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9-03)

수능(지구과학II)
(2013-09-03 기출문제)

목록

1. 표는 주요 조암 광물들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조암 광물들의 밀도가 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고, "ㄴ"은 조암 광물들의 경도가 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정보를 이용하여 주어진 조암 광물들의 물리적 성질을 비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은 지각 평형설에 근거해서 대륙 지각과 해양 지각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ㄷ"인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듯이 대륙 지각은 해수면보다 높이 있고, 해양 지각은 해수면 아래에 있기 때문에 대륙 지각은 더 많은 태양 복사를 받아서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해양 지각은 덜 받아서 더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는 지각 평형설에 근거한다. 따라서, 대륙 지역은 더 높은 기온과 건조한 기후를 가지고 있고, 해양 지역은 더 낮은 기온과 습한 기후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ㄷ"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 (가), (나), (다)는 지질 구조의 연직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은 광물층이 수평으로 놓여있는 지질 구조이다. (나)은 광물층이 기울어진 지질 구조이다. (다)은 광물층이 절벽 형태로 노출된 지질 구조이다. 이 중에서 (나)은 지하수의 흐름이나 광물층의 이동 등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하수나 광물자원 등을 연구할 때 중요한 지질 구조이다. 따라서 정답은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대기 대순환의 연직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상승기류를, "ㄴ"은 하강기류를 나타내며, "ㄱ, ㄴ"은 상승기류와 하강기류가 번갈아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그림은 대기 대순환의 연직 단면도로, 지구의 자전과 태양복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의 불균형으로 인해 대기가 상승하고 하강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상승기류는 지구의 열을 대기 상층으로 운반하고, 하강기류는 대기 하층으로 열을 운반한다. 이러한 대기 대순환은 지구의 기후와 날씨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은 은하를 형태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은하를 분류하는 기준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은 은하의 형태이기 때문이다. 그림에서 보듯이, 은하의 형태에 따라 타원형 은하, 나선형 은하, 불규칙형 은하로 분류되며, "ㄱ"은 이 중에서 타원형 은하와 나선형 은하를 모두 포함하는 분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ㄱ"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은 화성암의 종류와 이를 구성하는 조암 광물의 부피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화성암의 종류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페로그라이트이기 때문이다. 페로그라이트는 조암 광물 중에서도 크기가 큰 것이 많아 부피비가 높게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전체적인 부피비가 가장 높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판이 수렴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 ㄷ"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가)와 (나)의 판이 수렴하는 지점에서의 기울기가 모두 양수이기 때문에, 두 지점에서의 함수 값이 각각 극소값이라고 할 수 있다. (ㄱ)
    - (가)와 (나)의 판이 수렴하는 지점에서의 함수 값이 모두 같기 때문에, 이 지점에서는 극소값이 유일하다. (ㄴ)
    - (가)와 (나)의 판이 수렴하는 지점에서의 함수 값이 모두 같고, 이 지점에서의 기울기가 양수와 음수를 번갈아 가며 변하기 때문에, 이 지점에서는 극소값과 극대값이 번갈아 나타난다. (ㄷ)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A의 절대 연령은 2억 년이다.)

  1. 가장 오래된 암석은 B이다.
  2. C층에서는 삼엽충 화석이 산출될 수 있다.
  3. C층은 A에 의해 접촉 변성 작용을 받았다.
  4. C층의 기저 역암에는 D층의 암석 조각이 있다.
  5. 이 지역은 1 회 융기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오래된 암석은 B이다. 이유는 상대 연령 법칙에 따라, 아래쪽에 위치한 암층이 더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B층은 모든 층의 밑바닥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가장 오래된 암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은 지구 타원체 상의 서로 다른 두 지점 A와 B에서 표준 중력의 방향과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에서 "ㄱ"은 지구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이 표준 중력의 방향이라는 것이다. 이는 지구의 중심에서 물체로 향하는 중력이 가장 강한 방향이기 때문이다.
    - 보기에서 "ㄷ"는 지구의 타원체 모양 때문에 서로 다른 지점에서의 중력이 다르다는 것이다. 지구의 타원체 모양으로 인해 지구의 극지방에서는 적도 지역보다 중력이 약간 더 강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지점에서의 중력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지상과 상층의 기압 분포와 바람의 방향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지점 A와 B는 동일 위도에 위치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지점 A와 B가 동일 위도에 위치하므로 지상에서의 기압은 동일하다. 그러나 상층에서는 A 지점이 고기압, B 지점이 저기압이기 때문에 바람은 A에서 B로 불게 된다. 이에 따라 바람의 방향은 A에서 B로 향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은 지진 해일을 일으키는 어느 해파의 도착 시간을 10 분 간격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해파가 A, B, C 지점에 도달했을 때의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ㄴ"이다. 이유는 A 지점에서는 0분에 도착하고, B 지점에서는 10분에 도착하고, C 지점에서는 20분에 도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ㄴ"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기온이 30℃ 이고 이슬점이 22℃인 공기 덩어리가 어느 지역의 지표에서 상승하면서 생성된 구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구름을 생성할 수 있는 주위 기온선의 연직 분포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건조단열 감률은 10℃/km, 습윤 단열 감률은 5℃/km, 이슬점 감률은 2℃/km이다.)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주위 기온선은 기온이 일정한 선이고, 이를 따라 상승하면 건조단열감률에 따라 기온이 10℃/km씩 감소한다. 이슬점은 습도에 따라 변화하며, 습도가 높아질수록 이슬점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슬점이 일정한 선을 이슬점선이라 하며, 이를 따라 상승하면 습윤단열감률에 따라 기온이 5℃/km씩 감소한다. 이 문제에서는 기온이 30℃ 이고 이슬점이 22℃인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서 구름을 생성한다고 했으므로, 이슬점선을 따라 상승하면서 기온이 5℃/km씩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주위 기온선과 이슬점선이 만나는 지점이 구름 생성 가능한 지점이며, 이 지점에서의 기온은 25℃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태평양 적도 해역에서 엘니뇨 시기와 평상시의 해수면과 수온 약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엘니뇨 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엘니뇨 시기에는 태평양 동쪽 해역에서 해수면이 상승하고, 서쪽 해역에서는 하강한다. (ㄱ)
    - 엘니뇨 시기에는 동쪽 해역에서는 수온이 상승하고, 서쪽 해역에서는 하강한다. (ㄴ)
    -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ㄴ"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표는 주계열성 (가), (나), (다)의 질량(M)과 최종 진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 질량의 경우, 최종 진화 단계가 모두 다르므로 주계열성이 아니다. 따라서 "ㄱ"은 옳지 않다.
    - (나) 질량의 경우, 모두 최종 진화 단계가 동일하므로 주계열성이다. 하지만 질량이 다른 경우도 있으므로 완전한 주계열성은 아니다. 따라서 "ㄷ"는 옳지만 "ㄱ, ㄴ"은 옳지 않다.
    - (다) 질량의 경우, 모두 최종 진화 단계가 동일하고 질량도 비슷하므로 완전한 주계열성이다. 따라서 "ㄴ, ㄷ"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표는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의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은 표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수소와 헬륨을 나타내기 때문에 옳다.
    - "ㄴ"은 표에서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헬륨과 산소를 나타내기 때문에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도이다.

A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ㄴ, ㄷ"이다.

    - A층은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ㄱ)
    - A층 아래에는 사직암층이 있고, 위에는 퇴적암층이 있다. (ㄱ)
    - A층은 지형상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 (ㄴ)
    - A층은 지하수층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 (ㄷ)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은 두 지역 (가)와 (나)의 표층에서 흐르는 지형류를 나타낸 것이다. 유속은 (가)가 더 빠르고 수압 경도력은 (가)와 (나)가 같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가)와 (나)에서 밀도는 같고 중력 가속도 차는 무시한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와 (나)의 수압 경도력이 같으므로, 물체의 운동 방향은 유속이 빠른 (가)쪽으로 향한다. 따라서, (가)쪽에서 (나)쪽으로 물이 흐르는 것이다.
    - 유체의 운동에 따라 압력이 달라지는데, (가)쪽에서 빠르게 흐르는 물은 압력이 낮아지고, (나)쪽에서 느리게 흐르는 물은 압력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가)쪽에서 (나)쪽으로 압력 차이가 발생하고, 이 압력 차이가 수압 경도력을 만들어준다.
    - 따라서, (가)쪽에서 (나)쪽으로 물이 흐르는 것은 수압 경도력과 압력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보기에서는 "ㄱ,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표는 별 (가)와 (나)가 연주 운동을 하여 1년 동안 천구 상에서 움직인 궤적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표에서 별 (가)와 (나)가 연주 운동을 하여 움직인 궤적이 서로 다른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는 그래프에서 볼 수 있는데, (가)는 궤도를 돌면서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지만, (나)는 궤도를 돌면서 가속도와 감속도를 반복하며 움직인다. 따라서 (가)와 (나)의 궤적은 서로 다르며, 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어느 지진에서 발생한 P파가 지각과 맨틀을 통과하여 두 지역 (가)와 (나)에서 관측된 주시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ㄴ. 지진 발생 지점은 (다)이다.
    - P파가 지각과 맨틀을 통과하여 두 지역에서 관측되었으므로, 지진 발생 지점은 두 지역의 중간 지점인 (다)일 것이다.

    ㄷ. (가)와 (나) 지역 사이의 거리는 (가)에서 관측된 P파의 소요시간과 (나)에서 관측된 P파의 소요시간의 차이로 구할 수 있다.
    - P파는 지각과 맨틀을 통과하면서 속도가 변화하므로, (가)와 (나) 지역에서 관측된 P파의 소요시간이 다를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가)와 (나) 지역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표는 표면 온도가 같은 별 (가)와 (나)의 관측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는 지구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하고 절대 등급이 같다.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이는 (가)와 (나)가 같은 절대 등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와 (나)의 별의 크기와 밝기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나)의 표면 온도가 (가)와 같다면, (나)는 (가)와 크기와 밝기가 같은 별이며, 이는 (가)와 같은 분광형을 가진다. 이에 따라, (가)와 (나)는 모두 G2V 분광형을 가지고 있으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