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6-2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2016-06-25 기출문제)

목록

1. 복합용도개발(Mixed-use Development)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0세기 초 아테네헌장에서 주장된 용도순화나 기능분리의 원칙과는 다른 개념이다.
  2. 다양한 기능공간을 복합하므로 구조, 설비계획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3. 기능이 복합되므로 사용자를 고려한 프로그래밍이 필요하고, 물리적, 기능적 연계를 고려하여야 한다.
  4. 이론적으로는 도심공동화, 출퇴근 교통문제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상복합건축물도 이 개발의 한 형식이다.
(정답률: 75%)
  • 다양한 기능공간을 복합하므로 구조, 설비계획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는 것은 옳은 특성이다. 이는 다양한 기능공간을 하나의 건물 내에 통합하여 설계하므로, 구조와 설비계획이 각 공간마다 따로따로 계획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주택단지가 기간도로와 접하는 폭 또는 주택단지 진입도로의 폭을 결정하는 근거로 가장 옳은 것은?

  1. 주동 높이와 주호조합 형식
  2. 주택의 규모와 분양가
  3. 주택단지 출입구의 개수
  4. 주택단지 총세대수
(정답률: 알수없음)
  • 주택단지 총세대수는 해당 지역의 인구 밀도와 주거 수요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주택단지가 기간도로와 접하는 폭 또는 진입도로의 폭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총세대수가 많을수록 인구 밀도가 높아지므로, 더 많은 차량이 이동하게 되어 도로 폭이 넓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택단지 진입도로의 폭도 총세대수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건축공간⋅형태의 비례와 스케일을 계획할 때 모듈계획의 필요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의 규모, 종류, 기능에 관계없이 모듈을 정한다.
  2. 건물전체에 대한 비례, 균형 및 통일감을 얻을 수 있다.
  3. 융통성이 있는 공간계획을 위해서는 구조모듈과 계획모듈의 조절작업이 필요하다.
  4. 모듈이란 그리스에서 열주(order)의 지름을 1M이라 했을 때 높이, 간격, 실폭, 길이 등 다른 부분들을 비례적으로 지칭하는 기본단위이다.
(정답률: 91%)
  • "건축의 규모, 종류, 기능에 관계없이 모듈을 정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건축의 규모, 종류, 기능에 따라 모듈의 크기와 형태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주거용 건물의 모듈 크기는 상업용 건물의 모듈 크기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듈계획은 건축의 규모, 종류,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모듈 크기와 형태를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듈계획을 통해 건물 전체에 대한 비례, 균형 및 통일감을 얻을 수 있으며, 융통성이 있는 공간계획을 위해서는 구조모듈과 계획모듈의 조절작업이 필요합니다. 모듈이란 그리스에서 열주(order)의 지름을 1M이라 했을 때 높이, 간격, 실폭, 길이 등 다른 부분들을 비례적으로 지칭하는 기본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건축계획 용어와 단위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광속 - 룩스(lux)
  2. 열관류율 - kcal/m2⋅h⋅℃
  3. 단위중량 - kg⋅m2
  4. 휘도 - lumen/m2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열관류율 - kcal/m2⋅h⋅℃

    열관류율은 단위면적당 열의 전달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는 kcal/m2⋅h⋅℃이다. 이는 1m2 면적에서 1시간 동안 1℃의 온도차이가 발생할 때 전달되는 열의 양을 나타낸다. 따라서 열저항의 역수인 열전도도와는 단위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경로당은 아래 노인복지시설 중 어느 구분에 속하는가?

  1. 노인주거복지시설
  2. 노인의료복지시설
  3. 노인여가복지시설
  4. 재가노인복지시설
(정답률: 77%)
  • 경로당은 노인들이 자유롭게 모여서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노인여가복지시설에 속합니다. 노인주거복지시설은 노인들이 거주하는 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은 노인들의 건강을 관리하는 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은 노인들이 자신의 집에서 일상생활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지원을 받는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프랑스의 세계적인 근대 건축가인 르 꼬르뷔제(Le Corbusier)의 작품이 아닌 것은?

  1. 사보아 주택(Villa Savoy)
  2. 롱샹 성당(Notre-Dame du Haut, Ronchamp)
  3. 유니테 다비타시옹(Unitéd Habitation)
  4.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

    설명: 르 꼬르뷔제는 사보아 주택, 롱샹 성당, 유니테 다비타시옹 등의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하지만 퐁피두 센터는 르 꼬르뷔제와 함께 설계한 작품이 아니며, 르 꼬르뷔제가 사망한 후에 건축가 리처드 로젠만(Richard Rogers)과 르네 프리드킨(Renzo Piano)이 설계한 작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오피스에서 코어의 역할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용부분을 집약시켜 유효 임대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
  2. 각 층의 층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
  3. 내력적 구조체로서의 역할
  4. 파이프, 덕트 등 설비요소를 집약하여 설치하는 공간의 역할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층의 층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은 옳지 않습니다. 코어는 건물 내부에서 중심축을 형성하며, 공용부분을 집약시켜 유효 임대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호텔의 입지 선정과 배치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커머셜 호텔(commercial hotel)은 경관과 체육시설을 우선으로 부지를 선정하여야 한다.
  2. 레지덴셜 호텔(residential hotel)은 편의성과 거주환경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입지 선정이 필요하다.
  3. 리조트 호텔(resort hotel)은 조망, 쾌적성을 고려하고 장래 증축을 고려하여 건축물을 배치하여야 한다.
  4. 시티 호텔(city hotel)은 보통 좁은 부지에 건립되므로 주현관과 주차장의 연계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80%)
  • "커머셜 호텔(commercial hotel)은 경관과 체육시설을 우선으로 부지를 선정하여야 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커머셜 호텔은 비즈니스 고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교통이 편리하고 시내 중심지에 위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입지 선정 시 교통편이 우수하고 시내 중심지에 위치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유치원 계획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입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을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2. 통원거리는 이용자 수뿐만 아니라, 통학로와 스쿨버스 노선의 위험성을 분석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 유치원의 대지면적은 원아의 연령 비율, 교사 수, 식당의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
  4. 유아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을 위해 실내공간과 외부공간이 상호 연계되도록 계획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치원의 대지면적은 원아의 연령 비율, 교사 수, 식당의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유치원의 대지면적은 위의 요소들 중 하나에만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부분적이고 불완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구립 공공도서관을 계획하기 위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람실은 성인 1인당 2.0~2.5m2로 환산하여 대규모로 한 곳에 집중배치한다.
  2.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중심으로서, 교통이 편리하고 소음이 없으며 주변환경이 깨끗한 곳을 부지로 선정한다.
  3. 캐럴(Carrel)은 열람자의 도서접근성을 고려하여 서고 내부에 두어도 좋다.
  4. 최근에는 도서관이 시민 갤러리, 시청각정보서비스, 영상미디어센터 등으로 그 용도가 복합화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람실은 성인 1인당 2.0~2.5m2로 환산하여 대규모로 한 곳에 집중배치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대규모로 한 곳에 집중배치하는 것은 열람자들의 편의성을 해치기 때문입니다. 대신 작은 규모의 열람실을 여러 곳에 분산하여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열람자들이 가까운 곳에서 책을 찾아볼 수 있으며, 혼잡도도 줄어들어 편안한 분위기에서 독서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실내체육관 건축계획 관련사항 중 잘못 기술된 것은?

  1. 경기장의 규모는 배구코트를 기준으로 결정한다.
  2. 체육관의 부문별 구성은 경기부분, 관람부분, 관리부분으로 나누어진다.
  3. 실내체육관의 벽면은 목질계, 유공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4. 천장높이는 볼이 높이 솟아오를 경우를 대비하여야 하며, 배구경기의 경우 12.5m가 필요하다.
(정답률: 90%)
  • "경기장의 규모는 배구코트를 기준으로 결정한다."이 잘못 기술된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배구는 다양한 체육활동 중에서 가장 큰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구코트를 기준으로 건축계획을 세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구민회관으로 이용가능한 극장의 기본계획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관한 기술이다. 옳은 것은?

  1. 극장계획에서 그린 룸(green room)은 일반인들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서, 주출입구 전면 로비근처에 배치한다.
  2. 원형이나 타원형평면은 공간의 상징성 측면이나 음향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평면형상이다.
  3. 플라이 갤러리(fly gallery)는 관람객이 전시물을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한 극장 내 전시시설이다.
  4. 극장 내부의 음향을 고려하여, 전면 무대측에는 반사재를 후면 객석하부에는 흡음재를 계획한다.
(정답률: 73%)
  • 극장 내부의 음향을 고려하여, 전면 무대측에는 반사재를 후면 객석하부에는 흡음재를 계획하는 이유는, 전면 무대측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객석쪽으로 반사되어 음향이 좋아지지만, 후면 객석하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반대로 객석쪽으로 향하지 않고 흡음재로 흡수되어 음향이 좋아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면 무대측에는 반사재를, 후면 객석하부에는 흡음재를 사용하여 음향을 균형있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축에서 공간, 형태구성 원리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대칭과 균형
  2. 비례와 스케일
  3. 통일성과 획일성
  4. 조화와 대비
(정답률: 62%)
  • 정답은 "통일성과 획일성"입니다.

    건축에서는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통해 공간을 조성합니다. 이때, 대칭과 균형, 비례와 스케일, 조화와 대비 등의 원리를 활용하여 조화로운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통일성과 획일성은 공간을 단조롭고 지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모든 부분이 동일한 형태나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공간에 다양성과 흥미를 더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축에서는 통일성과 획일성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활용하여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결로와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벽체의 열관류율이 작고, 틈 사이가 큰 건물에서 발생하기 쉽다.
  2. 환기가 잘되어 외기와 자주 만나는 곳에 발생하기 쉽다.
  3. 구조상 일부 벽이 얇아지거나, 열관류저항이 작은 부분이 생기면 결로하기 쉽다.
  4. 목조주택이 콘크리트주택보다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결로는 습기가 공기 중에서 응축되어 생기는 것이므로, 열이 잘 전달되는 부분에서는 습기가 쉽게 응축되어 결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벽체의 열관류율이 작고, 틈 사이가 큰 건물보다는 구조상 일부 벽이 얇아지거나, 열관류저항이 작은 부분이 생기는 경우에 결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기>에 나열된 시스템은 다음 중 어떤 설비에 속하는가?

  1. 급탕설비
  2. 급수설비
  3. 소화설비
  4. 난방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 나열된 시스템은 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주로 건물 내부에서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급수설비"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건축계획과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프로그래밍은 건축설계에 앞서 프로젝트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점들을 찾는 작업이다.
  2. 건축프로그래밍에서 정보수집의 방법에는 선험연구, 인터뷰, 설문, 관찰, 실험 등이 있다.
  3. 건축계획단계에서는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설계지침이나 설계기준을 정리한다.
  4. 건축프로그래밍은 추출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종합적인 결정과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축계획과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건축계획단계에서는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설계지침이나 설계기준을 정리한다."입니다. 건축계획단계에서는 건축프로그래밍을 통해 문제점을 찾고 해결하는 과정을 거치며, 이후에 설계지침이나 설계기준을 정리하게 됩니다. 따라서 "건축프로그래밍은 추출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종합적인 결정과정이다."라는 설명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한 편의시설의 세부기준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접근로의 기울기는 18분의 1이하로 하여야 한다. 다만, 지형상 곤란한 경우에는 12분의 1까지 완화할 수 있다.
  2. 휠체어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접근로의 유효폭은 1.2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크기는 주차대수 1대에 대하여 폭 3.3미터 이상, 길이 5.0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출입구(문)는 통과유효폭을 0.9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출입구(문)의 전면 유효거리는 1.0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것은 "출입구(문)는 통과유효폭을 0.9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출입구(문)의 전면 유효거리는 1.0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가 아닌 것입니다. 이유는 이 내용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른 편의시설의 세부기준 중 하나로, 출입구(문)의 통과유효폭과 전면 유효거리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내용은 옳은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건축가와 그 작품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김중업 - 프랑스 대사관
  2. 김수근 - 구 공간 사옥
  3. 승효상 - 서울 시청 신청사
  4. 이희태 - 절두산성당
(정답률: 알수없음)
  • 승효상은 서울 시청 신청사를 설계한 건축가가 맞지만, 이 작품은 이미지 검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승효상 - 서울 시청 신청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대지의 측량이나 건축물의 건축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 건축물 및 대지관련 허용 오차 중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범위 내의 허용오차로 적절한 것은?

  1. 인접대지 경계선과의 거리 : 3% 이내
  2. 건폐율 : 1% 이내(건축면적 5m2를 초과할 수 없다.)
  3. 용적률 : 2% 이내(연면적 30m2를 초과할 수 없다.)
  4. 건축물 높이 : 3% 이내(1m를 초과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접대지 경계선과의 거리가 3% 이내로 허용되는 이유는 인접한 대지와의 거리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함으로써 인접한 건축물과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고, 인접한 대지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건축물의 안전성과 인접한 대지의 권리 보호를 동시에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건축물의 피난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용도별 기준면적 이상의 다중이용시설을 지하층에 계획할 경우, 피난을 위해 천장이 개방된 외부공간을 설치한다.
  2. 대지 안의 통로와 공지는 피난과 소화를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확보 기준이 다르다.
  3. 건축물의 피난층으로 이르는 직통계단의 개수와 보행거리는 그 층의 용도와 바닥면적에 따라 달리 계획한다.
  4. 관람석과 집회실로부터 출구 문을 안여닫이로 하는 것은 재난 시 관객과 이용자의 대피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정답률: 73%)
  • 정답: "용도별 기준면적 이상의 다중이용시설을 지하층에 계획할 경우, 피난을 위해 천장이 개방된 외부공간을 설치한다."

    해설: 건축물의 피난계획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용도별 기준면적 이상의 다중이용시설을 지하층에 계획할 경우, 피난을 위해 천장이 개방된 외부공간을 설치한다."입니다. 이는 오히려 지하층에 위치한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대피를 위해 지상층으로 이동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지하층 내부에 대피공간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옳은 내용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가장 옳지 않은 것입니다.

    그리고 "관람석과 집회실로부터 출구 문을 안여닫이로 하는 것은 재난 시 관객과 이용자의 대피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는 옳은 내용입니다. 관람석과 집회실 등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공간에서는 대피를 위해 출구 문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