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6-2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2017-06-24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중 주심포양식의 건축물이 아닌 것은?

  1. 수덕사 대웅전
  2. 봉정사 극락전
  3. 부석사 무량수전
  4. 심원사 보광전
(정답률: 92%)
  • 심원사 보광전은 주심포양식이 아닌 대표적인 조선시대 목조건축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오피스 랜드스케이프 계획의 장점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의사전달의 융통성이 있고, 장애요인이 거의 없다.
  2. 개실형 배치형식보다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3. 변화하는 작업의 패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4. 소음 발생이 적고 사생활보호가 쉽다.
(정답률: 100%)
  • 오피스 랜드스케이프 계획의 장점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소음 발생이 적고 사생활보호가 쉽다." 입니다. 이유는 오피스 랜드스케이프는 개방적인 공간 구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소음 발생이 많고, 개인적인 공간이 부족하여 사생활보호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장 건축에서 지붕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솟음지붕은 채광 및 환기에 적합한 형태로 채광창의 경사에 따라 채광이 조절된다.
  2. 뾰족지붕은 직사광선을 완전히 차단하는 형태이다.
  3. 톱날지붕은 채광과 환기 등은 연구의 여지가 있지만 기둥이 적게 소요되어 공간이용이 효율적인 형태이다.
  4. 샤렌구조에 의한 지붕은 기둥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기계배치의 융통성 및 작업 능력의 감소를 초래한다.
(정답률: 93%)
  • 솟음지붕은 경사가 있어 채광창을 설치하여 채광과 환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채광 및 환기에 적합한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교과교실제(V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교실을 교과전용의 특별교실로 구성한다.
  2. 홈베이스는 학습준비를 위한 미디어 공간을 말한다.
  3. 교과블록은 각 교과교실, 교사연구실, 미디어 공간, 세미나실이 하나의 공간에 집합되어 구성된다.
  4. 각 교과마다 전문적인 시설을 갖출 수 있으며 높은 실이용률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는 형태이다.
(정답률: 75%)
  • 정답은 "모든 교실을 교과전용의 특별교실로 구성한다."입니다. V형 교과교실제는 교과블록을 중심으로 교과교실, 교사연구실, 미디어 공간, 세미나실 등이 하나의 공간에 집합되어 구성되며, 각 교과마다 전문적인 시설을 갖출 수 있으며 높은 실이용률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는 형태입니다. 홈베이스는 학습준비를 위한 미디어 공간을 말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도서관 건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큰 규모의 도서관일 경우 이용자의 계층을 구분하여 출입구를 별도로 설정한다.
  2. 도서와 가까운 위치에 연구를 할 수 있는 개인연구용 열람실을 제공한다.
  3. 서고는 모듈러 시스템에 의하며 위치를 고정하지 않는다.
  4. 필요한 전체 바닥면적에 대한 층수를 많게 하여 1층당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9%)
  • 필요한 전체 바닥면적에 대한 층수를 많게 하여 1층당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좋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고려할 때 적절하지 않은 설계 방식입니다. 적절한 층수와 면적을 고려하여 건축물을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모듈(module)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현장조립가공이 주 업무가 되므로 시공기술에 따른 공사의 질적 저하와 격차가 커진다.
  2. 건축구성재의 대량 생산이 용이해지고, 생산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
  3. 설계작업과 현장작업이 단순화되어 공사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4. 동일 형태가 집단으로 이루어지므로 시각적 단조로움이 생길 수 있다.
(정답률: 100%)
  • "현장조립가공이 주 업무가 되므로 시공기술에 따른 공사의 질적 저하와 격차가 커진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현장조립가공은 공장에서 제작된 부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공장에서 제작된 부품은 일정한 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시공기술에 따른 공사의 질적 저하와 격차가 줄어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병원 건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병동부문은 환자가 주 ㆍ 야로 생활하며, 입원생활을 하면서 진찰 및 간호를 받는다.
  2. 외래부문은 환자들이 찾기 쉽고 접근하기 쉬운 곳에 위치해야 하며 환자가 통원하면서 진찰과 진료를 받는다.
  3. 중앙진료부문은 외래환자와 병동환자의 접근이 용이해야 하며, 변화와 확장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와 설비를 고려해야 한다.
  4. 중앙진료부문은 병원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병원 면적 중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한다.
(정답률: 94%)
  • 병원 건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중앙진료부문은 병원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병원 면적 중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한다."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병원 건축에서는 옳은 설명이지만, 모든 병원 건축에서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일부 병원은 중앙진료부문보다 병동부문이 더 큰 면적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앙진료부문은 외래환자와 병동환자의 접근이 용이해야 하며, 변화와 확장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와 설비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병원 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며, 병원의 기능성과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호텔건축에서 관리부분에 속하는 실로 옳은 것은?

  1. 클로크 룸
  2. 린넨실
  3. 보이실
  4. 배선실
(정답률: 69%)
  • 클로크 룸은 호텔 고객들이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 시에 자신의 옷이나 짐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으로, 관리부분에 속합니다. 린넨실은 호텔에서 사용하는 수건, 침대시트 등의 세탁 및 보관을 담당하는 공간이며, 보이실은 직원들이 근무할 때 개인 물품을 보관하는 공간입니다. 배선실은 전기 및 통신 시설의 관리를 담당하는 공간으로, 호텔 건축에서는 기계실 등과 함께 기능적인 부분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장애인 ㆍ 노인 ㆍ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편의시설의 구조 ㆍ 재질 등에 관한 세부 기준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은 직각주차의 경우 3.3m×5.0m 이상으로 한다.
  2. 출입구의 통과유효폭은 0.8m 이상으로 한다.
  3. 장애인전용화장실의 대변기 전면 활동공간은 1.2m×1.2m 이상으로 한다.
  4. 휠체어 사용자용 세면대의 경우 상단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85m, 하단 높이는 0.65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54%)
  •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은 직각주차의 경우 3.3m×5.0m 이상으로 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입니다. 실제로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은 직각주차의 경우 3.3m×4.8m 이상으로 한다."가 맞는 기준입니다.

    장애인전용화장실의 대변기 전면 활동공간은 1.2m×1.2m 이상으로 한 이유는, 휠체어를 타고 화장실에 들어가서 대변을 보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대변기 전면에는 휠체어를 놓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최소한 1.2m×1.2m의 공간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간접난방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1. 온풍난방
  2. 온수난방
  3. 증기난방
  4. 복사난방
(정답률: 87%)
  • 온풍난방은 공기를 가열하여 방 안으로 순환시켜 온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직접난방이 아닌 간접난방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건축법 시행령」상 공개공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건축물에 공개공지를 설치하는 경우 공개공지의 면적은 대지면적의 15% 이하의 범위에서 건축조례로 정한다.
  2. 문화 및 집회시설이나 업무 및 숙박시설은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m2 이상인 경우 공개공지를 확보해야 한다.
  3. 건축물에 공개공지를 설치하는 경우 용적률은 해당 지역에 적용하는 용적률의 1.2배 이하의 범위 안에서 건축조례로 완화할 수 있다.
  4. 공개공지에서는 주민을 위한 문화행사나 판촉행사를 할 수 없다.
(정답률: 69%)
  • 건축물에 공개공지를 설치하는 경우 용적률은 해당 지역에 적용하는 용적률의 1.2배 이하의 범위 안에서 건축조례로 완화할 수 있다. 이는 건축법 시행령에서 정한 내용으로, 공개공지 설치 시 용적률을 완화할 수 있는 범위를 규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테라스 하우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향식 테라스 하우스는 가장 낮은 곳에는 차고를 두고 가장 높은 곳에는 정원을 둔다.
  2. 하향식 테라스 하우스는 상층에 거실 등 주 생활공간을 둔다.
  3. 일반적으로 각 세대의 깊이가 6~7.5m 이상 되어서는 안 된다.
  4. 지형의 경사도가 클수록 밀도는 낮아진다.
(정답률: 100%)
  • "지형의 경사도가 클수록 밀도는 낮아진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지형의 경사도가 낮을수록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지형이 완만할수록 더 많은 집을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연장 건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프로시니엄(proscenium)형은 객석 수용능력에 탄력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2. 최전열 단부에 앉은 관객이 무대를 볼 때 수평시각의 허용한도는 보통 60 로 한다.
  3. 명낭현상(fluttering echo)을 방지하기 위해 천장에 V형 경사면을 계획한다.
  4. 이상적인 무대 상부공간의 높이는 프로시니엄 높이의 3배 이상이 되는 것이 좋다.
(정답률: 50%)
  • 최전열 단부에 앉은 관객이 무대를 볼 때 수평시각의 허용한도는 보통 60으로 한다. 이는 관객들이 무대를 보기 위해 목을 돌리지 않고도 편안하게 시선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며, 이를 넘어가면 관객들이 불편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공연장 건축에서는 이러한 수평시각의 허용한도를 고려하여 객석의 배치와 무대의 위치를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우리나라 전통 한식주택과 양식주택의 차이점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한식주택은 개방형이며 실의 분화로 되어 있고 양식주택은 은폐적이며 실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2. 양식주택은 한식주택과 비교해 바닥이 높고 개구부가 작고 적다.
  3. 한식주택은 안방, 건넌방, 사랑방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각 실이 다목적이어서 실의 사용용도가 확실히 구분되어 있지 않다.
  4. 양식주택은 한식주택에 비해 개인의 생활공간이 보호되는 유리한 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주거면적이 소요된다.
(정답률: 93%)
  • 한식주택은 안방, 건넌방, 사랑방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각 실이 다목적이어서 실의 사용용도가 확실히 구분되어 있지 않다. 이는 한식주택이 개방형이며 실의 분화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차이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흡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흡음률이 1이 되는 경우에는 벽면에 있는 창과 문 등의 개구부를 완전히 열어놓았을 때이다.
  2. 흡음률이 0.2 미만이면 고도의 흡음재로 분류한다.
  3. 흡음은 재료표면에 입사하는 음에너지가 마찰저항, 진동 등에 의하여 열에너지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4. 흡음률 측정을 위한 잔향실은 부정형이고 반사성이 큰 벽과 경사진 천장면으로 둘러싸인 양호한 확산음장의 조건을 갖춘 실이다.
(정답률: 60%)
  • "흡음률이 0.2 미만이면 고도의 흡음재로 분류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흡음재의 분류는 흡음재의 두께와 밀도, 구조 등에 따라 결정되며, 흡음률은 흡음재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일 뿐입니다. 따라서 흡음률이 0.2 미만인 재료가 모두 고도의 흡음재로 분류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주차시설 건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평행주차방식의 대당 소요면적이 가장 크다.
  2. 기계식 주차의 경우 경사로를 절약할 수 있어 대규모 주차장에 유리하다.
  3. 자주식 주차방식의 경우 기준층 모듈계획에 의해 평면계획을 하기 어렵다.
  4. 주차를 위한 차량 동선의 원활함이 주차시설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정답률: 100%)
  • 기계식 주차의 경우 경사로를 절약할 수 있어 대규모 주차장에 유리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기계식 주차는 차량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층하여 주차하는 방식으로, 경사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경사로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은 평행주차나 자주식 주차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정」상 공동주택의 세대 내의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 기준으로 가장 옳은 것은? (단, 라멘구조 제외)

  1. 15cm 이상
  2. 18cm 이상
  3. 21cm 이상
  4. 25cm 이상
(정답률: 60%)
  •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서는 인접한 층간의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가 충분히 두껍지 않으면 소음이 전달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공동주택의 세대 내의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를 21cm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노인복지시설의 주거부 거실동 배치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단복도형 - 전체면적과 실면적의 비율에 있어서 다른 유형보다 상대적으로 효율적이다.
  2. 이중복도형 - 복도 공간을 이용한 순환적 걷기 유형이 가능하다.
  3. 삼각복도형 - 유닛확장이 어려우나 감시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4. POD형 - 유사 필요성이 있는 거주자실들 간 친밀도를 높여준다.
(정답률: 50%)
  • 삼각복도형은 유닛확장이 어려우나 감시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 삼각복도형은 감시가 어렵고, 유닛확장이 용이한 형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삼각복도형 - 유닛확장이 어려우나 감시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실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단열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내단열은 내부측의 열관성(thermal inertia)이 높아 연속난방에 유리하다.
  2. 외단열은 전체구조물의 보온에 유리하며 내부결로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3. 내단열은 외단열에 비해 빠른 시간에 더워지므로 간헐난방에 유리하다.
  4. 외단열은 외부환경의 변화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81%)
  • "내단열은 내부측의 열관성(thermal inertia)이 높아 연속난방에 유리하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내단열 방식도 연속난방에 유리하다는 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것입니다.

    내단열 방식은 내부측의 열관성이 높아서 내부 온도 변화에 대한 반응이 느리기 때문에, 연속적인 난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반면에 간헐적인 난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내단열 방식보다는 외단열 방식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의 건축개념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적을수록 더 풍요롭다(Less is More)
  2. 건축적 산책(Architectural Promenade)
  3. 보편적 공간(Universal Space)
  4. 신은 디테일 안에 있다(God is in the details)
(정답률: 39%)
  • 미스 반 데어 로에는 "적을수록 더 풍요롭다"는 건축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건축적 요소들을 최소화하여 깨끗하고 단순한 형태를 추구합니다. 반면에 "건축적 산책"은 건축물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경로를 중요시하며, 사용자가 건축물을 탐험하며 발견하는 경험을 강조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건축적 산책"은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개념과 거리가 가장 먼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