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6-2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2017-06-24 기출문제)

목록

1. 삼림보육(森林保育)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어린 조림목이 자라서 갱신기에 이르는 사이에 실시한다.
  2. 유림(幼林)에 대한 보육은 수관울폐가 일어나면 실시한다.
  3. 성림(成林)에 대한 보육은 제벌, 간벌, 가지치기 등의 작업이다.
  4. 임지보육은 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한다.
(정답률: 70%)
  • 정답: "임지보육은 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한다."

    유림(幼림)에 대한 보육은 수관울폐가 일어나면 실시하는 것은 맞지만, 이유는 간단하게 설명하면 유림에서는 적절한 보호와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연적으로 생태계가 파괴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극적인 보호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성림(成림)에 대한 보육은 제벌, 간벌, 가지치기 등의 작업이 맞습니다.

    임지보육은 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으므로 지양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생태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물들이 서로 다른 환경조건에 적응하여 서로 다른 생장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2. Clausen 등(1948)이 서양톱풀을 이용하여 실험한 내용은 생태형을 설명하는 예이다.
  3. 생태형을 한 곳에 모아 같은 조건하에서 생육하면 생리적, 형태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4. 생태형은 생물종이 분화되어 서로 다른 종으로 바뀌는 종분화의 좋은 예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형을 한 곳에 모아 같은 조건하에서 생육하면 생리적, 형태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사실, 서로 다른 환경조건에 적응하여 생물들이 서로 다른 생장형을 나타내는 것이 바로 생태형의 개념입니다. 따라서, "생태형을 한 곳에 모아 같은 조건하에서 생육하면 생리적, 형태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중요 수종인 소나무(Pinus densiflor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웅동주, 양성화이고 1년생으로 상체한다.
  2. 구과는 개화한 해에 거의 자라지 않고 다음 해 5~6월경에 빨리 자라서 수정하며, 2년째 가을에 성숙한다.
  3. 종자는 용기에 넣어 냉소에 보관하고, 파종 전에 냉수침적하면 발아가 촉진된다.
  4. 솔잎혹파리, 소나무재선충 등 각종 해충의 피해를 받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웅동주, 양성화이고 1년생으로 상체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소나무는 영속적인 종이며, 상체와 뿌리가 함께 자랍니다. 또한 자웅동주는 소나무의 꽃이 아니라, 소나무 잎의 일종인 소나무잎혹파리의 애벌레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느릅나무과 수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느티나무의 열매에는 날개가 있다.
  2. 시무나무의 열매에는 한쪽에만 날개가 있다.
  3. 팽나무와 푸조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한다.
  4. 난티나무는 잎의 선단부가 결각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난티나무는 잎의 선단부가 결각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느티나무의 열매에는 날개가 있는 이유는 씨앗이 바람에 흩어지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날개가 있는 열매는 바람에 쉽게 흩어지며, 이를 통해 씨앗이 멀리 퍼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우리나라 산림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울시는 온대 중부지역에 해당된다.
  2. 온대 중부는 온대 남부에 비해 산림면적이 좁다.
  3. 온대 중부의 단위면적(ha)당 임목축적이 난대에 비해 높다.
  4. 온대 북부의 단위면적(ha)당 임목축적이 온대 남부에 비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온대 중부는 온대 남부에 비해 산림면적이 좁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온대 중부 지역은 대한민국의 대부분 지역을 포함하며, 산림면적도 매우 넓습니다. 이 지역에는 전국의 대부분 산림대학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온대 중부는 온대 남부에 비해 산림면적이 넓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온대 중부 지역이 대한민국의 대부분 지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온대 중부 지역은 대한민국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산림면적도 매우 넓습니다. 따라서, 온대 중부 지역은 대한민국의 산림자원을 대표하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데라사끼(寺崎)의 정성간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종과 E종 간벌에서 2급목을 모두 제거한다.
  2. A종과 B종 간벌에서 1급목과 2급목은 모두 남긴다.
  3. C종 간벌은 1급목의 일부분이 제거된다.
  4. 하층간벌의 경우 4급목과 5급목이 모두 제거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A종과 B종 간벌에서 1급목과 2급목은 모두 남긴다는 설명이 옳은 이유는, 데라사끼(寺崎)의 정성간벌은 나무의 성장에 따라 나무의 부위를 등급으로 나누어 간벌하는 방법으로, 1급목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가장 굵은 나무를 말하며, 2급목은 그 위쪽에 위치한 나무를 말한다. 이에 따라 A종과 B종 간벌에서는 가장 굵은 나무와 그 위쪽에 위치한 나무를 모두 남기기 때문에 1급목과 2급목을 모두 남긴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우리나라 천연활엽수림에서 극상지수가 높은 생태천이 후기 단계의 수종은?

  1. 버드나무류
  2. 사시나무류
  3. 물푸레나무류
  4. 서어나무류
(정답률: 알수없음)
  • 서어나무류는 천연활엽수림에서 극상지수가 높은 생태천이 후기 단계의 수종으로 선택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어나무류는 천연활엽수림에서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서어나무류가 높은 생육력과 생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서어나무류는 다른 수종들과 비교하여 높은 탄소 저장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대기오염을 개선하는 역할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서어나무류는 천연활엽수림에서 극상지수가 높은 생태천이 후기 단계의 수종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의 갱신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흑색면은 갱신된 부분이다.)

  1. 대상산벌법과 군상산벌법을 병용한 갱신법이다.
  2. 설형산벌천연하종갱신법이다.
  3. 바덴신 군상산벌법이다.
  4. a는 벌채방향, b는 풍향을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갱신법은 대상산벌법과 군상산벌법을 병용한 갱신법이다. 대상산벌법은 산봉우리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벌채를 하고, 군상산벌법은 산기슭을 따라 계단식으로 벌채를 하는 방법이다. 이 갱신법은 대상산벌법의 원형 벌채와 군상산벌법의 계단식 벌채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흑색면이 대상산벌법으로 갱신된 부분과 군상산벌법으로 갱신된 부분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a는 벌채방향, b는 풍향을 나타낸다."는 그림에서 설명되어 있는 내용이지만, 이 갱신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묘목 규격을 표시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T/R율, 줄기의 굵기, 뿌리의 길이
  2. 줄기의 길이, 가지의 길이, T/R율
  3. 줄기의 길이, 근원직경, 뿌리의 길이
  4. 뿌리의 길이, 가지의 길이, 줄기의 길이
(정답률: 알수없음)
  • 묘목 규격은 해당 나무의 크기와 형태를 표시하는 것이므로, 줄기의 길이와 근원직경은 나무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며, 뿌리의 길이는 나무가 심겨질 때 필요한 공간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줄기의 길이, 근원직경, 뿌리의 길이"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토심이 깊은 곳을 선호하는 수종은?

  1. Robinia pseudoacacia
  2.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3. Quercus accutissima
  4. Alnus japonica
(정답률: 알수없음)
  • 토심이 깊은 곳을 선호하는 수종은 Quercus accutissima입니다. 이는 깊은 토양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 뿌리가 깊게 침투하며, 뿌리가 강하고 튼튼하여 토양을 잘 고정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Quercus accutissima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서 건조한 지역에서도 자주 발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정량간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잔존본수는 지역 간 차이가 거의 없다.
  2. 평균흉고직경이 클수록 평균수간거리가 짧아진다.
  3. 평균수고가 높아질수록 잔존본수가 증가한다.
  4. 지위가 낮아질수록 잔존본수가 증가한다.
(정답률: 91%)
  • 정량간벌은 나무를 심는 간격과 나무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나무의 생장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에서 지위가 낮아질수록 잔존본수가 증가하는 이유는, 지위가 낮을수록 나무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작은 나무는 더 많은 나무를 심을 수 있으며, 따라서 잔존본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죽림(竹林) 조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증식재료는 지하경의 눈이 나오기 전인 3~4월경에 굴취한다.
  2. 죽묘양성용 지하경은 뿌리를 붙여서 50cm 길이로 끊어 포지에 심는다.
  3. ha당 식재밀도는 맹종죽은 300~500주, 왕대는 500~800주, 솜대는 700~1,000주로 한다.
  4. 심는 장소가 경사지일 때에는 지하경을 등고선 방향과 수직으로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심는 장소가 경사지일 때에는 지하경을 등고선 방향과 수직으로 둔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경사지에서는 지하경을 등고선 방향과 수직으로 심어야 지하수가 잘 흐르기 때문이다. 만약 지하경을 등고선 방향과 평행하게 심으면 지하수가 흐르지 않아 죽림이 죽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덩굴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덩굴은 조림목의 줄기를 자극하여 양료의 하강을 촉진한다.
  2. 덩굴을 오랫동안 그대로 두면 수관이 강해지고 줄기가 곧추선다.
  3. 덩굴치기의 시기는 덩굴식물의 생장이 종료된 겨울철에 실시한다.
  4. 덩굴을 초기에 제거하면 다소 임목의 성장이 늦어질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덩굴은 조림목의 줄기를 자극하여 양료의 하강을 촉진하기 때문에 초기에 제거하면 양분 공급이 줄어들어 임목의 성장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온대 중부지방의 지형에 따른 수종분포를 볼 때 주로 계곡부에 나타나는 것은?

  1. Juglans mandshurica
  2. Quercus mongolica
  3. Pinus densiflora
  4. Tilia amurensis
(정답률: 40%)
  • 주로 계곡부에 나타나는 수종은 수분이 많은 환경을 선호하는 수종입니다. "Juglans mandshurica"는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하며, 높은 습도와 그늘을 좋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곡부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종자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굵은 종자의 실중은 종자 100립의 무게를 뜻한다.
  2. 일반적으로 발아력 검사를 위한 정온기 적온 범위는 25~30℃이다.
  3. 실중과 용적중은 비례하지 않는다.
  4. 건전한 배는 테룰루산칼륨(K2TeO3) 처리 시 붉은색으로 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 검사에서 실중은 종자의 무게를, 용적중은 종자의 부피를 뜻한다. 하지만 종자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실중과 용적중은 비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종자라도 껍질이 두꺼운 경우 실중은 무겁지만 용적중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종자 검사에서는 종자의 크기와 모양을 고려하여 실중과 용적중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조직배양으로 인한 우량 클론(clone)의 대량증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채종원에 비하여 클론의 추가 또는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2. 우량 개체의 선발에서 보급까지의 기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다.
  3. 형질의 상가적 분산은 이용할 수 있지만 비상가적 분산은 이용하지 못한다.
  4. 클론으로 보급되므로 유전획득량을 충분히 올리기 힘들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직배양으로 인한 우량 클론의 대량증식은 우량 개체를 빠르게 선발하고 보급할 수 있기 때문에 우량 개체의 선발에서 보급까지의 기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채종원에 비해 효율적인 방법이며, 빠른 시간 내에 우량 개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 방법의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으로 제시한 접목방법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교접 ⓑ복접 ⓒ박접 ⓓ절접
  2. ⓐ절접 ⓑ복접 ⓒ박접 ⓓ교접
  3. ⓐ박접 ⓑ절접 ⓒ교접 ⓓ복접
  4. ⓐ복접 ⓑ절접 ⓒ박접 ⓓ교접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 두 원이 서로 내부에 있으므로 두 원은 내접한다. 따라서, 두 원의 접점은 교접점이다. 또한, 한 원이 다른 원의 내부에 있으므로 두 원은 절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복접 ⓑ절접 ⓒ박접 ⓓ교접"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밀식조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기에 수관이 울폐되어 임지의 침식이나 건조를 막을 수 있다.
  2. 경쟁식생의 발생을 억제하여 풀베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3. 옹이발생이 많고 연륜폭이 균일하지 못하여 저급 목재를 생산한다.
  4. 조림지 준비 비용, 묘목대, 식재 비용 등이 증가한다.
(정답률: 91%)
  • "옹이발생이 많고 연륜폭이 균일하지 못하여 저급 목재를 생산한다."는 밀식조림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밀식조림은 조기에 수관이 울폐되어 임지의 침식이나 건조를 막을 수 있고, 경쟁식생의 발생을 억제하여 풀베기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조림지 준비 비용, 묘목대, 식재 비용 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질소, 인산, 칼리(칼륨)에 대한 표준시비량(g/본)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묘목은?

  1. 오동나무
  2. 해송
  3. 낙엽송
  4. 전나무
(정답률: 알수없음)
  • 오동나무는 대부분의 나무들과 달리 질소, 인산, 칼리(칼륨) 모두에 대해 높은 요구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칼리(칼륨)의 요구량이 매우 높아서, 칼리(칼륨)의 부족으로 인해 잎이 노랗게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오동나무는 질소, 인산, 칼리(칼륨) 모두를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는 환경에서 가장 잘 자라는 나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종자의 풍흉과 결실 주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목종자 결실의 풍흉은 연도에 따라 불규칙하기 때문에 예측이 어렵다.
  2. 해마다 결실하는 대표적인 수종으로 일본잎갈나무가 있다.
  3. 소나무류, 전나무류 등은 자화아와 웅화아를 구별하기 쉬운 편이므로 풍흉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4. 너도밤나무의 경우 종자를 많이 맺는 해에는 생장보다 번식에 자원을 집중한다.
(정답률: 70%)
  • "해마다 결실하는 대표적인 수종으로 일본잎갈나무가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일본잎갈나무는 해마다 결실하는 대표적인 수종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일본잎갈나무의 꽃이 수종의 다른 나무들과 달리 겨울에 피어서 봄에 결실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본잎갈나무는 다른 나무들과는 달리 풍흉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해마다 일정한 수확량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