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물리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9-03)

수능(물리I)
(2013-09-03 기출문제)

목록

1. 그림은 소리가 마이크와 증폭기를 거쳐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ㄴ"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가 증폭기를 거쳐 스피커로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 "ㄷ"은 증폭기가 입력된 소리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 "ㄱ, ㄴ"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가 증폭기를 거쳐 스피커로 전달되는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은 여러 가지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얻는 전기 에너지를 가정으로 보내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ㄱ" :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여러 가지 에너지원(태양광, 풍력, 수력 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한 분산 발전이라고 한다. 이는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높이고, 에너지원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 "ㄴ" :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 후에는 전력망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기를 공급해야 한다. 이때 전력망은 여러 지역을 연결하는 전선망과 발전소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변전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력망을 강화하고 개선하여 전기 공급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정지해 있는 철수에 대해 영희가 탄 우주선과 뮤온이 수평면과 나란하게 일정한 속력 0.9c로 운동하고 있는 어느 순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빛은 우주선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

철수가 측정했을 때가 영희가 측정했을 때보다 더 큰 물리량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c 는 빛의 속력이고, 중력에 의한 효과는 무시한다.) [3점]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ㄷ, 영희가 측정한 시간 간격"이다. 이유는 상대성 이론에 따라 우주선에서 빛이 수평면을 지날 때, 철수와 영희는 서로 다른 시간 간격을 측정하게 된다. 이 때, 영희가 측정한 시간 간격은 더 짧게 나오게 되고, 따라서 철수가 측정한 물리량보다 영희가 측정한 물리량이 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ㄷ"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표준 모형에서 어떤 입자를 설명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전자기력과 중력이 작용하는 입자인 전자를 설명하고 있고, "ㄴ"은 전자기력만 작용하는 입자인 광자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ㄷ"는 전자기력과 약력이 작용하는 입자인 중성자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ㄱ, ㄴ, ㄷ"가 모두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은 공기가 들어 있는 찌그러진 페트병의 마개를 닫고 따뜻한 물에 넣었더니 페트병이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는 것을 보고 학생들이 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제시한 의견이 옳은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철수
  2. 영희
  3. 민수
  4. 철수, 민수
  5. 영희, 민수
(정답률: 알수없음)
  • 페트병이 찌그러졌을 때는 공기가 들어있어서 압력이 낮아졌고, 따뜻한 물에 넣으면 공기 분자들이 빠르게 움직여 압력이 높아져서 페트병이 원래 모양으로 돌아온다. 이 때, 영희의 의견은 틀렸다. 왜냐하면, 따뜻한 물에 넣으면 공기 분자들이 빠르게 움직여 압력이 높아져서 페트병이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는 것은 공기 분자들의 운동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옳은 의견은 "철수, 민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 (가)는 마찰이 없는 수평면 위에서 각각 2v, v 의 일정한 속력으로 다가오는, 질량이 m인 공을 수평 방향으로 발로 차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가)에서 공이 발로부터 받은 힘의 크기를 시간에 따라 각각 나타낸 것이고, 시간 축과 각 곡선이 만드는 면적은 4mv로 같다. 공을 차기 전과 후에 공은 동일 직선 상에서 운동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공의 크기는 무시한다.)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이유는 그림 (가)에서 공이 발로 차기 전과 후에도 동일한 속도로 운동하기 때문에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공의 운동량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발로 공을 차기 전과 후의 운동량은 동일하다.

    그림 (나)에서 공이 발로부터 받은 힘의 크기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만, 시간 축과 각 곡선이 만드는 면적은 모두 4mv로 같다. 이는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공의 운동량이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높이가 h 인 A점에서 속력 2v 로 운동하던 수레가 B점을 지나 최고점 C에 도달하여 정지한 순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B에서 수레의 속력은 v 이고 높이는 2h 이다.

최고점 C의 높이는? (단, 수레는 동일 연직면 상에서 궤도를 따라 운동하고, 수레의 크기와 마찰,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3점]

  1. 7/3 h
  2. 8/3 h
  3. 3h
  4. 10/3 h
  5. 11/3 h
(정답률: 알수없음)
  • 수레가 A에서 C까지 이동한 거리는 B에서 C까지 이동한 거리와 같다. 따라서 B에서 C까지의 이동 거리는 $frac{1}{2}$h 이다. 이동 거리와 수레의 속력을 이용하여 이동 시간을 구하면 $t=frac{1}{4} text{초}$ 이다. 이동 중 가속도는 중력가속도 $g$ 와 같으므로, 최고점 C에서의 속력은 $v-gt=v-frac{1}{4}gh$ 이다. 최고점에서는 속력이 0 이므로, $v-frac{1}{4}gh=0$ 이다. 이를 이용하여 최고점 C의 높이를 구하면 $h=frac{4}{3}v^2/g=frac{8}{3}h$ 이다. 따라서 정답은 "8/3 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이 위성이 행성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따라 운동하고 있다. 위성은 공전 주기가 T이고, a에서 b 까지 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6T이다. S1, S2 는 각각 색칠된 부분의 면적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O는 타원의 중심이다.) [3점]

  1. ㄱ, ㄴ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S1이 S2보다 작다는 것이다. 이는 위성이 타원 궤도에서 행성에 가까울 때 더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S1의 면적이 더 작아지게 된다.

    "ㄴ"은 S1과 S2의 합이 타원의 전체 면적인 πab의 절반인 πab/2와 같다는 것이다. 이는 타원의 중심 O를 지나는 대각선으로 나누어진 두 삼각형의 면적의 합이 πab/2와 같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은 절연체 위에 있는 대전되지 않은 동일한 도체구 A, B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양(+)전하로 대전된 유리 막대를 B 에 가까이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A를 B에서 뗀 후 유리 막대를 멀리하였다.

A와 B 주위의 전기력선을 나타낸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

    A와 B는 처음에는 전기 중성이었지만, 유리 막대를 양(+)전하로 대전시켰기 때문에 A와 B는 각각 음(-)전하를 획득하고 양(+)전하를 상실하였다. 이에 따라 유리 막대를 멀리하면서 A와 B 사이에는 전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전기력선이 형성된다. 전기력선은 전하가 흐르는 경로를 나타내며, 전하의 밀도가 높은 곳에서는 전기력선이 서로 가까이 붙어있고, 전하의 밀도가 낮은 곳에서는 전기력선이 서로 멀어진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전기력선은 ""와 같이 서로 가까이 붙어있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물질의 자성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장치에서 두 개의 상자성 막대에 코일을 감고 일정한 세기의 전류 I 를 흘려 막대 사이에 균일한 자기장을 만들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이다. 이는 상자성 막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자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하나의 막대는 남쪽 극이고 다른 하나는 북쪽 극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막대 사이에 균일한 자기장이 형성되며, 이 자기장 안에서는 자성을 가진 물질이 움직이게 되면 힘이 작용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은 연직으로 세워진 플라스틱 관에 동일한 원형 고리 도선 A, B를 고정하고 관의 입구에 자석을 가만히 놓았을 때, 자석이 관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점 P, Q, R는 중심축 상의 지점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 B 사이의 상호 작용은 무시한다.)[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 ㄷ"가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자석이 관을 통과할 때, 자석과 관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인력은 자석과 관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자석이 관에 가까워질수록 인력이 강해진다.
    - 따라서, 자석이 관에 가까워질수록 관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는 속도가 빨라진다.
    - 이에 따라, 자석이 관의 입구에서 출발하면서는 중심축과 수직으로 이동하다가, 관의 중심축과 가까워질수록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는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 따라서, 자석은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다가 중심축과 만나게 되면, 중심축을 따라 떨어지게 된다.
    - 이때, 자석이 중심축과 만나는 지점은 원형 고리 도선 A, B의 중간 지점인 Q이다.
    - 따라서, 자석이 중심축을 따라 떨어지는 지점은 Q를 지나게 된다.
    - 따라서,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양자화된 에너지 En(n=1, 2, 3, …)을 갖는 보어의 수소 원자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a, b, c 는 전자가 서로 다른 에너지 준위 사이에서 전이하는 것을, 표는 양자수(n)에 따른 En 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어의 수소 원자 모형에서 전자는 특정한 에너지 준위에 존재하며, 서로 다른 에너지 준위 사이에서 전이할 수 있다. (ㄱ)
    - 전자가 에너지를 흡수하면 더 높은 에너지 준위로 이동하고, 방출하면 더 낮은 에너지 준위로 이동한다. (ㄷ)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p 형, n 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만든 발광 다이오드를 직류 전원 장치에 연결했을 때, 빨간색 빛이 나오고 있는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발광 다이오드는 p 형과 n 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만들어진다.
    - ㄴ. 발광 다이오드는 직류 전원 장치에 연결되면 전류가 흐르면서 전자와 양공이 만나 결합하면서 에너지가 방출되어 빛이 나온다. 이때, 발광 다이오드의 소재에 따라 나오는 빛의 색깔이 다르다. (이미지에서는 빨간색 빛이 나오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 (가)와 (나)는 각각 노란색 단색광과 RGB 영상 장치의 두 빛 a 와 b 가 눈에 들어와 동일한 노란색으로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다)는 원뿔세포 S1, S2, S3이 각각 파장에 따라 빛에 반응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ㄴ, ㄷ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 ㄷ"이다.

    - (ㄱ)은 그림 (가)와 (나)가 동일한 노란색으로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옳지 않다.
    - (ㄴ)은 그림 (다)에서 원뿔세포 S1, S2, S3이 각각 파장에 따라 빛에 반응하는 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빛의 색상을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옳다.
    - (ㄷ)는 그림 (다)에서 원뿔세포 S1, S2, S3이 각각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이를 조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옳다.
    - (ㄹ)은 보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은 방송국에서 보낸 진동수가 각각 fA, fB인 전파 A, B가 안테나에 도달할 때, LC회로의 코일과 축전기의 특성을 조절하여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최대로 한 순간 스피커에서 A에 의한 방송만이 나오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에서 "ㄴ"은 LC회로의 공진주파수가 fA와 일치하기 때문에 A에 대한 방송만이 나오는 것이 옳다는 것을 나타낸다.
    - 보기에서 "ㄷ"는 LC회로의 공진저항이 최소가 되는 순간에 스피커에서 A에 대한 방송만이 나오는 것이 옳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 (가)는 클래딩이 코어를 감싸고 있는 광섬유에서 레이저 빛이 전반사하여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동일한 레이저 빛이 광섬유에 사용되는 물질 A, B, C에서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이는 광섬유 내부에서 레이저 빛이 진행할 때, 물질 A와 C는 광섬유의 코어와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클래딩의 굴절률과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전반사가 일어나고, 물질 B는 굴절률 차이가 작아 굴절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원자로의 작동 원리를 소개하는 내용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핵분열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수증기로 만들고, 그 수증기를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인 증기타워 발전소의 원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ㄴ"은 핵융합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과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원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원자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데 "ㄱ, ㄴ"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물체의 무게를 재는 손저울이 수평을 이루어 정지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저울의 막대는 길이가 60cm이고, 질량이 0.5 kg 인 균일한 원통형이며, 추의 질량은 1kg이다.

손이 줄을 당기는 힘의 크기는? (단, 중력 가속도는 10m/s2이다.) [3점]

  1. 30N
  2. 35N
  3. 40N
  4. 45N
  5. 50N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는 무게와 중력을 이해해야 한다. 물체의 무게는 그 물체가 지구에 받는 중력의 크기이다. 따라서, 저울의 막대와 추가 서로 상쇄되어 수평을 이루고 있다면, 막대에 작용하는 중력과 추에 작용하는 중력이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막대에 작용하는 중력은 1kg의 추의 무게와 같다. 추의 무게는 질량과 중력 가속도의 곱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1kg x 10m/s2 = 10N 이다. 이 중력과 막대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손이 줄을 당기는 힘의 크기는 막대의 무게와 같다. 막대의 무게는 질량과 중력 가속도의 곱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0.5kg x 10m/s2 = 5N 이다. 따라서, 손이 줄을 당기는 힘의 크기는 5N + 10N = 15N 이다. 하지만, 이 힘은 막대의 중심에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막대의 한쪽 끝에서 작용하므로, 막대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회전력도 고려해야 한다. 회전력은 힘과 힘이 작용하는 지점 사이의 거리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손이 줄을 당기는 힘은 막대의 중심에서 30cm 떨어진 지점에서 작용하므로, 회전력은 15N x 0.3m = 4.5N 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손이 줄을 당기는 힘의 크기는 15N + 4.5N = 19.5N 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제시된 답변 중에 없으므로, 계산 실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정답은 "35N"이 아니라 다른 값이 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 (가)는 물체 B가 올려진 물체 A가 밑면적이 S 인 원통형 수조 안의 물에 떠 정지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나)는 (가)에서 B가 A에서 떨어져 가라앉은 후, 두 물체가 정지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물과 B 의 밀도는 각각 p, 2p이고, B의 부피는 V 이다.

(가)와 (나)에서 물의 깊이를 각각 h1, h2 라고 할 때, 깊이의 차 h1-h2 는?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 B가 물에 떠 있는 상태에서는 B의 무게와 물의 상승력이 평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B의 무게는 물의 상승력과 같다. 따라서, B가 물에 떠 있는 상태에서는 B의 부피인 V만큼의 물의 부피가 밀도 p로 상승한 것과 같다. 이때, 물의 부피는 S×h1 이므로, V=pS×h1 이다.

    B가 A에서 떨어져 가라앉은 후에는 B의 부피인 V만큼의 물이 B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므로, 물의 부피는 S×h2+V 이다. 이때, B의 부피 V는 pS×h1 이므로, 물의 부피는 S×h2+pS×h1 이다.

    따라서, 물의 부피 차이는 S×h1-(S×h2+pS×h1)=-pS×h1+S×h2 이다. 이 값은 h1-h2에 비례하므로, h1-h2는 -pV/S 이다. 이 값은 보기 ""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수평면에서 간격 10m를 유지하며 일정한 속력 5m/s로 운동하던, 질량이 같은 두 물체 A, B가 기울기가 일정한 경사면을 따라 운동하다가 A가 경사면에 정지한 순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순간 B의 속력은 v 이고, A, B 사이의 간격은 4m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 B는 동일 연직면 상에서 운동하며, 물체의 크기와 마찰력은 무시한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 "ㄱ" : A가 정지한 순간, B는 아직 운동 중이므로 B는 A보다 더 멀리 있을 것이다. 따라서 B는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면서 A와 점점 가까워질 것이다.
    - "ㄴ" : B의 속력은 일정하므로, A와 B 사이의 간격이 4m일 때 B가 A에 닿는 순간의 속력도 v일 것이다.
    - "ㄷ" : B가 A에 닿는 순간, B의 운동 방향이 A와 같아지므로 B는 더 이상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지 않고 수평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B의 운동은 A와 같아지며, A와 B 사이의 간격은 계속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