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기>의 빈 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용어를 모두 고른 것은?
2. 청구 기호를 구성하는 저자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3. 한국목록규칙(KCR) 제4판의 기술의 정보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4. 콜론분류법(Colon Classification : CC)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5. <보기>의 분류대상을 듀이십진분류법(DDC) 제23판을 적용하여 가장 옳게 분류한 것은? (단, <보기>를 통해 판단할 수 있는 사항 외에 별도의 예외 사항은 없는 것으로 간주함.)
6. 한국십진분류법(KDC) 제6판을 이용한 전기(傳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7. RDA(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에 따라 MARC레코드로 작성된 <보기>의 문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8. 분류목록에 대비되는 주제명목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9. 온라인열람목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0. 한국목록규칙(KCR) 제4판의 표제와 책임표시사항에 기술된 책임표시의 범위에 원칙적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1. <보기>는 영상자료의 서지레코드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코드끼리 가장 옳게 짝지어진 것은?
12. 문헌을 분류하기 위해 주제분석을 할 경우 참고로 하는 문헌의 정보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3. 도서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4. 통일표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5. 폭소노미(folksonom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6. <보기>는 MODS(Metadata Object Description Schema)를 적용하여 작성한 서지레코드의 일부이다. (㉠), (㉡), (㉢),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7. 듀이십진분류법에서 복수의 주제를 다룬 문헌에 적용하는 분류규정이다.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8. <보기>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The Old Man and The Sea”라는 소설을 예로 기술하였다. FRBR의 제1집단의 구현형(manifestation)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9. 통합서지용 한국문헌자동화목록(KORMARC) 형식의 설계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0. 우리나라의 출판시도서목록(CIP)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