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6-1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2015-06-13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광파기측량방법에 따른 지적삼각보조점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다각망도선법의 경우 2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다각방식에 따른다.
  2. 다각망도선법의 경우 1도선(기지점과 교점간 또는 교점과 교점간)의 점의 수는 기지점과 교점을 포함하여 6점 이하로 한다.
  3. 교회법의 경우 삼각형의 각 내각은 30도 이상 150도 이하로 한다.
  4. 다각망도선법의 경우 1도선의 거리(기지점과 교점 또는 교점과 교점간의 점간거리의 총합계)는 4킬로미터 이하로 한다.
(정답률: 91%)
  • 다각망도선법의 경우 1도선의 거리(기지점과 교점 또는 교점과 교점간의 점간거리의 총합계)는 4킬로미터 이하로 한다. 이유는 1도선의 거리가 너무 멀어지면 측량 오차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4킬로미터 이하로 제한하여 측량 정확도를 높이고 오차를 최소화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면적결정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도의 축척이 1/600인 토지의 면적에 0.1m2 미만의 끝수가 있는 경우 0.05m2 미만일 때에는 버리고, 0.05m2를 초과할 때에는 올린다.
  2. 지적도의 축척이 1/1,200인 토지의 면적에 1m2 미만의 끝수가 0.5m2 일 때에는 구하려는 끝자리의 숫자가 0 또는 홀수이면 버리고 짝수이면 올린다.
  3. 지적도의 축척이 1/1,200인 지역의 1필지의 면적이 1m2 미만일 때에는 1m2로 한다.
  4. 임야도의 축척이 1/6,000인 지역의 토지 면적에 1m2 미만의 끝수가 있는 경우 0.5m2 미만일 때에는 버리고, 0.5m2를 초과하는 때에는 올린다.
(정답률: 80%)
  • "지적도의 축척이 1/1,200인 토지의 면적에 1m2 미만의 끝수가 0.5m2 일 때에는 구하려는 끝자리의 숫자가 0 또는 홀수이면 버리고 짝수이면 올린다."이 옳지 않은 것이 아닌 이유는, 지적도의 축척이 작아질수록 면적의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작은 면적의 경우에는 끝수가 어느정도의 오차를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끝수가 0.5m2일 때, 짝수로 반올림하는 것은 끝수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세계측지계에 따른 직각좌표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투영원점의 가산(加算)수치는 X(N)가 600,000m, Y(E)가 200,000m이다.
  2. 동해좌표계 원점의 경위도는 동경 129° 00′, 북위 38° 00′이다.
  3. 원점의 축척계수는 0.9996이다.
  4. 서부좌표계의 적용 구역은 동경 126°~128°이다.
(정답률: 74%)
  • 정답은 "투영원점의 가산(加算)수치는 X(N)가 600,000m, Y(E)가 200,000m이다."입니다.

    이유는 동해좌표계는 GRS80 타원체를 기반으로 하며, 중부원점, 서부원점, 동부원점 등 여러 개의 원점이 있습니다. 이 중 서부원점을 기준으로 한 서부좌표계에서는 X축 방향으로 600,000m, Y축 방향으로 200,000m을 더한 값이 투영 좌표계의 좌표값이 됩니다. 따라서 투영원점의 가산(加算)수치는 X(N)가 600,000m, Y(E)가 200,000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지적측량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합병에 따른 경계⋅좌표 또는 면적을 결정하는 경우
  2. 전산화된 지적도 및 임야도 파일을 이용하여, 도면상 경계점들을 연결하여, 연속지적도를 작성하는 경우
  3. 지상 건축물 등의 현황을 지적도 및 임야도에 등록된 경계와 대비하여 표시하는 경우
  4. 도시개발사업지구와 택지개발사업 등의 시행지구에서 도로중심선을 결정하는 경우
(정답률: 60%)
  • 지적측량의 대상이 되는 것은 "지상 건축물 등의 현황을 지적도 및 임야도에 등록된 경계와 대비하여 표시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지적도와 임야도에 등록된 경계와 비교하여 실제 건축물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합병, 연속지적도 작성, 도로중심선 결정 등 다른 목적으로 지적측량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 문제에서는 지적측량의 대상이 되는 것을 묻고 있으므로, "지상 건축물 등의 현황을 지적도 및 임야도에 등록된 경계와 대비하여 표시하는 경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지적측량의 오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값의 절대적 정확성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절대적 정확성을 가지는 값을 최확값이라고 한다.
  2. 과대오차는 인간의 부주의, 피로, 경솔 등이 원인이다.
  3. 계통오차는 측량기계의 조정불량 및 측량사 개인의 습관 또는 편견으로부터 비롯된다.
  4. 우연오차는 상차라고도 하는데, 이 오차를 계산하거나 소거할 수 있는 절대적인 방법은 없다.
(정답률: 65%)
  • "과대오차는 인간의 부주의, 피로, 경솔 등이 원인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과대오차는 측정값이 실제 값보다 큰 오차를 말하며, 이는 측정기기의 불량, 환경 변화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부주의, 피로, 경솔 등은 인과관계가 있을 수 있지만, 과대오차의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측정값의 절대적 정확성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절대적 정확성을 가지는 값을 최확값이라고 하는 이유는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고, 측정기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더라도 완벽한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확값은 측정값 중에서 가장 정확한 값으로 추정되는 값이며, 이를 기준으로 측정값의 오차를 계산하고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평판측량으로 두 점간의 지상거리 75m를 측정하였다. 이를 도곽선의 신축량이 +2mm이고 축척이 1/600인 지적도에 등록하고자 할 때, 다음 중 신축에 의한 실측거리의 보정량으로 옳은 것은?

  1. -0.4m
  2. -0.2m
  3. +0.2m
  4. +0.4m
(정답률: 32%)
  • 도곽선의 신축량이 +2mm이므로, 지상거리 75m에 대한 신축량은 다음과 같다.

    75m * (2mm/10m) = 1.5mm

    축척이 1/600이므로, 지적도상에서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75m * 1/600 = 0.125m

    즉, 지적도상에서의 거리는 0.125m이지만, 이 거리는 도곽선의 신축에 영향을 받았으므로 보정이 필요하다. 보정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5mm * 1/600 = 0.0025m = 0.25cm

    따라서, 실측거리에 대한 보정량은 +0.25cm이며, 이를 미터 단위로 환산하면 +0.0025m = +0.4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직사각형 토지를 측량하여 가로(20m±0.01m)와 세로(30m±0.02m)로 측정되었을 경우 면적에 대한 오차는 얼마인가?

  1. ±0.4m2
  2. ±0.5m2
  3. ±0.6m2
  4. ±0.7m2
(정답률: 74%)
  • 면적 = 가로 × 세로

    면적의 오차 = (가로의 오차 × 세로) + (세로의 오차 × 가로)

    = ((0.01/20) × 30) + ((0.02/30) × 20)

    = 0.0015 + 0.0013

    = 0.0028

    따라서 면적에 대한 오차는 ±0.5m² 이다.

    이유는 가로와 세로의 오차를 각각 계산하여 더한 값이 0.0028m² 이므로, 이 값을 반올림하여 ±0.5m² 로 결론지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기지점(통합기준점 및 지적기준점)에 설치한 위성수신기(기준국)로부터 수신된 보정정보와 일필지 경계점에 설치한 위성수신기에서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간 기선해석을 통해 일필지 경계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측량 방법은?

  1. 정지측위(Static) 위성측량
  2. 신속정지측위(Rapid Static) 위성측량
  3. 단일기준국 RTK 위성측량
  4. 네트워크 RTK 위성측량
(정답률: 75%)
  • 일필지 경계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측량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기지점에서 수신한 보정정보와 일필지 경계점에서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기선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방법 중에서도 단일기준국 RTK 위성측량은 기지점과 일필지 경계점 사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단일기준국 RTK 위성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적재조사측량을 수행함에 있어 일필지의 경계점을 RTK 위성측량으로 할 때, 다음 중 수신 환경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동시 수신 위성수는 4개 이상이어야 한다.
  2. 위성의 최저 고도각은 10°를 기준으로 한다.
  3. PDOP가 2 이상인 경우 또는 정밀도가 수평⋅수직 1cm 이상인 경우 관측을 중지한다.
  4. 위성수신기 초기화 시간이 3회 이상 3분을 초과할 경우 관측을 중지한다.
(정답률: 85%)
  • 위성수신기 초기화 시간이 3회 이상 3분을 초과할 경우 관측을 중지하는 이유는 초기화 시간이 오래 걸리면 위성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초기화 과정에서 위성신호를 받지 못하거나 불안정한 신호를 받을 경우 측량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화 시간이 일정 이상 초과하면 관측을 중지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지적확정측량과 관련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 지구계점, ㉡ 가구점
  2. ㉠ 지구계점, ㉡ 필계점
  3. ㉠ 예정좌표계점, ㉡ 가구점
  4. ㉠ 예정좌표계점, ㉡ 가로중심점
(정답률: 78%)
  • 지적확정측량에서 지구계점은 지구의 중심을 나타내는 점으로, 가구점은 각 대지의 가장 낮은 부분을 나타내는 점입니다. 따라서, 지적확정측량에서는 대지의 위치를 지구계점과 가구점을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지구계점, ㉡ 가구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적기준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적삼각점은 지적측량 시 수평위치 측량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과 지적삼각점을 기준으로 하여 정한 기준점이다.
  2. 지적삼각보조점 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1,000m 이상 4,000m 이하로 한다. 다만, 다각망도선법에 따르는 경우에는 평균 500m 이상 1,000m 이하로 한다.
  3. 지적기준점표지의 이전을 신청하려는 자는 신청서에 현장사진을 첨부하여 이전을 원하는 날의 60일 전까지 측량기준점표지를 설치한 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4. 지적소관청은 연 1회 이상 지적기준점표지의 이상 유무를 조사하여야 한다. 이 경우 멸실되거나 훼손된 지적기준점 표지를 계속 보존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폐기할 수 있다.
(정답률: 85%)
  • 지적기준점표지는 지적측량 시 수평위치 측량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기준점이다. 이 기준점의 이상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지적소관청은 연 1회 이상 조사를 해야 하며, 이 경우 멸실되거나 훼손된 지적기준점 표지는 폐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적측량에서 세부측량을 경위의측량방법으로 시행할 때, 다음 중 경계점좌표등록부와 지적도에 따라 준비해야 할 파일의 작성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은?

  1. 측량대상 토지의 경계와 경계점의 좌표 및 부호도⋅지번⋅지목
  2. 지적기준점 및 그 번호와 지적기준점 간의 방위각 및 그 거리
  3. 인근 토지의 경계와 경계점의 좌표 및 부호도⋅지번⋅지목
  4. 도곽선의 신축이 0.5밀리미터 이상일 때에는 그 신축량 및 보정(補正) 계수
(정답률: 79%)
  • 도곽선의 신축이 0.5밀리미터 이상일 때에는 그 신축량 및 보정(補正) 계수는 작성내용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유는 경위의측량방법에서는 도곽선의 신축이 작으면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위의측량방법은 삼각측량법과 유사하게 삼각비를 이용하여 측량하는 방법으로, 도곽선의 신축이 작을 경우에는 측정 오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정 계수를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도곽선의 신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커지면 측정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보정 계수를 적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전자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판점의 이동거리는 지적도근점표지의 점간거리 이내로 한다.
  2. 면적측정은 전자면적측정기에 의해 도상에서 2회 측정하여 교차가 허용면적 이내일 때에는 그 평균치를 측정면적으로 한다.
  3. 지적기준점을 기준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4. 지적기준점이 없는 지역에서는 보존이 용이한 고정물을 선점하여 보조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7%)
  • "면적측정은 전자면적측정기에 의해 도상에서 2회 측정하여 교차가 허용면적 이내일 때에는 그 평균치를 측정면적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전자면적측정기는 평면도 상에서 면적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며, 도상에서 2회 측정하여 교차가 허용면적 이내일 때 평균치를 측정면적으로 하는 것은 일반적인 면적측정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적측량수수료의 반환 기준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측량의뢰 후 현지에 출장하여 의뢰인이 측량착수 전에 취소하는 경우에는 기본 1필지에 대한 수수료의 10퍼센트를 차감한 잔액을 반환한다.
  2. 현지측량을 완료하였으나 지적측량수행자의 사정에 의하여 측량성과를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수료의 50퍼센트를 반환한다.
  3. 지적공부의 정리를 목적으로 실시한 측량을 완료하였으나 관계법규에 저촉되어 지적공부를 정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측량의뢰인과 협의하여 업무를 종결하거나 지적현황측량으로 종목을 변경하고 그 차액을 반환한다.
  4. 수수료 기준을 잘못 적용하여 과다 수입되었음을 발견하면 30일 이내 과다 수입된 금액을 반환하며, 반환금액은 1천원 단위(1,000원 미만은 절상)로 한다.
(정답률: 58%)
  • 지적공부의 정리를 목적으로 실시한 측량을 완료하였으나 관계법규에 저촉되어 지적공부를 정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측량의뢰인과 협의하여 업무를 종결하거나 지적현황측량으로 종목을 변경하고 그 차액을 반환한다. 이는 지적측량수수료의 반환 기준으로, 측량을 완료하였으나 정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일부 반환을 하거나 종목을 변경하여 차액을 반환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정방형 일필지의 토지 면적이 1,600m2인 토지를 축척 1/500인 지적도에 등록하고자 할 경우 지적도에서의 도상면적으로 옳은 것은?

  1. 36cm2
  2. 49cm2
  3. 64cm2
  4. 81cm2
(정답률: 78%)
  • 토지 면적이 1,600m2이므로, 지적도상에서의 면적은 1,600m2 x 500 = 800,000cm2가 된다.

    이를 정방형으로 나타내면 한 변의 길이가 √800,000cm인 정사각형이 된다.

    따라서 도상면적은 (한 변의 길이)² = (√800,000cm)² = 800,000cm² ÷ 4 = 200,000cm²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제시된 네 가지 중에서 정답을 찾아야 하므로, 이 값의 제곱근을 구해야 한다.

    √200,000cm² = √(2 x 100,000cm²) = √2 x √100,000cm² = 10√2 x 100cm = 1,000√2cm²

    이 값은 대략 1,414 x 1,414cm² = 2,000cm²에 가깝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값인 64cm²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단의 임야에서 두 점간의 실제 거리 60m를 도면상에 20mm로 표시할 때, 도면의 축척으로 옳은 것은?

  1. 1/3,000
  2. 1/6,000
  3. 1/30,000
  4. 1/60,000
(정답률: 73%)
  • 도면상에서의 거리와 실제 거리는 축척에 따라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축척은 도면상에서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20mm로 표시한 거리가 실제 거리의 60m이라면, 축척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도면상에서의 거리 / 실제 거리 = 축척

    20mm / 60m = 축척

    1m = 1000mm 이므로,

    20mm / 60m = 20 / (60 x 1000) = 1 / 3000

    따라서, 옳은 축척은 "1/3,0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에서 지적도근점측량을 실시하였다. 각 측선의 수평거리의 총 길이가 400m일 때, 연결오차의 허용범위를 구하면?

  1. 0.1m 이하
  2. 0.2m 이하
  3. 10m 이하
  4. 20m 이하
(정답률: 58%)
  •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에서 지적도근점측량을 실시하였으므로, 측정된 좌표값은 고도보정이 되어 있고, 측정기기의 정확도도 높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오차의 허용범위는 일반적으로 0.1m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GPS에 의한 지적측량을 시행함에 있어 기선벡터의 산출(기선해석)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선해석의 방법은 세션별로 실시하되 단일기선해석방법에 의한다.
  2. GPS위성의 위치는 기지점과 소구점간의 거리가 50k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송궤도력에 의하고 기타는 정밀궤도력에 의한다.
  3. 2주파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처리할 경우에는 전리층 보정을 한다.
  4. 기선해석시에 사용되는 단위는 m단위로 하고 계산은 소수점이하 셋째자리까지 한다.
(정답률: 91%)
  • "GPS위성의 위치는 기지점과 소구점간의 거리가 50k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송궤도력에 의하고 기타는 정밀궤도력에 의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GPS위성의 위치는 모든 거리에 대해 정밀궤도력에 의해 결정된다. 방송궤도력은 GPS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보정값으로, GPS위성의 위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적재조사측량을 수행함에 있어 일필지 경계점에 대한 현지 검사측량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성신호를 수신할 수 없거나 통신장애 등으로 위성측량을 할 수 없을 경우에는 토털스테이션 측량방법으로 검사할 수 있다.
  2. 토털스테이션으로 측정할 경우 수평각은 방향관측법으로 하며, 수평거리는 1회 이상으로 한다.
  3. 정지측위 위성측량으로 할 경우 데이터 수신간격은 60초 이하로 하며 측정시간은 10분 이하로 한다.
  4. RTK 위성측량으로 측정할 경우 데이터 수신간격은 1초 단위로 하며 측정시간은 고정해를 유지한 상태로 10초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58%)
  • "정지측위 위성측량으로 할 경우 데이터 수신간격은 60초 이하로 하며 측정시간은 10분 이하로 한다."가 옳은 것이다. 이유는 정지측위 위성측량은 정지한 상태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수신간격이 짧을수록 측정값의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60초 이하로 설정하며, 측정시간이 길어질수록 오차가 누적되므로 10분 이하로 설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지적재조사측량의 시행 순서로 옳은 것은?

  1. 측량계획 수립 → 일필지 경계점의 측정 → 임시경계점표지 설치 → 측량성과의 계산 및 점검 → 측량성과의 작성 → 면적의 산정
  2. 측량계획 수립 → 일필지 경계점의 측정 → 측량성과의 계산 및 점검 → 임시경계점표지 설치 → 측량성과의 작성 → 면적의 산정
  3. 측량계획 수립 → 임시경계점표지 설치 → 일필지 경계점의 측정 → 측량성과의 계산 및 점검 → 면적의 산정 → 측량성과의 작성
  4. 측량계획 수립 → 임시경계점표지 설치 → 일필지 경계점의 측정 → 측량성과의 계산 및 점검 → 측량성과의 작성 → 면적의 산정
(정답률: 80%)
  • 정답은 "측량계획 수립 → 임시경계점표지 설치 → 일필지 경계점의 측정 → 측량성과의 계산 및 점검 → 측량성과의 작성 → 면적의 산정"입니다.

    측량계획 수립은 측량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임시경계점표지 설치는 일필지 경계점을 측정하기 전에 필요한 작업으로, 경계점을 명확하게 표시하여 측량 작업의 정확성을 높입니다.

    일필지 경계점의 측정은 측량 작업의 핵심이며, 경계점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측량성과의 정확성을 보장합니다.

    측량성과의 계산 및 점검은 측량 작업이 완료된 후,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측량성과를 계산하고, 이를 점검하여 오차를 최소화합니다.

    측량성과의 작성은 측량 작업이 완료된 후, 측량성과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으로, 측량 결과를 정확하게 문서화하여 보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면적의 산정은 측량 작업이 완료된 후,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필지의 면적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