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물리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4-19)

수능(물리I)
(2006-04-19 기출문제)

목록

1. 그림은 직선상에서 운동하는 물체의 시간에 따른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에서 "ㄱ"은 이 물체가 등속운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그래프가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보기에서 "ㄴ"은 이 물체가 순간적으로 정지한 후 다시 등속운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0이 되는 지점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은 직선 도로에서 동시에 출발한 자동차 A, B가 등가속도로 운동하여 각각 최고 속력에 도달한 후 최고 속력을 유지한 채 동시에 결승선에 도달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두 자동차의 이동 거리는 같고, A가 B보다 먼저 최고 속력에 도달한다.

출발선에서 결승선에 도달할 때 까지 A, B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평균 속력은 A가 크다.
  2. 최고 속력은 B가 크다.
  3. 속력이 증가하는 동안 A, B의 가속도는 같다.
  4. 등속 운동하는 동안 이동한 거리는 B가 더 길다.
  5. A, B의 속력이 같아질 때까지 이동한 거리는 B가 더 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최고 속력은 B가 크다."이다. 이유는 A가 B보다 먼저 최고 속력에 도달하였으므로, B는 A보다 더 긴 거리를 등속운동하면서 최고 속력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B의 최고 속력은 A보다 더 커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매끄러운 수평면 위의 P선에 놓여 있는 질량이 각각 m, 2m인 물체 A, B에 일정한 크기의 힘 F가 계속 작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물체가 Q선을 통과할 때 까지 두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P선과 Q선은 물체의 운동 방향과 수직이며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ㄱ"과 "ㄴ"이 모두 옳다.

    - P선 위에서는 두 물체가 같은 크기의 힘을 받고 있으므로 가속도가 같다. 따라서 두 물체는 항상 같은 간격을 유지하며 운동한다.
    - Q선을 통과할 때, 물체 A는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하므로 더 많은 일을 하게 된다. 따라서 물체 A의 운동 에너지는 증가하고, 물체 B의 운동 에너지는 감소한다. 그 결과, 물체 A는 물체 B보다 더 빠르게 움직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경사면을 따라 물통이 내려가고 있는 동안 물의 표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물통의 크기는 충분히 크고,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물통이 내려가는 경사면과 물의 표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기 위해서는 물의 중심이 항상 경사면의 수직선 위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물통이 내려가는 동안 물의 중심이 항상 경사면의 수직선 위에 있으므로 "ㄱ"이 옳다.
    - "ㄴ"은 물의 표면이 경사면과 수평이 아닌 경우를 의미하므로 틀린 설명이다.
    - "ㄱ, ㄷ"는 물통이 내려가는 동안 물의 표면이 경사면과 수평을 이루지만, 물의 중심이 경사면의 수직선 위에 있지 않은 경우를 의미하므로 틀린 설명이다.
    - "ㄴ, ㄷ"는 물의 표면이 경사면과 수평이 아니며, 물의 중심이 경사면의 수직선 위에 있지 않은 경우를 의미하므로 틀린 설명이다.
    - "ㄱ, ㄴ, ㄷ"는 모두 포함하는 설명이므로 너무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이 없어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은 마찰이 없는 수평한 얼음관에서 6m/s로 운동하는 질량 60kg인 A가 2m/s로 운동하는 40kg인 B를 뒤에서 밀었을 때, B의 속도가 5m/s로 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A와 B는 동일 직선상에서 운동하고,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밀고난 후 A의 속도는 3m/s이다.
  2. 밀고난 후 A의 운동 방향은 처음과 반대 방향이다.
  3. 밀기 전후 A와 B의 속도 변화량은 같다.
  4. 밀기 전 후 A의 운동량의 변화량은 120kgㆍm/s이다.
  5. 미는 동안 B가 받은 충격량은 A보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밀기 전 후 A의 운동량은 각각 6m/s × 60kg = 360kgㆍm/s, 3m/s × 60kg = 180kgㆍm/s 이므로 변화량은 360kgㆍm/s - 180kgㆍm/s = 180kgㆍm/s 이다. 따라서 "밀기 전 후 A의 운동량의 변화량은 120kgㆍm/s이다."가 옳다. "밀고난 후 A의 속도는 3m/s이다."와 "밀고난 후 A의 운동 방향은 처음과 반대 방향이다."도 옳다. "밀기 전후 A와 B의 속도 변화량은 같다."와 "미는 동안 B가 받은 충격량은 A보다 크다."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은 마찰이 없는 수평면을 미끄러져 간 공이 벽에 비탄성 충돌한 후 튕겨 나오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시간(t)에 따른 공의 운동에너지(Ek)를 바르게 나타낸 그래프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공이 벽에 충돌하면 운동에너지는 일부가 열에너지로 전환되고, 일부는 다시 운동에너지로 전환된다. 이 때, 비탄성 충돌이므로 일부 운동에너지가 전환되지 않고 사라지게 된다. 그래프에서 보면, 충돌 전 운동에너지는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충돌 후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충돌 후 일부 운동에너지가 전환되지 않고 사라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A점에 놓여 있던 물체가 곡면을 미끄러져 내려와 용수철을 L만큼 최대로 압축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모든 마찰과 공기 저항은 무시하고, 충돌 시 에너지 손실은 없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A점에서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최대이고, 용수철에서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0이므로 운동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일정한 크기의 일을 용수철이 물체에게 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용수철이 압축된 거리 L은 일의 크기와 같다.
    - 용수철이 압축되면서 물체는 운동 에너지를 소모하고, 이는 운동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위치 에너지로 변환된다. 따라서 물체의 위치 에너지는 A점에서 최소이고, 용수철에서 최대이다.
    - 따라서 보기에서 "ㄱ, ㄴ"은 틀린 설명이다.
    - 또한, 마찰과 공기 저항이 없으므로 물체의 운동은 등속 운동이며, 운동 방향은 용수철의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ㄴ"도 틀린 설명이다.
    - 따라서 정답은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이 철수는 새총에 돌맹이를 넣고 일정한 높이에서 고무줄을 수평 방향으로 당겼다 놓았을 때 돌멩이가 날아간 수평 거리 (x)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이 실험에서 <보기>의 조건 중 하나를 변화시킬 때 x의 크기가 변화하는 조건을 모두 고르면?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하나를 변화시킬 때 x의 크기가 변화하는 조건을 고르는 문제이다. 실험 결과를 보면, 돌멩이의 수평 이동 거리 x는 고무줄의 길이와 돌멩이를 던지는 높이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기를 분석해보면,

    - "ㄱ": 고무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경우, 고무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고무줄의 탄성이 커져 돌멩이의 속도가 증가하므로 x의 크기도 증가한다.
    - "ㄴ": 돌멩이를 던지는 높이를 변화시키는 경우, 높이가 높아질수록 돌멩이의 초기 속도가 증가하므로 x의 크기도 증가한다.
    - "ㄷ": 고무줄의 길이와 돌멩이를 던지는 높이를 모두 변화시키는 경우, 위의 두 경우의 영향이 합쳐져 x의 크기가 더욱 증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은 저항 R1, R3, R4, 가변저항 R2가 전압이 일정한 직류전원장치에 연결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R2의 저항값을 증가시킬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는 없다.)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ㄷ"는 R2의 저항값이 증가하면 전압이 R2에 가해지는 비율이 작아져서 R2에 가해지는 전압이 감소하고, 따라서 R2에서의 전류도 감소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전압분배 법칙에 따라 R1, R3, R4에 가해지는 전압도 감소하게 되므로, 이들 저항에서의 전류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변의 길이가 각각 I, 2l, 3l인 직육면체 모양의 동일한 저항체 A, B에 전류가 흐르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A, B의 저항값의 비 RA : RB는? (단,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는 없다.)

  1. 1 : 3
  2. 1 : 6
  3. 3 : 1
  4. 6 : 1
  5. 9 : 1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가 흐르는 동안 A, B의 전압차는 동일하므로, A, B의 저항값 비는 전류와 각 저항체의 전압차 비와 같다. 따라서, A, B의 전압차 비는 I : 2l : 3l 이므로, A, B의 저항값 비는 I : 2l : 3l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RA : RB = I2 : (2l)2 : (3l)2 = 1 : 4 : 9 이므로, 정답은 "9 :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이 20℃의 물이 들어 있는 열량계에 전원 장치를 연결하였다.

A에 동일한 저항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연결하고 스위치를 닫을 때, 물의 온도가 가장 빨리 올라가는 것은? (단, 열량계와 외부의 열 출입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원 장치로 인해 일정한 전력이 발생하고, 이는 저항에 따라 전압과 전류가 결정된다. 따라서 저항이 작을수록 전류가 커지고, 이는 물을 빠르게 가열시키게 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저항이 가장 작은 ""이 가장 빨리 온도가 올라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일정한 세기의 전류가 흐르는 원형 도선 B의 중앙을 원형 도선 A가 통과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두 도선의 중심축은 동일하고 운동하기 전 도선 A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도선 A가 원형 도선 B를 통과할 때, 도선 A 주변에 자기장이 생성된다. 이 자기장은 도선 B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며, 도선 A에 일정한 힘을 가한다.
    - 도선 A가 원형 도선 B의 중앙을 통과할 때, 도선 A에 작용하는 힘은 최대값을 가진다. 이는 도선 A가 원형 도선 B의 자기장이 가장 강한 지점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 도선 A가 원형 도선 B의 중앙을 통과할 때, 도선 A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도선 B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ㄴ,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 (가), (나)와 같이 플라스틱관과 구리관의 안쪽 바닥에 동일한 용수철을 세워 놓고 같은 높이에서 원형 자석을 낙하시켰다.

자석이 낙하하기 시작하여 용수철이 최대로 압축될 때까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용수철에 발생하는 유도전류, 마찰과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것은 (가)이다.
  2. 자석이 낙하하는 동안 등속도 운동을 하는 것은 (가)이다.
  3. 자석이 용수철에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가)가 (나)보다 길다.
  4. 자석이 용수철과 충돌하는 순간의 속력은 (가)가 (나)보다 크다.
  5. 용수철이 압축되는 공안 자석은 등가속도 운동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것은 (가)이다.
    - 자석이 낙하하는 동안 등속도 운동을 하는 것은 (가)이다.
    - 자석이 용수철에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가)가 (나)보다 길다.
    - 자석이 용수철과 충돌하는 순간의 속력은 (가)가 (나)보다 크다.
    - 용수철이 압축되는 공안 자석은 등가속도 운동한다.

    자석이 용수철과 충돌하는 순간의 속력은 (가)가 (나)보다 크다. 이유는 용수철 안에 자석이 떨어질 때, 용수철 안에 자석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 유도전류는 자석의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자석의 운동을 저항하게 된다. 따라서 자석은 용수철 안에서 등가속도 운동을 하게 되고, 용수철이 최대로 압축될 때까지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석이 용수철과 충돌하는 순간의 속력은 (가)가 (나)보다 크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은 같은 평면에 반지름이 각각 R, 2R인 원형 도선이 등심원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표는 원형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와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두 원형 도선에 흐르는 전류가 (가)~(다)와 같을 때, 중심 0에서 자기장 B(가), B(나), B(다)의 세기를 바르게 비교한 것은? (단, 지구 자기장은 무시한다.) [3점]

  1. B(가) = B(나) > B(다)
  2. B(가) > B(다) > B(나)
  3. B(나) > B(가) = B(다)
  4. B(나) > B(다) > B(가)
  5. B(다) = B(가) > B(나)
(정답률: 알수없음)
  • 앙페르 법칙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는 전류와 반비례하므로, 전류가 가장 큰 도선인 (가)의 자기장이 가장 작고, 전류가 가장 작은 도선인 (다)의 자기장이 가장 크다. 따라서, B(가)의 세기가 가장 작고, B(다)의 세기가 가장 크므로, "B(가) > B(다) > B(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은 사각형 도선 abcd가 균일한 자기장 (B)를 일정한 속도로 통과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지점 (가), (나), (다)를 통과할 때, 도선에 유도되는 전류와 자기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는 자기장이 종이 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 지점을 통과할 때: 도선 내부에서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유도전류가 발생한다. 이때 유도전류는 도선 내부에서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ㄱ"은 옳다.
    - (나) 지점을 통과할 때: 도선이 자기장의 방향과 수직하게 위치하므로 유도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에서 "ㄴ"은 옳다.
    - (다) 지점을 통과할 때: 도선 내부에서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유도전류가 발생한다. 이때 유도전류는 도선 내부에서 같은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ㄷ"은 옳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판의 양 끝에 가는 줄을 고정시키고 중간에 받침대를 끼워 놓은 후 A 부분의 줄을 손가락으로 퉁기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받침대를 P점에서 Q점으로 이동시키면서 A부분을 퉁길 때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의 물리량의 변화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단, 줄을 퉁기는 세기와 공기의 온도는 일정하다.) (순서대로 파장, 진동수, 소리의 속도) [3점]

  1. 일정, 증가, 감소
  2. 증가, 일정, 감소
  3. 증가, 감소, 일정
  4. 감소, 일정, 증가
  5. 감소, 증가, 일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감소, 증가, 일정"

    파장은 속도와 진동수의 곱으로 결정되는데, 이 문제에서 속도와 진동수는 일정하므로 받침대를 이동시키면서 줄의 길이가 짧아지면 파장이 감소하게 된다.

    진동수는 줄의 길이와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줄의 길이가 짧아지면 진동수가 증가하게 된다.

    소리의 속도는 공기의 온도와 밀도에 영향을 받는데, 이 문제에서는 온도가 일정하므로 소리의 속도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받침대를 이동시키면서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의 물리량은 파장이 감소하고 진동수가 증가하면서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은 연못의 A지점에 돌을 떨어뜨렸을 때 물결이 전파되고 있는 모습과 연못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A에서 B로 물결이 전파되는 동안 물결파의 물리량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것을 <보기>에서 고르면? (단, 바람에 의한 영향은 무시한다.)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물결이 전파되는 동안 물의 입자들이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압축파와 희박파가 번갈아가며 발생한다. 이때 압축파는 물의 입자들이 모여 밀집되어 물의 압력이 증가하고, 희박파는 물의 입자들이 흩어져 물의 압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물결파의 물리량은 압력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므로, 물결이 전파되는 동안 물리량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초음파와 빛의 굴절률에 대한 설명이다.

초음파와 빛이 공기에서 물속으로 들어갈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3점]

  1. 초음파의 속력은 공기보다 물속에서 빠르다.
  2. 초음파의 진동수는 공기보다 물속에서 크다.
  3. 빛의 파장은 공기보다 물속에서 길다.
  4. 빛이 공기 중에서 물속으로 들어갈 때 전반사가 일어난다.
  5. 빛이 공기 중에서 물속으로 비스듬히 들어갈 때 입사각이 굴절각보다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초음파의 속력은 공기보다 물속에서 빠르다."이다. 이유는 초음파의 속력은 매질의 밀도와 탄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물은 공기보다 밀도가 높고 탄성이 크기 때문에 초음파의 속력이 더 빠르다. 반면에 빛의 파장은 매질의 굴절률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물속에서는 공기보다 더 짧아진다. 또한 빛이 공기 중에서 물속으로 들어갈 때는 굴절이 일어나고, 비스듬히 들어갈 때는 입사각이 굴절각보다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레이저와 이중 슬릿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간섭무늬를 만드는 실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험 장치에서 <보기>의 조건 중 하나를 선택할 때, 밝은 무늬 사이의 간격 (△x)이 증가하는 경우를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ㄴ, ㄷ"가 정답이다. 이는 레이저의 파장이 감소하거나, 이중 슬릿 사이의 간격이 증가할 때 발생한다. 이 경우, 더 넓은 간격에서 빛이 간섭하므로 밝은 무늬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게 된다. "ㄱ"은 파장이 증가하거나, 이중 슬릿 사이의 간격이 감소할 때 발생하는 경우이므로 밝은 무늬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게 된다. "ㄷ"는 이중 슬릿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져서 간섭무늬가 사라지는 경우이므로 밝은 무늬 사이의 간격이 없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이 진공 상태인 유리 상자 속에 있는 비들림전자의 금속관 A에 빛을 쬐었더니 A가 뒤로 밀렸다.

이 현상과 관련된 빛의 성질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1. 작은 구명을 통과한 빛이 퍼져 나간다.
  2. 편광판 2개를 겹쳐 놓고 하나를 회전시키면 밝기가 변한다.
  3. 백색광이 프리즘을 통과한 후 여러 색깔의 빛으로 갈라진다.
  4. 단색광이 이중 슬릿을 통과하여 스크린에 간섭무늬를 만든다.
  5. 금속에 한계진동수보다 큰 진동수의 빛을 쬐어 주면 광전자가 튀어 나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금속에 한계진동수보다 큰 진동수의 빛을 쬐어 주면 광전자가 튀어 나온다." 입니다.

    금속에는 자유전자가 존재하며, 이 자유전자들은 금속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 자유전자들은 금속 내부에서 일종의 전자기파와 상호작용하며, 이 때 자유전자들은 특정한 진동수를 가진 전자기파와 상호작용할 때만 흡수되거나 방출됩니다. 이 진동수를 한계진동수라고 합니다.

    따라서, 금속에 한계진동수보다 큰 진동수의 빛을 쬐어 주면, 이 빛의 전자기파와 자유전자들이 상호작용하여 자유전자들이 금속에서 떨어져 나오게 됩니다. 이것이 광전자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