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새로운 형태의 도서관은?
2. 다음 중 조합색인을 창안하고 유니텀(uniterm)시스템에 불리언 논리를 결합시킨 인물은?
3. 택소노미(taxonomy)와 폭소노미(folksonomy)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4. 다음 <보기>의 참고면담 기법 중 비언어적 면담기법 유형을 모두 고르면?
5. MIT 대학도서관과 HP가 공동으로 개발한 대표적인 기관형 디지털 레파지토리 시스템으로, 대학 구성원들이 생산한 연구 및 강의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6. 영역별 표준 메타데이터 스키마와 대상 영역을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다음 <보기> 중 유일성을 지닌 특정 정보를 수많은 다른 정보로부터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의 외적 특성만을 모두 고르면?
8. Lotka의 저자생산성법칙에 따를 때, 특정 학문분야에서 특정기간 내에 1편의 논문을 발표한 사람이 100명일 경우 2편의 논문을 발표한 저자의 수는?
9. 도서관에서의 이용자 교육은 주로 서비스현장교육, 오리엔테이션, 도서관교육, 서지교육, 정보관리교육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제시되고 있다. 다음 교육 형태 중 연구, 교육 등 특정 목적을 가진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문제 해결을 강조하는 것은?
10. MODS(Metadata Object Description Schema)에서는 "typeOfResource" 요소에서 유형값을 기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요소에서는 텍스트, 지도, 악보 등 12가지의 유형값을 기술한다. 이 요소에서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특정한 유형값은 어느 요소에서 기술할 수 있는가?
11. 명감(Directories)은 사람, 기관 등을 알파벳순 또는 주제별로 수록해놓아 개인이나 기관에 대한 간략한 정보, 즉 성명, 기관명, 주소, 전화번호, 기능 등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데이터를 조직해 놓은 자료이다. 다음 중 명감 자료의 평가 기준을 모두 고르면?
12. 다음 중 전세계에서 출판되는 정기, 비정기 간행물에 대해 주제별로 구분하고 서명색인 및 출판사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참고정보원은?
13. 참고질문의 형성단계와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4. 토픽맵(Topic Maps)은 정보자원을 주제별로 묶고 주제와 주제 간의 관계를 나타내어 정보자원에 대한 의미적 지식을 표현하는 색인어 지도이다. 토픽맵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이 아닌 것은?
15. 학술잡지의 가치 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전자책의 출현으로 탄생하여 시각장애인과 독서장애인을 위한 매체의 역할을 하는 국제 디지털 음성 표준 포맷은?
17. 어느 시스템에서 문헌을 검색한 결과가 <보기>와 같을 때, 해당 시스템의 정확률과 재현율은? (단,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8.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탐색전략은?
19. 정보검색시스템의 검색 성능을 평가하는 척도의 값을 구하였을 때, 이들의 합이 1이 될 가능성이 가장 낮은 조합은?
20. 다음 검색 기법 중 재현율 향상 기법에 해당하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