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화학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09)

수능(화학I)
(2015-07-09 기출문제)

목록

1. 다음은 인류 문명의 발달과 관련된 화학 반응식이다.

두 화학 반응식에 있는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물 (H2O) : 두 화학 반응식 모두에 등장하는 물질로, 인류 문명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이산화탄소 (CO2) : 첫 번째 화학 반응식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인류 문명 발달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ㄱ"은 옳지 않다.
    - 산소 (O2) : 두 번째 화학 반응식에서 소모되는 물질로, 인류 문명 발달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따라서 "ㄷ"는 옳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 (가)~(다)는 탄소 동소체의 구조를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그림 (나)에서 보이는 것처럼 탄소 원자가 4개의 다른 원자나 결합자와 결합하여 구조를 이루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를 다른 원자와 결합하는 능력을 가진 탄소 원자의 특성을 치환성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몰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H, C의 원자량은 각각 1, 12이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는 몰의 개념과 몰 질량을 구하는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이 나와있다. 그 중에서도 정답인 "ㄱ"은 몰 질량을 구하는 공식인 M = n × 분자량에서 분자량이란 원자량의 합으로 계산되는 것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분자량을 잘못 이해하면 몰 질량을 구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DNA 구조의 일부를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에서 "ㄱ"은 DNA의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이고, "ㄴ"은 DNA의 두 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 그림에서 보면,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한 쪽 DNA 염기서열이 ACGT라면, 상보적인 다른 쪽 DNA 염기서열은 TGCA가 된다. 이러한 상보적인 관계는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따라서, "ㄱ"은 DNA의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이고, "ㄴ"은 DNA의 두 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을 나타내므로, 정답은 "ㄱ,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은 화합물 AB2와 CA의 화학 결합을 모형으로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C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 ㄷ"가 정답이다. 그림에서 AB2는 이온 결합으로, A 이온과 B 이온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CA는 공유 결합으로, C 원자와 A 원자가 공유 결합하여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따라서 AB2는 이온 결합, CA는 공유 결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암모니아(NH3)와 관련된 화학 반응식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결합각은 NH3 > BF3이다.
  2. 의 모양은 삼각뿔형이다.
  3. BF3에는 무극성 공유 결합이 있다.
  4. NH3에서 쌍극자 모멘트의 합은 0이다.
  5. NH3BF3에서 B는 옥텟 규칙을 만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NH3BF3에서 B는 옥텟 규칙을 만족한다. 이는 BF3 분자가 전자 수가 6개이므로 옥텟 규칙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B는 전자 부족 상태이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NH3 분자의 비공유 전자쌍과 결합하여 새로운 공유 결합을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NH3BF3 분자는 전체적으로 이온성을 띄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탄소 수가 6개인 탄화수소 (가)~(다)의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와 b는 탄소 원자 사이의 결합 길이이다.)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가)~(다) 모두 탄소 수가 6개인 탄화수소이며, 이들 중에서 결합 길이가 모두 같은 것은 (나)뿐이기 때문이다. (가)~(다)의 결합 길이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ㄱ), (ㄷ), (ㄱ, ㄴ), (ㄴ, ㄷ)은 모두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표는 원자 또는 이온에 대한 자료이다.

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D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ㄷ"이다. 이는 표에서 A와 D의 전자 구성이 유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A와 D는 모두 2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외곽 전자껍질에는 모두 7개의 전자가 있다. 이는 A와 D가 같은 주기에 있고, 같은 그룹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와 D는 화학적으로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산 염기 반응의 화학 반응식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ㄷ"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산 염기 반응은 산과 염기가 서로 반응하여 염과 물을 생성하는 화학 반응이다.
    - 이 반응에서 산은 수소 이온(H+)을 기부하고, 염기는 수산화물(OH-) 이온을 기부한다.
    - 이 반응에서 생성되는 물은 중성화되어 pH를 영향을 주지 않는다.
    - 따라서, 산과 염기의 몰 비율이 1:1일 때 pH가 7이 되므로, 이 반응에서는 산과 염기의 몰 비율이 1:1인 경우가 가장 많다.
    - 이에 따라, 보기에서 "ㄱ"은 산과 염기의 몰 비율이 1:1인 경우를 나타내고, "ㄷ"는 이 반응에서 생성되는 물이 중성화되어 pH를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표는 원자 A~D의 바닥 상태 전자 배치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와 홀전자 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D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원자 A의 전자 구성에서 2s 오비탈에 2개의 전자가 들어있기 때문에 2s 오비탈은 꽉 차 있고, 홀전자는 2p 오비탈에 하나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ㄴ"은 2s 오비탈이 꽉 차 있고, 2p 오비탈에 하나의 홀전자가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표는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원소 A~C로 이루어진 기체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C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ㄴ"이 옳은 이유는, A, B, C 세 원소의 분자량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도 각각의 기체의 부피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A, B, C 세 기체의 부피 비율은 서로 다르며, 이에 따라 "ㄱ", "ㄷ", "ㄱ, ㄴ", "ㄴ, ㄷ" 보기는 모두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산화 환원 반응의 화학 반응식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ㄷ"인 이유는, 반응식에서 MnO4- 이 산화되어 Mn2+가 되고, Fe2+가 산화되어 Fe3+가 되는 산화환원 반응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MnO4-이 산화되는 산화환원 반응은 "산화반응"이고, Fe2+가 산화되는 산화환원 반응은 "환원반응"이다. 이 두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므로, 이 반응은 "산화환원 반응"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표는 원소 A~E의 전기 음성도와 안정한 이온의 반지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온의 전자 배치는 모두 네온(Ne)과 같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A~E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3점]

  1. A는 B보다 원자 번호가 크다.
  2. B와 C는 같은 주기 원소이다.
  3. C는 D보다 원자가 전자 수가 많다.
  4. D는 E보다 홀전자 수가 많다.
  5.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C가 가장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표에서 전기 음성도가 가장 큰 원소는 A이고, 이온의 반지름이 가장 큰 원소는 E이다. 이는 전기 음성도와 이온의 반지름이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온의 전자 배치가 모두 네온과 같으므로, 이온의 전하와 전자 수는 같다. 따라서, 이온의 크기는 전자 수가 적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D는 E보다 홀전자 수가 많기 때문에, D의 이온 반지름이 E의 이온 반지름보다 작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은 일정량의 금속 C 이온 수용액이 들어 있는 두 용기에 금속 A, B 분말을 각각 넣었을 때, 넣어 준 금속의 질량에 따른 용액의 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C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금속 A와 B가 각각 C 이온과 반응하여 생성된 화합물의 용해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즉, 금속 A와 B가 생성한 화합물 중에서는 금속 A가 생성한 화합물이 용해도가 높아서 용액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표는 원자 X, Y의 전자 배치를, 그림은 2~3주기 원소 A~C의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C, X, Y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이온화 에너지가 주기마다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고, "ㄷ"는 이온화 에너지가 전자 궤도에 위치한 전자 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ㄴ"은 이온화 에너지가 주기마다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지만, 2주기에서 3주기로 이동할 때 큰 증가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탄소 화합물(CxHyOz)의 원소 분석 실험이다. H, C, O의 원자량은 각각 1, 12, 16이다.

㉠/㉡ 의 값은? [3점]

  1. 3/5
  2. 2/3
  3. 4/3
  4. 3/2
  5. 5/3
(정답률: 알수없음)
  • ㉠에서 C의 원자량은 12이므로, C의 몰 비율은 12 / (12+1+16) = 0.4이다.
    ㉡에서 H의 원자량은 1이므로, H의 몰 비율은 2 / (2+1) = 0.666...이다.
    따라서, C:H의 몰 비율은 0.4 : 0.666... 으로 약 3 : 5 이다.
    이를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3/5 이므로, 정답은 "3/5"이다.
    반대로, H:C의 몰 비율은 5 : 3 이므로, ㉠/㉡의 값은 5/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표는 탄소 수가 3개인 서로 다른 탄화수소 (가)~(라)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가)는 포화 탄화수소이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 ㄷ"가 정답이다.

    - (가)는 포화 탄화수소인 프로판이다.
    - (나)는 불포화 탄화수소인 프로펜이다.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어서 더 많은 수소를 추가할 수 있다.
    - (다)는 불포화 탄화수소인 프로필렌이다.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어서 더 많은 수소를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소 수가 같은 경우에는 불포화 탄화수소일수록 더 많은 수소를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수소화 반응에 따라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수소(H2)와 메테인(CH4)의 연소 실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H, C, O의 원자량은 각각 1, 12, 16이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수소(H2)와 메테인(CH4) 모두 연소 반응을 하여 산소(O2)과 결합하여 이산화탄소(CO2)와 물(H2O)을 생성한다. 이는 연소 반응의 기본적인 과정이다.
    - 수소(H2)는 분자량이 2이므로 1몰당 질량은 2g이다. 메테인(CH4)은 분자량이 16+4=20이므로 1몰당 질량은 20g이다. 따라서 같은 질량의 수소와 메테인을 연소시키면 수소가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 연소 반응에서 방출되는 열은 질량과 비례한다. 따라서 같은 질량의 수소와 메테인을 연소시키면 수소가 더 많은 열을 방출하게 된다.
    - 따라서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메테인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에서 가시광선 영역을, 표는 파장에 해당하는 전자 전이가 일어날 때 방출되는 빛의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 이고, n은 주양자수, k는 상수이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 "ㄱ": 수소 원자의 전자가 n=3 에서 n=2 로 이동할 때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656nm 이다. 이는 수소 원자의 빨간색 선 스펙트럼에 해당하는 파장이다. 이는 수소 원자의 전자가 에너지 준위가 높은 n=3 에서 낮은 n=2 로 이동하면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다.
    - 보기 "ㄷ": 수소 원자의 전자가 n=4 에서 n=2 로 이동할 때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486nm 이다. 이는 수소 원자의 파란색 선 스펙트럼에 해당하는 파장이다. 이는 수소 원자의 전자가 에너지 준위가 높은 n=4 에서 낮은 n=2 로 이동하면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다.
    - 보기 "ㄴ": 수소 원자의 전자가 n=3 에서 n=2 로 이동할 때 방출되는 빛의 에너지는 1.89 eV 이다. 또한, 수소 원자의 전자가 n=4 에서 n=2 로 이동할 때 방출되는 빛의 에너지는 2.56 eV 이다. 이는 각각 빨간색과 파란색 선 스펙트럼에 해당하는 에너지이다. 이를 통해 수소 원자의 전자가 에너지 준위가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이동할 때 방출되는 빛의 에너지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기 "ㄱ, ㄴ" 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HCl x몰과 NaOH y몰을 각각 증류수에 녹여 HCl(aq), NaOH(aq)을 30 mL씩 만들었을 때, 단위 부피 속에 존재하는 이온의 입자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HCl(aq) 10 mL와 NaOH(aq) 10 mL를 혼합한 수용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Na+와 Cl- 이온이 모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ㄷ"는 Na+와 Cl- 이온이 모두 중화되어 NaCl(s)가 생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HCl(aq)와 NaOH(aq)를 혼합하면 Na+와 Cl- 이온이 모두 존재하고, 중화 반응이 일어나서 NaCl(s)가 생성되므로 "ㄱ, ㄷ"가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