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6-2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료조직개론
(2017-06-24 기출문제)

목록

1. 한국목록규칙(KCR) 제4판에서 새로이 사용한 용어만 모아 놓은 것은?

  1. 삽화, 본표제, 구득조건사항
  2. 접근점, 책임표시, 특정자료종별
  3. 삽도, 대등표제, 저자표시
  4. 삽도, 표제관련정보, 구득조건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목록규칙(KCR) 제4판에서 새로이 사용한 용어 중 "접근점"은 자료를 찾기 위한 출발점을 의미하며, "책임표시"는 자료의 작성자나 발행자 등의 책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또한 "특정자료종별"은 특정한 유형의 자료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접근점, 책임표시, 특정자료종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국제십진분류법(UDC)에서 채택하고 있는 분류기호의 일반적인 조합 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관점 - 시대 - 지리 - 형식 - 언어
  2. 언어 - 관점 - 지리 - 시대 - 형식
  3. 관점 - 지리 - 시대 - 형식 - 언어
  4. 지리 - 시대 - 관점 - 언어 - 형식
(정답률: 알수없음)
  • UDC에서는 일반적으로 "관점 - 지리 - 시대 - 형식 - 언어"의 순서로 분류기호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먼저 주제의 관점을 나타내는 분류기호를 먼저 적은 후, 그 관점이 적용되는 지리적 영역, 시대, 형식, 언어 등의 세부적인 분류를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순서는 UDC의 분류 체계를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분류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해리스(W.T. Harris)의 분류법은 도서를 서가에 주제순으로 배열하기 위해 숫자를 사용하여 100구분하고, 각 유의 세목은 알파벳 대문자 1자를 부가하였다.
  2. 브리스(H.E. Bliss)의 서지분류법(Bibliographic Classification)은 5개의 공통패싯을 이용한 분석합성식 원리를 수용하여 이후 콜론분류법(Colon Classification)의 탄생에 영향을 미쳤다.
  3. 카터(C.A. Cutter)의 전개분류법(Expansive Classification)은 모든 지식을 주제의 진화순서로 배치하였으며, 총 5개의 독립적인 표로 구성하여 장서 수가 많은 도서관일수록 상세한 분류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브라운(J.D. Brown)의 주제분류법(Subject Classification)은 자연과학보다 사회과학을 상위에 배정하였으며, 알파벳 대문자와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 혼합기호법을 채택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브리스(H.E. Bliss)의 서지분류법(Bibliographic Classification)은 5개의 공통패싯을 이용한 분석합성식 원리를 수용하여 이후 콜론분류법(Colon Classification)의 탄생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분류법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다른 분류법들에도 영향을 미쳤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듀이십진분류법(DDC) 제23판의 보조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보조표는 DDC 제23판에서 사용되는 분류 체계를 보조하는 도구이다.
    - 보조표는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진 기호를 사용하여 분류 체계를 세분화한다.
    - "ㄱ, ㄴ"은 보조표에서 첫 번째 레벨의 세분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ㄱ"은 첫 번째 레벨에서 가장 일반적인 분류를 의미하고 "ㄴ"은 그 다음으로 세분화된 분류를 의미한다.
    - "ㄷ"는 "ㄱ"과 "ㄴ"의 다음 레벨에서 세분화된 분류를 나타내며, "ㄹ"은 "ㄱ, ㄴ, ㄷ" 다음 레벨에서 세분화된 분류를 나타낸다.
    - 따라서, "ㄱ, ㄴ"은 첫 번째 레벨에서 가장 일반적인 분류와 그 다음으로 세분화된 분류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고, "ㄴ, ㄷ"는 첫 번째 레벨에서 두 번째와 세 번째로 세분화된 분류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ㄱ, ㄴ, ㄷ"는 첫 번째 레벨에서 가장 일반적인 분류와 그 다음으로 두 번째와 세 번째로 세분화된 분류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ㄱ, ㄴ, ㄷ, ㄹ"은 첫 번째 레벨에서 가장 일반적인 분류와 그 다음으로 세분화된 모든 분류를 포함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한국십진분류법(KDC) 제6판은 특정 항목에 분류되는 자료가 많을 경우를 대비하여, 주제의 자모순으로 저작을 세분할 수 있는 별법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별법이 적용된 항목이 아닌 것은?

  1. 004.12 대형컴퓨터
  2. 004.66 컴퓨터바이러스
  3. 005.133 프로그래밍언어
  4. 005.44 컴퓨터운영체제
(정답률: 알수없음)
  • "004.12 대형컴퓨터"는 별법이 적용되지 않은 일반적인 분류법에 따라 분류된 항목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랑가나단(Ranganathan)은 분류작업을 3단계로 나누어 설명한 바 있다. 랑가나단이 구분한 분류작업의 3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색인 단계(indexing plane)
  2. 아이디어 단계(idea plane)
  3. 언어 단계(verbal plane)
  4. 기호 단계(notational plane)
(정답률: 알수없음)
  • 색인 단계는 랑가나단이 구분한 분류작업의 3단계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분류작업의 마지막 단계인 기호 단계와 관련이 있다. 색인 단계는 문헌 자료를 분류하기 위해 주제별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색인을 작성하는 단계이다. 이는 분류작업의 일부분으로, 기호 단계에서 사용되는 분류기호를 만들기 위한 과정이다. 따라서 색인 단계는 분류작업의 3단계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MODS(Metadata Object Description Schema)의 상위요소 중 하나인 physicalDescription 은 DC(Dublin Core)의 어느 요소에 해당하는가?

  1. Type
  2. Rights
  3. Description
  4. Format
(정답률: 알수없음)
  • physicalDescription은 DC의 "Description" 요소에 해당합니다. 이는 자원의 물리적 특성을 설명하는 요소이며, 이 중에서도 MODS의 physicalDescription은 자원의 형식(format)을 설명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정답은 "Forma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한국문헌자동화목록(KORMARC) 통합서지용 형식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필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490 필드는 총서표제를 위한 총서사항을 기술하지만, 총서부출표목의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2. 336 필드는 어떤 저작이 표현된 내용의 형식을 나타낸다. 자원의 일반적인 내용유형을 나타내는 리더/08(제어유형)과 함께 사용된다.
  3. 321 필드는 해당 자료의 이전 간행빈도를 기술한다. 이 필드는 310 필드에 현재 간행빈도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만 적용한다.
  4. 785 필드는 해당 자료의 직접적인 후속자료가 있는 경우, 그 자료에 관한 사항을 기술한다. 둘 이상의 후속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785 필드를 반복해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490 필드는 총서표제를 위한 총서사항을 기술하지만, 총서부출표목의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490 필드는 총서표제뿐만 아니라 총서부출표목을 기술하기도 하며, 총서표제와 총서부출표목을 모두 포함하는 필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한국의 목록규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한글 자모음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ㄱ, ㄴ, ㄹ"은 초성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자음으로, 모든 음절은 이 중 하나로 시작합니다. 따라서 이 세 자음은 한글의 목록규칙에서 필수적인 자음으로 쓰이며, "ㄷ"은 초성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낮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한국문헌자동화목록(KORMARC) 통합서지용에서 채용하고 있는 국제표준코드 가운데 024 기타 표준부호에 기술하는 필드를 모두 고르면?

  1. ㄱ, ㄴ, ㄷ, ㅁ
  2. ㄱ, ㄴ, ㄹ, ㅁ
  3. ㄱ, ㄷ, ㄹ, ㅁ
  4.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024 기타 표준부호에 기술하는 필드는 국제표준코드 중 "ISBN", "ISSN", "ISMN", "DOI" 등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한국에서 사용되는 식별자인 ISBN, ISSN, ISMN, DOI가 모두 포함된 "ㄱ, ㄴ, ㄷ, ㅁ"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은 한국문헌자동화목록(KORMARC) 레코드 중 리더(leader)의 예를 제시한 것이다. 이 가운데, 05 자리(레코드 상태)의 ‘p’가 나타내는 것은?

  1. 기존 레코드의 입력수준을 완전수준으로 올린 레코드
  2. CIP 레코드를 완전수준으로 올린 레코드
  3. 수정된 레코드
  4. 신규 레코드
(정답률: 알수없음)
  • 05 자리의 ‘p’는 CIP(Cataloging-in-Publication)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CIP 레코드를 완전수준으로 올린 레코드는 CIP 레코드를 기반으로 하되, 추가적인 정보를 수록하여 완전한 레코드로 만든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CIP 레코드를 완전수준으로 올린 레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CC(Colon Classifica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제7판은 본표는 발행되었으나 색인 부분은 발행되지 못하여 미완성 상태이다.
  2. 기본 범주 중 S는 지리(공간)구분을 의미하며 거의 모든 주제에 적용할 수 있고 dot(.)으로 연결한다.
  3. 기본주제의 배치 원리는 암페르(A.M. Ampere)의 학문배열을 따라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순으로 배정하였다.
  4. 기본 범주 중 M은 주제를 형성하는 물질의 주요 소재나 사물의 원재료를 나타내는 패싯기호로서 semicolon(;) 기호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주제의 배치 원리는 암페르(A.M. Ampere)의 학문배열을 따라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순으로 배정하였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CC는 도서관 자료의 분류를 위한 체계로, 기본주제와 보조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주제는 암페르의 학문배열을 따라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순으로 배치되며, 보조주제는 기본주제와 함께 사용되어 세부적인 분류를 위해 활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CC에 대한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의 자료들을 듀이십진분류법(DDC) 제23판으로 분류한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회과학총서 - 308
  2. 자연과학논집(계간) - 505
  3. 영국문학전집 - 820.8
  4. 문학이론 - 801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것은 "사회과학총서 - 308"입니다.

    - "자연과학논집(계간) - 505": 자연과학 분야의 계간지이므로 500번대 자연과학에 분류됩니다.
    - "영국문학전집 - 820.8": 영국문학 전집이므로 820번대 문학에 분류됩니다. 820.8은 영국문학의 특정 분야를 나타냅니다.
    - "문학이론 - 801": 문학이론은 문학 분야의 이론적인 측면을 다루므로 800번대 문학에 분류됩니다.

    하지만 "사회과학총서"는 사회과학 분야의 총서이므로 300번대 사회과학에 분류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308"은 DDC 제23판에서는 "사회학의 체제론"을 나타내는 분류번호이므로, "사회과학총서"를 분류할 때는 "300"번대에 분류하고, "308"은 부속번호로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사회과학총서 - 308"은 옳지 않은 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IFLA의 서지레코드의 기능상의 요건(FRBR)'에 제시된 제1집단 개체의 정의를 근거로 할 때, 다음의 사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책으로 발행된 영문판 '채식주의자'는 표현형에 해당되는 개체이다.
  2. 한강의 '채식주의자' 한글 원본과 임우성 감독의 영화 '채식주의자' 각본은 서로 다른 저작이다.
  3. DVD로 발행된 영화 '채식주의자'는 구현형에 해당되는 개체이다.
  4. Portobello Books에서 출간한 영문판 단행본은 구현형에 해당되는 개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Portobello Books에서 출간한 영문판 단행본은 구현형에 해당되는 개체이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제1집단 개체는 작품 자체를 의미하며, 구현형은 그 작품의 형태나 매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영문판 단행본은 작품의 형태 중 하나인 표현형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한국십진분류법(KDC) 제6판의 강목(division) 가운데 기호와 주제가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항목을 포함한 것은?

  1. 340 - 정치학, 750 - 독일어
  2. 250 - 천도교, 670 - 음악
  3. 170 - 논리학, 560 - 화학공학
  4. 020 - 문헌정보학, 430 - 화학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70 - 논리학, 560 - 화학공학" 입니다.

    논리학은 인문학 분야에 속하므로 170번 강목이 맞습니다. 하지만 화학공학은 공학 분야에 속하므로 560번 강목이 아닌 620번 강목에 속해야 합니다. 따라서 기호와 주제가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항목은 "170 - 논리학, 560 - 화학공학"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한국목록규칙(KCR) 제4판을 적용하여 한국문헌자동화목록(KORMARC) 통합서지용을 작성할 때 사용하지 않는 필드로만 올바르게 묶여진 것은?

  1. 1XX, 210, 240
  2. 730, 773, 830
  3. 1XX, 240, 243, 730, 830
  4. 210, 240, 243, 700, 730, 83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XX, 240, 243, 730, 830"입니다.

    1XX 필드는 주제어나 저자명을 기록하는 필드이며, 210 필드는 출판사와 출판년도를 기록하는 필드입니다. 이 두 필드는 모두 통합서지용으로 사용됩니다.

    240 필드는 제목의 병기나 부제 등을 기록하는 필드이며, 243 필드는 부록 제목을 기록하는 필드입니다. 이 두 필드는 제목 정보를 보충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730 필드는 주제명을 기록하는 필드이며, 773 필드는 부록의 주제명을 기록하는 필드입니다. 이 두 필드는 주제 검색을 위해 사용됩니다.

    830 필드는 시리즈 제목을 기록하는 필드이며, 시리즈 검색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통합서지용으로 사용되는 1XX 필드와 210 필드를 제외한 나머지 필드들은 통합서지용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1XX, 240, 243, 730, 830"으로 묶여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분류 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ㄴ, ㄹ, ㅁ
  3.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는 한글 자음의 분류 규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규정에 따르면,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으로 나누어집니다. 이 중에서 "ㄹ"은 따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유는 "ㄹ"이 다른 자음과는 발음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한국목록규칙(KCR) 제4판과 한국문헌자동화목록(KORMARC) 통합서지용으로 작성한 레코드들의 일부이다. 첫 번째 레코드를 참고하여 두 번째 레코드의 괄호 안에 들어갈 필드 번호로 옳은 것은? (단, 지시기호와 띄어쓰기는 적용하지 않는다.)

  1. 762
  2. 767
  3. 772
  4. 776
(정답률: 알수없음)
  • 첫 번째 레코드에서는 제목과 부제목이 모두 제시되어 있으므로 KCR 제4판에 따라 제목은 200번 필드에, 부제목은 210번 필드에 기입된다. 또한, 저자는 100번 필드에, 출판사는 210번 필드에, 발행년도는 260번 필드에 기입된다. 따라서 두 번째 레코드에서는 제목이 200번 필드에, 부제목이 210번 필드에, 저자가 100번 필드에, 출판사가 210번 필드에, 발행년도가 260번 필드에 기입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괄호 안에 들어갈 필드 번호는 "76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커터-샌본 저자기호표(Cutter-Sanborn Three-Figure Author Tabl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저자명 중 Mc, Mac, M'으로 시작되는 저자명은 자료의 표기에 관계없이 모두 Mc으로 처리하여 기호를 부여한다.
  2. 숫자 0 (zero)은 알파벳 대문자 'O'와 혼동되기 쉽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3. 해당하는 번호가 없는 저자명의 경우에는 바로 앞의 번호를 채택하여 기재한다.
  4. 전기자료는 그 대상 인물의 이름을 기호화하고 저자명을 저작기호로 기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자료는 그 대상 인물의 이름을 기호화하고 저자명을 저작기호로 기재한다."는 커터-샌본 저자기호표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저자명 중 Mc, Mac, M'으로 시작되는 저자명은 자료의 표기에 관계없이 모두 Mc으로 처리하여 기호를 부여한다."의 이유는 Mc, Mac, M'으로 시작하는 저자명은 모두 같은 발음을 가지기 때문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Mc으로 처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METS(Metadata Encoding and Transmission Standard)는 디지털 형태의 정보자원에 대한 구조적, 기술적, 관리적 메타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안된 XML 스키마 기반의 인코딩 표준이며, 총 7개의 섹션(seven major section)으로 구성된다. 다음 중 METS의 7개 섹션(section)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Administrative Metadata
  2. Behavior
  3. File Section
  4. Structural Metadata
(정답률: 알수없음)
  • METS의 7개 섹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dministrative Metadata
    2. Descriptive Metadata
    3. File Section
    4. Structural Map
    5. Structural Links
    6. Behavior
    7. MetsHdr

    "Structural Metadata"는 METS의 7개 섹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Structural Map"과 "Structural Links"가 이미 구조적인 메타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입니다. "Structural Metadata"는 METS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