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참고정보서비스에서 행하는 간접서비스 기능에 해당 하지 않는 것은?
2. <보기 1>에 제시된 질문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 2>에서 모두 고른 것은?
3. 브레이빅(Breivik)의 정보 리터러시 우산(Information Literacy Umbrella)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 엘리스(Ellis)의 정보탐색 모형에서 정보행위가 일어나는 순서대로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5. 협력형 디지털 참고 봉사 서비스의 모델인 ‘Question Poin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6. 학술 데이터베이스와 주제 분야를 짝지은 것으로 옳은 것은?
7. <보기>는 자동색인의 색인어 추출과 선정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8. <보기>는 색인작업 시 미리 조합하여 만들어 놓은 색인어를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를 설명한 글이다. ㉠에 가장 알맞은 단어는?
9. 인용색인은 정보자료에 수록되어 있는 인용된 자료와 인용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편성한 색인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0. 정보검색 모형 중 질의와 문헌의 매칭 원리가 가장 다른 하나는?
11. 학술지 A에는 2014년에 10편, 2015년에 10편, 2016년에 20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2016년 한 해 동안 전 주제 분야에서 학술지 A의 2014년 발행된 논문을 30회, 2015년 발행된 논문을 30회, 2016년 발행된 논문을 40회 인용하였다. 학술지 A의 2016년 기준 영향력 지수(Impact Factor)는?
12. 정보자료는 가공 여부에 따라 1차자료와 2차자료로 구분할 수 있다. 2차자료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3. <보기>에서 설명하는 자료유형의 영문 명칭은?
14. MODS(Metadata Object Description Schema)의 장점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5. <보기>가 설명하고 있는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6. 참고사서의 ‘학자로서의 자질’을 강조함으로써 사서의 전문성을 재정의한 사람은?
17. <보기>가 설명하고 있는 학술지 평가지수는?
18. 브라우징(Browsing) 검색의 특징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9. <보기>에서 설명하는 디지털 장서관리 방법은?
20. 대상 객체가 지니고 있는 여러 자질을 이용하여 유사성 등을 계산하고 유사성 거리가 가까운 객체들끼리 그룹이 되는 군집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측정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