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2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2018-03-24 기출문제)

목록

1. 건축 형태의 구성요소 및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비례는 건물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지붕과 벽, 기둥, 창문 등)의 질적인 관계이다.
  2. 대칭은 형태의 비평형적 관계이다.
  3. 리듬은 균형에 의해 형성된다.
  4. 질감이란 물체를 만져보지 않고 시각적으로 표면 상태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정답률: 88%)
  • 질감은 물체의 표면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손으로 만져보지 않아도 물체의 표면이 부드럽거나 거칠거나, 광택이 있거나 없거나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택지개발 및 주택단지 계획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페리의 근린주구에서 규모는 하나의 중학교를 필요로 하는 인구에 대응하며, 그 물리적 크기는 인구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2. 국지도로 유형 중 하나인 쿨데삭(Cul-de-sac)은 교통량이 많으며, 도로의 최대 길이는 30m 이하이어야 한다.
  3. 블록형 단독주택 용지는 개별필지로 구분하지 않으며 적정 규모의 블록을 하나의 개발단위로 공급하는 용지를 말한다.
  4. 탑상형 공동주택은 각 세대에 개방감을 주며 거주 조건이나 환경이 균등하다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79%)
  • 블록형 단독주택 용지는 개별필지로 구분하지 않으며 적정 규모의 블록을 하나의 개발단위로 공급하는 용지를 말한다. 이는 여러 개의 개별필지를 합쳐 하나의 큰 블록으로 구성하여 개발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토지 이용과 개발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건축물 건축설비 관련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온수난방은 예열시간이 길지만 잘 식지 않아 난방을 정지하여도 난방 효과가 지속된다.
  2. 서로 상이한 실에서 냉난방을 동시에 해야 하는 경우 가장 적절한 공조방식은 변풍량 단일덕트 방식이다.
  3. 복사난방은 방 높이에 의한 실온의 변화가 적고, 실내가 쾌적하다는 장점이 있다.
  4. 건축화 조명은 천장, 벽, 기둥 등 건축물의 내부에 조명 기구를 설치하여 건물의 내부 및 마감과 일체적으로 만들어 조명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83%)
  • "서로 상이한 실에서 냉난방을 동시에 해야 하는 경우 가장 적절한 공조방식은 변풍량 단일덕트 방식이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변풍량 단일덕트 방식은 한 공조기로 여러 개의 실을 냉난방하는 방식으로, 각 실마다 온도나 습도 등의 조건이 다르면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로 상이한 실에서 냉난방을 동시에 해야 하는 경우에는 멀티존 덕트 방식이나 VAV 시스템 등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학교 교사 계획의 배치유형에 따른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폐쇄형: 화재 및 비상시에 유리하다.
  2. 분산 병렬형: 구조계획이 간단하고 규격형의 이용이 편리하다.
  3. 집합형: 시설물의 지역사회 이용과 같은 다목적 계획이 불리하다.
  4. 클러스터형: 건물 동 사이에 놀이 공간을 구성하기 불리하다.
(정답률: 60%)
  • 분산 병렬형은 각 건물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계획이 간단하고, 건물 규격이 동일하여 이용이 편리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학교 교사 계획에 적합한 배치유형으로 분산 병렬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쇼핑센터의 입지 조건 및 배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보행자 몰(Pedestrian Mall)은 가능한 한 인공조명을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분위기와 같은 느낌을 주는 계획이 필요하다.
  2. 시티센터(City Center)형은 뉴타운(Newtown)의 중심부에 조성하고 비교적 중 · 소규모의 형태로 계획한다.
  3. 보행자 몰(Pedestrian Mall)은 코트(Court), 알코브(Alcove) 등을 평균 50m 길이마다 설치하여 변화를 주거나 다층화를 도모함으로써 비교적 단조롭게 조성하는 것이 좋다.
  4. 교외형 쇼핑센터는 교외의 간선도로에 면하여 입지하는 비교적 대규모시설로 단지차원의 계획이며 대규모 주차시설의 계획이 필요하다.
(정답률: 69%)
  • 교외형 쇼핑센터는 교외의 간선도로에 면하여 입지하는 비교적 대규모시설로 단지차원의 계획이며 대규모 주차시설의 계획이 필요하다. 이유는 교외에 위치하기 때문에 대중교통이 부족하고 차량 이용이 많기 때문에 대규모 주차시설이 필요하며, 면적이 크기 때문에 단지차원의 계획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합병원의 병동부 계획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병실 출입구는 안목치수를 1m 이상으로 하여 침대가 통과 할 수 있도록 하고 차음성은 고려할 필요가 없다.
  2. 일반 병동부는 다른 부문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감염을 방지하도록 한다.
  3. 중환자 병동과 신생아 병동은 다른 부문과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공기와 접촉을 통한 전염의 방지를 위해 설비 및 공간을 계획한다.
  4. 정신 병동의 문은 밖여닫이로 하고 실내를 감시할 수 있는 창문을 설치한다.
(정답률: 84%)
  • 중환자 병동과 신생아 병동은 환자들의 면역력이 약하거나 취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병동은 다른 부문과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공기와 접촉을 통한 전염의 방지를 위해 설비 및 공간을 계획해야 합니다. 이는 환자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문화재시설 담당 공무원으로서 전통건축물 수리보수를 감독하고자 한다. 건축 문화재에 관한 용어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평방(平枋)은 다포형식의 건물에서 주간포를 받기 위해 창방 위에 얹는 부재를 말한다.
  2. 부연(附椽)은 처마 서까래의 끝에 덧 얹어 처마를 위로 올린 모양이 나도록 만든 짤막한 서까래를 말한다.
  3. 첨차()는 건물 외부기둥의 윗몸 부분을 가로로 연결하고 그 위에 평방, 소로, 화반 등을 높이는 수평부재를 말한다.
  4. 닫집은 궁궐의 용상, 사찰 · 사당 등의 불단이나 제단 위에 지붕모양으로 씌운 덮개를 말한다.
(정답률: 60%)
  • "평방은 다포형식의 건물에서 주간포를 받기 위해 창방 위에 얹는 부재를 말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평방은 건물의 주간포를 받기 위해 창방 위에 얹는 부재가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를 가로지르는 수평부재를 말한다. 첨차는 이러한 평방 위에 더해져 건물 외부기둥의 윗몸 부분을 가로로 연결하고 그 위에 소로, 화반 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도서관의 배치 및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별도의 아동실을 설치할 경우에는 이용이 빈번한 장소에 그 입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2. 30~40년 후의 장래를 고려하여 충분한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한다.
  3. 서고 내에 설치하는 캐럴(Carrel)은 창가나 벽면 쪽에 위치시켜 이용자가 타인으로부터 방해 받는 일이 없도록 한다.
  4. 도서관은 조사, 학습, 교양, 레크레이션과 사회교육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을 말한다.
(정답률: 83%)
  • "별도의 아동실을 설치할 경우에는 이용이 빈번한 장소에 그 입구를 설치하여야 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아동실은 어린이들이 독서 및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공간으로, 그 입구를 이용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하면 다른 이용자들의 소음 등으로 인해 아동들의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용하고 안전한 공간에 입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무소의 실 배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개실배치(Individual Room System)는 임대에 불리하다.
  2. 개방식배치(Open Room System)는 개실배치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하다.
  3. 개방식배치는 인공조명과 인공환기가 불필요하다.
  4. 오피스 랜드스케이핑(Office Landscaping)은 개방된 사무공간에 관리자를 위한 독립실을 제공하여 업무능률 향상을 도모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93%)
  • 개방식배치는 개별실 배치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한 이유는 벽을 세우거나 문을 설치하는 등의 추가적인 공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개방된 공간에 책상과 의자만 배치하면 되기 때문에 공사비가 저렴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건물의 리모델링 중 성능개선의 원인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건물이 물리적 내용 연수의 한계에 달하는 경우 준공시점 수준까지 건물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수리· 수선이 필요하다.
  2. 건물의 노후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성능저하를 개선하기 위하여 구조성능 개선이 필요하다.
  3. 사회적 구조변화와 환경변화에 따라 건물의 기능적 성능을 새롭게 바꾸는 기능적 개선이 필요하다.
  4. 시대적 성향의 변화에 따라 건물의 외관과 내부의 형태 및 마감 상태를 새롭게 하는 미관적 개선이 필요하다.
(정답률: 87%)
  • "건물이 물리적 내용 연수의 한계에 달하는 경우 준공시점 수준까지 건물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수리· 수선이 필요하다."가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이미 준공시점 이후에 건물의 기능이 저하되어 수리· 수선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단순히 기능을 회복하는 것보다는 구조성능 개선이나 기능적 개선 등 더 포괄적인 리모델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경주 및 포항 지진 이후 내진설계 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대수선하는 경우 착공 신고 시에 건축주가 설계자로부터 구조안전 확인서류를 받아 허가권자에게 제출해야하는 대상 건축물이 아닌 것은?

  1. 층수가 2층(주요구조부인 기둥과 보를 설치하는 건축물로서 그 기둥과 보가 목재인 목구조 건축물의 경우에는 3층) 이상인 건축물
  2. 연면적이 200m2(목구조 건축물의 경우에는 500m2) 이상인 건축물
  3. 높이가 13m 이상인 건축물
  4.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가 10m 이하인 건축물
(정답률: 83%)
  •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가 10m 이하인 건축물은 기둥 간의 거리가 너무 멀어져서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내진설계에 대한 규정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즉, 이러한 건축물은 내진설계에 대한 확인서류를 받지 않아도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대수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집합주택의 단면 형식에 의한 분류 중 그 내용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스킵플로어형(Skip Floor Type): 주택 전용면적비가 높아 지며 피난 시 불리하다.
  2. 트리플렉스형(Triplex Type): 프라이버시 확보에 유리하며 공용면적이 적다.
  3. 메조네트형(Maisonette Type): 주호의 프라이버시와 독립성 확보에 불리하며 속복도일 경우 소음 처리도 불리하다.
  4. 플랫형(Flat Type): 프라이버시 확보에 불리하며 규모가 클 경우 복도가 길어져 공용면적이 증가한다.
(정답률: 74%)
  • "메조네트형(Maisonette Type): 주호의 프라이버시와 독립성 확보에 불리하며 속복도일 경우 소음 처리도 불리하다."가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이유는 메조네트형은 다른 형식에 비해 주거공간이 2층으로 나뉘어져 있어 프라이버시와 독립성이 높고, 소음 처리도 상대적으로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범죄를 예방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건축물, 건축설비 및 대지에 관한 범죄예방 기준에 따라 건축하여야 하는 건축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공동주택 중 세대 수가 300세대 이상인 아파트
  2.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일용품을 판매하는 소매점
  3.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다중생활시설
  4. 노유자시설
(정답률: 38%)
  • 공동주택 중 세대 수가 300세대 이상인 아파트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인구 밀집도가 높아 범죄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범죄예방 기준에 따라 건축하여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범죄예방 기준에 따라 건축해야 하는 건축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연장의 평면형식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아레나(Arena)형은 객석과 무대가 하나의 공간에 있으므로 일체감을 주며 긴장감이 높은 연극 공간을 형성한다.
  2. 오픈스테이지(Open Stage)형은 무대와 객석의 크기, 모양, 배열 그리고 그 상호관계를 한정하지 않고 변경할 수 있다.
  3. 프로시니엄(Proscenium)형은 관객이 연기자에게 근접하여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4. 가변형 무대는 배경이 한 폭의 그림과 같은 느낌을 주어 전체적인 통일감을 형성하는 데 가장 좋은 형태이다.
(정답률: 75%)
  • 아레나(Arena)형은 객석과 무대가 하나의 공간에 있어서 일체감을 주며, 연극을 관람하는 관객들에게 긴장감을 높여주는 형태의 공연장이다. 즉, 관객과 배우가 가까이 있어서 연극에 몰입하기 쉽고, 무대와 객석이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연극의 일체감을 높여준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민자치센터 건축과정에서 「장애인 · 노인 ·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의 기준에 의한 장애 없는(barrier free) 공공업무시설을 구현할 때 편의시설의 설치기준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경사로의 시작과 끝, 굴절 부분 및 참에는 1.5m×1.5m 이상의 활동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2. 휠체어 사용자용 세면대의 상단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80m, 하단 높이는 0.55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계단 및 참의 유효폭은 1.2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장애인용 출입구(문)의 0.3m 전면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형블록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휠체어 사용자용 세면대의 상단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80m, 하단 높이는 0.55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휠체어 사용자가 세면대를 사용할 때 적절한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단과 하단의 높이가 일정한 기준에 따라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상단 높이가 0.80m 이상이면 휠체어 사용자가 손쉽게 세면대를 사용할 수 있고, 하단 높이가 0.55m 이상이면 휠체어 사용자의 무릎과 다리가 충분히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애인 · 노인 ·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기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1950년대 후반 지오데식 돔(geodesic dome) 건축기법을 개발하여 10층 높이의 축구 경기장으로 사용 가능한 규모의 구조물을 설계한 건축가는?

  1. 산티아고 칼라트라바(Santiago Calatrava)
  2. 루이스 바라간(Luis Barragan)
  3. 리차드 버크민스터 풀러(Richard Buckminster Fuller)
  4. 피에르 루이지 네르비(Pier Luigi Nervi)
(정답률: 50%)
  • 리차드 버크민스터 풀러는 지오데식 돔 건축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규모 구조물을 설계하는 건축가로, 10층 높이의 축구 경기장으로 사용 가능한 규모의 구조물을 설계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지구단위계획은 「건축법」에 근거한다.
  2. 지구단위계획은 토지이용의 합리화와 체계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한다.
  3. 지구단위계획은 모든 도시계획 수립 대상 지역에 대한 관리계획이다.
  4. 지구단위계획구역은 도시관리계획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정답률: 80%)
  • 지구단위계획은 토지이용의 합리화와 체계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한다. 이는 지역의 토지이용을 계획적으로 관리하여 지역의 발전과 보전을 동시에 이루어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주택계획의 기본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개인의 사적 영역을 보장한다.
  2. 건강 증진을 위해 가급적 동선을 길게 한다.
  3. 활동성 증대와 전통성 강화를 위해 좌식을 우선시한다.
  4. 가족전체 영역보다는 구성원 개인의 영역을 우선시한다.
(정답률: 94%)
  • 주택계획의 기본방향은 "개인의 사적 영역을 보장한다" 입니다. 이는 가정 내 구성원 개인의 개인적인 공간과 시간을 보장하여 가족 구성원 간의 개인적인 활동과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들의 개인적인 취향과 성향을 존중하며, 가정 내에서의 개인적인 공간과 시간을 보장하여 가족 구성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가정 내에서의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친환경 건축계획 기법의 하나인 중수 이용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일정 규모 이상의 시설물을 신축(증축 · 개축 또는 재축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경우 물 사용량의 10% 이상의 중수도를 설치 · 운영하여야 한다.
  2. 중수는 소화용수, 변기세정수, 조경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3. 중수의 청결도는 상수와 하수의 중간 정도이다.
  4.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빗물을 모아서 중수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96%)
  •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빗물을 모아서 중수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사실, 빗물을 모아서 중수로 사용하는 것은 친환경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만, 빗물을 모을 때 오염된 지역에서 모을 경우 중수의 청결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필터링이나 정화 과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최근 다양한 건축분쟁이 증가하고 있는데, 주거지역 안에서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한 높이제한 내용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용주거지역이나 일반주거지역에서 건축하는 경우 건축물의 각 부분을 정북방향으로의 인접대지 경계선으로부터 높이 9m 이하인 부분은 1.5m 이상의 범위에서 건축조례로 정하는 거리 이상을 띄워 건축한다.
  2. 전용주거지역이나 일반주거지역에서 건축하는 경우 건축물의 각 부분을 정북방향으로의 인접대지 경계선으로부터 높이 9m를 초과하는 부분은 해당 건축물 각 부분 높이의 2분의 1 이상 범위에서 건축조례로 정하는 거리 이상을 띄워 건축한다.
  3. 공동주택의 경우 건축물 각 부분의 높이는 그 부분으로 부터 채광을 위한 창문 등이 있는 벽면에서 직각 방향으로 인접대지 경계선까지의 수평거리의 2배(근린상업지역 또는 준주거지역의 건축물은 4배) 이하로 한다.
  4. 같은 대지에서 두 동 이상의 건축물이 서로 마주보는 경우, 건축물 각 부분 사이의 거리는 그 대지의 모든 세대가 동지를 기준으로 9시에서 15시 사이에 1시간 이상 계속하여 일조를 확보할 수 있는 거리 이상 띄워서 건축해야 한다.
(정답률: 83%)
  • 같은 대지에서 두 동 이상의 건축물이 서로 마주보는 경우, 건축물 각 부분 사이의 거리는 그 대지의 모든 세대가 동지를 기준으로 9시에서 15시 사이에 1시간 이상 계속하여 일조를 확보할 수 있는 거리 이상 띄워서 건축해야 한다. 이것이 옳은 이유는 모든 세대가 일조를 확보할 수 있도록 건축물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일조가 부족한 건축물은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조 확보를 위한 건축규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