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11-07)

수능(지구과학II)
(2013-11-07 기출문제)

목록

1. 그림 (가)~(다)는 서로 다른 지질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는 평평한 지형으로, 층이 수평으로 나열되어 있어 지층이 평평하게 보인다. 이러한 지형을 평원이라고 한다.
    - (나)는 층이 기울어져 있는 지형으로, 지층이 기울어져 있어서 산이나 언덕 등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형을 경사지형이라고 한다.
    - (다)는 층이 절벽 형태로 강하게 침식되어 생긴 지형으로, 절벽이나 협곡 등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형을 침식지형이라고 한다.

    따라서, "ㄱ, ㄴ, ㄷ"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 (가)는 어느 관측소에서 관측한 지진 기록을, (나)는 주시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ㄱ)은 그림 (가)와 (나)가 같은 지진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옳다. (ㄷ)는 주시곡선이 아닌 다른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틀린 선택지이다. (ㄱ, ㄴ)은 그림 (가)와 (나)가 서로 다른 지진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틀린 선택지이다. (ㄴ, ㄷ)는 그림 (가)와 (나)가 서로 다른 지진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틀린 선택지이다. (ㄱ, ㄴ, ㄷ)는 그림 (가)와 (나)가 서로 다른 지진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틀린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엘니뇨가 나타나지 않았을 때 태평양 적도 부근 해수의 연직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엘니뇨 시기에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ㄴ"은 엘니뇨 시기에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고, 열대 지역에서 강수량이 증가하며, 태평양 동부 지역에서는 건조한 기후가 되는 등의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는 그림에서 보이는 태평양 적도 부근 해수의 연직 단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마그마의 분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ㄷ"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ㄱ": 마그마가 지하에서부터 지표면까지 상승하면서 압력이 감소하면서 가스와 함께 용액이 분출되는 현상인 분출현을 나타내고 있다.
    - "ㄷ": 마그마가 지하에서부터 지표면까지 상승하면서 압력이 감소하면서 가스와 함께 용액이 분출되는 현상인 분출현과 함께, 지하에서부터 상승하는 마그마가 지층을 만나면서 압력이 증가하면서 용액이 분출되는 현상인 폭발현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은 허블의 법칙에 따라 팽창하는 우주의 모습을 나타낸 풍선 모형이다. 풍선 표면에 고정시킨 단추 A, B, C는 은하를, 물결 무늬(~)는 우주 배경 복사를 나타낸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ㄱ. 그림은 허블의 법칙을 나타내고 있다. 허블의 법칙은 우주의 팽창 속도가 거리와 비례한다는 것을 말한다. 그림에서는 단추 A, B, C가 멀어질수록 물결 무늬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ㄷ. 그림에서 단추 A, B, C는 은하를 나타내고 있다. 허블의 법칙에 따라 은하가 멀어질수록 물결 무늬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우주의 팽창 속도가 거리와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림은 우주의 팽창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허블의 법칙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 (가)와 (나)는 각각 현무암과 편마암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그림 (가)와 (나)가 모두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쿠릴 열도 주변의 판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ㄱ. 그림은 태평양과 일본해가 만나는 지역을 보여준다.
    ㄴ. 그림에서 붉은색 선은 판경계를 나타낸다.
    ㄷ. 그림에서 파란색 선은 화산섬들의 위치를 나타낸다.
    ㄱ, ㄴ. 그림에서 붉은색 선은 판경계를 나타내며, 이 지역은 지진과 화산활동이 매우 활발하다.
    ㄴ, ㄷ. 그림에서 파란색 선은 화산섬들의 위치를 나타내며, 이 지역은 화산활동이 매우 활발하다.

    정답: ㄴ, ㄷ

    해설: 그림에서 붉은색 선은 판경계를 나타내고, 이 지역은 지진과 화산활동이 매우 활발합니다. 파란색 선은 화산섬들의 위치를 나타내며, 이 지역은 화산활동이 매우 활발합니다. 따라서 ㄴ, ㄷ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은 내부 물질의 분포가 균질한 지구 타원체 상의 한 점 P에 작용하는 만유인력, 원심력, 중력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A의 크기는 위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2. B는 중력이다.
  3. 적도에서는 B와 C의 크기와 방향이 같다.
  4. 단진자의 진동 주기는 고위도로 갈수록 짧아진다.
  5. 중력의 크기는 위도 45°에서 최댓값을 가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P점은 지구 타원체 상의 임의의 점이므로, 만유인력과 원심력은 서로 상쇄되어 중력만이 작용한다. 즉, 중력은 지구의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하며, P점에서의 중력은 지구의 질량과 P점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고, P점의 위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중력의 크기는 위도 45°에서 최댓값을 가지며, 고위도로 갈수록 중력이 강해지므로 단진자의 진동 주기는 짧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은 해령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지각 열류량과 지형의 연직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각 열류량이 감소하고, "ㄴ"은 지형이 높아질수록 지각 열류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ㄷ"는 보기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옳지 않다. "ㄴ, ㄷ"는 지형의 연직 단면과 관련된 설명이지만, 거리에 따른 지각 열류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옳지 않다. "ㄱ, ㄴ, ㄷ"는 "ㄱ"과 "ㄴ"의 설명은 옳지만, "ㄷ"는 보기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옳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 (가)와 (나)는 전파 은하 M87을 각각 가시광선과 전파로 관측한 영상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가)와 (나)는 M87을 각각 가시광선과 전파로 관측한 영상이다.
    - ㄴ. 전파 영상에서는 M87 주변에 밝은 원형 구조가 관측된다.
    - ㄷ. 이 구조는 M87 주변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자기장과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가스와 먼지가 상호작용하여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은 어느 해파가 진행할 때 물 입자 운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 해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이 해파의 연직 방향의 축척은 과장되어 있다.)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 중 "ㄱ"은 옳은 설명이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파도가 물 입자를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이다. 이는 파동의 특성 중 하나인 '운동 에너지의 전달'에 의한 것이다.
    - 보기 중 "ㄷ"도 옳은 설명이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파동이 전파되는 방향과는 수직으로 입자가 움직이는 것이다. 이는 파동의 특성 중 하나인 '진폭의 전달'에 의한 것이다.
    - 따라서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북반구 상층의 편서풍 파동과 지상의 등압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ㄱ. 북반구 상층의 편서풍 파동이 지상의 등압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기압차를 유발하여 바람이 일어난다.
    ㄴ. 북반구 상층의 편서풍 파동이 지상의 등압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기압차를 줄여서 안정적인 기상상태를 유지한다.
    ㄱ,ㄷ. 북반구 상층의 편서풍 파동이 지상의 등압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기압차를 유발하여 바람이 일어나지만, 지형장애물 등으로 인해 지역적으로 바람의 강도와 방향이 변화할 수 있다.
    ㄴ,ㄷ. 북반구 상층의 편서풍 파동이 지상의 등압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기압차를 줄여서 안정적인 기상상태를 유지하지만, 지형장애물 등으로 인해 지역적으로 바람의 강도와 방향이 변화할 수 있다.
    ㄱ,ㄴ,ㄷ.

    정답은 "ㄱ"이다. 북반구 상층의 편서풍 파동이 지상의 등압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기압차를 유발하여 바람이 일어난다. 이는 지상에서는 고기압과 저기압이 형성되어 바람이 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대기파라고 하며, 대기파는 기상예보와 항공기 운항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우리나라 주요 지층과 암석의 분포를 나타낸 지체 구조도이다.

지역 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역 A는 화강암 지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그림에서도 화강암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ㄱ"이 옳다. 지역 B는 석회암 지층과 화강암 지층이 겹쳐져 있으므로 "ㄱ, ㄷ"가 옳다. 지역 C는 현무암 지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그림에서도 현무암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ㄴ"이 옳다. 지역 D는 사직암 지층과 현무암 지층이 겹쳐져 있으므로 "ㄴ, ㄷ"가 옳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성단 (가)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태양의 색지수는 0.6 이다.) [3점](14번 공통지문 문제)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 성단은 북쪽 하늘에 위치하며, 태양과 가까이 있어서 관측하기 어렵다. 이는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성단이 지평선 아래에 가려져서 관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나) 성단은 태양과 가까이 있어서 태양광에 가려져서 관측하기 어렵다. 이는 태양의 색지수가 0.6인 것을 고려하면, 성단의 밝기가 태양보다 약 4백만 배나 어두우므로 태양광에 가려져서 관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이 지역은 산지와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ㄱ)
    - 산지는 화산재와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지는 흙과 모래로 이루어져 있다. (ㄷ)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별 (가)와 (나)를 관측하여 별빛의 에너지 세기를 파장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두 별은 분광형과 절대 등급, 거리가 같고 별 (나)로부터 오는 빛만 성간 물질의 영향을 받았다.

별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ㄴ"이다.

    - 별 (가)와 (나)는 에너지 세기가 다르다. 따라서 별 (나)가 더 밝은 별이다.
    - 별 (가)와 (나)는 분광형과 절대 등급, 거리가 같다. 따라서 두 별은 같은 종류의 별이며, 크기와 거리만 다르다.
    - 별 (나)로부터 오는 빛만 성간 물질의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별 (나)의 별빛이 성간 물질에 의해 어떻게 흡수되고 산란되는지를 연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날 기온이 30℃인 공기 덩어리가 산을 넘으면서 구름이 생성되는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가)가 (나)보다 큰 값을 가지는 물리량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건조 단열 감률은 1.0℃/100m, 습윤 단열 감률은 0.5℃/100m, 이슬점 감률은 0.2℃/100m이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ㄱ) 기온: (가)와 (나)의 기온 차이는 없으므로 큰 값이 없다.
    - (ㄴ) 상승률: (나)의 상승률이 (가)보다 크므로 큰 값이 있다.
    - (ㄷ) 이슬점: (나)의 이슬점 감률이 (가)보다 크므로 큰 값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북대서양 서안의 수온 연직 분포와 이로부터 계산된 해수면의 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지점 A~E의 해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지점 A에서 지점 E로 이동할 때 수온이 상승하면서 해수면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는 열팽창의 원리에 따라 수온이 높아지면 부피가 커져서 해수면이 상승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점 A~E의 해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위도가 다른 두 지역 (가)와 (나)에서 부는 바람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지점 A~D에서 공기에 작용하는 기압 경도력의 크기는 같고, A와 B에는 지균풍이 불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A와 B 지점에서는 지균풍이 불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이 동일하다. C와 D 지점에서는 지균풍이 불지 않기 때문에 기압 경도력에 의해 바람의 방향이 결정된다. 이 때, (가) 지역에서는 기압 경도력이 북쪽으로 작용하고, (나) 지역에서는 기압 경도력이 남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이 다르다.
    - ㄴ: A와 B 지점에서는 지균풍이 불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이 동일하다. C와 D 지점에서는 지균풍이 불지 않기 때문에 기압 경도력에 의해 바람의 방향이 결정된다. 이 때, (가) 지역과 (나) 지역에서 모두 기압 경도력이 서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이 동일하다.
    - ㄷ: A와 B 지점에서는 지균풍이 불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이 동일하다. C와 D 지점에서는 지균풍이 불지 않기 때문에 기압 경도력에 의해 바람의 방향이 결정된다. 이 때, (가) 지역에서는 기압 경도력이 북쪽으로 작용하고, (나) 지역에서는 기압 경도력이 동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