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8-20)

유통관리사 2급
(2022-08-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유통물류일반

1. 채찍효과(bullwhip effect)를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지나치게 잦은 할인행사를 지양한다.
  2. S&OP(Sales and Operations Planning)를 활용한다.
  3. 공급체인에 소속된 각 주체들이 수요 정보를 공유한다.
  4. 항시저가정책을 활용해서 수요변동의 폭을 줄인다.
  5. 공급체인의 각 단계에서 독립적인 수요예측을 통해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인다.
(정답률: 55%)
  • 공급체인의 각 단계에서 독립적인 수요예측을 통해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인다는 것은 채찍효과를 줄이는 대안으로 옳은 것입니다. 이는 각 단계에서 수요 예측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공유하여 전체적인 수요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재고량을 줄이고 생산 계획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아래 글상자의 동기부여이론을 설명하는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위생요인에 대해 설명하는 이론이다.
  2. 인간의 행동을 지나치게 일반화 및 단순화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3. 고차원의 욕구가 충족되면 저차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4. Y형 인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5. 감독, 급료, 작업조건의 개선은 동기부여 자체와는 관련이 없다.
(정답률: 72%)
  • 위 그림은 허즈버그의 이중요인 이론을 나타내고 있다. 이 이론은 인간의 동기부여를 만족시키는 요인을 '위생요인'과 '동기요인'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 이론은 인간의 행동을 지나치게 일반화 및 단순화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모든 인간이 동일한 요인에 대해 동일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이론은 인간의 동기부여를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기업이 물류부문의 아웃소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편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비용 절감
  2. 물류서비스 수준 향상
  3. 외주 물류기능에 대한 통제력 강화
  4. 핵심부분에 대한 집중력 강화
  5. 물류 전문 인력 활용
(정답률: 77%)
  • 외주 물류기능에 대한 통제력 강화는 아웃소싱을 통해 기업이 얻을 수 있는 편익이 아닙니다. 오히려 아웃소싱을 통해 외부 업체에 물류 기능을 위탁하면 기업의 통제력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주 물류기능에 대한 통제력 강화"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풀필먼트(fulfillmen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판매자 입장에서 번거로운 물류에 신경쓰지 않고 기획, 마케팅 등 본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 생산지에서 출발해 물류보관창고에 도착하는 구간인 last mile의 성장과 함께 부각되고 있다.
  3. e-commerce 시장의 성장으로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며 급격히 발달하고 있다.
  4. 다품종 소량 상품, 주문 빈도가 잦은 온라인 쇼핑몰에 적합하다.
  5. 판매상품의 입고, 분류, 재고관리, 배송 등 고객에게까지 도착하는 전 과정을 일괄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정답률: 56%)
  • 생산지에서 출발해 물류보관창고에 도착하는 구간인 last mile의 성장과 함께 부각되고 있다. - 풀필먼트는 고객에게까지 도착하는 전 과정을 일괄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생산지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물류보관창고에서 출발하여 고객에게 도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보기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간단명료한 설명: 풀필먼트는 고객에게까지 도착하는 전 과정을 일괄처리하는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능식 조직(functional organization)의 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명령이 통일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관리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2. 각 관리자가 담당하는 전문적 기능에 대한 합리적인 업무분장이 실제로는 쉽지 않다.
  3. 책임의 소재가 불명확하고 조직의 모순은 사기를 떨어 뜨린다.
  4. 일의 성과에 따른 정확한 보수를 가감할 수 없다.
  5. 각 직원이 차지하는 직능이 지나치게 전문화되어 그 수가 많아지면 간접적 관리자가 증가되어 고정적 관리비가 증가한다.
(정답률: 39%)
  • 일의 성과에 따른 정확한 보수를 가감할 수 없다는 것은 기능식 조직의 단점이 아니라, 기능식 조직에서의 보상 체계의 문제점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아래 글상자에서 JIT와 JITⅡ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 ㉡
  2. ㉠, ㉢
  3. ㉡, ㉣
  4. ㉡, ㉢
  5. ㉠, ㉣
(정답률: 53%)
  • 정답: ㉡, ㉣

    JIT와 JITⅡ의 차이점은 JITⅡ가 더욱 발전된 버전으로, 기존 JIT의 단점을 보완하여 더욱 빠르고 효율적인 코드 실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JIT와 JITⅡ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는 "㉡, ㉣"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기업이 자재나 부품, 서비스를 외부에서 구매하지 않고 자체 생산하는 이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자신들의 특허기술 보호
  2. 경쟁력 있는 외부 공급자의 부재
  3. 적은 수량의 제품은 자체 생산을 통해 자본투자를 정당화할 수 있음
  4. 자사의 기존 유휴 생산능력 활용
  5. 리드타임, 수송 등에 대한 통제 가능성 확대
(정답률: 52%)
  • 적은 수량의 제품은 자체 생산을 통해 자본투자를 정당화할 수 있음이 가장 옳지 않은 이유는, 자본투자를 정당화할 수 있는 것은 생산량이 많을 때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적은 수량의 제품을 생산할 경우에는 자본투자를 정당화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유로는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물류영역과 관련해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조달물류: JIT 납품
  2. 조달물류: 수송루트 최적화
  3. 판매물류: 수배송시스템화를 위한 수배송센터의 설치
  4. 판매물류: 공정재고의 최소화
  5. 반품물류: 주문예측 정밀도 향상으로 반품을 감소시키는 노력
(정답률: 43%)
  • 고려할 사항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판매물류: 공정재고의 최소화"가 아닌 것입니다. 이유는 판매물류에서 공정재고를 최소화하는 것은 불필요한 재고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든 물류영역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은 자주성의 요구에 있다.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은 자유주의 발전에 근거를 두고 있다.
  3.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은 기업 자체의 노력에 있다.
  4.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 내지 필요성은 권력-책임-균형의 법칙에 있다.
  5.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이 당연히 지켜야 할 의무는 포함하지만 이익을 사회에 공유, 환원하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정답률: 70%)
  •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이 당연히 지켜야 할 의무는 포함하지만 이익을 사회에 공유, 환원하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이 사회와 환경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이익을 사회에 공유하고 환원하는 것을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마이클 포터(Michael E. Porter)가 제시한 5가지 세력(force)모형을 이용하여 기업을 분석할 때, 이 5가지 세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신규 진입자의 위협
  2. 공급자의 교섭력
  3. 구매자의 교섭력
  4. 대체재의 위협
  5. 보완재의 위협
(정답률: 63%)
  • 보완재의 위협은 마이클 포터가 제시한 5가지 세력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마이클 포터의 5가지 세력은 신규 진입자의 위협, 공급자의 교섭력, 구매자의 교섭력, 대체재의 위협, 경쟁 업체의 경쟁력입니다. 보완재의 위협은 다른 분석 모형에서 다루어지는 주제 중 하나이며, 마이클 포터의 5가지 세력 모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유통산업발전법(시행 2021.1.1., 법률 제17761호, 2020.12.29., 타법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체인사업 중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고 있는 형태로 가장 옳은 것은?

  1. 프랜차이즈형 체인사업
  2. 중소기업형 체인사업
  3. 임의가맹점형 체인사업
  4. 직영점형 체인사업
  5. 조합형 체인사업
(정답률: 54%)
  • 직영점형 체인사업은 본사가 직접 매장을 운영하며, 가맹점이나 프랜차이즈와 달리 독자적인 운영권을 가지지 않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본사가 직접 매장을 운영하면서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고 품질을 관리할 수 있어, 일관성 있는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유통기업의 경로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매상이 제조업체를 통합하는 것은 후방통합이다.
  2. 유통경로의 수직적 통합을 이루는 방법에는 합작투자, 컨소시엄, M&A 등이 있다.
  3. 기업형 수직적 경로구조를 통해 유통경로 상 통제가 가능하고 제품 생산, 유통에 있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
  4. 기업형 수직적 경로구조는 소유의 규모가 커질수록 환경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5. 관리형 수직적 경로구조는 독립적인 경로구성원 간의 상호 이해와 협력에 의존하고 있지만 협력을 해야만 하는 분명한 계약상의 의무는 없다.
(정답률: 49%)
  • 기업형 수직적 경로구조는 소유의 규모가 커질수록 환경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업이 오프라인, 온라인, 모바일 등의 모든 채널을 연결해 고객이 마치 하나의 매장을 이용하는 것처럼 느끼도록 하는 쇼핑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Cross border trade
  2. Omni channel
  3. Multi channel
  4. Mass customization
  5. IoT
(정답률: 73%)
  • Omni channel은 모든 채널을 연결하여 고객이 하나의 매장을 이용하는 것처럼 느끼도록 하는 쇼핑 시스템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임금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근로자의 성과와 무관하게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보상을 지급하는 형태는 성과급제이다.
  2. 근로자의 성과에 따라 보상을 지급하는 형태는 시간급제이다.
  3.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시간당 보상액이 일정하고, 사용자 측에서는 임금산정방식이 쉬운 것은 시간급제이다.
  4. 작업능률을 자극할 수 있고 근로자에게 소득증대 효과가 있는 것은 시간급제이다.
  5. 근로자의 노력과 생산량과의 관계가 없을 때 효과적인 것은 성과급제이다.
(정답률: 76%)
  •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시간당 보상액이 일정하고, 사용자 측에서는 임금산정방식이 쉬운 것은 시간급제이다. 이는 시간급제가 근로자가 근무한 시간에 따라 보상을 지급하기 때문에 근로자가 얼마나 일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도 근로자의 근무시간을 쉽게 파악하여 임금을 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성과급제는 근로자의 성과에 따라 보상을 지급하기 때문에 근로자의 노력과 생산량과의 관계가 있을 때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유통환경분석 시 고려하는 거시환경, 미시환경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본주의, 사회주의 같은 경제체제는 거시환경에 포함된다.
  2. 어떤 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화, 가치관, 전통 등은 사회적 환경으로서 거시환경에 포함된다.
  3. 기업과 거래하는 협력업자는 미시환경에 포함된다.
  4. 기업이 따라야 할 규범, 규제, 법 등은 미시환경에 포함된다.
  5. 기업과 비슷한 제품을 제조하는 경쟁회사는 미시환경에 포함된다.
(정답률: 6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업이 사용하는 재무제표 중 손익계산서의 계정만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자산 - 부채 - 소유주 지분
  2. 자산 - 매출원가 - 소유주 지분
  3. 수익 - 매출원가 - 비용
  4. 수익 - 부채 - 비용
  5. 자산 - 부채 - 비용
(정답률: 61%)
  • 손익계산서는 기업의 수익과 비용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입니다. 따라서 수익과 비용에 대한 계정만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수익 - 매출원가 - 비용" 입니다. 수익은 기업이 판매나 서비스 등으로 얻는 수입을 의미하고, 매출원가는 해당 수익을 얻기 위해 발생한 비용을 의미합니다. 비용은 기업의 운영 비용 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계정만으로도 기업의 수익과 비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구매관리를 위해 기능의 집중화와 분권화를 비교할 때, 집중화의 장점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구매절차가 간단하고 신속하다.
  2. 주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자금의 흐름을 통제하기 쉽다.
  4. 품목의 표준화가 용이하다.
  5. 구매의 전문화가 용이하다.
(정답률: 33%)
  • "구매절차가 간단하고 신속하다."는 집중화의 장점이 아니라 분권화의 장점입니다. 분권화는 지역별, 부서별로 구매권한을 나누어 구매절차를 간소화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매절차가 간단하고 신속하다."라는 이유는 분권화의 장점 중 하나로, 구매권한이 분산되어 있어서 각 지역이나 부서에서 필요한 물품을 빠르게 구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통의 경제적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을 통해 생산자는 부가가치를 더 높일 수 있고, 소비자에게는 폭넓은 선택의 기회가 주어질 수 있다.
  2. 유통을 통해 생산과 소비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괴리를 줄여서 생산과 소비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3. 후기산업사회 이후 소비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유통의 경제적 역할이 축소되고 있다.
  4. 유통산업은 신업태의 등장, 유통단계의 축소 등과 같은 유통구조 개선을 통해 국가경제에 이바지하고 있다.
  5. 유통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동시에 서비스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답률: 74%)
  • "후기산업사회 이후 소비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유통의 경제적 역할이 축소되고 있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후기산업사회 이후 소비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유통의 경제적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원하고, 이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유통 채널을 통해 제품을 공급하고 마케팅을 진행한다. 따라서 유통은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는 역할을 계속해서 수행하고 있으며, 경제적 의미가 축소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균형성과표(BSC)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 관점은 고객유지율, 반복구매율 등의 지표를 활용한다.
  2. 각 지표들은 전략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상호작용을 한다.
  3. 조직의 지속적 생존을 위해 핵심 성공요인이 중요하다.
  4. 학습과 성장의 경우 미래지향적인 관점을 가진다.
  5. 비용이 저렴하지만 재무적 지표만을 성과관리에 적용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정답률: 67%)
  • 균형성과표(BSC)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비용이 저렴하지만 재무적 지표만을 성과관리에 적용한다는 한계를 가진다."가 아닌, "비용이 저렴하지만 재무적 지표만을 성과관리에 적용한다는 한계를 가지지 않는다."입니다. BSC는 재무적 지표뿐만 아니라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등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활용되는 성과관리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종업원들이 자신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타인과 비교하여 자기가 투입한 노력과 결과물 간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하는 이론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강화이론
  2. 공정성이론
  3. 기대이론
  4. 목표관리론
  5. 목표설정이론
(정답률: 54%)
  • 공정성이론은 종업원들이 자신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타인과 비교하여 자기가 투입한 노력과 결과물 간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하는 이론입니다. 이는 종업원들이 자신의 노력과 성과가 공정하게 인정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론의 이름인 "공정성"은 이러한 공정한 대우를 강조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연간 재고유지비용과 주문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로트 크기인 경제적 주문량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가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수량할인은 없다.
  2. 각 로트의 크기에 제약조건은 없다.
  3. 해당 품목의 수요가 일정하고 정확히 알려져 있다.
  4. 입고량은 주문량에 안전재고를 포함한 양이며 시기별로 분할입고된다.
  5. 리드타임과 공급에 불확실성이 없다.
(정답률: 44%)
  • "입고량은 주문량에 안전재고를 포함한 양이며 시기별로 분할입고된다." 가장 옳지 않은 가정이다. 안전재고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비하여 유지하는 재고로, 주문량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시기별로 분할입고되는 것도 일반적으로는 아니며, 이는 특정 상황에서만 적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가정은 경제적 주문량 계산에서 사용되는 올바른 가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통기업의 윤리경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건전하고 투명한 경영을 위해 노력한다.
  2. 협력사와 합리적인 상호발전을 추구한다.
  3. 유연하고 수직적인 임원우선의 기업문화를 조성한다.
  4. 고객의 만족을 위해 노력한다.
  5.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기 위해 노력한다.
(정답률: 71%)
  • 유통기업의 윤리경영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유연하고 수직적인 임원우선의 기업문화를 조성한다." 이다. 이는 오히려 건전하고 투명한 경영을 방해하며, 조직 내부의 부정부패와 타협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유통기업은 수평적이고 공정한 기업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소비자기본법(시행 2021.12.30., 법률 제17799호, 2020. 12. 29., 타법개정) 상 제8조에서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물품등으로 인한 소비자의 생명ㆍ신체 또는 재산에 대한 위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켜야 할 기준을 정해야 할 주체로 옳은 것은?

  1. 지방자치단체
  2. 사업자
  3. 공정거래위원회
  4. 대통령
  5. 국가
(정답률: 40%)
  • 소비자기본법 제8조에서 정해진 기준은 소비자의 생명ㆍ신체 또는 재산에 대한 위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한 권한과 책임이 있는 주체는 국가이다. 국가는 법적으로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위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국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유통이 창출하는 소비자 효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시간효용
  2. 장소효용
  3. 소유효용
  4. 형태효용
  5. 거래효용
(정답률: 63%)
  • 유통이 창출하는 소비자 효용 중 형태효용은 제품의 디자인, 색상, 패키지 등의 외적인 요소에 대한 만족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여지는 제품의 디자인이나 패키지 등이 소비자에게 형태효용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간, 장소, 소유, 거래와 관련된 효용들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통경로의 설계전략에 영향을 주는 시장의 특성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시장밀도는 지리적 영역단위 당 구매자의 수를 말한다.
  2. 시장지리는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 차이를 말한다.
  3. 제조업체가 직접 채널에 의해 커버할 시장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많은 소비자와 직접 접촉을 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한다.
  4. 시장밀도가 낮으면 한정된 유통시설을 이용해 많은 고객을 상대할 수 있다.
  5. 시장크기는 시장을 구성하는 소비자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률: 51%)
  • 시장밀도가 낮으면 한정된 유통시설을 이용해 많은 고객을 상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시장밀도가 낮을수록 유통시설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객을 상대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시장밀도가 낮을수록 유통경로 설계전략에 대한 고민이 더 필요하다.

    시장밀도는 지리적 영역단위 당 구매자의 수를 말하며, 시장지리는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 차이를 말한다. 제조업체가 직접 채널에 의해 커버할 시장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많은 소비자와 직접 접촉을 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한다. 시장크기는 시장을 구성하는 소비자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상권분석

26. 분석대상이 되는 점포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권유형을 구분할 때 상대적으로 소비수요 흡인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을 한계상권(fringe trading area)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한계상권은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최소수요충족거리
  2. 분기점상권
  3. 1차상권
  4. 2차상권
  5. 3차상권
(정답률: 59%)
  • 한계상권은 상대적으로 소비수요 흡인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으로, 일반적으로는 상권의 외곽 지역에 해당한다. 이러한 지역은 주로 인구 밀도가 낮고, 상권의 중심부와의 거리가 멀어서 소비자들이 이동하기 어렵거나 불편한 지역이다. 따라서, 한계상권은 일반적으로 3차상권에 해당한다. 3차상권은 상권의 외곽 지역으로, 인구 밀도가 낮고 상권의 중심부와의 거리가 멀어서 소비자들이 이동하기 어렵거나 불편한 지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소비자들이 점포를 선택할 때 가장 가까운 점포를 선택한다는 가정을 하며, 상권경계를 결정할 때 티센다각형(thiessen polygon)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입지할당모델법
  2. Huff모델법
  3. 근접구역법
  4. 유사점포법
  5. 점포공간매출액비율법
(정답률: 49%)
  • 소비자들이 가장 가까운 점포를 선택한다는 가정에서는 근접구역법이 가장 적합하다. 근접구역법은 각 점포의 영역을 그리드로 나누어 소비자들이 해당 그리드 내에서 가장 가까운 점포를 선택한다고 가정하여 상권경계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소비자들의 실제 이동 패턴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소비자의 점포방문동기를 개인적동기, 사회적동기, 제품구매동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다른 항목들과 다른 유형의 동기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사교적 경험
  2. 기분 전환
  3. 자기만족
  4. 역할 수행
  5. 새로운 추세 학습
(정답률: 35%)
  • "사교적 경험"은 소비자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소통하는 등의 사회적 요소를 중심으로 점포를 방문하는 동기이다. 이는 개인적 동기나 제품 구매 동기와는 다른 유형의 동기로서, 소비자들이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소통하는 등의 사회적 경험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교적 경험"은 다른 항목들과는 구분되는 유형의 동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점포를 이용하는 고객 인터뷰를 통해 소비자의 지리적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1. 컨버스(Converse)의 소매인력이론
  2. 아날로그(analog) 방법
  3. 허프(Huff)의 소매인력법
  4. 고객점표법(customer spotting technique)
  5. 라일리(Reilly)의 소매인력모형법
(정답률: 53%)
  • 고객점표법은 점포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주소나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지도상에 표시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소비자의 지리적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소비자의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고객점표법(customer spotting techniqu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입지 분석에 사용되는 각종 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호환성: 해당점포를 다른 업종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가?
  2. 접근성: 고객이 쉽게 점포에 접근할 수 있는가?
  3. 인지성: 점포의 위치를 쉽게 설명할 수 있는가?
  4. 확신성: 입지분석의 결과를 확실하게 믿을 수 있는가?
  5. 가시성: 점포를 쉽게 발견할 수 있는가?
(정답률: 48%)
  • "확신성: 입지분석의 결과를 확실하게 믿을 수 있는가?"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입지 분석은 예측과 추정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확신성은 항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지 분석 결과를 최대한 신뢰할 수 있도록 다양한 데이터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아래 글상자의 내용은 Huff모델을 적용하여 신규점포 입지를 분석하는 단계들이다. 일반적인 분석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할 때 가장 옳은 것은?

  1. ㉡, ㉤, ㉣, ㉠, ㉢
  2. ㉣, ㉢, ㉤, ㉠, ㉡
  3. ㉠, ㉣, ㉡, ㉤, ㉢
  4. ㉣, ㉡, ㉤, ㉠, ㉢
  5. ㉠, ㉤, ㉡, ㉢, ㉣
(정답률: 62%)
  • Huff모델을 적용하여 신규점포 입지를 분석하는 일반적인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
    2. 경쟁 업체 분석 (㉢)
    3. 인구통계학적 분석 (㉣)
    4. 잠재고객 분석 (㉡)
    5. 입지 선정 및 검증 (㉤)

    이 중에서도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이므로 ㉠가 첫 번째 단계이다. 그 다음으로는 경쟁 업체 분석을 통해 시장 상황을 파악해야 하므로 ㉢가 두 번째 단계이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지역의 인구 구성과 특성을 파악해야 하므로 ㉣이 세 번째 단계이다. 그 다음으로는 잠재고객 분석을 통해 해당 지역의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구매력을 파악해야 하므로 ㉡이 네 번째 단계이다. 마지막으로는 입지 선정 및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적합한 입지를 선정해야 하므로 ㉤가 다섯 번째 단계이다. 따라서 정답은 "㉣, ㉡, ㉤,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점포를 개점할 경우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경쟁관계에 있는 다른 점포의 규모나 위치도 충분히 검토한다.
  2. 상품의 종류에 따라 소비자의 이동거리에 대한 저항감이 다르기 때문에 상권의 범위도 달라진다.
  3. 개점으로 인해 인접 주민의 민원제기나 저항이 일어날 부분이 있는지 검토한다.
  4. 점포의 규모를 키울수록 규모의 경제 효과는 커지기에 최대규모를 지향한다.
  5. 점포는 단순히 하나의 물리적 시설이 아니고 소비자들의 생활과 직결되며, 라이프스타일에도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69%)
  • "점포의 규모를 키울수록 규모의 경제 효과는 커지기에 최대규모를 지향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점포의 규모는 상황에 따라 다르며, 최대규모를 지향하는 것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최대규모를 지향할 경우에도 비용과 수익을 고려해야 하며, 경쟁사와의 경쟁력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A시의 인구는 20만명이고 B시의 인구는 5만명이다. 두 도시 사이의 거리는 15km이다. Converse의 상권분기점 분석법을 이용할 경우 두 도시간의 상권경계는 A시로부터 얼마나 떨어진 곳에 형성되겠는가?

  1. 3km
  2. 5km
  3. 9km
  4. 10km
  5. 12km
(정답률: 39%)
  • Converse의 상권분기점 분석법에서는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에서 상권경계가 형성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A시의 인구가 B시의 인구보다 4배 더 많기 때문에, 상권경계는 A시 쪽으로 형성될 것이다. 또한, 두 도시 사이의 거리가 15km이므로, 상권경계는 중간인 7.5km 지점에서 만나게 된다. 따라서 A시에서 7.5km 떨어진 곳이 상권경계의 중심이 되며, 이 지점에서 B시 쪽으로 2.5km 더 이동하면 상권경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두 도시간의 상권경계는 A시로부터 10km 떨어진 곳에 형성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상가임대차 관계에서 권리금을 산정할 때 근거가 되는 유무형의 재산적 가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거래처
  2. 상가건물의 위치
  3. 영업상의 노하우
  4. 영업시설·비품
  5. 임대료 지불수단
(정답률: 50%)
  • 정답: "임대료 지불수단"

    설명: 권리금은 상가임대차 계약 체결 시 건물주가 임차인에게 요구하는 금액으로, 건물주가 임차인에게 제공하는 유무형의 재산적 가치를 반영하여 산정됩니다. 따라서 "거래처", "상가건물의 위치", "영업상의 노하우", "영업시설·비품"은 권리금 산정 시 고려되는 요소입니다. 그러나 "임대료 지불수단"은 권리금 산정과는 무관한 요소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소매점 입지유형 가운데 아파트 단지내 상가의 일반적 특성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공급면적 변화가 어려워 일정한 고정고객의 확보를 통한 꾸준한 매출이 가능하다.
  2. 수요 공급 측면에서 아파트 단지 가구수와 가구당 상가 면적을 고려해야 한다.
  3. 주변지역 거주자의 상가 이용과 같은 활발한 외부 고객유입이 장점이다.
  4. 편의품 소매점의 경우 대형평형보다는 중형평형의 단지가 일반적으로 더 유리하다.
  5. 관련법규에서는 단지내 상가를 근린생활시설로 분류하여 관련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정답률: 58%)
  • "주변지역 거주자의 상가 이용과 같은 활발한 외부 고객유입이 장점이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아파트 단지내 상가는 일반적으로 단지 내부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 고객유입이 큰 장점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변지역 거주자의 상가 이용은 오히려 단지 내부 주민들의 이용을 방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면적 300m2인 대지에 지하2층 지상5층으로 소매점포 건물을 신축하려 한다. 층별 바닥면적은 각각 250m2로 동일하며 주차장은 지하1,2층에 각각 200m2와 지상1층 부속용도에 한하는 주차장 면적 50m2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건물의 용적률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300%
  2. 333%
  3. 400%
  4. 416%
  5. 533%
(정답률: 4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리정보시스템(GIS)과 관련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주제도작성, 공간조회, 버퍼링(buffering)을 통해 효과적인 상권분석이 가능하다.
  2. 점포의 고객을 대상으로 gCRM을 실현하기 위한 기본적 틀을 제공할 수 있다.
  3. 지도레이어는 점, 선, 면을 포함하는 개별 지도형상으로 구성되며, 여러 겹의 지도레이어를 활용하여 상권의 중첩(overlay)을 표현할 수 있다.
  4. 지도상에서 데이터를 표현하고 특정 공간기준을 만족시키는 지도를 얻는 데이터 및 공간조회 기능이 있다.
  5. 위상은 어떤 지도형상, 즉 점이나 선 혹은 면으로부터 특정한 거리 이내에 포함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면의 형태로 나타나 상권 혹은 영향권을 표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정답률: 41%)
  • 위상은 GIS와 관련한 내용이 아니라, 지도상에서 특정 지형이나 지역의 위치와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따라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위상은 어떤 지도형상, 즉 점이나 선 혹은 면으로부터 특정한 거리 이내에 포함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면의 형태로 나타나 상권 혹은 영향권을 표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동선과 관련한 소비자의 심리를 나타내는 대표적 원리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최단거리실현의 법칙: 최단거리로 목적지에 가려는 심리
  2. 보증실현의 법칙: 먼저 득을 얻는 쪽을 선택하려는 심리
  3. 고차선호의 법칙: 넓고 깨끗한 곳으로 가려는 심리
  4. 집합의 법칙: 군중심리에 의해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 가려는 심리
  5. 안전중시의 법칙: 위험하거나 모르는 길은 가려고 하지 않는 심리
(정답률: 55%)
  • "고차선호의 법칙: 넓고 깨끗한 곳으로 가려는 심리"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 법칙은 소비자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때, 더 넓고 깨끗한 곳을 선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원리이다. 예를 들어, 더 큰 슈퍼마켓이나 더 깨끗한 호텔을 선택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소비자들이 선택을 할 때 고려하는 다른 심리적 요소들을 나타내는 원리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대표적인 입지조건의 하나인 고객유도시설(customer generator)은 도시형 점포, 교외형 점포, 인스토어형 점포 등 점포 유형별로 구분해서 평가한다. 일반적인 인스토어형 점포의 고객유도시설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주차장 출입구
  2. 푸드코트
  3. 주 출입구
  4. 에스컬레이터
  5. 간선도로
(정답률: 55%)
  • 간선도로는 고객유도시설이 아니라 교통시설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인스토어형 점포의 고객유도시설로서는 옳지 않다. 간선도로는 주로 차량이나 대중교통이 이용하는 도로로, 고객들이 직접 이용하는 시설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차장 출입구, 푸드코트, 주 출입구,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고객들이 직접 이용하는 시설들이 일반적인 인스토어형 점포의 고객유도시설로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입지적 특성에 따라 소매점포 유형을 집심성, 집재성, 산재성, 국부적집중성 점포로 구분하기도 한다. 업태와 이들 입지유형의 연결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백화점-집심성점포
  2. 화훼점-집심성점포
  3. 편의점-산재성점포
  4. 가구점-집재성점포
  5. 공구도매점-국부적집중성점포
(정답률: 57%)
  • 화훼점은 일반적으로 소규모 상점으로서 집재성 또는 국부적 집중성 점포로 분류되기 때문에, "화훼점-집심성점포"는 옳지 않은 연결이다. 집심성점포는 대규모 상업시설이나 유통센터 등과 같이 대규모 인프라와 함께 위치하며, 많은 고객들이 집중적으로 방문하는 상점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신규점포의 예상매출액을 추정할 때 활용하는 애플바움(W. Applebaum)의 유추법(analog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관성 있는 예측이 중요하므로 소비자 특성의 지역별 차이를 고려하기보다는 동일한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2. 현재 운영 중인 상업시설 중에서 유사점포(analog store)를 선택한다.
  3. 과거의 경험을 계량화한 자료를 이용해 미래를 예측하지만 시장요인과 점포특성들이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주관적 판단이 요구된다.
  4. 비교대상 점포들의 특성이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를 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정 환경변수의 영향이 동일하게 작용하지도 않기 때문에 주관적 판단이 요구된다.
  5. 점포의 물리적 특성, 소비자의 쇼핑패턴,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경쟁상황이 분석대상과 비슷한 점포를 유사점포(analog store)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53%)
  • "일관성 있는 예측이 중요하므로 소비자 특성의 지역별 차이를 고려하기보다는 동일한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신규점포의 예상매출액을 추정할 때는 소비자 특성의 지역별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유추법을 사용할 때에는 비교대상 점포들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893호, 2021.1.12., 타법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용도지역 중 상업지역을 구분하는 유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중심상업지역
  2. 일반상업지역
  3. 근린상업지역
  4. 전용상업지역
  5. 유통상업지역
(정답률: 36%)
  • 전용상업지역은 교육, 문화, 예술, 체육, 휴양, 숙박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없는 순수한 상업지역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는 중심상업지역, 일반상업지역, 근린상업지역, 유통상업지역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중심지체계에 의한 상권유형 구분에서 전통적인 도심(CBD) 상권의 일반적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흡인력이 강해 상권범위가 상대적으로 넓다.
  2. 교통의 결절점으로 대중교통이 편리하다.
  3. 전통적 도시의 경우에는 주차문제가 심각하다.
  4. 상대적으로 거주인구는 적고 유동인구는 많다.
  5. 소비자들의 평균 체류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
(정답률: 54%)
  • "고객흡인력이 강해 상권범위가 상대적으로 넓다."가 일반적인 도심 상권의 특징으로 옳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도심 상권은 고객흡인력이 강하고 상권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교통의 결절점으로 대중교통이 편리하며, 전통적 도시의 경우에는 주차문제가 심각하고 상대적으로 거주인구는 적고 유동인구는 많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평균 체류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일반적인 도심 상권의 특징으로 옳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도심 상권은 다양한 상업시설과 문화시설이 밀집해 있어 소비자들이 오래 머무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은 이유는 일반적인 도심 상권의 특징과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아래 글상자의 현상과 이들을 설명하는 넬슨(R. N. Nelson)의 입지원칙의 연결로서 옳은 것은?

  1. ㉠ 동반유인 원칙, ㉡ 보충가능성 원칙
  2. ㉠ 고객차단 원칙, ㉡ 보충가능성 원칙
  3. ㉠ 보충가능성 원칙, ㉡ 점포밀집 원칙
  4. ㉠ 보충가능성 원칙, ㉡ 동반유인 원칙
  5. ㉠ 점포밀집 원칙, ㉡ 보충가능성 원칙
(정답률: 39%)
  • 현상: 고객들이 특정 상품을 구매할 때 다른 관련 상품도 함께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넬슨의 입지원칙 중 "동반유인 원칙"은 고객이 원하는 상품과 함께 다른 관련 상품을 함께 제공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며, "보충가능성 원칙"은 고객이 원하는 상품과 함께 보충 가능한 다른 상품을 함께 제공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 보충가능성 원칙, ㉡ 동반유인 원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의 하나인 빅데이터 기술이 소매 경영과 소매상권분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개별적으로 상권분석 능력이 부족한 소규모 소매점포, 창업자들에게 정부 또는 각종 단체에서 빅데이터 기술에 기반한 상권분석 및 입지분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매경영 개선을 돕는다.
  2. 신상품 개발이나 고객만족도 향상을 위한 소매믹스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3. 소매상권 내에서 표적시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4. 하나의 상권을 지향하는 개별점포 소유자들의 상권분석에 필수 도구이지만 복수의 상권에 접근하는 체인사업에게는 효과적이지 않다.
  5. 히트상품 및 데드셀러(dead seller)분석을 통해 재고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정답률: 65%)
  • "하나의 상권을 지향하는 개별점포 소유자들의 상권분석에 필수 도구이지만 복수의 상권에 접근하는 체인사업에게는 효과적이지 않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 빅데이터 기술은 체인사업에서도 상권분석 및 입지분석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유통마케팅

46. 시장세분화 유형과 사용하는 변수들의 연결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행동분석적 세분화: 라이프스타일, 연령
  2. 지리적 세분화: 인구밀도, 기후
  3. 인구통계적 세분화: 성별, 가족규모
  4. 심리적 세분화: 개성, 성격
  5. 인구통계적 세분화: 소득, 직업
(정답률: 37%)
  • 행동분석적 세분화에서는 라이프스타일과 연령을 사용하여 시장을 분석합니다. 그러나 인구통계적 세분화에서도 성별, 가족규모, 소득, 직업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인구통계적 세분화: 성별, 가족규모"가 가장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소매점포의 공간 분류와 그 용도에 대한 연결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43%)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은 "전시 및 판매"로 분류되어 있지만, 그림에서는 "전시 및 체험"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은 그림과 용도에 대한 연결이 옳지 않습니다.

    - "㉠"는 "입구 및 대기"로 분류되어 있으며, 그림에서도 입구 부분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은 "상품 보관 및 재고"로 분류되어 있으며, 그림에서도 창고나 보관실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는 "판매 및 결제"로 분류되어 있으며, 그림에서도 계산대 부분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는 "기타"로 분류되어 있으며, 그림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공간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지속성 상품의 경우 다음 주문이 도착하기 전에 판매 가능한 수량이 없거나 재고가 바닥이 나게 되는 최저 재고물량을 기준으로 주문점을 결정한다. 일일 예상판매량이 5개이고, 리드타임이 7일이며, 예비재고 20개를 유지하고자 할 때 주문점은 얼마인가?

  1. 15개
  2. 35개
  3. 55개
  4. 75개
  5. 145개
(정답률: 55%)
  • 일일 예상판매량이 5개이므로, 7일 리드타임 동안 필요한 최소 재고량은 5 x 7 = 35개이다. 이에 예비재고 20개를 더해 총 주문점은 35 + 20 = 55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5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1. 판매정보
  2. 구매동기
  3. 구매특성
  4. 지각도
  5. 관여도
(정답률: 37%)
  •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용어는 "관여도"이다. 관여도는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얼마나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지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기업은 소비자의 관여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매장에서 비주얼 머천다이징(VMD)을 구성할 때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내용의 기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쇼윈도 프레젠테이션
  2. 파사드 프레젠테이션
  3. 비주얼 프레젠테이션
  4. 포인트 프레젠테이션
  5. 아이템 프레젠테이션
(정답률: 48%)
  • 정답은 "비주얼 프레젠테이션"입니다. 비주얼 프레젠테이션은 제품의 이미지나 브랜드 컨셉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제품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주거나 특정한 분위기나 스토리를 담아 표현합니다. 쇼윈도 프레젠테이션은 매장 창문을 이용한 전략, 파사드 프레젠테이션은 건물 외벽을 이용한 전략, 포인트 프레젠테이션은 특정한 제품을 강조하는 전략, 아이템 프레젠테이션은 제품의 특징이나 기능을 강조하는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촉진예산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가용예산법: 기업의 여유 자금에 따라 예산을 결정하는 방법
  2. 매출액 비율법: 과거의 매출액이나 예측된 미래의 매출액을 근거로 예산을 결정하는 방법
  3. 단위당 고정비용법: 고가격 제품의 촉진에 특정 비용이 수반될 때 이를 고려하여 예산을 결정하는 방법
  4. 경쟁 대항법: 경쟁사의 촉진 예산 규모를 기반으로 결정하는 방법
  5. 목표 과업법: 촉진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과업을 분석하여 예산을 결정하는 방법
(정답률: 55%)
  • 단위당 고정비용법은 고가격 제품의 촉진에 특정 비용이 수반될 때 이를 고려하여 예산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단위당 고정비용법: 고가격 제품의 촉진에 특정 비용이 수반될 때 이를 고려하지 않고 예산을 결정하는 방법"이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아래 글상자에 설명하는 마케팅조사 기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분산분석
  2. 회귀분석
  3. 군집분석
  4. t-검증
  5. 컨조인트분석
(정답률: 61%)
  • 이미 존재하는 고객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사한 특성을 가진 고객들을 그룹화하여 분석하는 기법이 군집분석입니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고객 데이터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마케팅 조사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세분화된 시장들 중에서 매력적인 표적시장을 선정하기 위한 고려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경쟁의 측면에서 개별 세분시장 내의 경쟁강도를 살펴보아야 한다.
  2. 해당 세분시장이 자사의 역량과 자원에 적합한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3. 선택할 시장들의 절대적 규모를 고려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4. 자사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마케팅 믹스체계와 일치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5. 선택할 시장이 자사가 가지고 있는 목표 및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정답률: 51%)
  • 선택할 시장들의 절대적 규모를 고려하여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은 옳지 않은 고려사항입니다. 시장의 규모는 중요하지만, 시장의 성장 가능성, 고객의 욕구와 니즈, 경쟁사의 진입 장벽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선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절대적 규모만을 고려하는 것은 시장 선정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셀프서비스를 활용한 상품판매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영업시간의 유연성 증가
  2. 소매점의 판매비용 절감
  3. 고객에게 전달되는 상품정보의 정확성 향상
  4. 구매과정에 대한 고객의 자기통제력 향상
  5. 직원의 숙련도와 상관없는 비교적 균일한 서비스제공
(정답률: 54%)
  • 고객에게 전달되는 상품정보의 정확성 향상은 셀프서비스를 활용한 상품판매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닙니다. 셀프서비스를 활용하면 고객이 직접 상품을 선택하고 구매하는 과정에서 직원과의 대화가 줄어들기 때문에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다르게 될 수 있지만, 이는 고객에게 전달되는 상품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고객생애가치(CLV: customer lifetime valu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CLV는 어떤 고객으로부터 얻게 되는 전체 이익흐름의 현재가치를 의미한다.
  2. 충성도가 높은 고객은 반드시 CLV가 높다.
  3. CLV를 증대시키려면 고객에게 경쟁자보다 더 큰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
  4. CLV 관리는 단속적 거래보다는 장기적 거래관계를 통한 이익에 집중한다.
  5. 올바른 CLV를 정확하게 산출하려면 수입흐름 뿐만 아니라 고객획득비용이나 고객유지비용 같은 비용 흐름도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57%)
  • "충성도가 높은 고객은 반드시 CLV가 높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충성도가 높은 고객이 CLV가 높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CLV는 고객의 구매 이력, 구매 빈도, 구매 금액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되는 지표이기 때문에, 충성도 외에도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친다.

    충성도가 높은 고객이 CLV가 높을 수 있는 이유는, 그들이 장기적인 거래관계를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구매를 하기 때문에, 고객획득비용이나 고객유지비용 등의 비용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충성도가 높은 고객이라고 해서 반드시 CLV가 높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매 빈도는 높지만 구매 금액이 작은 고객이나, 구매 금액은 높지만 구매 빈도가 낮은 고객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CLV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고객에게 경쟁자보다 더 큰 가치를 제공하고, 장기적인 거래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CLV를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서는 수입흐름 뿐만 아니라 고객획득비용이나 고객유지비용 같은 비용 흐름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판매촉진 방법 가운데 프리미엄(premium)의 장점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지속적으로 사용해도 제품 자체 이미지에 손상을 가져 오지 않는다.
  2. 많은 비용을 투입하지 않으면서 신규고객을 확보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3. 제품에 별도의 매력을 부가함으로써 부족할 수 있는 상품력을 보완할 수 있다.
  4. 제품수준이 평준화되어 차별화가 어려운 상황에서 특히 효과적이다.
  5. 치열한 경쟁상황에서 제품에 대한 주목률을 높여주고 특히 구매시점에 경쟁제품보다 돋보이게 한다.
(정답률: 48%)
  • 프리미엄의 장점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많은 비용을 투입하지 않으면서 신규고객을 확보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다. 프리미엄 제품은 일반 제품보다 높은 가격을 가지므로, 제품 개발 및 마케팅 등에 많은 비용이 투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리미엄 제품은 비용이 높은 대신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제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소매점에서 제공하는 상품 관련 핵심서비스의 내용으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정확한 대금 청구
  2. 편리한 환불 방식
  3. 친절한 고객 응대
  4. 다양한 상품 구색
  5. 신속한 상품 배달
(정답률: 49%)
  • 소매점에서 제공하는 핵심서비스 중에서 가장 옳은 것은 "다양한 상품 구색"입니다. 이는 고객들이 다양한 선택지를 가지고 원하는 상품을 찾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상품 구색을 제공하는 소매점은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으며, 이는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생산업체가 경로구성원들의 성과를 평가하는 기준으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경로구성원에 대한 투자수익률
  2. 유통업체의 영업에서 차지하는 자사제품 판매 비중의 변화
  3. 유통업체의 영업에 대한 자사 통제의 허용 정도
  4. 환경 변화에 대한 경로구성원의 적응력
  5. 경로구성원의 재고투자이익률
(정답률: 24%)
  • 경로구성원의 재고투자이익률은 생산업체가 직접 관리할 수 없는 외부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장 옳지 않은 기준이다. 다른 기준들은 생산업체가 직접 조절 가능한 내부적인 요소나 유통업체와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경로구성원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단수가격설정정책(odd pric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대한 인하된 상품 가격이라는 인상을 주어 판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격을 990원, 1,990원처럼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2. 가격이 높을수록 우수한 품질이나 높은 지위를 상징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3. 캔음료나 껌처럼 오랫동안 같은 가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소비자가 그 가격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4. 같은 계열에 속하는 몇 개의 제품 가격을 품질에 따라 1만원, 3만원, 5만원 등으로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5. 고객을 모으기 위해서 특정 제품을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55%)
  • "최대한 인하된 상품 가격이라는 인상을 주어 판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격을 990원, 1,990원처럼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고객 서비스는 사전적 고객 서비스, 현장에서의 고객서비스, 사후적 고객 서비스로 구분해볼 수 있다. 다음 중 사전적 고객 서비스 요소로 가장 옳은 것은?

  1. 자사의 경영철학에 따라 서비스에 관한 표준을 정하고 조직을 편성하여 교육 및 훈련한다.
  2. 구매계획이나 공급 여력 등에 따라 발생할지 모르는 재고품절을 방지하기 위해 적정 재고수준을 유지한다.
  3. 고객의 주문 상황이나 기호에 맞는 상품의 주문을 위한 정보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한다.
  4. 고객의 상품 주문에서부터 상품 인도에 이르기까지 적절한 물류서비스를 공급한다.
  5. 폭넓은 소비자 선택을 보장하기 위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한다.
(정답률: 42%)
  • "자사의 경영철학에 따라 서비스에 관한 표준을 정하고 조직을 편성하여 교육 및 훈련한다."는 사전적 고객 서비스 요소에 해당한다. 이는 기업이 고객 서비스에 대한 철학과 표준을 정하고, 이를 지키기 위해 조직을 구성하고 교육과 훈련을 제공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전에 기업의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아래 글상자의 사례들에 해당하는 유통경쟁전략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편의성 증대
  2. 정보기술의 도입 및 확대
  3. 점포 포지셔닝 강화
  4. 유통업체 브랜드의 확대
  5. e-커머스 확대
(정답률: 62%)
  • 점포 포지셔닝 강화는 경쟁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매장 위치, 인테리어, 상품 구성 등을 통해 고객층을 명확히 설정하고 그에 맞는 매장을 운영하는 전략입니다. 따라서 이 사례에서는 경쟁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매장 위치와 인테리어를 개선하고, 고객층에 맞는 상품 구성을 강화하여 점포 포지셔닝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유통경쟁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과자나 라면 같은 상품들을 정돈하지 않고 뒤죽박죽으로 진열하여 소비자들에게 저렴한 특가품이라는 인상을 주려는 진열방식의 명칭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돌출진열(extended display)
  2. 섬진열(island display)
  3. 점블진열(jumble display)
  4. 후크진열(hook display)
  5. 골든라인진열(golden line display)
(정답률: 59%)
  • 점블진열(jumble display)은 상품들을 뒤죽박죽으로 진열하여 소비자들에게 저렴한 특가품이라는 인상을 주는 진열방식이다. 따라서 이 진열방식이 가장 옳은 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진열방식의 명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의 여러 가격결정 방법 중에서 원가중심 가격결정(cost-oriented pricing)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원가가산법(cost plus pricing)
  2. 손익분기점 가격결정법(breakeven pricing)
  3. 목표이익 가격결정법(target-profit pricing)
  4. 지각가치 중심 가격결정법(perceived value pricing)
  5. 이폭가산법(markup pricing)
(정답률: 38%)
  • 지각가치 중심 가격결정법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고유한 가치를 고려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소비자들이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에 부여하는 가치를 기반으로 가격을 책정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원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고객관계관리(CRM)에 대한 접근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마케팅부서만이 아닌 전사적 관점에서 고객지향적인 전략적 마케팅활동을 수행한다.
  2.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을 통해 고객정보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3.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고객행동에 내재돼 있는 욕구(needs)를 파악한다.
  4. 고객과의 관계 강화를 지속적으로 모색하는 고객중심 비즈니스모델을 수립한다.
  5. 표적고객에 대한 고객관계 강화에 집중하며 고객점유율 향상에 중점을 둔다.
(정답률: 33%)
  •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을 통해 고객정보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 이는 옳은 방법이 아닙니다. ERP 시스템은 기업 내부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고객관계관리(CRM)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시스템은 아닙니다. CRM은 고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ERP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보다는 CRM 전용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CRM 기능을 강화한 ERP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마케팅 전략수립을 위한 다양한 조사활동 중 1차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조사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장조사
  2. 관찰조사
  3. 설문조사
  4. 문헌조사
  5. 실험조사
(정답률: 52%)
  • 문헌조사는 이미 출판된 자료나 인터넷 등에서 이미 존재하는 자료를 수집하는 방식이므로 1차 자료를 수집하는 방식이 아니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수립을 위한 다양한 조사활동 중 1차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조사방식으로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점포의 구성 및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스 죠닝(POS zoning)은 판매가 이루어지는 마지막 접점이므로 최대한 고객의 체류시간을 늘려야 한다.
  2. 매장의 주통로는 고객의 편안한 이동을 제공하는 동시에 보조통로들과 잘 연계되게 구성해야 한다.
  3. 공간면적당 판매생산성 향상을 고려하여 매장 내의 유휴 공간이 없도록 레이아웃을 구성해야 한다.
  4. 동선 폭은 고객의 편의를 고려해 유동성과 체류시간 등의 동선 혼잡도를 예상하여 결정해야 한다.
  5. 표적고객을 최대한 명확하게 설정하고 상품 관련성을 고려하여 상품을 군집화한다.
(정답률: 44%)
  • "포스 죠닝(POS zoning)은 판매가 이루어지는 마지막 접점이므로 최대한 고객의 체류시간을 늘려야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포스 죠닝은 결제를 위한 공간을 구분하여 효율적인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며, 고객의 체류시간을 늘리는 것은 주요 목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마케팅변수를 흔히 제품변수, 가격변수, 유통변수, 촉진 변수로 나누어 4P라고 한다. 다음 중 나머지와는 다른 P에 속하는 변수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시장 커버리지
  2. 재고와 보관
  3. 점포 위치
  4. 1차 포장과 2차 포장
  5. 수송
(정답률: 30%)
  • 정답은 "1차 포장과 2차 포장"이다.

    1차 포장과 2차 포장은 제품변수와 유통변수에 해당한다. 제품을 생산할 때 1차 포장을 하고, 이후 유통 과정에서 2차 포장을 하여 제품을 보호하고 운송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시장 커버리지는 촉진 변수에 해당하며, 제품을 홍보하고 마케팅 활동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것이다.

    재고와 보관은 유통변수에 해당하며, 제품의 재고를 관리하고 보관하는 것이다.

    점포 위치는 유통변수에 해당하며, 제품을 판매할 점포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수송은 유통변수에 해당하며, 제품을 운송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기업의 성장전략 대안들 가운데 기존시장에서 기존제품으로 점유율을 높여서 성장하려는 전략의 명칭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제품개발전략
  2. 시장개척전략
  3. 시장침투전략
  4. 전방통합전략
  5. 다각화전략
(정답률: 57%)
  • 시장침투전략은 기존 시장에서 기존 제품으로 점유율을 높이는 전략으로, 기존 고객을 유지하면서 경쟁 업체의 고객을 빼앗아 성장하는 전략입니다. 이는 새로운 시장 개척보다 비용이 적게 들어가고, 기존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 신뢰도가 높아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가장 옳은 대안은 "시장침투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상품계열, ㉡ 상품품목
  2. ㉠ 상품형태, ㉡ 상품지원
  3. ㉠ 상품품목, ㉡ 상품계열
  4. ㉠ 상품지원, ㉡ 상품형태
  5. ㉠ 상품형태, ㉡ 상품계열
(정답률: 41%)
  • 정답은 "㉠ 상품계열, ㉡ 상품품목"입니다. 이유는 상품계열은 상품의 대분류를 의미하고, 상품품목은 상품의 소분류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품의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품계열을 파악하고, 그 다음에 상품품목을 파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고객관계 강화 및 유지를 위한 CRM활동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교차판매(cross-selling)
  2. 상향판매(up-selling)
  3. 고객참여(customer involvement)
  4. 2차구매 유도(inducing repurchase)
  5. 영업자원 최적화(sales resource optimization)
(정답률: 43%)
  • 영업자원 최적화는 CRM활동이 아니라 영업 전략과 관련된 활동입니다. 이는 영업자원의 효율적인 분배와 관련된 것으로, 고객관계 강화 및 유지를 위한 CRM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영업자원 최적화가 가장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유통정보

71. RFID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태그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 낼 수 있어야 한다.
  2. 태그는 인식 방향에 관계없이 ID 및 정보 인식이 가능해야 한다.
  3. 태그는 직접 접촉을 하지 않아도 자료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4. 태그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내고, 받을 수 있어야 한다.
  5. 수동형 태그는 능동형 태그에 비해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보다 멀리까지 전송할 수 있다.
(정답률: 56%)
  • "수동형 태그는 능동형 태그에 비해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보다 멀리까지 전송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수동형 태그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받지 않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능동형 태그보다 전송 거리가 더 멀리까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의사결정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최고경영층은 주로 비구조적 의사결정에 대한 문제에 직면해 있고, 운영층은 주로 구조적 의사결정에 대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2.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해 의사결정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서 활용하는 데이터의 품질을 개선해야 한다.
  3.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수요 예측 문제, 민감도 분석 등에 활용된다.
  4. 운영층은 주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해 마케팅 계획 설계, 예산 수립 계획 등과 같은 업무를 수행한다.
  5.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의사결정 품질 개선을 위해 딥러닝(deep learning)과 같은 고차원적 알고리즘(algorithm)이 활용된다.
(정답률: 31%)
  •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은 "운영층은 주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해 마케팅 계획 설계, 예산 수립 계획 등과 같은 업무를 수행한다." 이다. 운영층은 주로 구조적 의사결정에 대한 문제에 직면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한다. 따라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운영층의 업무 수행을 보조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소스마킹과 인스토어마킹에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인스토어마킹은 소분포장, 진열 단계에서 마킹이 이루어진다.
  2. 소스마킹은 생산 및 제품 포장 단계에서 마킹이 이루어진다.
  3. 소스마킹은 전 세계적으로 공통 사용이 가능하다.
  4. 소스마킹은 과일이나 농산물에 주로 사용된다.
  5. 인스토어마킹은 원칙적으로 소매업체가 자유롭게 표시한다.
(정답률: 47%)
  • "소스마킹은 과일이나 농산물에 주로 사용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소스마킹은 제품의 생산 및 포장 단계에서 제품에 마킹을 하는 것으로, 과일이나 농산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바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업체의 재고관리와 판매관리에 도움을 제공한다.
  2. 국가표준기관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3. 컬러 색상은 인식하지 못하고, 흑백 색상만 인식한다.
  4. 스캐너 또는 리더기를 이용하여 상품 관련 정보를 간편하게 읽어들일 수 있다.
  5. 바코드에는 국가코드, 제조업체코드, 상품품목코드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정답률: 55%)
  • "컬러 색상은 인식하지 못하고, 흑백 색상만 인식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바코드 스캐너 또는 리더기는 일반적으로 빨간색, 초록색 또는 파란색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컬러 바코드도 인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아래 글상자의 내용을 지칭하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오프쇼어링(off-shoring)
  2.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3.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masscustomization)
  4. 긱 이코노미(gig economy)
  5. 리쇼어링(reshoring)
(정답률: 47%)
  • 위 그림은 긱 이코노미(gig economy)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긱 이코노미란 일시적인 일자리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일시적인 근로자들이 이루는 경제를 말합니다. 이러한 근로자들은 일반적으로 풀타임으로 고용되지 않고, 프리랜서나 계약직으로 일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경제는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성장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지칭하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리포팅
  2. 쿼리
  3. 스코어카드
  4. 대시보드
  5. 빅데이터
(정답률: 57%)
  • 데이터의 양이 매우 크고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로,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도출하는 기술. 이를 통해 기업이나 조직은 더욱 정확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가 가장 옳은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유통정보시스템 이용에 있어서 정보보안의 주요 목표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허락받지 않은 사용자가 정보를 변경해서는 안되는 것은 기밀성이다.
  2. 정보의 소유자가 원치 않으면 정보를 공개할 수 없는 것은 무결성이다.
  3. 보낸 이메일을 상대가 읽었는지 알 수 있는 수신 확인 기능은 부인방지 원칙을 잘 반영한 것이다.
  4. 웹사이트에 접속하려고 할 때 에러 등 서비스 장애가 일어나는 것은 무결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5. 인터넷 거래에 필요한 공인인증서에 기록된 내용은 타인이 조작할 수 없도록 만들어 가용성을 유지해야 한다.
(정답률: 41%)
  • "보낸 이메일을 상대가 읽었는지 알 수 있는 수신 확인 기능은 부인방지 원칙을 잘 반영한 것이다."가 가장 옳은 것이다. 이는 수신 확인 기능을 통해 보낸 사람이 메일을 보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부인방지 원칙은 정보의 송수신이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사실을 나중에 부인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유통업체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구성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채널이란 기업이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경로이다.
  2. 고객 세분화란 고객이 무언가를 수행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3. 핵심자원은 기업이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핵심이 되는 중요한 자산이다.
  4. 고객관계 구축이란 우량 고객과 비우량 고객을 구분하고, 차별화된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5. 핵심 파트너십은 비즈니스 생태계에서 원만한 기업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핵심역량을 말한다.
(정답률: 48%)
  • "고객 세분화란 고객이 무언가를 수행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유통채널이란 기업이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경로이다."이다. 유통채널은 기업과 소비자 사이의 상품이나 서비스의 유통 경로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통채널은 기업이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경로 중 하나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모바일 쇼핑의 특성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비자가 직접 능동적으로 필요한 제품을 검색하여 보다 상세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모바일 쇼핑은 소비자가 인지-정보탐색-대안평가-구매 등의 구매의사결정을 하나의 매체에서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쇼핑형태이다.
  3. 기업은 구매과정을 단순하고 편리하게 구성함으로써 구매단계에 대한 통합적 관리가 가능해진다.
  4. 쿠폰, 티켓, 상품권 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모바일쇼핑은 의류, 패션잡화, 가전제품, 화장품, 식품, 가구 등 거의 전 부문으로 확산되고 있다.
  5. 모바일 쇼핑의 활성화에 따라 백화점, 대형마트, 인터넷 쇼핑 등과의 채널별 시장 경계가 명확해지면서 기존에 비해 가격경쟁은 약화되고 있다.
(정답률: 67%)
  • "모바일 쇼핑의 활성화에 따라 백화점, 대형마트, 인터넷 쇼핑 등과의 채널별 시장 경계가 명확해지면서 기존에 비해 가격경쟁은 약화되고 있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모바일 쇼핑의 활성화로 인해 오히려 가격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모바일 쇼핑몰들은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할인, 적립금, 이벤트 등을 제공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EDI 시스템의 사용 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의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과 오류를 줄일 수 있다.
  2. 주문기입 오류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 및 지연을 없앰으로써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킨다.
  3. 문서 관련 업무를 자동화처리함으로써 직원들은 부가가치업무에 집중할 수 있고 중요한 비즈니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4. EDI는 세계 도처에 있는 거래 당사자와 연계를 촉진시키는 공통의 비즈니스 언어를 제공하기 때문에 새로운 영역 및 시장에 진입을 원활하게 한다.
  5. EDI는 전자기반 프로세스를 문서기반 프로세스로 대체함으로써 많은 비용을 절약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게 한다.
(정답률: 47%)
  • EDI는 전자기반 프로세스를 문서기반 프로세스로 대체함으로써 많은 비용을 절약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게 한다." 이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EDI는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EDI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다른 방법들과 연계하여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고객관리를 최적화하기 위해 활용되는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usiness Intelligence: BI)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BI는 의사결정자에게 적절한 시간, 적절한 장소, 적절한 형식의 실행가능한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2. BI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해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3. BI는 데이터 마이닝이나 OLAP 등의 다양한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4. BI는 발생된 사건의 내부 데이터, 구조화된 데이터, 히스토리컬 데이터(historical data) 등에 대한 분석기능을 제공한다.
  5. BI는 분석적 도구를 활용해 경영 의사결정에 필요한 경쟁력 있는 정보와 지식을 제공한다.
(정답률: 36%)
  • "BI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해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BI는 기존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BI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BI 자체가 그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일반 상거래와 비교할 때, 전자상거래의 차별화된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과 대화형 비즈니스 모델로의 변이가 가능하다.
  2. 인터넷 비즈니스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운영 가능하다.
  3. 재고부담을 최소화하면서 기술개발과 마케팅에 더 많은 투자를 한다.
  4. 변화에 대한 융통성은 프로세스에 의존하기보다는 유형자산에 의존한다.
  5. 동시다발적 비즈니스 요소가 성립하며 포괄적 비즈니스 모델에 의한 운영이 가능하다.
(정답률: 59%)
  • "변화에 대한 융통성은 프로세스에 의존하기보다는 유형자산에 의존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전자상거래는 기존의 상거래와 달리 프로세스가 유연하고 변화에 적응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변화에 대한 융통성은 프로세스에 의존하는 것이 오히려 더 적절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에서는 새로운 기술이나 시장 동향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프로세스를 조정하거나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객 요구사항이나 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제품이나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마케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연성과 빠른 대응력은 전자상거래의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블록체인, ㉡ DID(Decentralized Identity)
  2. ㉠ 금융권 공동인증, ㉡ OID(Open Identity)
  3. ㉠ 블록체인, ㉡ PID(Personality Identity)
  4. ㉠ 블록체인, ㉡ OID(Open Identity)
  5. ㉠ 공인인증, ㉡ DID(Decentralized Identity)
(정답률: 33%)
  • 블록체인은 분산원장 기술로, 데이터를 중앙 서버가 아닌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DID(Decentralized Identity)는 중앙 집중식이 아닌 분산형 신원 확인 기술로, 사용자의 신원 정보를 블록체인과 같은 분산원장에 저장하여 보안성과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 블록체인, ㉡ DID(Decentralized Identity)"가 가장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QR(Quick Respons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QR은 1980년대 중반 미국의 의류업계와 유통업체가 상호 협력하면서 시작되었다.
  2. QR의 도입으로 기업은 리드타임의 증가, 재고비용의 감소, 판매의 증진 등의 획기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
  3. QR이 업계 전반에 걸쳐 확산되기 위해서는 유통업체마다 각각 다르게 운영되고 있는 의류상품에 대한 상품분류체계를 표준화하여야 한다.
  4. 미국의 식품업계는 QR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해 식품업계에 적용할 수 있는 SCM 시스템인 ECR을 개발하였다.
  5. QR의 핵심은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에게 판매된 의류에 대한 정보를 매일 정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제조업체로 하여금 판매가 부진한 상품에 대해서는 생산을 감축하고 잘 팔리는 상품의 생산에 주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정답률: 54%)
  • QR의 도입으로 기업은 리드타임의 증가, 재고비용의 감소, 판매의 증진 등의 획기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 - 이 설명이 옳지 않다. QR의 도입으로 기업은 리드타임의 감소, 재고비용의 감소, 판매의 증진 등의 획기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빅데이터는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가 대상이 된다. 데이터 유형과 데이터 종류, 그에 따른 수집 기술의 연결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정형데이터 - RDB - ETL
  2. 정형데이터 - RDB - Open API
  3. 반정형데이터 - JSON - Open API
  4. 반정형데이터 - 이미지 - Crawling
  5. 비정형데이터 - 소셜데이터 - Crawling
(정답률: 36%)
  • 반정형데이터는 구조화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로, 일부는 구조화되어 있고 일부는 그렇지 않은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미지는 비정형데이터에 해당하며, 구조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Crawling으로 수집하는 것이 옳다. JSON은 반정형데이터에 해당하며, Open API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RDB는 정형데이터에 해당하며, ETL 또는 Open API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반정형데이터 - 이미지 - Crawling"이 가장 옳지 않은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노나카 이쿠지로 교수가 제시한 지식변환 프로세스에서 암묵적 형태로 존재하는 지식을 형식화하여 수집 가능한 데이터로 생성시켜 공유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과정을 일컫는 용어로 옳은 것은?

  1. 공동화(socialization)
  2. 지식화(intellectualization)
  3. 외부화(externalization)
  4. 내면화(internalization)
  5. 연결화(combination)
(정답률: 46%)
  • 노나카 이쿠지로 교수가 제시한 지식변환 프로세스에서 외부화(externalization)는 암묵적 형태로 존재하는 지식을 형식화하여 수집 가능한 데이터로 생성시켜 공유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과정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즉, 개인이 가지고 있는 암묵적인 지식을 명시적인 지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개인의 경험, 지각, 직관 등을 토대로 개인적인 지식을 외부적인 형태로 표현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고객발굴을 위해 CRM시스템의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고객으로부터 전화문의, 인터넷 조회, 영업소 방문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분석을 지칭하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외부 데이터 분석
  2. 고객 프로필 분석
  3. 현재 고객 구성원 분석
  4. 하우스-홀딩 분석
  5. 인바운드 고객 분석
(정답률: 56%)
  • 고객으로부터의 전화문의, 인터넷 조회, 영업소 방문 등은 모두 고객이 직접 회사에 연락하여 들어온 것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하는 분석은 인바운드 고객 분석이다. 인바운드는 고객이 회사로 들어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분석하여 고객의 행동 패턴, 관심사, 욕구 등을 파악하여 고객을 발굴하고 유치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바운드 고객 분석"이 가장 옳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공급업체와 구매업체의 재고관리 영역에서 구매업체가 가진 재고 보충에 대한 책임을 공급업체에게 이전하는 전략을 일컫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CPP(cost per rating point)
  2.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3. CMI(co-managed inventory)
  4. ABC(activity based costing)
  5. VMI(vender managed inventory)
(정답률: 56%)
  • VMI는 공급업체가 구매업체의 재고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시점에 보충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이는 구매업체가 재고 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고, 공급업체가 더욱 효율적인 생산 및 공급 계획을 세울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VMI는 공급업체와 구매업체 모두에게 이점이 있는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CRM시스템을 구축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 형성
  2. 거래 업무 효율화와 수익 증대
  3. 의사결정 향상을 위한 고객에 대한 이해 활성화
  4. 우수한 고객서비스 제공 및 확고한 경쟁우위 점유
  5. 기존 고객유지보다 신규 고객유치 활성화를 통한 비용 절감
(정답률: 64%)
  • "기존 고객유지보다 신규 고객유치 활성화를 통한 비용 절감"은 옳은 이유이며,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CRM시스템을 구축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기존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 형성, 거래 업무 효율화와 수익 증대, 의사결정 향상을 위한 고객에 대한 이해 활성화, 우수한 고객서비스 제공 및 확고한 경쟁우위 점유, 기존 고객유지보다 신규 고객유치 활성화를 통한 비용 절감 등이 있습니다.

    "기존 고객유지보다 신규 고객유치 활성화를 통한 비용 절감"은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것보다 신규 고객을 유치하는 것이 더 비용 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는 데 드는 비용이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보다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아래 글상자의 내용과 관련있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마이데이터
  2. BYOD(Bring Your Own Device)
  3. 개인 핀테크
  4. 디지털 전환
  5. 빅테크
(정답률: 44%)
  • 개인이 소유한 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으로, "마이데이터"가 가장 옳은 용어이다. BYOD는 개인이 소유한 디바이스를 업무에 활용하는 개념이며, 개인 핀테크는 개인이 자신의 금융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디지털 전환은 기업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빅테크는 대규모 기술 기업을 일컫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