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6-1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2019-06-15 기출문제)

목록

1. 종자가 일제히 싹트는 힘을 나타낸 것으로, 종자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1. 발아율
  2. 발아력
  3. 발아효율
  4. 발아세
(정답률: 75%)
  • 종자의 발아세는 일정한 환경에서 일정 기간 동안 발아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발아세가 높을수록 종자가 좋은 품질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수확량과 높은 생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자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은 발아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데라사끼(寺崎)의 간벌양식 중 A종 간벌을 한 후의 임상으로 가장 옳은 것은?

(정답률: 48%)
  • A종 간벌 후에는 간내 담즙의 양이 감소하고, 담즙의 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담석이나 담도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담즙을 희석시키는 산성음료나 알코올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가 가장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직파조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의 품질은 직파조림에 영향을 주는 인자이다.
  2. 직파조림의 경우는 지존작업을 실시하지 않는다.
  3. 소나무, 상수리나무, 가래나무는 모두 직파조림의 성과가 좋은 수종이다.
  4. 중부지방은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에 파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87%)
  • "직파조림의 경우는 지존작업을 실시하지 않는다."라는 설명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직파조림에서도 지존작업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채종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입지는 외부 화분의 유입을 위해 동종임분으로부터 500m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2. 같은 클론간 교배빈도가 되도록 높게 배치한다.
  3. 하층에 풀을 나게 해서 지표면 침식을 막을 수 있게 관리한다.
  4. 환상박피, 긴박 등 결실촉진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67%)
  • 채종원은 식물학자이며, 주로 산림생태학과 생태복원학 분야에서 활동하였습니다. 따라서 "하층에 풀을 나게 해서 지표면 침식을 막을 수 있게 관리한다."라는 설명이 가장 옳습니다. 이는 생태복원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지표면 안정화를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지표면이 안정화되면 토양유실을 막고,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내생균근에 감염되는 식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Ulmus parviflora
  2. Fraxinus rhynchophylla
  3. Liriodendron tulipifera
  4.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정답률: 36%)
  •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는 생균근에 감염되지 않는 나무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덩굴치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덩굴치기의 시기는 뿌리 속의 저장양분을 소모한 7월경이 좋다.
  2. 덩굴식물은 일반적으로 내음성이 강한 음성이다.
  3. 덩굴식물은 무성적 번식이 잘 되지 않는다.
  4. 칡은 지상부의 덩굴을 모두 잘라주어 고사시킨다.
(정답률: 75%)
  • 덩굴식물은 뿌리 속의 저장양분을 이용하여 성장하므로, 뿌리 속의 저장양분을 소모한 7월경이 덩굴치기에 가장 적합한 시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자식물의 수분과 수정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정핵과 난세포가 결합하여 2n의 접합자가 형성된다.
  2. 배유는 반수체(n)로 된 세포가 독자적으로 자라난 것이다.
  3. 배와 배유를 형성하는 중복수정을 한다.
  4. 화분이 주두에 부착하는 현상을 수분이라 한다.
(정답률: 59%)
  • "화분이 주두에 부착하는 현상을 수분이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배유는 정핵과 난세포가 결합하여 2n의 접합자가 형성된 후, 접합자가 분열하여 2개의 반수체(n)를 가진 세포가 생성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후, 이 반수체 세포가 독자적으로 자라나면서 배유가 형성됩니다.

    배와 배유를 형성하는 중복수정은 맞는 설명입니다. 중복수정은 생식세포에서 일어나는 과정으로, 염색체가 복제되어 2배로 증가한 후, 이를 가진 세포가 분열하여 반수체 세포가 생성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화분이 주두에 부착하는 현상을 수분이라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도태간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우량대경재를 생산하기 위한 숲을 대상으로 미래목을 선발하여 우수한 나무의 자람을 촉진시키는 방법이다.
  2. 지위(地位)가 중 이상으로 지력이 좋고 입목의 생육상태가 양호한 숲에 적용하기 좋다.
  3. 선발목은 최종수확 대상으로 남기는 나무이다.
  4. 후보목은 어린 임분에서 장차 선발목으로 선택될 가능성이 있는 우량한 나무이다.
(정답률: 64%)
  • 선발목은 최종수확 대상으로 남기는 나무이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선발목은 우량한 나무 중에서 미래목으로 선발되어 우수한 나무의 자람을 촉진시키는 것이 목적이며, 최종수확 대상으로 남기는 것은 선발목이 아닌 다른 나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개화한 후 이듬해에 종자가 성숙하는 수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Pinus densiflora
  2. Quercus acutissima
  3. Castanopsis sieboldii
  4. Tilia amurensis
(정답률: 63%)
  • Tilia amurensis는 개화한 후 이듬해에 종자가 성숙하는 수종이 아닙니다. Tilia amurensis는 개화한 후 2년 이상이 지난 후에 종자가 성숙합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데라사끼(寺崎)의 수형급 중 2급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세력이 감소되고 자람이 지연되고 있으나 수관이 피압되지 않은 나무
  2. 수관의 발달이 지나치게 왕성하고 넓게 확장하거나 또는 위로 솟아올라 수관이 편평한 것
  3. 수관의 발달이 지나치게 약하고, 이웃한 나무 사이에 끼어서 줄기가 매우 세장한 것
  4. 줄기가 갈라지거나 굽는 등 수형에 결점이 있는 것
(정답률: 40%)
  • "세력이 감소되고 자람이 지연되고 있으나 수관이 피압되지 않은 나무"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수형급 중 2급목은 세력이 감소되고 자람이 지연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에 따라 수관이 피압되지 않은 나무일 수도 있지만, 수관이 피압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조림수종의 선정 및 묘목의 식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장기 용재수는 1ha당 3,000그루 정도를 식재한다.
  2. 연료림 등의 단벌기 작업을 목적으로 할 때는 1ha당 10,000~20,000그루 정도를 식재한다.
  3. 조림수종을 선정할 때는 식재 후 관리가 어렵더라도 경제성이 높은 수종을 선택한다.
  4. 포트묘는 봄에서 가을에 걸쳐 식재가 가능하다.
(정답률: 96%)
  • "조림수종을 선정할 때는 식재 후 관리가 어렵더라도 경제성이 높은 수종을 선택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조림수종을 선택할 때에는 경제성 뿐만 아니라 생태적, 지리적, 기후적 조건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따라서 경제성만을 따져서 수종을 선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Hawley의 하층간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강도의 강한 수준으로 간벌을 실시하면 피압목, 중간목, 대부분의 준우세목이 제거된다.
  2. 피압목은 약도와 경도에서는 제거대상이 되고 중도에서는 제거대상이 아니다.
  3. 유령임분(幼齡林分)에서 흔히 적용된다.
  4. 보통간벌 또는 프랑스식 간벌법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87%)
  • Hawley의 하층간벌은 강도의 강한 수준으로 간벌을 실시하면 피압목, 중간목, 대부분의 준우세목이 제거된다는 것이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강한 간벌로 인해 경제적으로 가치가 떨어지는 나무들이 제거되어 좋은 나무들만 남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유용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두 생물종 간의 상호작용 형태에서 두 생물종 중 어느 한쪽만 해롭게 되는 것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포식, 기생, 상리공생
  2. 경쟁, 편해공생, 중립
  3. 포식, 기생, 편해공생
  4. 상리공생, 편리공생, 중립
(정답률: 92%)
  • 정답은 "포식, 기생, 편해공생"입니다.

    - 포식: 한 생물종이 다른 생물종을 먹어서 생존하는 상호작용 형태입니다. 이 때, 먹히는 생물종은 해롭게 작용합니다.
    - 기생: 한 생물종이 다른 생물종에게서 영양분 등을 빼앗아서 생존하는 상호작용 형태입니다. 이 때, 기생하는 생물종은 해롭게 작용합니다.
    - 편해공생: 한 생물종이 다른 생물종에게서 이익을 얻으면서도 상대 생물종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상호작용 형태입니다. 이 때, 이익을 얻는 생물종은 유익하게 작용하고, 상대 생물종은 중립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종과 수령 그리고 같은 입지에 있어서 밀도만을 다르게 할 때 임목의 형질과 생산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상층목의 평균수고는 임목의 밀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2. 간형(幹形)은 저밀도일수록 완만하게 된다.
  3. 연륜폭은 저밀도일수록 좁아진다.
  4. 단목의 평균간재적은 밀도가 높아질수록 작아진다.
(정답률: 79%)
  • 단목의 평균간재적은 밀도가 높아질수록 작아진다는 것은, 같은 면적 내에 나무의 개체 수가 많아질수록 각 나무의 공간이 좁아져서 나무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각 나무가 가지는 공간이 작아지므로 생장에 제한이 생기고, 따라서 생산량도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임목종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은행나무의 배유발달에 필요한 조절물질은 시토키닌 이다.
  2. 일반적으로 수목 체내의 C/N율이 낮아지면 개화 결실이 촉진된다.
  3. 소나무의 성숙종자에서는 옥신 농도가 증가한다.
  4. 암모늄태 질소비료가 질산태 질소비료보다 개화 결실 촉진에 효과적이다.
(정답률: 59%)
  • "은행나무의 배유발달에 필요한 조절물질은 시토키닌 이다." 이유는 시토키닌이 세포분열과 세포확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이것이 배유발달에 필요한 세포분열과 세포확장을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후숙을 필요로 하는 수종의 종자는?

  1. 느릅나무
  2. 버드나무
  3. 졸참나무
  4. 물푸레나무
(정답률: 60%)
  • 물푸레나무는 물에 잠긴 지역에서 자라는 수종으로, 물 속에서 적극적으로 생장하기 위해 후숙을 필요로 합니다. 후숙은 씨앗이 물 속에서 떠다니며 자라기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물푸레나무는 이를 통해 물 속에서 안정적으로 자라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푸레나무는 후숙을 필요로 하는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가지치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나무, 잣나무, 편백 등의 목재생산 수종을 대상으로 한다.
  2. 목표생산재가 톱밥·펄프·숯 등 일반 소경재일 경우에는 가지의 발달상태를 고려하여 가지치기를 실시한다.
  3. 죽은 가지의 제거는 가지치기의 작업시기와 큰 상관이 없다.
  4. 최종수확 대상목이 선정되면 최종수확 대상목에 대해서만 가지치기를 실시한다.
(정답률: 71%)
  • 죽은 가지의 제거는 가지치기의 작업시기와 큰 상관이 없다는 설명이 가장 옳지 않습니다. 죽은 가지의 제거는 가지치기 작업시기와 관련이 있으며, 가능한 빨리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죽은 가지가 나무에 머무르면 병원균 등의 해충이 번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단근작업을 1회, 상체작업을 2회 각각 실시한 4년생 실생묘를 나타내는 것은?

  1. F1P-2P-1
  2. S1-2P-1
  3. F2P-2
  4. C1/3
(정답률: 63%)
  • 정답은 "S1-2P-1"입니다.

    "S"는 실생묘를 나타내는 약어이고, "1"은 나이를 나타냅니다. "2P"는 상체작업을 2회 실시했다는 것을 나타내며, "1"은 단근작업을 1회 실시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실생묘는 4년생이며, 상체작업을 2회, 단근작업을 1회 실시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보기>의 개벌왜림작업법에 대한 설명 중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ㄹ
  2. ㄷ, ㅂ, ㅅ
  3. ㄷ, ㄹ, ㅁ, ㅂ
  4. ㄹ, ㅁ, ㅂ, ㅅ
(정답률: 68%)
  • ㄱ, ㄴ, ㄹ은 숲을 보존하면서도 작업이 가능한 작은 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보전과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우량한 묘목을 생산하기 위해 묘포를 선정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묘포는 남북으로 길게 설치하여 묘상이 남쪽을 향하도록 한다.
  2. 묘포의 토질은 사양토 지역이 좋으며, 2~5° 경사지고 땅힘이 좋아야 한다.
  3. 묘포는 조림지의 기후와 비슷한 환경을 가진 곳을 선택한다.
  4. 묘포는 교통이 편리하고 작업할 때 노동력 공급이 원활한 곳이 좋다.
(정답률: 100%)
  • "묘포는 교통이 편리하고 작업할 때 노동력 공급이 원활한 곳이 좋다."는 우량한 묘목 생산을 위해 묘포를 선정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묘포를 남북으로 길게 설치하여 묘상이 남쪽을 향하도록 하는 이유는, 남쪽에서 더 많은 햇빛을 받아 묘목의 성장에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