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6-2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2018-06-23 기출문제)

목록

1. 산림종자의 발달과 성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침엽수종은 2개의 정핵이 1개의 난세포와 2개의 극핵과 합쳐지는 중복수정을 한다.
  2. 소나무는 개화한 해에 수정하여 크게 자라고 다음해에는 거의 자라지 않으며, 2년째 가을에 성숙한다.
  3. 수종에 따라서는 배유조직이 감소하고 때로는 배유가 없어지는 일이 있는데, 그 예로서 은행나무, 물푸레나무 등을 들 수 있다.
  4. 종자와 열매의 생리적 발달은 생장조절물질의 영향을 받으며, 대부분 수종의 열매는 배주의 수정 이후에 급히 발육하게 된다.
(정답률: 50%)
  • 종자와 열매의 생리적 발달은 생장조절물질의 영향을 받으며, 대부분 수종의 열매는 배주의 수정 이후에 급히 발육하게 된다. 이는 수종마다 발육 시기와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발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기와 방법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수목의 직경생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수목의 직경생장은 주로 형성층의 활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형성층은 수간, 줄기, 뿌리 부분의 목부와 사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2. 형성층 세포는 접선 방향으로 새로운 세포벽을 만드는 병층분열에 의하여 2차목부와 2차사부를 만들게 된다.
  3. 온대지방에서는 봄에 형성층이 활동을 재개할 때 목부조직이 사부조직보다 먼저 만들어진다.
  4. 형성층의 활동은 식물호르몬인 옥신에 의해 좌우되며, 형성층의 계절적 활동은 상록수의 경우 낙엽수보다 더 오래 지속된다.
(정답률: 62%)
  • 온대지방에서는 봄에 형성층이 활동을 재개할 때 목부조직이 사부조직보다 먼저 만들어지는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온대지방에서는 봄에 형성층이 활동을 재개할 때 목부조직과 사부조직이 동시에 만들어진다. 이는 온대지방에서는 겨울철에도 일부 형성층이 활동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종자발아 시 광선에 영향을 적게 받는 수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Thuja orientalis
  2.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3. Tsuga sieboldii
  4.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정답률: 30%)
  • Ulmus davidiana var. japonica는 그늘에서 잘 자라는 나무로, 종자발아 시 광선에 영향을 적게 받는 수종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가장 옳은 답은 Ulmus davidiana var. japonic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삽수 발근이 가장 어려운 수종은?

  1. 느티나무
  2. 개나리
  3. 버드나무
  4. 사철나무
(정답률: 59%)
  • 느티나무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있어서 삽수 발근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목본식물의 사부조직을 통하여 운반되는 탄수화물 중에서 농도가 가장 높고 흔하게 관찰되는 것은?

  1. raffinose
  2. sucrose
  3. sorbitol
  4. verbascose
(정답률: 93%)
  • 사부조직을 통해 운반되는 탄수화물 중에서 농도가 가장 높고 흔하게 관찰되는 것은 "sucrose"입니다. 이는 sucrose가 식물에서 가장 보편적인 운반형태인 광합성에서 생성되는 주요 탄수화물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raffinose, sorbitol, verbascose는 sucrose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발견되며, 특정 식물종에만 존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수목의 기관 중에서 탄수화물의 상대적 수용 강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성숙한 잎
  2. 형성층
  3. 뿌리
  4. 저장조직
(정답률: 72%)
  • 저장조직은 식물 내부에서 영양분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탄수화물의 상대적 수용 강도가 낮습니다. 다른 기관들은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신체 구조를 유지하는 등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탄수화물을 더 많이 수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식물신품종보호법」에 따른 품종보호(출원)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우수성
  2. 구별성
  3. 균일성
  4. 품종명칭
(정답률: 54%)
  • 우수성은 품종의 특징이나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식물신품종보호법」에 따른 품종보호(출원) 요건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우수성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품종보호(출원)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종별 파종방법이 가장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Pinus densiflora - 조파(줄뿌림)
  2. Ginkgo biloba - 산파(흩어뿌림)
  3. Zelkova serrata - 조파(줄뿌림)
  4. Juglans regia - 산파(흩어뿌림)
(정답률: 67%)
  • Zelkova serrata는 조파(줄뿌림) 방법으로 파종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Zelkova serrata가 빠른 성장과 높은 생존율을 보이며, 뿌리가 깊게 자라는 특성 때문입니다. 따라서 줄뿌림 방법으로 파종하면 뿌리가 깊게 자라서 나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반면, 산파(흩어뿌림) 방법은 Juglans regia와 Ginkgo biloba와 같이 뿌리가 얕고 느리게 자라는 나무들에게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줄기접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박접 - 줄기가 단단하고 탄력이 적으며 수조직이 발달하거나 수액이 많이 유출되는 호두나무에 적용
  2. 할접 - 대목이 굵고 세로로 잘 쪼개지는 감나무에 적용
  3. 설접 - 뿌리와 같이 조직이 유연한 대목을 사용할 때 적용하며, 접수와 대목의 굵기가 비슷할 때 유리함
  4. 절접 - 밤나무를 포함한 유실수에 흔히 적용
(정답률: 54%)
  • "박접 - 줄기가 단단하고 탄력이 적으며 수조직이 발달하거나 수액이 많이 유출되는 호두나무에 적용"이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줄기가 단단하고 탄력이 적은 나무에는 오히려 절접이 적합하며, 박접은 줄기가 부드럽고 탄력이 있는 나무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취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파상취목 : 목부가 발달한 임목의 곧은 줄기를 땅속에 묻어 부정아를 유도하여 모식물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2. 단부취목 : 가지를 굽혀서 그 끝을 땅속에 묻어 발근을 유도하면서 가지가 굴곡생장을 통해 정아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
  3. 단순취목 : 가지를 굽히고 굽혀진 가지 밑부분이 땅속에 고정된 상태로 발근이 되도록 하며 가지 끝은 지상으로 나오도록 하는 방법이다.
  4. 매간취목 : 줄기 대부분을 고랑에 수평으로 눕혀서 흙으로 덮은 다음, 새 가지에서 뿌리를 발생시킨 후 모식물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정답률: 72%)
  • 옳지 않은 것은 "파상취목 : 목부가 발달한 임목의 곧은 줄기를 땅속에 묻어 부정아를 유도하여 모식물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이다."가 아닌 다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림토양과 경작토양을 비교한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산림토양은 경작토양보다 공극이 많아서, 일반적으로 용적비중이 더 작다.
  2. 산림토양은 경작토양보다 낙엽층 분해로 인해, 일반적으로 C/N율이 더 낮다.
  3. 산림토양은 경작토양보다 산성화되어, 일반적으로 pH가 더 낮다.
  4. 산림토양은 경작토양보다 질산화작용이 억제되어, 주로 암모늄 형태로 질소를 흡수한다.
(정답률: 20%)
  • 산림토양은 경작토양보다 낙엽층 분해로 인해, 일반적으로 C/N율이 더 낮다. 이는 낙엽이 분해되면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질소가 많이 방출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묘목식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동일한 면적에 정삼각형 식재를 할 때에는 정방형 식재에 비하여 식재할 묘목본수가 5.5% 증가하게 된다.
  2. 봉우리식재는 습지로서 배수가 불량한 곳 또는 석력이 많아서 구덩이를 파기 어려운 곳에 적용되는 특수식재법이다.
  3. 용기묘 식재를 할 때 노지묘와 달리 뿌리에 손상이 없도록 유의하고 뿌리에 직접 접촉하여 시비한다.
  4. 대묘는 식재 후 바람에 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지지대를 세워주는 것이 안전하다.
(정답률: 67%)
  • 대묘는 식재 후 바람에 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지지대를 세워주는 것이 안전하다. - 대묘는 높이가 높아 바람에 취약하며, 묘목이 넘어지면 식재한 땅이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지지대를 세워주는 것이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임목종자의 휴면 원인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가래나무 - 종피의 기계적 작용
  2. 주엽나무 - 종피의 불투수성
  3. 들메나무 - 발아억제물질 존재
  4. 은행나무 - 미성숙배
(정답률: 84%)
  • 들메나무의 휴면 원인은 발아억제물질의 존재입니다. 이는 씨앗 내부에서 발아를 억제하는 물질로, 씨앗이 자라기에 적절한 환경이 되기 전까지 휴면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들메나무의 씨앗은 발아를 위해 적절한 환경이 제공되어야만 깨어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임목종자 저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아까시나무는 종자를 용기에 넣어 실내에 보관하는 일반건조저장이 가능하다.
  2. 종자 내 함수량이 많은 참나무류 등은 저장 중에 수분조건을 적절히 유지해 주어야 한다.
  3. 대부분의 온대수종 종자는 저장 중에 호흡량을 줄이기 위하여 저온저장보다는 일반건조저장이 적합하다.
  4. 은행나무는 가을에 종자 정선이 끝나면 바로 노천매장을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2%)
  • "아까시나무는 종자를 용기에 넣어 실내에 보관하는 일반건조저장이 가능하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아까시나무는 종자를 저온저장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양료순환이란 산림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필요한 양료가 생태계를 통하여 이동, 축적, 배분, 전환하면서 교환되고 순환되는 과정을 말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내부순환계인 폐쇄성 생물학적 양료순환과 외부순환계인 개방성 지화학적 양료순환으로 나눌 수 있다.
  2. 천이 초기에는 식물생체에 저장되는 양료의 비율이 높으나 후기에는 토양에 저장되는 비율이 높다.
  3. 생물학적 양료순환의 예로는 동식물 및 미생물이 관여하는 먹이사슬을 통한 양료의 이동과 전환이 있다.
  4. 지화학적 양료순환의 예로는 인위적 시비에 의한 양료유입과 수확에 의한 양료유출이 있다.
(정답률: 82%)
  • 천이 초기에는 식물생체에 저장되는 양료의 비율이 높으나 후기에는 토양에 저장되는 비율이 높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천이 초기에는 토양에 축적된 양료가 생물체에 흡수되어 생장에 이용되는 비율이 높고, 후기에는 생물체에서 배출된 양료가 토양에 축적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생물체가 성장하면서 필요한 양료를 더 많이 흡수하게 되고, 또한 생물체의 대사 활동이 활발해져서 배출되는 양료가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우리나라의 산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나무림이 많이 분포하는 지역은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을 모암으로 하여 생성된 모래질이 많은 갈색 산림토양이다.
  2. 소나무의 우점현상은 건조하기 쉬운 산 능선 부위, 암반노출이 심한 지역, 남동~남서 사면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3. 소나무의 순림은 건조한 지역에 형성되며 여러 가지 교란에 매우 강한 경향이 있다.
  4. 소나무-활엽수 혼효림은 대체로 급경사지에 많이 발달하며 활엽수림으로 천이되는 과도기의 산림형으로 판단된다.
(정답률: 70%)
  •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소나무의 순림은 건조한 지역에 형성되며 여러 가지 교란에 매우 강한 경향이 있다." 이다. 소나무림은 건조한 지역에 많이 분포하지만, 교란에 강한 경향이 있는 것은 오히려 활엽수림이다. 소나무는 교란에 약하고, 자연적인 산불 등의 교란이 없으면 순림이 유지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우리나라 천연활엽수림에서 성숙목 기준으로 상층임관, 중층임관, 하층식생을 구성하는 수종을 가장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1. 신갈나무 - 생강나무 - 까치박달나무
  2. 생강나무 - 진달래 - 쪽동백나무
  3. 물푸레나무 - 까치박달나무 - 진달래
  4. 신갈나무 - 쪽동백나무 - 물푸레나무
(정답률: 77%)
  • 상층임관은 높은 위치에 자라는 나무들로서, 물푸레나무가 해당됩니다. 중층임관은 중간 위치에 자라는 나무들로서, 까치박달나무가 해당됩니다. 하층식생은 낮은 위치에 자라는 식물들로서, 진달래가 해당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짝지은 것은 "물푸레나무 - 까치박달나무 - 진달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리나라 주요 수종 중 개화시기가 가장 늦은 것은?

  1. 소나무
  2. 음나무
  3. 구상나무
  4. 버드나무
(정답률: 64%)
  • 음나무는 다른 나무들에 비해 개화시기가 가장 늦습니다. 일반적으로 5~6월쯤에 개화하는 나무들이 많은데, 음나무는 7~8월쯤에 개화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음나무가 더 따뜻한 여름철에 개화하며, 다른 나무들과는 조금 차별화된 생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영양번식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종자번식법
  2. 삽목법
  3. 접목법
  4. 조직배양법
(정답률: 77%)
  • 종자번식법은 식물의 번식 방법 중 하나로, 식물의 씨앗을 이용하여 새로운 개체를 번식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영양번식 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영양번식 방법은 식물의 줄기, 잎, 뿌리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개체를 번식하는 방법으로, 삽목법, 접목법, 조직배양법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대추나무빗자루병, 뽕나무오갈병 등의 수목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은?

  1. 박테리아
  2. 파이토플라스마
  3. 곰팡이
  4. 바이러스
(정답률: 93%)
  • 파이토플라스마는 수목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 중 하나로, 나무의 세포를 침범하여 병을 일으키는 세균입니다. 이러한 세균은 대개 벡터(곤충 등)를 통해 전파되며, 대추나무빗자루병, 뽕나무오갈병 등의 수목 병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