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화학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10-10)

수능(화학II)
(2007-10-10 기출문제)

목록

1. 그림과 같은 장치에서 세 가지 물질의 1.0M수용액을 25℃에서 각각 전기 분해했을 때 두 전극에서의 생성물은 표와 같다.

위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Na+의 표준 환원 전위는 Cu2+보다 크다.
  2. (가)와 (나)를 반응시키면 NaOH이 생성된다.
  3. NaCl수용액을 전기 분해하면 수용액의 pH가 감소한다.
  4. Cu(NO3)2수용액의 전기 분해에서는 구리 이온이 산화된다.
  5. NaNO3 수용액을 전기 분해할 때 (+)극에서 물이 산화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표를 보면, NaNO3 수용액을 전기 분해할 때 (+)극에서 생성된 가스가 산소(O2)이고 (-)극에서 생성된 가스가 수소(H2)이다. 이는 물 분해 반응에서 양극에서는 수소가, 음극에서는 산소가 생성되는 것과 일치한다. 따라서 (+)극에서는 물이 산화되어 산소가 생성된다. 이유는 물 분해 반응에서 양극에서는 수소 이온(H+)이 전자를 받아 수소 분자(H2)가 생성되고, 음극에서는 수소 이온(H+)이 전자를 잃어 수산화물(OH-)이 생성된다. 이때 (+)극에서 생성된 수산화물(OH-)은 물 분자(H2O)와 반응하여 산소(O2)와 수소 이온(H+)을 생성한다. 따라서 NaNO3 수용액을 전기 분해할 때 (+)극에서 물이 산화된다. 따라서 정답은 "NaNO3 수용액을 전기 분해할 때 (+)극에서 물이 산화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금속 A, B와 전해질 수용액을 이용한 실험이다.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A, B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은 옳은 설명이다. 전해질 용액에 금속 A와 B가 있을 때, A의 이온이 B의 이온보다 더 적게 전달되어 A의 질량이 더 적어진다. 따라서 전극에 적힌 금속 A는 B보다 더 많이 부식되어야 한다. 이는 전해질 용액에서 A의 이온이 B의 이온보다 더 적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ㄴ은 옳은 설명이다.

    보기에서 ㄹ도 옳은 설명이다. 전해질 용액에서 금속 A의 이온이 B의 이온보다 더 적게 전달되므로, 전극에 적힌 금속 A는 B보다 더 많이 부식되어야 한다. 이는 전극에서 금속 A의 이온이 B의 이온보다 더 많이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ㄹ도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25℃에서 아세트산은 물에 녹아 다음과 같은 평형을 이룬다.

0.10M의 아세트산 수용액에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가하여 수용액의 pH가 7이 되었을 때 수용액의 [CH3COO-]와 [CH3COOH]의 비는? (단, 온도는 25℃로 일정하다.) [3점]

  1. 1 : 180
  2. 1 : 18
  3. 1 : 1
  4. 18 : 1
  5. 180 : 1
(정답률: 알수없음)
  • 아세트산과 수산화나트륨이 중화반응을 일으키면 다음과 같은 반응식이 일어난다.

    CH3COOH + NaOH → CH3COO- + H2O + Na+

    이때, 수용액의 pH가 7이 되었다는 것은 [H+] = 10-7 M이라는 뜻이다. 이때, 아세트산의 이온화 상수(Ka)는 다음과 같다.

    Ka = [CH3COO-][H3O+]/[CH3COOH]

    중화반응 후, [CH3COO-]와 [CH3COOH]의 농도가 x M일 때, [H3O+]는 10-7 M이므로,

    Ka = x * 10-7 / (0.10 - x)

    위 식을 풀면 x = 1.8 * 10-5 M이다. 따라서, [CH3COO-] : [CH3COOH] = 1.8 * 10-5 : 0.10 = 1 : 5555 ≈ 1 : 180 이다. 따라서, 정답은 "180 :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래프는 산 HA의 수용액 40mL에 염기 0.1M BOH의 수용액을 가하며 pH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A, B는 임의의 기호이며 A-와 B+는 반응하지 않는다.)

  1. HA의 초기 농도는 0.2M이다.
  2. HA의 이온화도는 BOH보다 크다.
  3. 점 (가)에서 [A-]는 0.05M이다.
  4. 점 (나)에서 [A-]는 [B+]보다 크다.
  5. 점 (나)에서 [OH-]는 [H+]보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래프에서 pH가 가장 높은 지점은 BOH의 수용액을 모두 반응시킨 후의 pH인 10.4이다. 이 지점에서는 HA가 모두 이온화되어 A-와 H+가 생성되었으며, 이때 [A-]와 [H+]는 같은 양만큼 생성되므로 서로 상쇄되어 pH가 높아진다. 따라서, [OH-]는 [H+]보다 크다. 정답은 "점 (나)에서 [OH-]는 [H+]보다 크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이 1L의 용기에 N2O4 0.3몰과 NO2 0.2몰을 넣었더니 NO2 0.16몰이 남은 상태에서 평형에 도달하였다.

위 평형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ㄱ, ㄴ"이 옳은 것입니다.

    - ㄱ. 이 평형 반응은 엔탈피 변화가 양수이므로 엔트로피 변화가 양수인 고온에서 더욱 쉽게 일어납니다.
    - ㄴ. 평형 상태에서 NO2의 몰수가 더 적은 것은 Le Chatelier의 원리에 따라 NO2가 더 많이 생성되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반응물과 생성물이 모두 기체인 어떤 반응의 화학 반응식이다.

그래프는 밀폐된 용기에 반응물을 넣어 평형 상태에 도달했을 때 반응 조건을 변화시킨 후 시간에 따른 A, B, C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이 정답인 이유는, 그래프에서 A와 B의 농도가 감소하고 C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A와 B가 C로 반응하여 생성물인 C가 증가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화학 반응식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이 모두 기체인 경우, 일반적으로 가스 상태의 반응물이 서로 반응하여 가스 상태의 생성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ㄴ"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메탄과 염소의 화학 반응식과 그 반응이 일어날 때의 에너지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메탄과 염소의 화학 반응식은 CH4 + Cl2 → CH3Cl + HCl 이다.
    - 이 반응은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하며, 반응 엔탈피는 -74.6 kJ/mol이다.
    - 따라서, 보기에서 "ㄴ, ㄷ"가 모두 옳다. "ㄴ"은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ㄷ"는 반응 엔탈피가 음수이므로 발열반응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표의 (가)~(라)는 일정량의 질소와 수소를 반응시킬 때의 여러 가지 조건이다.

(가)~(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 압력이 높을수록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 가스 상태에서 압력이 높을수록 분자간 충돌이 더 자주 일어나므로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나)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 온도가 높을수록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여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다) 반응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 반응물 농도가 높을수록 분자간 충돌이 더 자주 일어나므로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라) 촉매가 존재할 경우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 촉매는 반응물 간의 결합 에너지를 낮춰주어 반응 속도를 높여준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옳으므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포름산의 분해 반응 (가)와 (나)의 반응 메커니즘과 반응 경로에 따른 에너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포름산의 분해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가)와 (나)의 최종 생성물은 다르다.
  2. (가)의 반응 속도는 (나)보다 느리다.
  3. (나)에서 H+는 정촉매로 사용되었다.
  4. (나)에서 속도 결정 단계는 2단계이다.
  5. (가)의 활성화 에너지는 (나)보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와 (나)의 최종 생성물은 다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가)와 (나) 모두 포름산을 분해하여 CO2와 H2O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중성 원자 A~D의 전자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A~D의 플루오르 화합물 AF2, BF3, CF3, DF2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A~D는 임의의 기호이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AF2는 A 원자가 2개의 전자를 더 받아서 전자 껍질이 완전히 차게 되어 생성되는 화합물이므로, A는 2촉합 상태이다.
    - BF3는 B 원자가 3개의 전자를 덜 받아서 전자 껍질이 반채워지게 되어 생성되는 화합물이므로, B는 3촉합 상태이다.
    - CF3는 C 원자가 3개의 전자를 덜 받아서 전자 껍질이 반채워지게 되어 생성되는 화합물이므로, C는 3촉합 상태이다.
    - DF2는 D 원자가 2개의 전자를 덜 받아서 전자 껍질이 반채워지게 되어 생성되는 화합물이므로, D는 2촉합 상태이다.

    따라서, 옳은 보기는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은 물질 (가)~(라)의 화학식과 끓는점이다.

(가)~(라)의 끓는점의 차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라)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끓는점이 증가한다. (ㄱ)
    - (가)~(라)의 분자량 차이가 클수록 끓는점 차이도 커진다. (ㄴ)

    따라서, (가)~(라)의 분자량 차이가 크기 때문에 끓는점 차이도 크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2px오비탈을 나타낸 것이다.

2px 오비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전자는 오비탈의 경계면을 따라 운동한다.
  2. (가)와 (나)는 전자가 발견될 확률은 같다.
  3. 핵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지점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은 같다.
  4. 전자 1개가 채워질 때는 (가) 또는 (나) 어느 한 쪽에만 들어간다.
  5. 핵으로부터의 거리가 r보다 먼 지점에는 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 전자는 오비탈의 경계면을 따라 운동한다.
    - (가)와 (나)는 전자가 발견될 확률은 같다.
    → 이유: 2px 오비탈은 x축을 따라 대칭이므로, (가)와 (나) 지점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은 같다.
    - 핵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지점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은 같다.
    - 전자 1개가 채워질 때는 (가) 또는 (나) 어느 한 쪽에만 들어간다.
    - 핵으로부터의 거리가 r보다 먼 지점에는 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수소 원자의 전자 전이를 나타낸 것이다.

전자 전이 a~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는 이다.)

  1. ㄱ, ㄷ
  2. ㄱ, ㄹ
  3. ㄴ,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a: 전자가 n=2 에서 n=1로 이동하면서 에너지가 방출되므로 발광선이 방출된다. (ㄱ)
    - b: 전자가 n=3 에서 n=1로 이동하면서 에너지가 방출되므로 발광선이 방출된다. (ㄷ)
    - c: 전자가 n=1 에서 n=2로 이동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므로 발광선이 나오지 않는다. (X)
    - d: 전자가 n=1 에서 n=3으로 이동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므로 발광선이 나오지 않는다. (X)
    - e: 전자가 n=2 에서 n=3으로 이동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므로 발광선이 나오지 않는다. (X)

    따라서 정답은 "ㄱ,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표는 3주기 원소 A, B의 순차적 이온화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원소 A,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A, B는 임의의 기호이다.)

  1. A는 금속이고 B는 비금속이다.
  2. A는 B보다 원자 반지름이 작다.
  3. A는 B보다 물과의 반응성이 작다.
  4. 원자 A와 B의 양성자 수를 더하면 23이다.
  5. A와 B는 각각 산소와 결합하여 분자성 물질을 만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원자 A와 B의 양성자 수를 더하면 23이다." 이다.

    이유는 이온화에너지란 원자에서 하나의 전자를 떼어내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말하는데, 이는 원자의 전자껍질에 있는 전자들이 원자핵에 의해 얼마나 강하게 묶여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이온화에너지가 높을수록 전자가 묶여있는 정도가 높아지므로, 이온화에너지가 높은 원소는 전자를 잃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에서 A의 이온화에너지가 B보다 높으므로, A는 B보다 전자를 잃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A가 B보다 전자껍질에 있는 전자들이 원자핵에 더 강하게 묶여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A는 B보다 양성자 수가 많을 것이다. 따라서 원자 A와 B의 양성자 수를 더하면 2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이 콕으로 연결된 강철 용기에 수소와 헬륨이 들어 있다. 콕을 열고 두 기체가 충분히 혼합된 후 온도를 300K로 유지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원자량은 H=1, He=4이며 수소와 헬륨은 이상 기체로 간주한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ㄱ: 수소와 헬륨은 이상 기체로 간주되므로, 혼합된 후에는 각각의 분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며, 서로 충돌하면서 에너지를 교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열역학 제1법칙에 따라 전체 에너지는 보존되므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보기 ㄴ: 수소와 헬륨은 각각 분자량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온도에서 분자의 평균속도가 다르다. 이에 따라 수소 분자가 더 빠르게 움직이고, 헬륨 분자는 더 느리게 움직인다. 따라서 수소 분자가 충돌할 때 더 많은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게 되고, 이는 수소 분자의 열 용량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기 ㄷ: 수소와 헬륨은 각각 분자량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온도에서 분자의 평균속도가 다르다. 이에 따라 수소 분자가 더 빠르게 움직이고, 헬륨 분자는 더 느리게 움직인다. 따라서 수소 분자가 충돌할 때 더 많은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게 되고, 이는 수소 분자의 열 용량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수소 분자가 더 많은 열 용량을 가지므로, 혼합된 기체의 열 용량도 수소 분자의 열 용량에 영향을 받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래프는 300K에서 1몰의 기체 A, B에 대하여 압력 변화에 따른 PV/RT 값을 나타낸 것이다.

기체 A,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기체 A는 기체 B보다 더 많은 분자를 가지고 있다.
    - 기체 A는 기체 B보다 더 높은 압력에서 더 큰 체적을 가진다.

    위 두 가지 설명이 모두 옳기 때문에 정답은 "ㄱ, ㄷ" 입니다.

    기체 A와 B의 분자 수는 압력이 같을 때 체적이 더 큰 기체가 더 많은 분자를 가지고 있다는 이상기체법칙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압력이 같은 지점에서 기체 A의 체적이 더 크므로 기체 A는 기체 B보다 더 많은 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그래프에서 압력이 높아질수록 기체 A의 체적이 더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기체 A가 기체 B보다 분자 수가 많기 때문에 더 많은 충돌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더 큰 압력을 받아 더 큰 체적을 가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체 A는 기체 B보다 더 높은 압력에서 더 큰 체적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소량의 물을 실린더에 넣고 그림과 같이 피스톤이 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피스톤을 충분히 느리게 끌어 올렸더니 높이 h에서 물이 모두 증발하였다.

피스톤의 높이에 따른 실린더 내부 기체의 압력(P)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온도는 일정하며, 물이 차지하는 부피는 무시한다.)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물이 증발하면서 수증기가 생기면서 실린더 내부의 기체 분자 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을 끌어올리면서 실린더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대한 그래프로는 가스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P-V 그래프를 그리면 된다. 이때, 온도가 일정하므로 P-V 그래프는 직선이 된다. 따라서, 피스톤을 끌어올리면서 압력이 증가하는 그래프 중에서는 직선인 그래프가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 1>은 일정한 온도에서 압력에 따른 H2O의 부피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그림 2>는 H2O의 상평형 그림이다.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ㄱ, ㄷ"가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ㄱ. 그림 1에서 압력이 증가할수록 H2O의 부피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압력이 증가하면 H2O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져 부피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ㄷ. 그림 2에서는 압력과 온도에 따라 H2O가 고체, 액체, 기체 상태를 나타내는 상평형 그림입니다. 그림에서 보면, 압력이 낮을 때는 H2O가 기체 상태이고, 압력이 높아지면 액체 상태로 변합니다. 이는 압력이 증가하면 H2O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져 액체 상태로 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비전해질이며 비휘발성인 X와 Y의 용해도 곡선이다. 분자량은 X가 Y보다 크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 (가)의 Y수용액에 Y를 더 넣으면 녹는다.
  2. 점 (나)의 Y수용액은 점 (나)의 X수용액보다 끓는점이 높다.
  3. 점 (다)의 X수용액을 20℃로 낮추면 X가 석출된다.
  4. 점 (나)와 (다)의 X수용액은 퍼센트 농도가 같다.
  5. X 60g과 Y 60g의 혼합물을 80℃의 물 50g에 녹인 후 20℃로 냉각시키면 X만 석출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점 (나)의 Y수용액은 점 (나)의 X수용액보다 끓는점이 높다는 이유는, 그림에서 X와 Y의 용해도 곡선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X의 농도가 더 높기 때문입니다. 이 지점에서 X와 Y의 농도가 같아지면서 용액의 끓는점이 가장 높아집니다. 따라서, X의 농도가 높은 점 (나)의 Y수용액은 X수용액보다 끓는점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이 0.5m과 1.0m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이 각각 100g씩 담긴 비커를 수증기로 포화된 용기에 넣고 밀폐시켰다.

밀폐된 시점부터 용기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ㄴ, ㄷ"가 옳다.

    - 0.5m 염화나트륨 수용액은 농도가 낮기 때문에 수증기압이 낮다. 따라서 수증기압이 높은 1.0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서 수증기가 0.5m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0.5m 염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가 증가하고, 1.0m 염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가 감소한다. 이 과정에서는 열이 방출되지 않으므로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 수증기압이 높은 1.0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서 수증기가 0.5m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동하면서, 1.0m 염화나트륨 수용액의 부피가 감소하고 0.5m 염화나트륨 수용액의 부피가 증가한다. 이로 인해 용기 내 총 부피는 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