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6-2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2018-06-23 기출문제)

목록

1. 메밀의 특성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여름 메밀은 생육기간이 길고 루틴(rutin) 함량이 적다.
  2. 가을 메밀은 감온형으로 남부지방에서 주로 재배한다.
  3. 메밀 꽃은 1개의 암술과 8개의 수술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형예현상이 일어난다.
  4. 메밀은 혈압강하제로 쓰이는 루틴(rutin) 함량이 많으며, 루틴은 출수 후 35~45일 된 메밀 껍질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메밀 꽃은 1개의 암술과 8개의 수술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형예현상이 일어난다. 이는 메밀의 꽃 구조적 특징으로, 암술과 수술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어 꽃이 개화할 때 이형예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는 메밀의 꽃이 수분과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수송하기 위한 적응형 구조로 생겨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밀가루의 품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회분 함량이 많으면 부질의 점성이 낮아지고 백도도 낮아 진다.
  2. 경질 밀가루는 밀알이 단단하고 단백질 함량이 많은 강력분을 뜻한다.
  3. 입질은 밀알의 물리적 구조로서 분상질부는 밀알의 횡단면의 맑고 반투명한 부위를 말한다.
  4. 글루테닌(glutenin)과 글리아딘(gliadin)은 밀의 대표적 불용성 단백질로 전체 종자 저장 단백질 중 80%를 차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입질은 밀알의 물리적 구조로서 분상질부는 밀알의 횡단면의 맑고 반투명한 부위를 말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입질은 밀가루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밀알 내부의 단백질과 전분이 혼합되어 있는 부분을 말합니다. 이 부분이 많을수록 밀가루의 점성이 높아지고, 반대로 적을수록 점성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입질이 많은 밀가루일수록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하고, 반죽이 더 탄력적이고 부드러워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기> 중 서늘한 재배 환경에 적합한 작물을 짝지은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ㅁ, ㅂ
  4. ㅅ, ㅇ
(정답률: 알수없음)
  • 이유: "ㅅ, ㅇ"은 서로 비슷한 소리를 내는 자음으로, 서늘한 환경에 적응하기 쉬운 작물들이 짝지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자음들은 서로 다른 소리를 내기 때문에, 서로 다른 환경에 적응하는 작물들이 짝지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맥류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귀리는 일반적으로 내동성 및 내건성이 약하다.
  2. 트리티케일은 밀과 귀리를 교잡하여 얻은 속간잡종이다.
  3. 호밀은 타가수정을 하는 작물이지만 자가임성 비율도 높다.
  4. 밀은 보리에 비해 도복에 약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맥류는 대표적인 곡물로서 인류 식생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귀리는 일반적으로 내동성 및 내건성이 약한데, 이는 귀리의 견과가 보리나 밀에 비해 작고 가벼워서 바람에 쉽게 흩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귀리는 보리나 밀에 비해 수확과정에서 더욱 신경써야 하며, 보관 및 운반 시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밭작물의 개화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콩은 고온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된다.
  2. 녹두는 단일조건에 의하여 화아분화가 촉진된다.
  3. 메밀은 13시간 이상의 장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된다.
  4. 감자는 20℃ 이하에서 장일조건이 주어지면 개화가 유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는 20℃ 이하에서 장일조건이 주어지면 개화가 유도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메밀은 13시간 이상의 장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이유는, 메밀은 단일조건(일조, 온도, 습도 등)보다는 장일조건(일주기)에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메밀은 장일조건이 13시간 이상 주어지면 광합성과 호르몬 분비가 촉진되어 개화가 빨리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고구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고구마는 AA, BB 및 DD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상품가치가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덩이뿌리를 상저라고 한다.
  3. 직파재배 시 씨고구마가 썩지 않고 비대해진 것을 만근저라고 한다.
  4. 씨고구마의 새로운 싹의 지하 마디에서 생긴 고구마를 친근저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구마는 상품가치가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덩이뿌리를 상저라고 한다. 이는 고구마의 경작과 수확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벼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1립중은 종실 1,000개의 무게를 3회 세어 평균으로 구한다.
  2. 등숙비율은 이삭에서 정상적으로 결실한 영화수의 비율을 말한다.
  3. 수확지수는 전체 건물중에 대한 종실수량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4. 수량에 가장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구성요소는 1수영화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1수영화수"가 수량에 가장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구성요소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벼의 수량은 수확지수, 등숙비율, 립중 등 여러 구성요소에 영향을 받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1수영화수이기 때문입니다. 1수영화수가 많을수록 벼의 수량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논토양 환경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논토양의 노후화는 벼의 추락(秋落)의 주요 원인이다.
  2. 논 담수토양에서는 질산태질소 시비의 효과가 높다.
  3. 간척지토양은 강한 산성을 띠지만, 투수성 및 통기성은 좋다.
  4. 습답에서는 천천히 분해되는 미숙 유기물의 시용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논토양의 노후화는 벼의 추락(秋落)의 주요 원인이다." 이유는 논토양이 오랜 시간 동안 벼 재배로 인해 영양분이 고갈되고, 토양 구조가 파괴되어 물이 잘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벼가 불량하게 자라고 추락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벼의 생육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모의 5본엽 이후에는 C/N 비율이 높아져 모가 건강해진다.
  2. 적온에서 주⋅야간 온도교차가 클수록 분얼이 지연된다.
  3. 논 담수 조건에서는 밭에서보다 뿌리의 신장이나 분지근 발생이 적다.
  4. 결실기의 30℃ 내외의 고온은 일반적으로 벼의 성숙기간을 단축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의 5본엽 이후에는 C/N 비율이 높아져 모가 건강해진다."는 벼의 생육에 대한 옳은 설명입니다.

    적온에서 주⋅야간 온도교차가 클수록 분얼이 지연되는 이유는, 이러한 환경 조건에서 벼가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여 생육에 필요한 탄수화물을 합성하는 과정이 더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얼이 지연되고, 수확기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맥류의 습해대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습한 논에서는 이랑을 세워서 파종한다.
  2. 객토와 유기질을 시용하여 토성을 개량한다.
  3. 습해 시 천층시비와 엽면시비를 하지 않도록 한다.
  4. 내습성이 약한 쌀보리보다 내습성이 강한 겉보리를 심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습해 시 천층시비와 엽면시비를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옳지 않은 대책입니다. 이는 작물의 생장과 수확량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 적절한 시기에 천층시비와 엽면시비를 하여 작물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수확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호밀의 청예재배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청예재배를 목적으로 하면 전국적으로 답리작이 가능하다.
  2. 엔실리지(ensilage)로 이용할 때는 황숙기가 적기이다.
  3. 청예사료로 이용할 경우 수잉기 때 예취하면 섬유질이 많아서 사료가치가 높다.
  4. 호밀 녹비를 이앙 직전에 많은 양을 시용함으로써 벼의 활착을 돕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청예재배는 호밀의 재배 방법 중 하나로, 호밀을 수확하기 전에 미숙한 상태에서 수확하여 사료로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국적으로 답리작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지역적인 기후나 토양 조건에 따라 적용이 제한될 수 있지만, 청예재배는 이러한 제한이 적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적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작물의 종자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옥수수 종자의 주성분은 단백질로서 농후사료가치가 높다.
  2. 귀리의 종자는 탄수화물보다 지질이 많아서 열량이 높다.
  3. 율무 종자는 지질보다 단백질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4. 호밀 종자에는 섬유질이 당질보다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율무 종자는 지질보다 단백질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이는 율무가 고단백 작물이기 때문이다. 단백질은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율무 종자는 단백질 함량이 높아서 영양가가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종자 천립중이 가장 큰 작물은?

  1. 수수
  2. 기장
(정답률: 알수없음)
  • 수수는 종자 천립중이 가장 큰 작물입니다. 이는 수수의 종자가 다른 작물에 비해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콩 해충인 노린재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성충이 줄기에 침을 찔러 넣어 수액을 빨아먹는다.
  2. 약제살포의 경우 성충시기보다 유충시기에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성충이 어린꼬투리에 알을 낳아서 수확 시 빈 깍지가 되거나 기형의 종자를 얻게 된다.
  4.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콩모자이크병을 옮겨서 발생하는 피해가 더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약제살포의 경우 성충시기보다 유충시기에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유는 성충은 줄기에 침을 찔러 넣어 수액을 빨아먹는데, 이때 이미 식물 내부에 침투하여 약제가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충시기에 방제하여 성충의 번식을 막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강낭콩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뿌리혹박테리아에 의한 질소고정을 하지 못한다.
  2. 다른 두류와 다르게 장명종자로서 3년째에도 발아율이 80% 유지된다.
  3. 타식성작물로서 개화기의 고온 또는 저온에 의한 결협률이 높아진다.
  4. 종실의 성분은 단백질보다 당질의 함량이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낭콩은 종실의 성분이 단백질보다 당질의 함량이 많다는 것이 가장 옳은 내용이다. 이는 강낭콩이 주로 탄수화물을 공급하는 작물로서 이용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감자의 휴면과 발아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휴면을 소거하기 위해서 1-4℃의 저온 처리를 한다.
  2. 수확 후 괴경의 많은 수분으로 인하여 휴면기간이 길어 진다.
  3. 미숙한 감자도 눈 부분의 싹은 성숙되어 있어서 수확 후 싹이 틀 수 있다.
  4. 휴면기간이 긴 품종은 상온에 보관 후 파종해도 되는 유리한 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는 수확 후 일정 기간 동안 휴면 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이는 감자가 생존을 위해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방어 메커니즘이다. 따라서 감자를 파종하기 전에는 휴면을 소거하기 위해 1-4℃의 저온 처리를 해야 한다. 그러나 휴면기간이 긴 품종은 상온에 보관해도 파종이 가능하므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환경조건에 따른 보리 뿌리의 발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와 관부 사이에 중경이 발생한다.
  2. 한랭지의 품종이 뿌리가 넓고 깊게 뻗는 경향이 있다.
  3. 내한성이 강한 품종은 종자근 및 관근이 깊은 곳에서 형성된다.
  4. 관근은 보리종자에서 나온 뿌리로 굵고 길게 발달하여 근계를 형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와 관부 사이에 중경이 발생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관근은 보리종자에서 나온 뿌리로 굵고 길게 발달하여 근계를 형성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보리는 관근과 종자근 두 종류의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관근은 보리종자에서 나온 뿌리로 굵고 길게 발달하여 근계를 형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벼 재배의 다원적 기능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홍수조절 및 지하수 저장
  2. 토양 유실 방지 및 대기정화
  3. 수질정화 및 대기 냉각
  4. 지구온난화 및 오존층 파괴 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벼 재배는 지구온난화 및 오존층 파괴 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벼 재배는 홍수조절, 지하수 저장, 토양 유실 방지, 대기정화, 수질정화, 대기 냉각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벼의 형태와 구조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현미는 배, 배유, 종피로 구성되어 있다.
  2. 어린 식물체로 자랄 배는 유아, 배축 및 유근으로 되어 있다.
  3. 파생통기조직은 수도가 밭벼보다, 같은 줄기 내에서는 상위절간일수록 잘 발달되어 있다.
  4. 화기는 완전화로 수술 6개, 암술 1개로 되어 있고 수술의 꽃밥은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화기는 완전화로 수술 6개, 암술 1개로 되어 있고 수술의 꽃밥은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설: 화기의 구조적 특성은 맞지만, 문제에서 묻는 것은 "가장 옳지 않은 것" 이므로 이 보기가 정답이 됩니다.

    파생통기조직은 수도가 밭벼보다 많이 발달되어 있으며, 상위절간일수록 더욱 잘 발달됩니다. 이는 상위부분에서 더 많은 양분과 물을 공급받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땅콩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땅콩은 단명종자로 수명이 1-2년 정도이다.
  2. 땅콩의 주성분은 지방이고 단백질 함량도 많다.
  3. 자가수정을 원칙으로 하고, 꽃에는 10개의 수술이 있다.
  4. 땅콩은 휴면기간을 가지는데 버지니아형이 스페니쉬형보다 짧다.
(정답률: 알수없음)
  • 땅콩은 단명종자로 수명이 1-2년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