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10-08)

수능(지구과학II)
(2013-10-08 기출문제)

목록

1. 다음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도를 보고 세 학생이 나눈 대화이다.

옳게 말한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철수
  2. 영희
  3. 철수, 민수
  4. 영희, 민수
  5. 철수, 영희, 민수
(정답률: 알수없음)
  • 철수가 옳게 말한 것은 "이 지역은 해저 산맥이 형성된 지역이다." 이유는 지질 단면도에서 해저 산맥 모양의 구조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영희가 말한 "이 지역은 화산 지대이다."는 지질 단면도에서 화산 활동이나 화산체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틀렸다. 철수와 민수가 말한 "이 지역은 지진이 많이 일어나는 지역이다."는 지질 단면도에서 지진 활동이나 지진 관련 구조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틀렸다. 따라서 정답은 "철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조륙 운동의 원리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과정이다.

이 실험을 통해 옳게 추론한 내용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 ㄷ"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조향 운동은 바퀴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바퀴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차체를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다. 따라서, 바퀴의 회전 방향은 항상 같은 방향으로 유지된다.
    - 조향 운동을 할 때, 내적 힘과 외적 힘이 작용하여 차체가 좌우로 움직인다. 내적 힘은 바퀴의 회전 방향과 차체의 움직임 방향이 일치할 때 발생하며, 외적 힘은 바퀴의 회전 방향과 차체의 움직임 방향이 수직일 때 발생한다.
    - 따라서, 바퀴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내적 힘과 외적 힘을 조절하면 차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좌우로 움직이는 조향 운동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어느 지역의 판의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ㄷ"이 옳은 이유는 그림에서 두 개의 판이 교차하는 지점이 "ㄷ"자 모양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그림에서 나타나지 않는 판의 경계를 포함하고 있거나, "ㄷ"자 모양이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방사성 동위 원소인 14C가 14N로 붕괴될 때 두 원소의 양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14C가 베타 붕괴를 일으켜 14N이 되면서 양전하가 1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ㄷ"는 14N이 알파 붕괴를 일으켜 10Be와 4He로 분해되면서 양전하가 2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ㄴ"은 14C가 베타 붕괴를 일으켜 14N이 되면서 양전하가 1 증가하고, 이후 14N이 알파 붕괴를 일으켜 10Be와 4He로 분해되면서 양전하가 2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ㄱ, ㄴ, ㄷ"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표는 광물 A, B, C의 성질을 정리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는 깨짐이다.
  2. A와 B는 규산염 광물이다.
  3. A는 무색 광물, B는 유색 광물이다.
  4. A와 C를 서로 긁으면 A의 표면에 흠집이 난다.
  5. C에 염산을 떨어뜨리면 이산화 탄소가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A와 C를 서로 긁으면 A의 표면에 흠집이 난다." 이다. 이유는 표에서 A와 C는 모두 규산염 광물로 되어 있으며, 규산염 광물은 모두 같은 경도를 가지기 때문에 서로 긁어도 흠집이 날 일은 없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은 진앙 거리에 따른 P파의 최초 도착 시간과 P파의 진행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P파가 직진하면서 최초 도착 시간이 가장 빠른 경로를 나타내고, "ㄷ"는 P파가 우회하여 최초 도착 시간이 더 늦은 경로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림에서 P파의 진행 경로와 최초 도착 시간을 고려하면 "ㄱ, ㄷ"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도를 나타낸 것이다.

X - Y의 지질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은?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X - Y 지점에서는 지층이 굽어지고 있으며, 그 아래에 있는 지층은 점점 깊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하수층도 깊어지고 있으며, 지하수층의 물은 지하수 이동에 따라 X - Y 지점에서 나오게 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 (가)는 서로 다른 지질 시대의 두 퇴적층의 분포를, (나)는 주요 석탄 광산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지질 시대와 석탄 광산의 분포가 서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림 (가)에서는 지질 시대별로 퇴적층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고, 이는 지질 시대에 따라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는 지질 현상이나 외부적인 환경 변화 등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지질 현상과 환경 변화는 석탄 광산의 형성과 연관이 있으며, 따라서 지질 시대와 석탄 광산의 분포는 서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은 절대 등급이 같은 세 별 A, B, C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그림의 숫자는 겉보기 등급이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A, B, C 중에서 A가 가장 밝은 등급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그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ㄱ"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북반구의 편동풍 파동과 그 주위의 기압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에서 "ㄴ"은 북반구의 편동풍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것을 나타내고, "ㄷ"는 편동풍과 기압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파동이 동쪽으로 진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 따라서, 그림에서 북반구의 편동풍 파동과 그 주위의 기압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ㄴ,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 (가)는 해파가 접근하는 해안의 단면을, (나)는 A보다 깊은 곳에서 진행하는 두 해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 그림에서는 해안으로부터 해저까지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해파가 접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나) 그림에서는 A 지점보다 깊은 곳에서 두 개의 해파가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표는 대폭발 우주론과 정상 우주론의 시간에 따른 주요 물리량의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A), (B)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A, B)

  1. 증가, 증가
  2. 증가, 감소
  3. 증가, 일정
  4. 감소, 증가
  5. 감소,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A: 물리 상수의 감소, B: 에너지 밀도의 증가
    A는 대폭발 우주론에서 초기에는 높았던 물리 상수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B는 정상 우주론에서 초기에는 낮았던 에너지 밀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우주의 확장으로 인해 밀도가 감소하고, 그에 따라 에너지 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대서양의 심층 순환을 나타낸 것이다.

해류 A, B, C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해류 A는 북대서양 극지방에서 시작되어 남쪽으로 향하는 따뜻하고 염분이 높은 해류이다. 해류 B는 북대서양에서 시작되어 북극으로 향하는 차가운 해류이다. 해류 C는 북극에서 시작되어 남쪽으로 향하는 차가운 해류이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ㄱ"인 해류 A는 따뜻하고 염분이 높은 해류이고, 해류 B와 C는 차가운 해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 (가)는 수압 차이에 의해 물이 이동하는 원리를 알아보는 장치를, (나)는 동일한 고도에서 수평 기압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수압 차이에 의해 물이 이동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그림과 일치하고, "ㄴ"은 동일한 고도에서 수평 기압 분포를 나타내는 그림과 일치하기 때문에 "ㄱ,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 (가)는 어느 지역의 높이에 따른 기온 분포를, (나)는 이 지역의 지표에서 25 ℃로 가열된 공기 덩어리가 단열 상승할 때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건조 단열 감률은 1 ℃/ 100 m, 습윤 단열 감률은 0.5 ℃/100 m, 이슬점 감률은 0.2 ℃/ 100 m이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ㄴ) 지표에서 25 ℃로 가열된 공기 덩어리가 단열 상승할 때, 고도가 1000 m인 지점에서는 온도가 15 ℃로 낮아진다. 이는 건조 단열 감률인 1 ℃/100 m에 따른 것이다.
    - (ㄷ) 고도가 2000 m인 지점에서는 이슬점이 -5 ℃로 낮아진다. 이는 이슬점 감률인 0.2 ℃/100 m에 따른 것이다.
    - (ㄱ, ㄴ) 그림 (가)에서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건조 단열 감률에 따른 것이다. 그리고 (나)에서는 단열 상승에 따라 온도와 이슬점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건조 단열 감률과 이슬점 감률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이다.
    - (ㄱ, ㄷ) 그림 (가)에서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건조 단열 감률에 따른 것이다. 그리고 (나)에서는 단열 상승에 따라 온도와 이슬점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건조 단열 감률과 이슬점 감률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ㄱ, ㄷ)이 정답이다.
    - (ㄱ, ㄴ, ㄷ)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그림 (가)와 (나)에서 모두 건조 단열 감률과 이슬점 감률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ㄱ, ㄴ, ㄷ)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달의 기조력에 의한 해수면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달에 의한 기조력만을 고려하며, 지형에 의한 영향과 해수의 관성은 무시한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 "ㄴ"은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가장 멀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달의 기조력이 가장 강할 때와 약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 (가)는 여러 산개 성단의 H - R도를, (나)는 구상 성단인 M13의 H - R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ㄷ"는 그림 (가)와 (나)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다. 그림 (가)는 여러 산개 성단의 H - R도를 보여주고 있지만, (나)는 구상 성단인 M13의 H - R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어떤 가상의 은하에서 케플러 회전을 하고 있는 나선팔에 위치한 관측자와 성간운 A, B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성간운 A와 B는 나선팔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해 있다. (ㄱ)
    - 관측자는 나선팔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성간운 A와 B의 속도가 더 빨라 보인다. (ㄴ)

    따라서 정답은 "ㄱ,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 (가)는 원궤도로 공전하는 식쌍성 A와 B를, (나)는 Hα흡수선의 스펙트럼 상에서 원래 파장과 지구에서 관측한 별 B의 파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① A와 B는 서로 다른 질량을 가진 이중성계이다.
    ③ 별 B는 지구로부터 멀어질수록 파장이 빨갛게 이동한다.
    ④ 별 A와 B는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진 별이다.

    정답: "ㄱ, ㄴ, ㄷ"

    ①은 그림 (가)에서 식쌍성 A와 B가 원궤도로 공전하는 것을 보고 유추할 수 있다.
    ③은 그림 (나)에서 Hα흡수선의 스펙트럼 상에서 별 B의 파장이 빨갛게 이동하는 것을 보고 유추할 수 있다.
    ④은 그림에서는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지만, 별 A와 B가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진 별이라는 것은 이중성계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 (가)는 H - R도에 태양과 별 ㉠, ㉡을, (나)는 주계열성의 질량- 광도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ㄷ"인 이유는, 그림 (가)에서 볼 수 있듯이 주계열성의 질량-광도 관계는 질량이 증가할수록 광도도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 (나)에서 주어진 별 ㉠과 ㉡은 태양보다 질량이 크기 때문에 광도도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주계열성의 질량-광도 관계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