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물리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11-15)

수능(물리I)
(2007-11-15 기출문제)

목록

1. 그림은 일직선상에서 운동하는 장난감 자동차의 위치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 자동차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모두 옳은 것은 "ㄷ"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자동차가 처음에는 서서히 가속하다가 일정한 속도로 직선상을 운동하다가 갑자기 감속하여 멈추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속운동을 하다가 갑자기 멈추는 운동"과 "운동 중간에 속도가 일정한 운동" 두 가지 모두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ㄷ"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 (가)와 같이 직선 도로에서 10m 떨어져 있던 철수와 영희가 자전거를 타고 동시에 출발하여 운동하고 있다. 그림 (나)는 철수와 영희의 속도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철수와 영희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ㄴ"은 철수와 영희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변하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옳다.
    - "ㄷ"은 철수와 영희의 출발 위치와 도착 위치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옳지 않다.
    - "ㄱ, ㄴ"은 철수와 영희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철수가 영희보다 먼저 도착하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옳다.
    - "ㄱ, ㄷ"는 철수와 영희의 출발 위치와 도착 위치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옳지 않다.
    - "ㄱ, ㄴ, ㄷ"는 철수와 영희의 출발 위치와 도착 위치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영희가 지면에 서서 철봉을 일정한 힘 W로 당기고 있는 것과 철수가 무게 W인 역기를 들어올려 정지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영희와 철수의 질량은 같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ㄱ"은 영희가 철봉을 당기는 힘이 철수가 들어올린 역기의 무게와 같아서 상쇄되어서 아무런 움직임이 없기 때문에 옳다. "ㄴ"은 철수가 들어올린 역기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역기의 무게와 같은 힘이 필요하므로 그림에서와 같이 영희가 당기는 힘과 역기의 무게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ㄱ, ㄴ"이 모두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 (가)는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서 속력 v 로 운동하던 물체 A가 정지해 있는 물체 B와 충돌한 후 A는 정지하고 B는 운동하는 것을, (나)는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서 속력 v 로 운동하던 물체 C가 정지해 있는 물체 D와 충돌한 후 C, D가 일직선상에서 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A, B, C, D의 질량은 같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물체의 크기와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과 "ㄷ"가 모두 옳은 이유는 충돌 전에 A와 C가 가지고 있던 운동 에너지는 충돌 후에도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A와 C가 충돌 후에는 운동 에너지를 모두 B와 D가 가지게 되어 B와 D가 운동하게 된다. 이는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른 결과이다. "ㄱ, ㄴ"과 "ㄱ, ㄷ"는 보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상황이므로 옳지 않다. "ㄴ,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이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서 질량 m인 물체 A와 질량 2m인 물체 B를 용수철의 양 끝에 접촉하여 압축시킨 후 가만히 놓았다. A는 마찰이 없는 경사면을 따라 직선 운동하고, B는 수평면에서 일정한 속력 v 로 운동한다.

A가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는 최고 높이는? (단, 중력가속도는 g이고, 용수철의 질량, 물체의 크기 및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 A와 B는 용수철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운동 에너지의 보존 법칙에 따라 운동 에너지의 총량은 일정하다. 따라서, A가 최고점에 도달할 때 B의 운동 에너지는 A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A가 최고점에 도달할 때 B의 운동 에너지가 가장 작아지는 경우는 A가 처음 출발할 때 B가 가장 빠르게 움직이는 경우이다. 이 경우, B의 운동 에너지는 $frac{1}{2}(2m)v^2 = 2mv^2$ 이고, 이 값은 A가 최고점에 도달할 때 A의 위치 에너지와 같아진다. 따라서, A의 최고점 높이는 $h = frac{2mv^2}{mg} = 2v^2/g$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은 실험대 위에 재질이 다른 널빤지 X, Y를 고정시켜 만든 수평면에서 물체 A가 질량 m 인 물체 B 와 실로 연결되어 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A 는 X 위에서 등속 직선 운동하다가 Y 위의 한 지점에서 정지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중력가속도는 g이고, 물체의 크기, 실의 질량, 도르래의 마찰 및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ㄴ. 물체 A가 Y 지점에서 정지하는 이유는 물체 B와의 실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체 B는 물체 A를 끌어당기는 힘을 받아 등속도로 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체 A는 정지하게 된다.

    ㄷ. 물체 B와 물체 A 사이의 실이 수평이므로, 물체 B에 작용하는 중력과 실의 장력은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물체 B는 수평방향으로는 아무런 힘도 받지 않게 되고, 수직방향으로만 중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체 B는 자유낙하운동을 하게 되며, 물체 A도 물체 B와 실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함께 자유낙하운동을 하게 된다.

    ㄱ. 물체 A가 X 위에서 등속운동을 하다가 Y 지점에서 정지하면, 물체 A에 작용하는 힘은 없다. 따라서 물체 A에 작용하는 힘의 합력은 0이 되어야 한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물체 A와 물체 B 사이의 실에 작용하는 힘이 물체 A를 끌어당기는 힘과 같아야 한다. 이는 물체 B에 작용하는 중력과 같으므로, 물체 B의 질량이 물체 A의 질량과 같을 때, 물체 A는 등속운동을 하다가 Y 지점에서 정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 (가)와 같이 가변저항과 저항값이 R1, R2 인 저항을 전압이 일정한 전원장치에 연결하였다. 그림 (나)는 스위치 S 를 a 또는 b 에 연결한 후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며 측정한 전압과 전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저항값의 비 R1:R2 는?

  1. 1:2
  2. 1:4
  3. 2:1
  4. 2:3
  5. 4:1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 (나)에서 스위치 S 가 a 에 연결되어 있을 때,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작아지면 전압과 전류의 값이 모두 증가한다. 이는 전압과 전류가 비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작아질수록 전압과 전류의 비율이 작아지므로, R1 의 저항값이 R2 의 저항값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답은 "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 (가)와 같이 단면적이 같고 길이가 각각 3 L, L 인 원통형 금속막대 A와 B를 연결시킨 후, A의 왼쪽 끝 지점 P에 저항 측정기의 한 쪽 집게를 고정시키고 다른 쪽 집게를 P로부터 x만큼 떨어진 지점에 접촉한 후 x를 변화시키며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그림 (나)는 x에 따른 저항값을 나타낸 것이다.

A와 B의 비저항을 각각 pA, pB 라고 할 때, pA:pB 는?

  1. 1:2
  2. 1:3
  3. 2:1
  4. 2:3
  5. 3:1
(정답률: 알수없음)
  • 원통형 금속막대의 저항은 길이와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A와 B의 길이는 같고 단면적도 같으므로 저항값은 같아야 한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x=0 일 때의 값이 같아야 한다. 그러나 그래프를 보면 x=0 일 때 A의 저항값이 B의 저항값보다 크다. 이는 A와 B 사이에 연결된 부분이 저항이 큰 부분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금속막대의 비저항은 A의 왼쪽 부분과 B의 오른쪽 부분의 비저항과 같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A의 왼쪽 부분과 B의 오른쪽 부분의 길이 비율은 1:2 이므로, A와 B의 비저항은 1: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자기장 속에서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받는 자기력에 관한 실험 과정이다.

코일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순간, 코일이 받는 자기력의 방향이 과정 (나)에서와 반대인 과정을 모두 고른 것은?

  1. (다)
  2. (라)
  3. (마)
  4. (다), (라)
  5. (다), (라), (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다), (라)"이다.

    코일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순간에는 자기장과 코일 내부의 전류 간 상대적인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자기력은 물체의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순간에는 코일 내부의 전류와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 방향이어야 한다.

    과정 (나)에서는 코일 내부의 전류와 자기장의 방향이 같은 방향이므로, 코일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순간에는 자기력의 방향이 반대 방향이어야 한다. 따라서, 과정 (나)는 선택할 수 없다.

    과정 (라)에서는 코일 내부의 전류와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 방향이므로, 코일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순간에는 자기력의 방향이 과정 (나)과 반대 방향이 된다. 따라서, 과정 (라)는 선택할 수 있다.

    과정 (마)에서는 코일 내부의 전류와 자기장의 방향이 같은 방향이므로, 코일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순간에는 자기력의 방향이 반대 방향이어야 한다. 따라서, 과정 (마)는 선택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다), (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이 일정한 세기의 전류가 흐르는 가늘고 무한히 긴 직선 도선 X, Y가 각각 x축과 y 축에 고정되어 있다. X 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x 방향이며, 점 p 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0 이다.

X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세기는 변화시키지 않고 Y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하고 세기를 2 배로 했을 때, xy 평면의 점 a~e 중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0 인 점은? (단, 지구 자기장의 효과는 무시한다.) [3점]

  1. a
  2. b
  3. c
  4. d
  5. e
(정답률: 알수없음)
  • Y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로 되면, X축 양쪽에서 Y축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같아지고, Y축 위 아래로 멀어질수록 자기장의 세기는 증가한다. 따라서, Y축 위 아래로 대칭인 a와 e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0이 된다. 그 중에서도 Y축 위쪽에 있는 a가 더 가까이 있으므로 정답은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 (가)와 같이 종이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의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 저항 R가 연결된 사각형 도선이 종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림 (나)는 자기장의 세기를 변화시켰을 때 R에 유도되는 전류 I를 시간 t 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전류의 방향은 a → R → b 방향을 양(+)으로 한다.

사각형 도선에 (나)와 같은 전류가 유도되게 하는 자기장의 세기 B를 시간 t 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전류 I는 자기장의 변화율에 비례하므로, 자기장의 세기 B가 변화율이 가장 큰 구간에서 가장 큰 전류가 유도된다. 그래프 상에서는 B가 급격히 증가하는 구간인 2에서 가장 큰 전류가 유도된다. 따라서 ""가 가장 적절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xy평면에서 용수철을 진동시켜 x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동을 발생시킬 때, 용수철에 있는 한 점의 x축 방향의 변위, y 축 방향의 변위를 시간 t 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 파동의 파장은 0.2m이다.

이 파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옳은 것은 "ㄴ" 뿐입니다.

    이유는 파동의 파장은 주기와 진폭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주기는 파동이 한 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하며, 진폭은 파동의 최대 변위를 말합니다.

    주어진 그림에서 파동의 주기는 0.4초이고, 진폭은 0.1m입니다. 따라서 파장은 0.4초 x 0.1m = 0.04m입니다.

    그러므로 보기에서 "ㄱ, ㄴ"은 파장이 0.2m라는 조건에 맞지 않습니다. "ㄷ"는 주기와 진폭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파장을 구할 수 없습니다. "ㄱ, ㄷ", "ㄴ, ㄷ"는 파장이 0.2m라는 조건에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단색광 A, B, C가 공기에서 유리로 입사되어 점 P를 향해 진행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공기에서 유리로 입사되는 A와 B의 경로 사이의 각은 θ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A, B, C는 모두 다른 파장을 가진 단색광이다. (O)
    - A와 B의 경로 사이의 각은 θ이다. (O)
    - 유리로 들어온 A와 C는 굴절되어 직선으로 진행하고, B는 거울반사되어 진행한다. (O)

    ㄱ. P에서 나가는 광선은 A와 C의 굴절된 광선이 합쳐져 나가므로, P에서는 A와 C의 파장이 섞인 흰색광이 나온다. (O)
    ㄷ. P에서 나가는 광선은 B의 거울반사된 광선이므로, P에서는 B의 파장인 초록색광이 나온다. (O)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은 파장과 진폭이 같고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두 파동 P, Q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할 때, 두 파동이 만나기 전 어느 순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P와 Q의 속력은 1m/s로 같다.

이 순간으로부터 3 초가 지났을 때 두 파동이 만나서 부분적으로 중첩된 파동의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3초 후에 두 파동이 만나기 위해서는 파동 하나가 3m 만큼 이동해야 한다. 이때, 파동의 주기는 2m이므로 1.5주기 만큼 이동한 파동과 만나게 된다. 따라서, P 파동은 3m를 이동한 후에 Q 파동과 만나게 되며, 이때 두 파동의 진폭이 서로 같고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중첩된 파동의 모습은 ""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 (가)는 진동수와 세기가 일정한 단색광을 금속판에 비추며 전압에 따른 광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금속판의 종류를 일함수가 각각 2.28 eV, 4.31 eV, 6.35 eV 인 나트륨, 아연, 백금으로 바꾸어 전압 V 에 따른 광전류 I 를 측정하였더니 그림 (나)와 같았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진동수가 증가할수록 광전류의 크기가 증가한다. (ㄴ)
    - 나트륨, 아연, 백금의 금속판 종류에 따라 광전류의 크기가 다르다. (ㄷ)
    - 전압이 증가할수록 광전류의 크기가 증가한다. (ㄱ, ㄴ)
    - 나트륨 금속판에서는 전압이 0.5V 이상일 때부터 광전류가 발생한다. (ㄱ, ㄷ)
    - 백금 금속판에서는 전압이 1.5V 이상일 때부터 광전류가 발생한다. (ㄴ, ㄷ)

    정답은 "ㄷ"입니다. 그림 (가)에서는 진동수와 세기가 일정한 단색광을 금속판에 비추며 전압에 따른 광전류를 측정하는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나트륨, 아연, 백금의 금속판 종류에 따라 광전류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ㄷ"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 (가)는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서 물체 A, B, C가 일직선 상에서 오른쪽으로 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B의 질량은 m이고, A는 일정한 속력 v 로 운동한다. 그림 (나)는 A로부터 B, C까지의 거리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시간 t0 이후 B와 C의 운동에너지의 합은? (단, 물체의 크기와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B와 C는 A와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므로 A와 B, C 사이의 상대적인 속도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B와 C의 운동에너지의 합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 (가)와 같이 물체 A가 질량 m인 물체 B와 도르래를 통해 실로 연결되어 정지해 있다. A와 B의 높이의 차이는 2 h 이다. 그림 (나)는 (가)의 상태에서 B를 연직 아래 방향의 일정한 힘 F로 계속 당겨 A와 B의 높이가 같아진 순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중력가속도는 g이고, 실의 질량, 도르래의 마찰 및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과 "ㄷ"가 모두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ㄴ": A와 B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B를 당기면 A도 함께 움직인다. 따라서 B에 작용하는 힘 F는 A에도 작용하게 되고, 이 때 A에 작용하는 힘은 F와 같다. 그리고 A에 작용하는 중력은 mg이므로, A에 작용하는 합력은 F - mg가 된다. 이 합력이 A를 가속시키므로, 운동 방정식을 적용하면 F - mg = ma가 된다. 이를 정리하면 F = (m + M)g/2가 된다.
    - "ㄷ": A와 B의 높이가 같아지면 더 이상 A에 작용하는 합력이 없으므로, A는 등속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A의 가속도는 0이 되고, 운동 방정식을 적용하면 F - mg = 0이 된다. 이를 정리하면 F = mg가 된다. 이 때, B에 작용하는 힘은 A에 작용하는 힘과 같으므로, B에 작용하는 힘도 mg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이 네 개의 저항을 전압이 일정한 전원장치에 연결하였다. 스위치 S1 만 닫았을 때 전류계에 흐르는 전류는 3A이고, 스위치 S2 만 닫았을 때 전류계에 흐르는 전류는 1A이었다.

S1 만 닫았을 때 R의 소비전력은? [3점]

  1. 12W
  2. 18W
  3. 24W
  4. 27W
  5. 36W
(정답률: 알수없음)
  • 스위치 S1이 닫혀있을 때, 전류계에 흐르는 전류는 3A이므로, R1과 R2에도 3A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R1과 R2에 걸리는 전압은 각각 6V이다. 그리고 R3과 R4에는 전압이 걸리지 않으므로, R3과 R4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R1과 R2의 소비전력은 각각 18W이다. 그리고 R3과 R4의 소비전력은 모두 0W이다. 따라서, 스위치 S1이 닫혀있을 때 R의 소비전력은 18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 (가)는 세기가 일정한 빛이 편광판 A를 수직으로 통과하는 모습과 A의 회전각에 따른 빛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세기가 일정한 빛이 광학기구로 들어가 나뉘어 편광판 B, C를 수직으로 통과하는 모습과 B, C의 회전각에 따른 빛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A, B, C는 빛의 진행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며, 회전각은 편광판의 편광축이 연직방향과 이루는 각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편광판 A는 선형 편광판으로,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만 편광된 빛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회전각에 따라 빛의 세기가 변하지 않는다. (ㄴ)
    - 편광판 B는 직선 편광판으로,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두 방향으로 편광된 빛을 각각 50%씩 통과시킨다. 따라서 회전각이 0도일 때 빛의 세기가 최대이고, 90도일 때는 전혀 통과하지 않는다. (ㄱ)
    - 편광판 C는 원형 편광판으로,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두 방향으로 편광된 빛을 각각 50%씩 통과시킨다. 따라서 회전각이 45도일 때 빛의 세기가 최대이고, 0도와 90도일 때는 전혀 통과하지 않는다. (ㄷ)
    -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 (가)는 전자빔 발생장치에서 나와 슬릿 간격이 d인 이중 슬릿을 통과하여 스크린의 각 지점에 도달하는 전자의 수를 측정하는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가)의 전자빔 발생장치에서 나오는 속력이 각각 v1, v2 인 전자들을 사용하여 각 지점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측정한 전자의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ㄴ. 전자의 질량은 슬릿 간격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ㄷ. 슬릿 간격이 작아질수록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의 수가 증가한다.
    ㄱ, ㄴ. 전자의 파동성에 따라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의 분포가 결정된다.
    ㄱ, ㄷ. 슬릿 간격이 작아질수록 인터프리팅 현상이 일어나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의 분포가 복잡해진다.
    ㄱ, ㄴ, ㄷ.

    정답: ㄱ, ㄷ

    해설:
    ㄴ. 전자의 질량은 슬릿 간격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는 전자의 질량이 매우 작기 때문이다.
    ㄷ. 슬릿 간격이 작아질수록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의 수가 증가한다. 이는 슬릿 간격이 작아질수록 인터프리팅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인터프리팅 현상은 파동의 성질로, 파동이 좁은 틈으로 들어가면 파동이 퍼져서 넓은 범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ㄱ. 전자의 파동성에 따라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의 분포가 결정된다. 이는 양자역학에서 파동-입자 이중성의 개념으로 설명된다.
    ㄷ. 슬릿 간격이 작아질수록 인터프리팅 현상이 일어나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의 분포가 복잡해진다. 이는 인터프리팅 현상이 더욱 강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