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7-12)

수능(지구과학II)
(2013-07-12 기출문제)

목록

1. 그림은 깊이에 따른 지구 내부 온도와 물질의 용융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 ㄷ"가 옳은 것은 지구 내부의 온도와 물질의 용융 온도가 깊이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지구 내부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압력과 온도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물질의 상태도 변화한다. 지구 내부의 온도와 물질의 상태 변화는 지진, 화산 폭발 등 지구의 지질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 (가)는 지구 자기의 요소를, (나)는 50년 동안 자북극의 예상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ㄱ"

    - (가)는 지구 자기의 요소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나)는 자북극의 예상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 (가)에서는 지구 자기장의 북극과 남극이 위치한 지점, 지구 자기장의 축과 자기장의 강도 등을 보여준다.
    - (나)에서는 50년 동안 자북극이 이동한 경로를 보여준다.
    - 따라서, (가)와 (나)는 서로 다른 내용을 나타내므로 "ㄱ"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규산염 광물의 결정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 ㄷ"가 옳은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결정 구조가 이온 결합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규산염은 금속 이온과 비금속 이온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이온 결합은 금속 이온과 비금속 이온 사이의 전자 기부와 수용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이온 결합은 결정 구조에서 규칙적인 패턴을 이루며, 이에 따라 규산염 결정 구조는 규칙적인 형태를 띠게 된다. 따라서 "ㄴ, ㄷ"가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영희가 편마암 박편을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박편의 표면에는 불규칙한 모양의 홈과 돌출이 있어서 "ㄴ" 모양의 그림과 같이 보인다.
    - 확대된 이미지에서는 박편의 내부 구조가 "ㄷ" 모양으로 보인다. 이는 박편이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 (가)는 어느 하천에서 관찰한 퇴적물을, (나)는 이 하천의 상류와 하류에서 채취한 퇴적물의 입자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ㄴ"입니다.

    가) 그림에서는 하천에서 채취한 퇴적물의 입자 크기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하천에서 수송되는 입자들이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 입자 분포 그래프에서는 상류와 하류에서 채취한 퇴적물의 입자 크기 분포를 비교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에서 상류에서는 작은 입자들이 많이 발견되고, 하류에서는 큰 입자들이 많이 발견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상류에서는 입자들이 더 많이 굴러다니면서 더 작아지고, 하류에서는 더 큰 입자들이 적게 굴러다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 (가)는 6000년 전부터 현재까지 캐나다 허드슨 만 지역의 빙하 융해에 의한 높이 변화를, (나)는 빙하에 의한 지각의 침강과 융기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 그림은 캐나다 허드슨 만 지역의 빙하 융해에 의한 높이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지형이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ㄱ"은 옳다.
    - (나) 그림은 빙하에 의한 지각의 침강과 융기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빙하가 침강하면서 지각이 눌리고, 녹아내리면서 지각이 올라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ㄷ"도 옳다.
    - 따라서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판의 경계와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 ㄷ" 인 이유는 그림에서 이동 방향이 판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고, 모든 칸을 한 번씩 방문할 수 있기 때문이다. "ㄱ"은 시작점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다가 맨 아래쪽으로 이동한 후,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모든 칸을 방문할 수 있다. "ㄴ"은 시작점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다가 오른쪽으로 이동한 후,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모든 칸을 방문할 수 있다. "ㄷ"는 시작점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다가 아래쪽으로 이동한 후,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모든 칸을 방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도를, 표는 화성암 A와 B에 포함된 방사성 원소 X와 자원소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 지역의 지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단, 방사성 원소 X의 반감기는 1억 년이다.) [3점]

  1. 정단층이 나타난다.
  2. A는 8억 년 전에 형성되었다.
  3. E에서는 방추충 화석이 발견될 수 있다.
  4. 최소 2회의 침강과 3회의 융기가 있었다.
  5. 지층의 생성 순서는 A→C→B→D→E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지역은 최소 2회의 침강과 3회의 융기가 있었기 때문에 지층의 생성 순서는 A→C→B→D→E이다. 이는 지질 단면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A는 8억 년 전에 형성되었으며, 방사성 원소 X의 반감기가 1억 년이므로 현재 A에는 X의 양이 매우 적다. E에서는 방추충 화석이 발견될 수 있는데, 이는 융기 후 바다에서 살았던 생물체들이 지층에 남은 흔적이다. 따라서 이 지역은 과거에 바다가 있었고, 최소 2회의 침강과 3회의 융기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학생들이 지질 답사한 A~ C 지역과 관찰한 내용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답사 지역과 관찰 내용을 옳게 짝지은 것은? (순서대로 A, B, C)

  1. (가), (나), (다)
  2. (가), (다), (나)
  3. (나), (가), (다)
  4. (나), (다), (가)
  5. (다), (나), (가)
(정답률: 알수없음)
  • - A 지역: (가) 화산재가 많이 쌓여 있고, 화산활동이 있었던 지역이므로 화산활동으로 인한 지질 변화가 많이 일어난다.
    - B 지역: (나) 강이 흐르는 지역이므로 강의 침식 작용으로 인한 지질 변화가 많이 일어난다.
    - C 지역: (다) 해안선이 많이 침식되어 있고, 바위가 부서지는 등 바람과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인한 지질 변화가 많이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 (가)는 어느 지역의 지질도이고, (나)는 B지층의 주향을 클리노미터로 측정한 것이다.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와 B는 지층의 역전이 없고, 편각은 고려하지 않는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 지질도에서는 A지층과 B지층이 나타나 있고, B지층이 A지층 위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 클리노미터로 측정한 주향은 붉은색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나 있으므로, B지층의 주향은 붉은색 화살표 방향이다. 따라서, B지층은 붉은색 화살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은 한반도가 대륙의 충돌 과정에서 만들어졌다는 한반도 충돌설과 관련된 지질 시대별 한반도 일부(남한중 지괴)의 위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그림에서 보듯이 적색선(한반도)의 위도가 지질 시대별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대륙의 충돌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 ㄴ: 그림에서 보듯이 청색선(중국 대륙)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 ㄷ: 그림에서 보듯이 녹색선(일본 제도)의 위치는 지질 시대별로 변화하고 있지만, 이는 한반도와는 별개의 지질 현상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푄 현상이 나타난 어느 날 A, B 두 지역의 기온과 이슬점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괄호안의 숫자는 평년 기온과 이슬점이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 ㄴ"이 옳은 이유는 A 지역은 이슬점이 평년보다 높고, 기온이 평년보다 낮기 때문에 습한 날씨이며, B 지역은 이슬점과 기온이 모두 평년보다 높기 때문에 무더운 날씨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 (가)와 (나)는 북반구에서 부는 바람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화살표는 풍향만을 나타낸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그림 (가)와 (나)에서 모두 북쪽에서 바람이 부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그림 (가)와 (나)에서 바람이 부는 방향이 다르거나, 두 그림에서 모두 나타나지 않는 방향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 (가)는 어느 날 우리나라 주변의 500hPa 등압면 등고선을, (나)는 이 때 지상 일기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 B는 500hPa 등압면에 위치한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정답은 "ㄱ, ㄴ, ㄷ"이다.

    - "ㄱ"은 500hPa 등압면에서 A 지점과 B 지점 사이에 낮은 기압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A 지점과 B 지점 사이에 기압이 낮아져서 바람이 분다.
    - "ㄴ"은 500hPa 등압면에서 C 지점과 D 지점 사이에 높은 기압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C 지점과 D 지점 사이에 기압이 높아져서 바람이 불지 않는다.
    - "ㄷ"는 500hPa 등압면에서 E 지점과 F 지점 사이에 기압 차이가 크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E 지점과 F 지점 사이에 기압 차이가 커져서 바람이 강하게 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표는 어느 해 7월 충남 서해안 무창포에서 바다 갈라짐 현상을 볼 수 있는 날짜와 시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ㄷ"이 정답인 이유는, 표에서 7월 12일 14시 30분에 바다 갈라짐 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 시간은 보기에서 제시된 시간 중 유일하게 14시 30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ㄷ"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북반구 아열대 해양의 지형류 발생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D는 X와 Y지점의 해수에 작용하는 힘이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이 정답인 이유는, 그림에서 X와 Y 지점 사이에 위치한 해양 지형류가 발생하는 이유가 Y 지점에서 작용하는 힘이 X 지점에서 작용하는 힘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는 그림에서 Y 지점이 X 지점보다 더 많은 태양 에너지를 받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Y 지점에서 발생한 열이 X 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지형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 (가)는 대서양의 심층 순환을, (나)는 북대서양 어느 지점의 수심에 따른 용존 산소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는 대서양의 심층 순환을 나타내고, (나)는 북대서양 어느 지점의 수심에 따른 용존 산소의 농도를 나타낸다.
    - 대서양의 심층 순환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따라서 발생하며, (가)에서는 이러한 순환의 경로와 방향을 보여준다.
    - 북대서양에서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용존 산소의 농도가 감소하는데, 이는 (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따라서, 옳은 정답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 (가)는 엘니뇨, (나)는 라니냐 발생 시 태평양에서 측정한 표층 수온을 평년과의 편차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인 이유는 그림 (가)에서는 엘니뇨와 라니냐의 특징적인 수온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림 (나)에서는 이러한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과정과 영향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 (가)는 변광성 A, B의 밝기 변화를, (나)는 맥동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그림 (가)에서 변광성 A, B의 밝기 변화와 그림 (나)에서 맥동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가 모두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림 (가)에서는 A, B의 밝기 변화가 불규칙하게 일어나고, 그림 (나)에서는 맥동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가 일정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 (가)는 H-R도 상에 별의 진화 경로를, (나)는 이 진화 경로 상에 있는 어떤 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H-R도 상에서 별의 진화 경로를 나타내고, "ㄴ"은 이 진화 경로 상에 있는 어떤 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때문에, 두 그림을 함께 보면서 별의 진화 과정과 내부 구조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