  2. 1-(0.8)5
  3. (0.2)1(0.8)4
  4. 5(0.2)1(0.8)4
(정답률: 47%)
  • 문제에서 "어느 날 이 회사원이 5개의 신호등 중 1개의 신호등에서만 빨간 등에 의해 신호대기에 걸리고 출근할 확률"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이 경우는 한 개의 신호등에서만 빨간 등에 의해 신호대기에 걸리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한 개의 신호등에서만 빨간 등에 의해 신호대기에 걸리는 경우는 5개의 신호등 중에서 어느 한 곳에서만 빨간 등에 의해 신호대기에 걸리고, 나머지 4개의 신호등에서는 모두 녹색 등이 나오는 경우이다. 이 경우의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한 개의 신호등에서만 빨간 등에 의해 신호대기에 걸리는 확률은 0.2이고, 나머지 4개의 신호등에서는 모두 녹색 등이 나오는 확률은 각각 0.8이므로, 이 경우의 확률은 다음과 같다.

    (0.2) * (0.8) * (0.8) * (0.8) * (0.8) = (0.2) * (0.8)^4

    따라서, 정답은 "5(0.2)1(0.8)4"이다. 여기서 5는 5개의 신호등 중에서 한 개의 신호등에서만 빨간 등에 의해 신호대기에 걸리는 경우의 수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평균이 μ 이고 분산이 δ2인 정규모집단으로부터 추출한 크기 100인 확률분포의 표본평균 를 이용하여 가설 H0 : μ = 0 VS H1 : μ > 0 을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하는 경우 기각역이 P ≥ 1.645 이다. 이 때 검정통계량 Z 에 해당하는 것은? (단, P(Z>1.645)=0.05)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단순회귀분석을 위하여 수집한 자료 10개에 대하여 다음의 요약된 값을 얻었다. 최소제곱법에 의하여 추정된 회귀직선은?

  1. = 12.8 - 3x
  2. = 12.8-0.17x
  3. = 4.19 - 3x
  4. = 4.19 - 0.17x
(정답률: 28%)
  • 최소제곱법은 주어진 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하는 직선을 찾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하고, 각 데이터와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합한 값을 최소화하는 직선을 찾아야 한다. 이 때, 회귀직선의 방정식은 y = a + bx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는 y절편, b는 기울기를 나타내며, x는 독립변수, y는 종속변수를 나타낸다.

    주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소제곱법을 적용하면, y절편 a와 기울기 b를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y절편 a = 12.8, 기울기 b = -3으로 구해졌다. 따라서, 회귀직선의 방정식은 y = 12.8 - 3x가 된다.

    다른 보기들은 y절편과 기울기가 다르게 구해졌기 때문에, 최소제곱법에 의해 추정된 회귀직선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독립시행의 횟수가 n 이고 성공확률이 p 인 이항분포에서 k번 이상의 성공이 발생할 확률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정답률: 39%)
  • 정답은 "" 이다.

    이항분포에서 k번 이상의 성공이 발생할 확률은 "1 - k-1번 이하의 성공이 발생할 확률" 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에서 "k-1번 이하의 성공이 발생할 확률"을 빼면 된다.

    "k-1번 이하의 성공이 발생할 확률"은 이항분포에서 k-1번 이하의 성공이 발생할 확률과 같다. 이를 계산하면 "" 이다.

    따라서 정답은 1 - "" 이며, 이를 간단히 계산하면 ""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가설검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귀무가설이 참임에도 불구하고 귀무가설을 기각했을 때, 제 1종오류(type 1 error)가 일어났다고 한다.
  2.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3. 검정력(power)은 귀무가설이 참이 아닐 때, 귀무가설을 기각할 확률을 말한다.
  4. 검정통계량의 관측값이 기각역(rejection region)에 속하면 대립가설을 기각 한다.
(정답률: 58%)
  • "검정통계량의 관측값이 기각역(rejection region)에 속하면 대립가설을 기각 한다."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검정통계량의 관측값이 기각역에 속한다는 것은 귀무가설을 기각할 증거가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대립가설을 채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왜도가 0이고 첨도가 3인 분포의 형태는?

  1. 좌우 대칭인 분포
  2. 왼쪽으로 기울어진 분포
  3. 오른족으로 길울어진 분포
  4.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고 뾰족한 모양의 분포
(정답률: 53%)
  • 왜도가 0이라는 것은 분포가 좌우 대칭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첨도가 3이라는 것은 분포가 뾰족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분포는 좌우 대칭이면서 뾰족한 모양을 가진 분포로, "좌우 대칭인 분포"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확률변수 X 의 확률분포가 평균이 μ 이고 표준편차가 σ 인 정규분포 일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Y = aX + b(a≠0) 이라면 Y는 N(aμ+b,a2σ2)을 따른다.
  2. 조 는 표준정규분포를 따른다.
  3. 평균, 중위수, 최빈수가 모두 μ 이다.
  4. Y = aX + b(b≠0) 라면 확률변수 Y 의 표준편차는 aσ 이다.
(정답률: 31%)
  • "Y = aX + b(b≠0) 라면 확률변수 Y 의 표준편차는 aσ 이다." 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Y = aX + b 일 때, Y의 분산은 Var(Y) = Var(aX + b) = a^2Var(X) 이므로, 표준편차는 aσ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좋은 추정량의 조건이 아닌 것은?

  1. 편의성(biasness)
  2. 효율성(efficiency)
  3. 일치성(consistency)
  4. 충분성(sufficiency)
(정답률: 43%)
  • 편의성은 추정량이 모집단의 실제 값을 왜곡하거나 과소 혹은 과대 추정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편의성은 좋은 추정량의 조건이 아니다. 효율성은 분산이 작은 추정량을 의미하며, 일치성은 표본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추정량이 모집단의 실제 값에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충분성은 모집단의 모든 정보를 활용하여 추정량을 계산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 중에서 명절에 귀향하려는 가구의 비율(p)을 알아보기 위해 500가구를 조사한 결과 100가구가 귀향하겠다고 응답 하였다. 서울거주 가구의 귀향비율 p의 95%의 신뢰구간은?(단, √5=2.24)

  1. (0.165, 0.235)
  2. (0.15, 0.25)
  3. (0.2, 0.235)
  4. (0.1, 0.3)
(정답률: 40%)
  • 이 문제는 모비율의 신뢰구간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가설검정에서 귀무가설은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 중에서 명절에 귀향하려는 가구의 비율은 0.5이다."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귀향하겠다고 응답한 가구의 수는 100이므로, 표본비율은 0.2입니다.

    표본크기가 충분히 크므로(500>30),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표본비율 p는 평균이 0.5, 표준편차가 √(0.5*0.5/500) = 0.032인 정규분포를 따릅니다.

    이때, 신뢰수준이 95%이므로, 유의수준은 0.05입니다.

    따라서, 표준정규분포에서 유의수준이 0.025인 양측검정의 임계값은 약 ±1.96입니다.

    표본비율 p의 95% 신뢰구간은 표본비율 p에서 ±1.96*표준오차(SE)를 더하고 뺀 구간입니다.

    표준오차(SE)는 √(p*(1-p)/n)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E = √(0.2*0.8/500) = 0.0283입니다.

    95% 신뢰구간은 0.2 ± 1.96*0.0283 = (0.165, 0.23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165, 0.2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모평균과 모분산이 알려지지 않은 정규모집단의 모분산에 대한 가설 검정에 사용되는 검정통계량은?

  1. Z - 통계량
  2. x2 -통계량
  3. t - 통계량
  4. F - 통계량
(정답률: 29%)
  • 모평균과 모분산이 알려지지 않은 정규모집단의 모분산에 대한 가설 검정에 사용되는 검정통계량은 F-통계량입니다. 이는 표본분산과 모분산 추정치의 비율을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따라서 검정통계량은 x2 -통계량이 됩니다. 이는 표본분산과 모분산 추정치의 비율이 자유도를 고려하여 분포하는 F-분포를 따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자료에 대한 대푯값으로 평균(mean) 대신 중앙값(median)을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평균은 음수가 나올 수 있다.
  2. 대규모 자료의 경우 평균은 계산이 어렵다.
  3. 평균은 중앙값 보다 극단적인 관측값에 영향을 많이 맏는다.
  4. 평균과 각 관측값의 차이의 총합은 항상 0이다.
(정답률: 67%)
  • 정답은 "평균은 중앙값 보다 극단적인 관측값에 영향을 많이 맏는다." 이다. 이유는 평균은 모든 관측값을 더한 후 개수로 나눈 값이기 때문에, 극단적인 값이 포함되면 그 값에 크게 영향을 받아 평균이 왜곡될 수 있다. 반면에 중앙값은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한 후 가운데 위치한 값으로, 극단적인 값에 영향을 덜 받아 데이터의 전반적인 분포를 잘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어느 주민의 3%가 특정 풍토병에 걸려있다고 한다. 이 병의 검진방법에 의하면 감염자의 95%가 (+)반응을, 나머지 5%가 (-)반응을 나타내며 비감염자의 경우는 10%가 (+)반응을, 90%가 (-)반응을 나타낸다고 한다. 지금 주민중 한 사람을 검진한 결과 (+)반응을 보였다면 이 사람이 감염자일 확률은?

  1. 0.105
  2. 0.227
  3. 0.885
  4. 0.950
(정답률: 42%)
  •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베이즈 정리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 수 있다.

    우선, 전체 주민 중 풍토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은 3%이므로, 감염자의 사전확률은 0.03이다.

    또한, 검진 결과 (+)반응을 보인 사람 중에서 감염자의 비율은 95%이므로, 이 경우의 조건부 확률은 다음과 같다.

    P(검진 (+) | 감염자) = 0.95

    반대로, 검진 결과 (-)반응을 보인 사람 중에서 감염자가 아닌 사람의 비율은 90%이므로, 이 경우의 조건부 확률은 다음과 같다.

    P(검진 (-) | 감염자가 아님) = 0.9

    따라서, 베이즈 정리에 의해 검진 결과 (+)반응을 보인 사람이 감염자일 확률은 다음과 같다.

    P(감염자 | 검진 (+)) = P(검진 (+) | 감염자) * P(감염자) / [P(검진 (+) | 감염자) * P(감염자) + P(검진 (+) | 감염자가 아님) * P(감염자가 아님)]

    = 0.95 * 0.03 / [0.95 * 0.03 + 0.1 * 0.97]

    = 0.227

    따라서, 이 사람이 감염자일 확률은 0.2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가설검정시, 유의확률(p값)과 유의수준( )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의확률 < 유의수준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2. 유의확률 > 유의수준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3. 유의확률 = 유의수준일 때만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4. 유의확률과 유의수준 중 어느 것이 큰가하는 문제와 가설검정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정답률: 56%)
  • 유의확률은 귀무가설이 맞을 때, 해당 검정통계량 또는 더 극단적인 값이 나올 확률을 의미한다. 유의수준은 귀무가설을 기각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기준값으로, 일반적으로 0.05 또는 0.01이 사용된다.

    따라서,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을 때는 귀무가설을 기각하게 된다. 이는 귀무가설이 맞을 확률이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립가설이 받아들여지게 된다.

    반대로,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크거나 같을 때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않는다. 이는 귀무가설이 맞을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립가설을 채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의확률 < 유의수준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단순회귀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오차항 ei는 서로 독립이며 동일한 분포 N(0,σ2을 따른다.)

  1. 각 Yi의 기댓값은 β01X1로 주어진다.
  2. 오차항 ei와 Yi는 동일한 분산을 갖는다.
  3. β0는 Xi 일 경우 Y 의 반응량을 나타낸다.
  4. 모든 Yi들은 상호 독립적으로 측정된다.
(정답률: 37%)
  • 정답은 "β0는 Xi 일 경우 Y 의 반응량을 나타낸다."이다. 이유는 각 Yi의 기댓값이 β01X1로 주어지므로, β0는 Xi가 0일 때 Y의 기댓값을 나타내는 상수항이다. 따라서 Xi 일 경우 Y의 반응량을 나타내는 것이 맞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500원짜리 동전 3개와 100원짜리 동전 2개를 동시에 던져 앞면이 나오는 동전을 갖기로 할 때, 기댓값은?

  1. 550
  2. 650
  3. 750
  4. 850
(정답률: 42%)
  • 동전 하나를 던졌을 때 앞면이 나올 확률은 1/2이다. 따라서 500원짜리 동전 3개와 100원짜리 동전 2개를 동시에 던졌을 때 앞면이 나오는 동전의 개수는 0에서 5까지의 정수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를 각각의 경우에 대해 기댓값을 계산하고, 이를 모두 더한 후에 100으로 나누면 원하는 답인 기댓값을 구할 수 있다.

    0개의 동전이 앞면이 나올 확률은 (1/2)^5 = 1/32이다. 이 경우에는 앞면이 나온 동전이 없으므로 얻을 수 있는 돈은 0원이다.

    1개의 동전이 앞면이 나올 확률은 5/32이다. 이 경우에는 앞면이 나온 동전이 100원짜리 동전 1개 또는 500원짜리 동전 1개이므로 얻을 수 있는 돈은 각각 100원 또는 500원이다.

    2개의 동전이 앞면이 나올 확률은 10/32이다. 이 경우에는 앞면이 나온 동전이 100원짜리 동전 2개, 500원짜리 동전 2개 또는 100원짜리 동전 1개와 500원짜리 동전 1개이므로 얻을 수 있는 돈은 각각 200원, 1000원 또는 600원이다.

    3개의 동전이 앞면이 나올 확률은 10/32이다. 이 경우에는 앞면이 나온 동전이 500원짜리 동전 3개, 100원짜리 동전 2개와 500원짜리 동전 1개 또는 100원짜리 동전 3개이므로 얻을 수 있는 돈은 각각 1500원, 700원 또는 300원이다.

    4개의 동전이 앞면이 나올 확률은 5/32이다. 이 경우에는 앞면이 나온 동전이 100원짜리 동전 2개와 500원짜리 동전 2개 또는 100원짜리 동전 1개와 500원짜리 동전 3개이므로 얻을 수 있는 돈은 각각 1200원 또는 1500원이다.

    5개의 동전이 앞면이 나올 확률은 1/32이다. 이 경우에는 앞면이 나온 동전이 100원짜리 동전 2개와 500원짜리 동전 3개이므로 얻을 수 있는 돈은 1700원이다.

    따라서 기댓값은 (0*1/32) + (500*1/32) + (100*2*5/32) + (500*2*5/32) + (200*10/32) + (1000*10/32) + (600*10/32) + (1500*10/32) + (700*5/32) + (300*5/32) + (1200*5/32) + (1500*5/32) + (1700*1/32) = 85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두 변수 X 와 Y 의 상관계수(rx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관계수 rxy 는 두 변수 X 와 Y 의 산포의 정도를 나타낸다.
  2. 상관계수 범위는 -1 ≤ rxy ≤+1 이다.
  3. rxy 이면 두 변수는 선형이 아니거나 무상관이다.
  4. rxy = -1 이면 두 변수는 완전 상관관계에 있다.
(정답률: 25%)
  • "rxy 이면 두 변수는 선형이 아니거나 무상관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상관계수는 두 변수 간의 선형적인 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rxy 값이 0이라고 해서 두 변수 간에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비선형적인 관계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xy 이면 두 변수는 선형적인 관계가 있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모평균 μ 에 대한 구간추정에서 95% 신뢰수준(confidence level)을 갖는 신뢰구간 100±5라고 할 때, 신뢰수준 95%의 의미는?

  1. 구간추정치가 맞을 확률이다.
  2. 모평균의 추정치가 100±5내에 있을 확률이다.
  3. 모평균과 구간추정치가 95% 같다
  4. 동일한 추정방법을 사용하여 신뢰구간을 반복하여 추정할 경우 평균적으로 100회 중에서 95회는 추정구간이 모평균을 포함한다.
(정답률: 50%)
  • 정답은 "동일한 추정방법을 사용하여 신뢰구간을 반복하여 추정할 경우 평균적으로 100회 중에서 95회는 추정구간이 모평균을 포함한다." 입니다.

    신뢰수준 95%는 "동일한 추정방법을 사용하여 신뢰구간을 반복하여 추정할 경우 평균적으로 100회 중에서 95회는 추정구간이 모평균을 포함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모평균이 100±5라는 구간에 있을 확률은 아니지만, 동일한 방법으로 추정을 반복하면 95%의 경우에는 모평균이 추정구간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구간추정치가 맞을 확률이나 모평균의 추정치가 100±5내에 있을 확률이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크기 n 인 표본으로 신뢰수준 95%를 갖도록 모평균을 추정하였더니 신뢰구간의 길이가 10이었다. 동일한 조건하에서 표본의 크기만을 1/4로 줄이면 신뢰구간의 길이는?

  1. 1/4로 줄어든다.
  2. 1/2로 줄어든다.
  3. 2배로 늘어난다.
  4. 4배로 늘어난다.
(정답률: 52%)
  • 신뢰구간의 길이는 표준오차와 신뢰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표본의 크기가 1/4로 줄어들면 표준오차는 2배가 된다. 이는 표본의 크기가 작아지면 모집단의 변동성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해 보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뢰구간의 길이는 표준오차와 신뢰수준에 비례하므로 2배로 늘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일원분산분석이 부적합한 경우는?

  1. 어느 화학회사에서 3개 제조업체에서 생산된 기계로 원료를 혼합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시간이 동일한지를 검정하기 위하여 소요시간(분)자료를 수집 하였다.
  2. 소기업경영연구에 실린 한 논문은 자영업자의 스트레스가 비자영업자보다 높다고 결론을 내렸다. 5점 척도로 된 15개 항목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부동산중개업자, 건축가, 증권거래인들을 각각 15명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조사 하였다.
  3. 어느 회사에 다니는 회사원은 입사시 학점이 높은 사람일수록 급여를 많이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3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평균평점과 월급여를 조사하였다.
  4. A구, B구, C구 등 3개 지역이 서울시에서 아파트 가격이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각 구마다 15개씩 아파트매매가격을 조사하였다.
(정답률: 42%)
  • 일원분산분석이 부적합한 경우는 독립적인 두 개 이상의 집단을 비교하는 경우이며, 주어진 보기 중 "어느 회사에 다니는 회사원은 입사시 학점이 높은 사람일수록 급여를 많이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3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평균평점과 월급여를 조사하였다."가 해당된다. 이 경우에는 두 변수(평균평점과 월급여)가 서로 연관성이 있으므로 일원분산분석보다는 상관분석이나 회귀분석 등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