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11-19)

유통관리사 2급
(2022-11-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유통물류일반

1. 국제물류주선업에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화주에게 운송에 관련된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고 물류비, 인력 등을 절감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선사는 소량화물을 직접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소량화물의 화주들에게는 무역화물운송업무의 간소화와 운송비용 절감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3. 국제물류주선인은 다수의 화주로부터 위탁받은 화물로 선사에 보다 효과적인 교섭권을 행사하여 유리한 운임률 유도를 통해 규모의 경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4. 안정적 물량 확보를 위해 선사는 국제물류주선인과 계약하는 것보다 일반화주와 직접 계약하는 것이 유리하다.
  5. NVOCC(Non-Vessel Operating Common Carrier)는 실제운송인형 복합운송인에 속하지 않는다.
(정답률: 70%)
  • 안정적 물량 확보를 위해 선사는 국제물류주선인과 계약하는 것보다 일반화주와 직접 계약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설명이 가장 옳지 않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국제물류주선인과의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물량 확보와 운임율의 협상 등 다양한 혜택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소비자기본법(법률 제17799호, 2020.12.29., 타법개정)에 의한 소비자의 기본적 권리로만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 ㉡, ㉢, ㉣, ㉤
  2. ㉠, ㉡, ㉢
  3. ㉠, ㉡, ㉣
  4. ㉡, ㉢, ㉤
  5. ㉡, ㉣, ㉤
(정답률: 38%)
  • 정답은 "㉠, ㉡, ㉣" 입니다.

    ㉠은 "정보공개 및 공정거래"에 관한 권리로, 소비자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어야 하며, 판매자는 공정한 거래를 해야 합니다.

    ㉡은 "보상 및 손해배상"에 관한 권리로, 소비자는 상품 또는 서비스로 인해 손해를 입었을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판매자는 소비자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적절한 보상을 해야 합니다.

    ㉣은 "계약의 자유"에 관한 권리로, 소비자는 자유롭게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계약을 체결할 수 있으며, 판매자는 소비자의 자유로운 선택을 존중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권리는 소비자의 기본적인 권리 중 가장 중요하며, 소비자가 건강하고 공정한 소비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 권리들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재고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적시에 제공하기 위하여 소매점은 항상 적절한 양의 재고를 보유해야 할 필요가 있다.
  2. 재고가 지나치게 많을 경우, 적절한 시기에 처분하기 위해 상품가격을 인하시켜 판매하기 때문에 투매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3. 재고가 너무 적은 경우 소비자의 수요에 대응할 수 없는 기회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4. 투매손실이나 기회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유지해야 하는 적정 재고량은 표준재고이다.
  5. 재고가 적정 수준 이하가 되면 미리 결정해둔 일정주문량을 발주하는 방법은 상황 발주법이다.
(정답률: 58%)
  • 재고가 적정 수준 이하가 되면 미리 결정해둔 일정주문량을 발주하는 방법은 상황 발주법이 아닌, 주기적 발주법이다. 상황 발주법은 재고가 부족할 때에만 발주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재고가 적정 수준 이하가 되면 미리 결정해둔 일정주문량을 발주하는 방법은 상황 발주법이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경로 지배를 위한 힘의 원천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보상적 힘
  2. 협력적 힘
  3. 합법적 힘
  4. 준거적 힘
  5. 전문적 힘
(정답률: 50%)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업재와 유통경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산업재는 원자재의 저가격협상과 수급연속성, 안정적인 공급경로의 구축이 중요하다.
  2. 설비품(고정장비)은 구매결정자의 지위가 낮으며 단위당 가격이 낮고 단기적 거래가 많다.
  3. 윤활유, 잉크 등과 같은 운영소모품의 거래는 구매 노력이 적게 들기에 구매결정자의 지위나 가격이 낮다.
  4. 산업재는 제조업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판매가 많고 소비재보다는 경로가 짧고 단순하다.
  5. 산업재 중 못, 청소용구, 페인트 같은 수선소모품은 소비재 중 편의품과 같은 성격을 갖고 있다.
(정답률: 49%)
  • "산업재는 제조업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판매가 많고 소비재보다는 경로가 짧고 단순하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설비품(고정장비)은 구매결정자의 지위가 낮으며 단위당 가격이 낮고 단기적 거래가 많다는 이유는, 설비품은 생산성과 생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업이 경영전략을 수립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설비품의 구매는 단기적인 거래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계획과 전략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구매결정자의 지위가 낮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산업재는 제조업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판매가 많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맞지만, 모든 산업재가 그렇지는 않습니다. 또한, 경로가 짧고 단순하다는 것도 모든 산업재에 대해 일반화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산업재는 제조업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판매가 많고 소비재보다는 경로가 짧고 단순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JIT(Just-in-time)와 JIT(Just-in-time) Ⅱ와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JIT는 부품과 원자재를 원활히 공급받는 데 초점을 두고, JITⅡ는 부품, 원부자재, 설비공구, 일반자재 등 모든 분야를 공급받는 데 초점을 둔다.
  2. JIT가 개별적인 생산현장(plant floor)을 연결한 것이라면, JITⅡ는 공급체인 상의 파트너의 연결과 그 프로세스를 변화시키는 시스템이다.
  3. JIT는 자사 공장 내의 무가치한 활동을 감소ㆍ제거하는데 주력하고, JITⅡ는 기업 간의 중복업무와 무가치한 활동을 감소ㆍ제거하는데 주력한다.
  4. JIT가 풀(pull)형인 MRP와 대비되는 푸시(push)형의 생산방식인데 비해, JITⅡ는 JIT와 MRP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기업 간의 운영체제를 의미한다.
  5. JIT가 물동량의 흐름을 주된 개선대상으로 삼는 데 비해, JITⅡ는 기술, 영업, 개발을 동시화(synchronization)하여 물동량의 흐름을 강력히 통제한다.
(정답률: 4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급사슬관리(SCM)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지연전략(postponement strateg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지연전략은 고객의 수요를 제품설계에 반영하기 위해 완제품의 재고보유 시간을 최대한 연장시키는 전략이다.
  2. 주문 이전에는 모든 스웨터를 하얀색으로 생산한 후 주문이 들어오면 염색을 통해 수요에 맞춰 공급하는 것은 지리적 지연전략이다.
  3. 가장 중요한 창고에 재고를 유지하며, 지역 유통업자들에게 고객의 주문을 넘겨주거나 고객에게 직접 배송하는 것은 제조 지연전략이다.
  4. 컴퓨터의 경우, 유통센터에서 프린터, 웹캠 등의 장치를 조립하거나 포장하는 것은 지리적 지연전략이다.
  5. 자동차를 판매할 때 사운드 시스템, 선루프 등을 설치옵션으로 두는 것은 결합 지연전략이다.
(정답률: 3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경영성과 분석을 위해 글상자 안의 활동성 비율들을 계산할 때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요소로 가장 옳은 것은?

  1. 재고자산
  2. 자기자본
  3. 영업이익
  4. 매출액
  5. 고정자산
(정답률: 45%)
  • 매출액은 기업이 판매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총 수익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성장과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경영성과 분석을 위해 글상자 안의 활동성 비율들을 계산할 때 매출액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각 점포가 독립된 회사라는 점에서 프랜차이즈 체인방식과 같지만, 조직의 주체는 가맹점이며 전 가맹점이 경영의 의사결정에 참여한다는 차이점이 있는 연쇄점(chain)의 형태로 가장 옳은 것은?

  1. 정규연쇄점(regular chain)
  2. 직영점형 연쇄점(corporate chain)
  3. 조합형 연쇄점(cooperative chain)
  4. 마스터 프랜차이즈(master franchise)
  5. 임의형 연쇄점(voluntary chain)
(정답률: 45%)
  • 임의형 연쇄점은 각 가맹점이 독립적인 회사로서 경영을 하지만, 조직의 주체는 가맹점들이 모여 결성한 조합이며, 모든 가맹점이 경영의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형태의 연쇄점이다. 따라서 가맹점들은 자율적으로 조합에 가입하고, 조합은 가맹점들의 이익을 위해 중앙집권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가맹점들은 자유로운 경영을 유지하면서도 조합의 지원을 받을 수 있어서, 임의형 연쇄점은 가맹점들에게 유연성과 자율성을 제공하는 형태의 연쇄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래 글상자의 내용을 6시그마 도입절차대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 ㉥ - ㉠ - ㉡ - ㉢ - ㉣
  2. ㉡ - ㉢ - ㉣ - ㉤ - ㉥ - ㉠
  3. ㉢ - ㉣ - ㉤ - ㉥ - ㉠ - ㉡
  4. ㉣ - ㉤ - ㉥ - ㉠ - ㉡ - ㉢
  5. ㉠ - ㉡ - ㉢ - ㉣ - ㉤ - ㉥
(정답률: 50%)
  • 6시그마 도입절차는 다음과 같다.

    1. 문제 정의
    2. 과정 측정
    3. 원인 분석
    4. 해결책 도출
    5. 해결책 실행
    6. 결과 평가

    따라서, 위의 글상자 내용을 6시그마 도입절차에 따라 나열하면 "㉠ - ㉡ - ㉢ - ㉣ - ㉤ - ㉥"이 된다. 이유는 문제 정의부터 시작하여 과정 측정, 원인 분석, 해결책 도출, 해결책 실행, 결과 평가 순서대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정량주문법과 정기주문법을 적용하기 유리한 경우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로 가장 옳은 것은?

(정답률: 34%)
  • 정량주문법은 수량을 정확히 파악하여 주문할 수 있어 재고관리가 용이하고, 정기주문법은 고객의 구매빈도와 양을 파악하여 일정한 주기로 주문을 하기 때문에 고객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주문량이 일정하지 않고 변동이 크기 때문에 정량주문법보다는 정기주문법이 더 적합하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제품/시장 확장그리드(product/market expansion grid)에서 기존제품을 가지고 새로운 세분시장을 파악해서 진출하는 방식의 기업성장전략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시장침투전략(market penetration strategy)
  2. 시장개발전략(market development strategy)
  3. 제품개발전략(product development strategy)
  4. 다각화전략(diversification strategy)
  5. 수평적 다각화전략(horizontal diversification strategy)
(정답률: 38%)
  • 기존 제품을 가지고 새로운 세분시장을 파악해서 진출하는 방식의 기업성장전략은 시장개발전략이다. 이는 기존 제품을 새로운 시장에서 판매하거나, 기존 시장에서 새로운 고객층을 발굴하여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이다. 이는 기존 제품과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기업에게 유리하며,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것보다 비용과 시간이 적게 들어간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급사슬을 효율적 공급사슬과 반응적 공급사슬로 구분하여 설계할 때 반응적 공급사슬에 대한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리드타임을 적극적으로 단축하려 노력한다.
  2. 여유생산능력이 높다.
  3. 저가격, 일관된 품질이 납품업체 선정기준이다.
  4. 제품 혹은 서비스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생산전략이다.
  5. 신속한 납기가 가능할 정도의 재고 투자를 한다.
(정답률: 47%)
  • 반응적 공급사슬의 특징 중에서 "저가격, 일관된 품질이 납품업체 선정기준이다."는 옳지 않은 특징입니다. 반응적 공급사슬은 주문이 들어온 후에 생산을 시작하므로, 생산비용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비용을 줄이기 위해 납품업체를 저가격으로 선정하는 것은 올바른 전략이 아닙니다. 대신, 생산 시작 전에 미리 납품업체를 선정하고 일관된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아래 글상자의 물류채산분석 회계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3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젝트 조직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과제 진행에 따라 인력 구성의 탄력성이 존재한다.
  2. 목적달성을 지향하는 조직이므로 구성원들의 과제해결을 위한 사기를 높일 수 있다.
  3. 기업 전체의 목적보다는 사업부만의 목적달성에 더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4. 해당 조직에 파견된 사람은 선택된 사람이라는 우월감이 조직 단결을 저해하기도 한다.
  5. 전문가로 구성된 일시적인 조직이므로 그 조직 관리자의 지휘능력이 중요하다.
(정답률: 49%)
  • "기업 전체의 목적보다는 사업부만의 목적달성에 더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프로젝트 조직은 기업 전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며, 사업부만의 목적달성에만 관심을 기울인다면 기업 전체의 성장과 발전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 조직은 기업 전체의 목적을 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소비재의 유형별로 일반적인 경로목표를 설정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편의품의 경우 최대의 노출을 필요로 하기에 개방적 유통을 사용한다.
  2. 일부 의약품은 고객 편의를 위해 편의점을 통한 개방적 유통을 사용하기도 한다.
  3. 이질적 선매품의 경우 품질비교가 가능하도록 유통시킨다.
  4. 동질적 선매품의 경우 가격비교가 용이하도록 유통시킨다.
  5. 전문품은 구매횟수가 정기적인 것이 특징이기에 개방적 유통을 사용한다.
(정답률: 56%)
  • "전문품은 구매횟수가 정기적인 것이 특징이기에 개방적 유통을 사용한다." 설명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전문품은 일반적으로 구매횟수가 적고 고객이 직접 구매하기보다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한 제품이기 때문에, 개방적 유통보다는 전문적인 유통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유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 전문품은 일반적으로 고가이고 구매횟수가 적은 제품이기 때문에 개방적 유통보다는 전문적인 유통 채널을 통해 고객에게 제공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의료기기나 고급 화장품 등은 전문적인 유통 채널을 통해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A사의 제품은 연간 19,200개 정도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제품의 1회 주문비용은 150원, 제품당 연간 재고유지비가 9원이라고 할 때 경제적주문량(EOQ)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600개
  2. 650개
  3. 700개
  4. 750개
  5. 800개
(정답률: 30%)
  • EOQ = √[(2 x D x S) / H]

    D = 연간 수요량 = 19,200개
    S = 1회 주문비용 = 150원
    H = 제품당 연간 재고유지비 = 9원

    EOQ = √[(2 x 19,200 x 150) / 9] = √(6,400,000) = 800개

    따라서, 경제적 주문량(EOQ)은 800개이다. EOQ는 주문비용과 재고유지비의 균형점을 찾아 경제적인 주문량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한 번 주문할 때 주문량이 800개일 때 가장 경제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배분, ㉡ 집적, ㉢ 구색
  2. ㉠ 구색, ㉡ 집적, ㉢ 분류
  3. ㉠ 분류, ㉡ 구색, ㉢ 배분
  4. ㉠ 배분, ㉡ 집적, ㉢ 분류
  5. ㉠ 집적, ㉡ 구색, ㉢ 분류
(정답률: 54%)
  • 주어진 그림은 물류센터에서 상품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물류센터에서는 상품을 먼저 분류하고, 그 다음에는 상품을 구색하고, 마지막으로는 상품을 배분한다. 따라서 정답은 "㉠ 분류, ㉡ 구색, ㉢ 배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급격한 가격인상 없이 매출과 수익의 손실을 막기 위해 유통기업들이 채택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취급하는 상품의 종류를 재정비하여 재고비용이나 수송비용을 줄인다.
  2. 생산성이 낮은 인력이나 시설을 정리하고 정보화를 통해 이를 대체한다.
  3. 무료설치, 운반, 장기보증 같은 부가적 상품서비스를 줄이거나 없앤다.
  4. 포장비를 낮추기 위해 더 저렴한 포장재를 이용한다.
  5. 절약형 상표, 보급형 상표의 비중을 줄인다.
(정답률: 45%)
  • 절약형 상표, 보급형 상표의 비중을 줄이는 것은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소비자들이 가격에 민감해지기 때문에, 보다 저렴한 상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약형 상표나 보급형 상표를 줄이는 것은 오히려 매출과 수익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오히려, 다른 방법들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등의 대안적인 전략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서비스 유통의 형태인 플랫폼 비즈니스(platform business)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플랫폼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을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가 창출된다.
  2.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사람 간의 교류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실현시키면서 플랫폼 비즈니스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플랫폼 비즈니스의 구성원은 플랫폼 구축자와 플랫폼 사용자로 크게 나뉜다.
  4. 플랫폼은 소식, 물건, 서비스 등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교류가 가능하게 해주는 일종의 장터이다.
  5. 플랫폼 비즈니스 사업자는 플랫폼을 제공해주는 대가를 직접적으로 취할 수 없으므로, 광고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수익을 올리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정답률: 56%)
  • "플랫폼 비즈니스 사업자는 플랫폼을 제공해주는 대가를 직접적으로 취할 수 없으므로, 광고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수익을 올리는 비즈니스 모델이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플랫폼 비즈니스 사업자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대가로 수수료를 취할 수 있으며, 광고 수익 외에도 다양한 수익 모델을 가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수직적 통합이 일어나는 경우 합병하는 회사측은 현실적으로 여러 문제점에 직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분업에 따른 전문화의 이점을 누리기 힘들어진다.
  2. 유통경로 구성원 간의 관계를 경쟁관계로 바뀌게 한다.
  3. 조직의 슬림화로 인해 구성원의 업무량이 증가한다.
  4. 통합하려는 기업은 많은 자금을 합병에 투입하게 된다.
  5. 조직관리에 많은 비용을 소모하게 되어 경기가 좋지 않을 때에는 자금부담이 생길 수 있다.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개념으로 옳은 것은?

  1. 블랙 스완 효과(black swan effect)
  2. 밴드 왜건 효과(band wagon effect)
  3. 채찍 효과(bullwhip effect)
  4. 베블렌 효과(Veblen effect)
  5. 디드로 효과(Diderot effect)
(정답률: 61%)
  • 주문량의 변동이 생길 때 이를 처리하기 위해 각 단계에서 안전재고를 늘리는 경향이 생기고, 이로 인해 주문량의 변동이 더욱 심화되는 현상을 채찍 효과라고 한다. 즉,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수요 변동이 상류에서 하류로 전파되면서 발생하는 재고 증가와 주문량 증가의 고리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파욜(Fayol)의 조직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각각의 종업원들은 오직 한명의 관리자에게 보고한다.
  2. 최고관리자에게 부여된 의사결정력의 크기는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3. 마케팅, 재무, 생산 등의 전문적인 분야의 기능들은 통합된다.
  4. 조직의 목표는 개인 각각의 목표보다 우선시 된다.
  5. 종업원들은 누구에게 보고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정답률: 34%)
  • "마케팅, 재무, 생산 등의 전문적인 분야의 기능들은 통합된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파욜은 기능별 분업을 강조하며, 각 기능은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기능들이 통합되는 것은 파욜의 조직원리와는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업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윤리와 관련된 헌장이나 강령을 만들어 발표한다.
  2. 기업의 모든 의사결정 프로세스에서 반영될 수 있게 모니터링한다.
  3. 윤리경영의 지표로서 정성적인 지표는 적용하기 힘드므로 계량적인 윤리경영지표만을 활용한다.
  4. 조직 내의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는 제도를 활성화한다.
  5. 윤리기준을 적용한 감사 결과를 조직원과 공유한다.
(정답률: 67%)
  • "윤리경영의 지표로서 정성적인 지표는 적용하기 힘드므로 계량적인 윤리경영지표만을 활용한다."는 옳지 않은 방법이다. 윤리경영은 정성적인 측면도 중요하며, 계량적인 지표만으로는 전체적인 윤리경영의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성적인 지표와 계량적인 지표를 함께 활용하여 윤리경영의 상황을 파악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아래 글상자의 내용을 이용하여 작업량 접근방식(workload approach)을 통해 확보해야 할 영업조직 규모(영업사원수)를 계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10명
  2. 12명
  3. 14명
  4. 18명
  5. 20명
(정답률: 49%)
  • 작업량 접근방식은 영업활동에 필요한 작업량을 기반으로 영업사원수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영업사원 한 명이 일정 기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작업량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 작업량을 나누어 영업사원수를 결정한다.

    해당 글상자에서는 1년간 예상되는 대출 신청서 접수 건수와 대출 승인 건수가 제시되어 있다. 이를 기반으로 작업량 접근방식을 적용해보면, 한 명의 영업사원이 일년간 처리할 수 있는 대출 신청서 접수 건수와 대출 승인 건수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 작업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출 신청서 접수 건수를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한 명의 영업사원이 일년간 처리할 수 있는 대출 신청서 접수 건수는 200건이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전체 작업량인 4,000건을 200건으로 나누면 20명의 영업사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하지만 이 방식은 일정 기간 동안의 작업량을 예측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측이 부정확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 영업활동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영업사원수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대출 신청서 접수 건수와 대출 승인 건수를 모두 고려하여 작업량 접근방식을 적용해보면, 한 명의 영업사원이 일년간 처리할 수 있는 대출 신청서 접수 건수는 200건, 대출 승인 건수는 100건이라고 가정하면, 전체 작업량인 4,000건을 300건으로 나누면 13.3명의 영업사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장 근접한 답은 12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상권분석

26. 두 도시 A, B의 거리는 12km, A시의 인구는 20만 명, B시의 인구는 5만 명이다. Converse의 상권분기점 분석법에 따른 도시 간의 상권경계는 B시로부터 얼마나 떨어진 곳에 형성되겠는가?

  1. 3km
  2. 4km
  3. 6km
  4. 8km
  5. 9km
(정답률: 20%)
  • Converse의 상권분기점 분석법에 따르면, 상권경계는 두 도시의 인구비율과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 B시의 인구는 A시의 인구의 1/4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상권경계는 B시 쪽으로 치우쳐진다. 또한, 거리는 12km 중에서 B시 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계산하면 된다. 인구비율과 거리를 고려하여 계산하면, 상권경계는 약 4km 지점에 형성될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4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법률 제18310호, 2021. 7. 20., 타법개정)에 의거한 주거 및 교육 환경보호나 청소년 보호 등의 목적으로 오염물질 배출시설, 청소년 유해시설 등 특정시설의 입지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용도지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청소년보호지구
  2. 보호지구
  3. 복합용도지구
  4. 특정용도제한지구
  5. 개발제한지구
(정답률: 30%)
  • 특정용도제한지구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주거 및 교육 환경보호나 청소년 보호 등의 목적으로 오염물질 배출시설, 청소년 유해시설 등 특정시설의 입지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용도지구로 지정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것이 가장 옳은 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입지의사결정 과정에서 점포의 매력도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조건 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권단절요인에는 하천, 학교, 종합병원, 공원, 주차장, 주유소 등이 있다.
  2. 주변을 지나는 유동인구의 수보다는 인구특성과 이동방향 및 목적 등이 더 중요하다.
  3. 점포가 보조동선 보다는 주동선상에 위치하거나 가까울수록 소비자 유입에 유리하다.
  4. 점포나 부지형태는 정방형이 장방형보다 가시성이나 접근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5. 층고가 높으면 외부가시성이 좋고 내부에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유리하다.
(정답률: 39%)
  • "점포나 부지형태는 정방형이 장방형보다 가시성이나 접근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

    이유는 정방형이 더 많은 외벽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시각적 노출과 접근성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소비자 K가 거주하는 어느 지역에 아래 조건과 같이 3개의 슈퍼가 있는 경우, Huff모델을 사용하여 K의 이용확률이 가장 높은 점포와 해당 점포에 대한 이용확률을 추정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단, 거리와 점포면적에 대한 민감도계수가 –2와 3이라고 가정함)

  1. C 슈퍼, 57%
  2. A 슈퍼, 50%
  3. B 슈퍼, 50%
  4. A 슈퍼, 44%
  5. B 슈퍼, 33%
(정답률: 36%)
  • Huff모델은 소비자가 특정 점포를 이용할 확률을 거리와 점포면적에 따라 추정하는 모델이다. 이용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이용확률 = (점포면적^민감도계수) / (거리^민감도계수의 합)

    따라서, 각 슈퍼별로 K가 이용할 확률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A 슈퍼: (100^3) / ((1^(-2)) + (2^(-2)) + (100^(-2))) ≈ 0.5
    - B 슈퍼: (50^3) / ((2^(-2)) + (3^(-2)) + (50^(-2))) ≈ 0.33
    - C 슈퍼: (200^3) / ((3^(-2)) + (4^(-2)) + (200^(-2))) ≈ 0.57

    따라서, K의 이용확률이 가장 높은 점포는 A 슈퍼이며, 해당 점포에 대한 이용확률은 약 50%이다. 따라서 정답은 "A 슈퍼,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소매입지를 선정하기 위해 활용되는 각종 지수(index)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시장포화지수(IRS)는 특정 시장 내에서 주어진 제품계열에 대한 점포면적당 잠재매출액의 크기이다.
  2. 구매력지수(BPI)는 주로 통계자료의 수집단위가 되는 행정구역별로 계산할 수 있다.
  3. 시장확장잠재력지수(MEP)는 지역 내 소비자들이 타지역에서 쇼핑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계산한다.
  4. 판매활동지수(SAI)는 특정지역의 총면적당 점포면적 총량의 비율을 말한다.
  5. 구매력지수(BPI)는 주로 인구, 소매 매출액, 유효소득 등의 요인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정답률: 29%)
  • "판매활동지수(SAI)는 특정지역의 총면적당 점포면적 총량의 비율을 말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SAI는 특정지역의 총매출액을 해당 지역의 총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점포면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유추법(analog method)을 통해 신규점포에 대한 수요를 추정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비교점포는 통계분석 대신 주관적 판단을 주로 사용해서 선정한다.
  2. 신규점포의 수요는 비교점포의 상권정보를 활용해서 산정한다.
  3. 비교점포의 상권을 단위거리에 따라 구역(zone)으로 나눈다.
  4. 비교점포의 구역별 고객1인당 매출액을 추정한다.
  5. 수요예측을 위해 반드시 2개 이상의 비교점포를 선정해야 한다.
(정답률: 26%)
  • "비교점포는 통계분석 대신 주관적 판단을 주로 사용해서 선정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비교점포는 주관적 판단보다는 통계적인 기준을 활용하여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답은 "비교점포는 통계분석 대신 주관적 판단을 주로 사용해서 선정한다."이다.

    수요예측을 위해 반드시 2개 이상의 비교점포를 선정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단일 비교점포만을 사용하면 그 비교점포의 특성에 따라 수요예측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러 비교점포를 사용하여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규점포의 수요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주변에 인접한 점포가 없이 큰길가에 위치한 자유입지인 고립된 점포입지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대형점포를 개설할 경우 관련상품의 일괄구매(onestopshopping)를 가능하게 한다.
  2. 토지 및 건물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싸다.
  3. 개점 초기에 소비자를 점포 내로 유인하기가 쉽다.
  4. 고정자산에 투입된 비용이 적어서 상대적으로 상품가격의 할인에 융통성이 있다.
  5. 비교구매를 원하는 소비자에게는 매력적이지 않다.
(정답률: 2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법률 제18675호, 2022.1.4.,일부개정)에서 규정하는 환산보증금의 계산식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보증금+(월임차료×24)
  2. 보증금+(월임차료×36)
  3. 보증금+(월임차료×60)
  4. 보증금+(월임차료×100)
  5. 보증금+(월임차료×120)
(정답률: 27%)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에서 규정하는 환산보증금은 "보증금+(월임차료×100)" 입니다. 이는 월임차료를 100으로 나눈 후 보증금과 더한 값을 의미합니다. 이유는 월임차료를 100으로 나누면 1년치 임대료를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환산보증금은 보증금과 1년치 임대료를 합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상권과 관련된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가맹계약 체결 시 가맹본부는 가맹점사업자의 영업지역을 설정하여 가맹계약서에 이를 기재하여야 한다.
  2. 정보공개서는 가맹본부의 재정상태, 임원 프로필, 직영점 및 가맹점 수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3. 상권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가맹본부의 경영전략상의 의사결정과정을 통해 기존 영업지역을 합리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4. 지역 환경에 따라 수익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가맹희망자는 개점하려는 지역의 환경과 가맹본부에서 제시한 창업환경의 유사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5. 가맹본부는 가맹계약을 위반하여 가맹계약 기간 중 가맹사업자의 영업지역 안에서 가맹사업자와 같은 업종의 자기 또는 계열회사의 직영점이나 가맹점을 설치하면 안 된다.
(정답률: 36%)
  • "상권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가맹본부의 경영전략상의 의사결정과정을 통해 기존 영업지역을 합리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상권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가맹본부는 가맹계약서에 명시된 영업지역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영업지역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맹점 사업자와 협의하여 새로운 영업지역을 추가로 설정하거나, 기존 영업지역에서 다른 위치로 이전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상권 규정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권을 규정하는 요인에는 시간요인과 비용요인이 있다.
  2. 공급측면에서 비용요인이 상대적으로 저렴할수록 상권은 축소된다.
  3. 재화의 이동에서 사람을 매개로 하는 소매상권은 재화의 종류에 따라 비용 지출이나 시간 사용이 달라지므로 상권의 크기도 달라진다.
  4. 수요측면에서 고가품, 고급품일수록 상권범위가 확대된다.
  5. 시간요인은 상품가치를 좌우하는 보존성이 강한 재화일수록 상권이 확대된다.
(정답률: 33%)
  • "공급측면에서 비용요인이 상대적으로 저렴할수록 상권은 축소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비용요인이 상대적으로 저렴할수록 상권은 확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공급측면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상품을 생산하고 유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상권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도심상권은 중심업무지구(CBD)를 포함하며 상권의 범위가 넓고 소비자들의 평균 체류시간이 길다.
  2. 근린상권은 점포인근 거주자들이 주요 소비자로 생활밀착형 업종의 점포들이 입지하는 경향이 있다.
  3. 부도심상권은 간선도로의 결절점이나 역세권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도시전체의 소비자를 유인한다.
  4. 역세권상권은 지하철이나 철도역을 중심으로 형성되며 지상과 지하의 입체적 상권으로 고밀도 개발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5. 아파트상권은 고정고객의 비중이 높아 안정적인 수요확보가 가능하지만 외부와 단절되는 경우가 많아 외부고객을 유치하는 상권확대가능성이 낮은 편이다.
(정답률: 50%)
  • 부도심상권은 도시전체의 소비자를 유인하는 것이 아니라, 간선도로의 결절점이나 역세권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해당 지역의 소비자를 주로 유인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상권분석에서 활용하는 소비자 대상 조사기법 중 조사대상의 선정이 내점객조사법과 가장 유사한 것은?

  1. 고객점표법
  2. 점두조사법
  3. 가정방문조사법
  4. 지역할당조사법
  5. 편의추출조사법
(정답률: 34%)
  • 점두조사법은 내점객조사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특정 시간대에 특정 상권 내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일정한 수의 점포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해당 상권 내의 소비 행태와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권분석에서 활용하는 소비자 대상 조사기법 중 조사대상의 선정이 내점객조사법과 가장 유사한 것은 점두조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소매점포의 상권범위나 상권형태는 소매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공간적 분포를 나타낸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매점포의 면적이 비슷하더라도 업종이나 업태에 따라 개별점포의 상권범위는 차이가 날 수 있다.
  2. 동일 점포라도 소매전략에 따른 판촉활동 등의 차이에 따라 시기별로 점포의 상권범위는 변화한다.
  3. 상권의 형태는 점포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 간격의 동심원 형태로 나타난다.
  4. 동일한 지역에 인접하여 입지한 경우에도 점포 규모에 따라 개별 점포의 상권범위는 차이가 날 수 있다.
  5. 동일한 위치에서 입지조건의 변화가 없고 점포의 전략적 변화가 없어도 상권의 범위는 유동적으로 변화하기 마련이다.
(정답률: 42%)
  • "상권의 형태는 점포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 간격의 동심원 형태로 나타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상권의 형태는 점포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 간격의 동심원 형태로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권의 형태는 지역의 지리적 특성, 인구 밀도, 교통 편의성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소매점의 상권을 공간적으로 구획하는 과정에서 상권의 지리적 경계를 분석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이나 도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점객 및 거주자 대상 서베이법(survey technique)
  2. 티센다각형(thiessen polygon)
  3. 소매매트릭스분석(retail matrix analysis)
  4. 고객점표법(CST: customer spotting technique)
  5. 컨버스의 분기점분석(Converse's breaking-point analysis)
(정답률: 30%)
  • 소매매트릭스분석은 상권 내 소매점들의 상품군, 가격대, 고객층 등을 분석하여 각 소매점의 경쟁력과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분석 기법이다. 따라서 상권의 지리적 경계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반면에 내점객 및 거주자 대상 서베이법, 티센다각형, 고객점표법, 컨버스의 분기점분석은 모두 상권 분석에 활용되는 기법이나, 상권의 지리적 경계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활용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양한 소매점포 유형들 중에서 광범위한 상권범위를 갖는 대형상업시설인 쇼핑센터의 전략적 특성은 테넌트믹스(tenant mix)를 통해 결정된다고 한다. 상업시설의 주요 임차인으로서 시설 전체의 성격을 결정하는 앵커점포(anchor store)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마그넷 스토어
  2. 특수테넌트
  3. 핵점포
  4. 일반테넌트
  5. 보조핵점포
(정답률: 36%)
  • 핵점포는 쇼핑센터의 주요 임차인으로서 시설 전체의 성격을 결정하는 앵커점포에 해당한다. 다른 테넌트들이 핵점포를 중심으로 입점하게 되며, 핵점포의 인기와 성공이 전체 쇼핑센터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쇼핑센터의 전략적 특성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핵점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넬슨(R.L. Nelson)의 소매입지 선정원리 중에서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양립성, ㉡ 누적적 흡인력
  2. ㉠ 양립성, ㉡ 경합의 최소성
  3. ㉠ 누적적 흡인력, ㉡ 양립성
  4. ㉠ 상권의 잠재력, ㉡ 경합의 최소성
  5. ㉠ 누적적 흡인력, ㉡ 경합의 최소성
(정답률: 41%)
  • ㉠ 누적적 흡인력은 해당 지역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도와 선호도를 나타내며, ㉡ 양립성은 해당 지역에 이미 존재하는 유사한 업종의 경쟁 업체들과의 조화로움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 누적적 흡인력, ㉡ 양립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상권분석 기법과 관련한 특성을 설명하는 내용으로 그 연결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회귀모형은 원인과 결과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원인변수의 영향력을 파악한다.
  2. 다항로짓(MNL)모형은 점포이미지와 입지특성을 반영하여 상권을 분석할 수 있다.
  3.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은 중심지와 배후지의 관계를 규명하고 중심지체계 및 중심지 공간배열의 원리를 설명한다.
  4. 체크리스트법은 소비자의 점포선택 행동을 결정론적이 아닌 확률론적으로 인식한다.
  5. 유사점포법에서는 상권의 범위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CST map을 활용한다.
(정답률: 41%)
  • "체크리스트법은 소비자의 점포선택 행동을 결정론적이 아닌 확률론적으로 인식한다."는 체크리스트법의 특성을 설명하는 것이며, 다른 보기들은 각각 회귀모형, 다항로짓(MNL)모형,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 유사점포법의 특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없다.

    체크리스트법은 소비자가 점포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인들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각 요인의 중요도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의 점포 선택 확률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는 확률론적인 방법론에 기반하고 있으며, 결정론적인 방법론보다 더 정확한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매점의 상품구색과 상권 및 입지 특성에 대한 설명 중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편의품 소매점의 상권은 도보로 이동이 가능한 범위 이내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2. 편의품은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점포선택에 구매노력을 상대적으로 덜 기울이기 때문에 주택이나 사무실 등에 가까운 입지가 유리하다.
  3. 선매품 소매점은 편의품 보다 상권의 위계에서 높은 단계의 소매 중심지나 상점가에 입지하여 넓은 범위의 상권을 가져야 한다.
  4. 전문품 소매점의 경우 고객이 지역적으로 밀집되어 있어서 상권의 밀도는 높고 범위는 좁은 것이 특징이다.
  5. 동일 업종이라 하더라도 점포의 규모나 품목구성에 따라 상권의 범위가 달라진다.
(정답률: 41%)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입지조건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 중에서 가장 옳은 것은?

  1. 방사(放射)형 도로구조에서 분기점에 위치하는 것은 불리하다.
  2. 일방통행로에 위치한 점포는 시계성(가시성)과 교통접근성에 있어서 유리하다.
  3. 곡선형 도로의 안쪽입지는 바깥쪽입지보다 시계성(가시성) 확보 측면에서 불리하다.
  4. 주도로와 연결된 내리막이나 오르막 보조도로에 위치한 점포는 양호한 입지이다.
  5. 차량 출입구는 교차로 교통정체에 의한 방해를 피하기 위해 모퉁이에 근접할수록 좋다.
(정답률: 40%)
  • 곡선형 도로의 안쪽입지는 바깥쪽입지보다 시계성(가시성) 확보 측면에서 불리하다. 이유는 곡선형 도로에서는 차량이 곡선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안쪽입지는 차량이 시야에서 가려지는 경우가 많아 시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반면 바깥쪽입지는 차량이 시야에서 가려지는 경우가 적어 시계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상권 범위내 소비자들이 특정점포를 선택할 확률을 근거로 예상매출액을 추정할 수 있는 상권분석 기법들로 가장 옳은 것은?

  1. 유사점포법, Huff모델
  2. 체크리스트법, 유사점포법
  3. 회귀분석법, 체크리스트법
  4. Huff모델, MNL모델
  5. MNL모델, 회귀분석법
(정답률: 29%)
  • Huff모델과 MNL모델은 상권 범위내 소비자들이 특정점포를 선택할 확률을 고려하여 예상매출액을 추정하는 상권분석 기법이다. Huff모델은 소비자들이 특정점포를 선택할 확률을 거리와 경쟁점포의 영향력에 따라 계산하여 예상매출액을 추정하는 모델이고, MNL모델은 소비자들이 특정점포를 선택할 확률을 가격, 품질, 서비스 등의 속성에 따라 계산하여 예상매출액을 추정하는 모델이다. 따라서, Huff모델과 MNL모델이 가장 옳은 상권분석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유통마케팅

46. 유통업 고객관계관리 활동의 성과 평가기준으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시장점유율의 크기
  2. 판매량의 안정성
  3. 고객자산(customer equity)의 크기
  4. 고객정보의 신뢰성
  5. 시장의 다변화 정도
(정답률: 23%)
  • 고객자산(customer equity)의 크기는 유통업 고객관계관리 활동의 성과 평가기준으로 가장 옳은 것이다. 이는 고객이 기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인식과 기업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통해 창출되는 가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고객자산의 크기가 클수록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는 곧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아래 글상자의 설명을 모두 만족하는 유통마케팅조사의 표본추출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할당표본추출
  2. 군집표본추출
  3. 판단표본추출
  4. 층화표본추출
  5. 편의표본추출
(정답률: 24%)
  • 유통마케팅조사에서는 대상인 소비자들이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층화표본추출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 층화표본추출은 모집단을 비슷한 특성을 가진 층으로 나눈 후,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각 층에서 대표성 있는 표본을 추출할 수 있으며, 모집단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경로구성원의 공헌도 평가기법이 평가하는 요소로 가장 옳은 것은?

  1. 평당 총이익
  2. 직접제품이익
  3. 경로구성원 종합성과
  4. 경로구성원 총자산수익률
  5. 상시종업원당 총이익
(정답률: 34%)
  • 경로구성원의 공헌도 평가기법은 경로구성원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이때 평가하는 요소로는 경로구성원의 직접제품이익이 가장 옳다. 직접제품이익은 경로구성원이 직접 판매한 제품에서 발생한 이익으로, 경로구성원의 판매 능력과 노력을 반영하는 지표이다. 따라서 경로구성원의 직접제품이익이 높을수록 공헌도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통업체가 활용하는 자체 브랜드(PB: private brand)의 유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제조업체 브랜드의 외형이나 명칭을 모방한 저가브랜드사용료를 지불한 제조업체 브랜드의 라이센스 브랜드
  2. 가격에 민감한 세분시장을 표적으로 하는 저가 브랜드
  3. 제조업체 브랜드와 품질과 가격에서 경쟁하는 프리미엄 브랜드
  4. 사용료를 지불한 제조업체 브랜드의 라이센스 브랜드
  5. 제조업체 브랜드를 모방한 대체품이지만 유통업체 브랜드임을 밝힌 유사 브랜드
(정답률: 18%)
  • "사용료를 지불한 제조업체 브랜드의 라이센스 브랜드"는 PB의 유형이 아니라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또는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er)이라고 불리는 제조업체 브랜드의 유형이다. PB는 유통업체가 자체적으로 브랜드를 개발하고 제조업체에 제품을 생산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료를 지불한 제조업체 브랜드의 라이센스 브랜드"는 PB의 유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가격결정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가격 탄력성이 1보다 클 경우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가격비탄력적이라고 한다.
  2. 가격을 결정할 때 기업의 마케팅목표, 원가, 시장의 경쟁구조 등을 고려해야 한다.
  3. 제품의 생산과 판매를 위해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충당하고 기업이 목표로 한 이익을 낼 수 있는 수준에서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을 원가중심 가격결정이라고 한다.
  4. 소비자가 제품에 대해 지각하는 가치에 따라 가격을 결정하는 것을 수요중심 가격결정이라고 한다.
  5. 자사제품의 원가나 수요보다도 경쟁제품의 가격을 토대로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을 경쟁중심 가격결정이라고 한다.
(정답률: 36%)
  • 가격 탄력성이 1보다 클 경우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가격비탄력적이라고 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가격 탄력성이 1보다 클 경우,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가 감소하는 비탄력적인 상품이 아닌,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가 더욱 감소하는 탄력적인 상품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프랜차이즈 본부가 직영점을 설치하는 이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본부 직영점들은 프랜차이즈 시스템 내의 다른 점포들에 대한 모델점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2. 직영점들은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초기에 프랜차이즈 유통망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3. 본부 직영점을 통해 점포운영상의 문제점들을 직접 피부로 파악할 수 있다.
  4. 본부가 전체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운영에 대해 강력한 통제를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5. 본부는 가맹점 증가보다 직영점을 통해 가입비, 교육비 등의 수입을 보다 적극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정답률: 50%)
  • 본부는 가맹점 증가보다 직영점을 통해 가입비, 교육비 등의 수입을 보다 적극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유는 직영점은 본부가 직접 운영하기 때문에 가맹점과 달리 가입비, 교육비 등의 수입을 본부가 모두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고객충성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충성도는 상호성과 다중성이라는 두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2. 충성도는 기업이 고객에게 물질적, 정신적 혜택을 제공하고, 고객이 긍정적인 반응을 해야 발생한다.
  3. 고객 만족도가 높아지면 재구매 비율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충성도도 높아진다.
  4. 타성적 충성도(inertial loyalty)는 특정 상품에 대해 습관에 따라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충성도이다.
  5. 잠재적 충성도(latent loyalty)는 호감도는 낮지만 반복구매가 높은 경우에 발생하는 충성도이다.
(정답률: 36%)
  • "충성도는 상호성과 다중성이라는 두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충성도는 상호성과 다중성 뿐만 아니라, 강도와 지속성 등 다양한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잠재적 충성도(latent loyalty)는 호감도는 낮지만 반복구매가 높은 경우에 발생하는 충성도입니다. 즉,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특별한 호감이 없더라도, 반복적으로 구매하는 경향이 있을 때 잠재적 충성도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효과적인 진열을 위해 활용하는 IP(item presentation), PP(point of presentation), VP(visual presen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IP의 목적은 판매포인트 전달과 판매유도이다.
  2. IP는 고객이 하나의 상품에 대한 구입의사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진열이다.
  3. VP의 목적은 중점상품과 테마에 따른 매장 전체 이미지 표현이다.
  4. VP는 점포나 매장 입구에서 유행, 인기, 계절상품 등을 제안하기 위한 진열이다.
  5. PP는 어디에 어떤 상품이 있는가를 알려주는 진열이다.
(정답률: 37%)
  • "PP는 어디에 어떤 상품이 있는가를 알려주는 진열이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P는 상품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시선을 끌어 상품을 발견하도록 유도하는 진열입니다.

    IP의 목적은 판매포인트 전달과 판매유도이다. IP는 고객이 하나의 상품에 대한 구입의사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진열이다. VP의 목적은 중점상품과 테마에 따른 매장 전체 이미지 표현이다. VP는 점포나 매장 입구에서 유행, 인기, 계절상품 등을 제안하기 위한 진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매장 배치에 관한 아래의 내용 중에서 옳게 설명된 것은?

  1. 백화점 등 고급점포는 매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그리드(grid) 방식의 고객동선 설계가 바람직하다.
  2. 복합점포매장의 경우, 고가의 전문매장, 가구매장 등은 고층이나 층 모서리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충동구매를 일으키는 상품은 점포 후면에 진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층수가 높은 점포는 층수가 높을수록 그 공간가치가 높아진다.
  5. 넓은 바닥면적이 필요한 상품은 통행량이 많은 곳에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35%)
  • 복합점포매장의 경우, 고가의 전문매장, 가구매장 등은 고층이나 층 모서리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이러한 매장들은 대부분 크기가 크고 무거운 상품들을 판매하기 때문에 바닥면적보다는 수직적인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매장들은 고가의 상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고층이나 층 모서리에 배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산업재에 적합한 촉진수단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광고
  2. 홍보
  3. 인적판매
  4. PR
  5. 콘테스트
(정답률: 33%)
  • 산업재는 대개 기술적이고 복잡한 제품이 많기 때문에 고객에게 제품의 특징과 장점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과 직접 대화하며 설명하는 인적판매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광고나 홍보는 대중에게 제품을 알리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제품의 세부적인 내용을 전달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PR이나 콘테스트는 제품의 이미지를 개선하거나 홍보하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제품의 기술적인 내용을 전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산업재에 적합한 촉진수단으로는 인적판매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유통마케팅 조사 절차의 첫 번째 단계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조사 설계
  2. 자료 수집
  3. 모집단 설정
  4. 조사문제 정의
  5. 조사 타당성 평가
(정답률: 35%)
  • 유통마케팅 조사를 시작하기 전에 조사할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조사의 목적과 범위를 명확히 하고, 조사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첫 번째 단계는 "조사문제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브랜드 관리와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브랜드 자산(brand equity)이란 해당 브랜드를 가졌기 때문에 발생하는 차별적 브랜드 가치를 말한다.
  2. 브랜드 재인(brand recognition)은 브랜드가 과거에 본인에게 노출된 적이 있음을 알아차리는 것이다.
  3. 브랜드 인지도(brand awareness)가 높을수록 브랜드 자산(brand equity)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4. 브랜드 인지도(brand awareness)는 브랜드 이미지의 풍부함을 의미한다.
  5. 브랜드 회상(brand recall)이란 브랜드 정보를 기억으로 부터 인출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24%)
  • "브랜드 인지도(brand awareness)는 브랜드 이미지의 풍부함을 의미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브랜드 인지도는 소비자들이 해당 브랜드를 인식하고 기억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브랜드 이미지와는 다른 개념이다.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가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이미지와 소비자들이 브랜드에 대해 가지는 인식, 감정, 경험 등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핵심고객관리(key account management)의 대상이 되는 핵심고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대량 구매를 하거나 구매점유율이 높다.
  2. 구매과정에서 기능적으로 상이한 여러 분야(생산, 배송, 재고 등)의 사람이 관여한다.
  3. 지리적으로 분산된 조직단위(상점, 지점, 제조공장 등)를 위해 구매한다.
  4. 전문화된 지원과 특화된 서비스(로지스틱스, 재고관리 등)가 필요하다.
  5. 효과적이고 수익성 높은 거래의 수단으로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일회성 협력관계를 요구한다.
(정답률: 49%)
  • "효과적이고 수익성 높은 거래의 수단으로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일회성 협력관계를 요구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핵심고객관리는 일회성 협력관계가 아닌 장기적인 관계를 요구합니다. 핵심고객은 기업의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고객으로, 기업은 이들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따라서 핵심고객관리는 일회성 거래가 아닌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소매업체 대상 판촉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격할인이란 일정 기간의 구매량에 대해 가격을 할인해주는 방법을 말한다.
  2. 리베이트란 진열위치, 판촉행사, 매출실적 등 소매상의 협력 정도에 따라 판매금액의 일정률에 해당하는 금액을 반환해 주는 것을 말한다.
  3. 인적지원이란 월 매출이 일정수준 이상인 점포에는 판촉사원을 고정적으로 배치하고 그 외 관리대상이 될 만한 점포에는 판촉사원을 순회시키는 것을 말한다.
  4. 소매점 경영지도란 소매상에게 매장연출방법, 상권분석 등의 경영지도를 통해 매출증대를 돕는 것을 말한다.
  5. 할증판촉이란 소매점이 진행하고 있는 특정 제품 및 세일 관련 광고 비용 일부를 부담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36%)
  • 정답은 없습니다. 모든 보기가 옳은 설명입니다.

    다만, "할증판촉이란 소매점이 진행하고 있는 특정 제품 및 세일 관련 광고 비용 일부를 부담하는 것을 말한다."라는 설명은 오히려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유통 마케팅전략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시장확대전략
  2. 비차별화전략
  3. 집중화전략
  4. 차별화전략
  5. 원가우위전략
(정답률: 49%)
  • 위의 글상자에서는 특정 지역에서 인기 있는 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해당 지역의 고객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마케팅을 진행하는 "집중화전략"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점포의 매장면적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점포면적은 매장면적과 비매장면적으로 구분한다.
  2. 각 상품부문의 면적당 생산성을 고려하여 매장면적을 배분한다.
  3. 일반적으로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매장면적의 비율은 점포의 규모가 클수록 높아진다.
  4. 매장면적을 배분할 때는 소비자의 편의성에 대한 요구, 효과적인 진열과 배치 등도 고려해야 한다.
  5. 전체 면적 중 매장면적의 비율은 고급점포일수록 낮아 진다.
(정답률: 25%)
  • 일반적으로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매장면적의 비율은 점포의 규모가 클수록 높아진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점포의 종류, 위치, 경쟁사 상황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 작은 매장은 전체 면적 대비 매장면적 비율이 높을 수 있고, 대형 쇼핑몰 내에 위치한 대형 점포는 전체 면적 대비 매장면적 비율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매장면적 배분은 각각의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제조업자가 중간상들과의 거래에서 사용하는 가격할인 유형 중 판매촉진지원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중간상이 제품을 현금으로 구매할 경우 제조업자가 판매대금의 일부를 할인해 주는 것이다.
  2. 중간상이 제조업자가 일반적으로 수행해야 할 업무의 일부를 수행할 경우 경비의 일부를 제조업자가 부담하는 것이다.
  3. 중간상이 제조업자를 대신하여 지역광고를 하거나 판촉을 실시할 경우 지급하는 보조금이다.
  4. 중간상이 대량구매를 하는 경우 해주는 현금할인이다.
  5. 중간상이 하자있는 제품, 질이 떨어지는 제품 등을 구매할 때 지급하는 지원금이다.
(정답률: 40%)
  • 중간상이 제조업자를 대신하여 지역광고를 하거나 판촉을 실시할 경우 지급하는 보조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고객생애가치(CLV: customer lifetime valu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업태에 따라 고객생애가치는 다르게 추정될 수 있다.
  2. 고객생애가치는 고객과 기업 간의 정성적 관계 가치이므로 수치화하여 측정하기 어렵다.
  3. 고객생애가치는 고객이 일생동안 구매를 통해 기업에게 기여하는 수익을 미래가치로 환산한 금액이다.
  4. 고객생애가치는 고객점유율(customer share)에 기반하여 추정할 수 있다.
  5. 고객의 생애가치는 고객의 이용실적, 고객당 비용, 고객이탈가능성 및 거래기간 등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정답률: 24%)
  • 고객생애가치는 고객의 이용실적, 고객당 비용, 고객이탈가능성 및 거래기간 등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이 일생동안 기업에게 기여하는 수익을 미래가치로 환산한 금액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객생애가치는 고객의 이용실적, 고객당 비용, 고객이탈가능성 및 거래기간 등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가격전략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가격계열화전략(price lining strategy)
  2. 가격품목화전략(price itemizing strategy)
  3. 가격단위화전략(price unitizing strategy)
  4. 가격구색화전략(price assortment strategy)
  5. 가격믹스전략(price mix strategy)
(정답률: 25%)
  • 위 글상자에서는 제품의 가격을 일정한 간격으로 계층화하여 판매하는 가격계열화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고객이 제품의 가격을 쉽게 이해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제품 라인업을 간단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의 5요인모델(5-Forces Model)에 근거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존 기업들은 높은 진입장벽의 구축을 통해 시장매력도를 높일 수 있다.
  2. 구매자의 교섭력이 높아질수록 시장 매력도는 낮아진다.
  3. 시장매력도는 산업 전체의 평균 수익성을 의미한다.
  4. 경쟁자, 공급자, 구매자가 분명하게 구분되는 것을 가정한다.
  5. 대체재가 많을수록 시장의 매력도는 높아진다.
(정답률: 41%)
  • "대체재가 많을수록 시장의 매력도는 높아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마이클 포터의 5요인모델에서 대체재는 구매자의 교섭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시장 매력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대체재가 많을수록 시장의 매력도는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상품구색의 다양성(variet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취급하는 상품계열의 수가 어느 정도 되는가를 의미한다.
  2. 취급하는 상품품목의 수가 얼마나 되느냐와 관련된다.
  3. 동일한 성능이나 용도를 가진 상품들을 하나의 상품군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4. 동일한 고객층 또는 동일한 가격대 등을 하나의 상품군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5. 전문점은 백화점이나 양판점에 비해 상품구색의 다양성이 한정되어 있다.
(정답률: 18%)
  • "취급하는 상품품목의 수가 얼마나 되느냐와 관련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상품구색의 다양성은 취급하는 상품계열의 수, 상품품목의 수, 상품군의 구성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취급하는 상품품목의 수가 얼마나 되느냐"만으로는 상품구색의 다양성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업체별 머천다이징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문점의 머천다이징은 전문성의 표현과 개성전개, 표적의 명확화를 바탕으로 구성한다.
  2. 할인점은 저비용, 저마진, 대량판매의 효율성을 바탕으로 구성한다.
  3. 선매품점은 계절욕구, 패션지향에 대한 특성과 개성표현이 잘 되도록 구성한다.
  4. 백화점은 계절성, 편리성, 친절성을 바탕으로 효율적 판매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5. 슈퍼마켓은 합리적 상품회전율과 상품품목별 효율 중심을 바탕으로 구성한다.
(정답률: 27%)
  • "백화점은 계절성, 편리성, 친절성을 바탕으로 효율적 판매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다른 업체들과 마찬가지로 백화점도 전문성, 개성전개, 표적의 명확화 등을 고려하여 머천다이징을 구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고객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고객관리전략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잠재가능고객 파악 및 차별적 프로모션 실행
  2. 구매 후 고객관리를 통한 관계 심화
  3. 고객충성도의 주기적 측정 및 관리
  4.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불평관리
  5. 고객이탈을 방지하는 인센티브 제공
(정답률: 26%)
  • "잠재가능고객 파악 및 차별적 프로모션 실행"은 이미 고객이 아닌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전략이기 때문에 고객관계를 강화하는 전략으로는 옳지 않습니다. 이는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는 전략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고객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이미 고객인 고객충성도의 주기적 측정 및 관리, 구매 후 고객관리를 통한 관계 심화,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불평관리, 고객이탈을 방지하는 인센티브 제공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판매원의 판매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품과 대금의 교환을 실현시키는 활동이다.
  2. 상품의 효용과 가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이다.
  3. 제한된 공간에서 소매점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활동이다.
  4. 고객이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설득하는 활동이다.
  5. 대화를 통해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고 그에 부합되는 제품을 추천하는 활동이다.
(정답률: 30%)
  • "제한된 공간에서 소매점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활동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판매원의 주요 목적은 고객이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설득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품과 대금의 교환을 실현시키고 상품의 효용과 가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대화를 통해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고 그에 부합되는 제품을 추천합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소매점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판매원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판매 결정을 촉구하는 판매원의 행동기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두 가지 대안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2.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얻게 되는 여러 이점을 설명한다.
  3. 고객이 어느 정도 사고 싶은 마음이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질문을 한다.
  4. 고객에게 어필할 수 있는 주요 이익을 요약 설명한다.
  5.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는 태도를 취하여 소비자를 유혹하는게 아니라는 신뢰감을 갖게 한다.
(정답률: 41%)
  •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는 태도를 취하여 소비자를 유혹하는게 아니라는 신뢰감을 갖게 한다."는 옳은 행동기법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가장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유통정보

71. 인터넷 상거래의 비즈니스 모델 유형별로 세부 비즈니스 모델을 짝지어 놓은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매 모델 - 소비자에게 제품이나 서비스 판매 - 온·오프 병행소매
  2. 중개 모델 - 판매자와 구매자 연결 - 이마켓플레이스
  3. 콘텐츠서비스 모델 - 이용자에게 콘텐츠 제공 - 포털
  4. 광고 모델 - 인터넷을 매체로 광고 - 배너광고
  5. 커뮤니티 모델 - 공통관심의 이용자들에게 만남의 장제공 - 검색 에이전트
(정답률: 28%)
  • 정답은 "커뮤니티 모델 - 공통관심의 이용자들에게 만남의 장제공 - 검색 에이전트"입니다. 검색 에이전트는 커뮤니티 모델이 아니라 중개 모델에 해당합니다. 검색 에이전트는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아래 글상자에서 암묵지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모두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 ㉣
  2. ㉠, ㉢, ㉤
  3. ㉡, ㉢, ㉣
  4. ㉡, ㉢, ㉣, ㉥
  5. ㉢, ㉣, ㉤, ㉥
(정답률: 38%)
  • - "㉠"는 암묵지와 관련이 없는 단순한 숫자이므로 제외한다.
    - "㉤"와 "㉥"은 "㉢"와 "㉣"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제외한다.
    - "㉡, ㉢, ㉣"은 모두 연속된 숫자이며, 이어져 있는 것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므로 암묵지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베스트 오브 브리드(best of breed)전략을 통해 ERP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2. 특정 기능 구현에 있어서 고도의 탁월한 기능성을 발휘함으로써 보다 많은 경쟁우위를 창출하도록 해준다.
  3. 별도의 미들웨어 개발없이 모듈간 통합을 할 수 있다.
  4. 소프트웨어 선택, 프로젝트 관리 및 업그레이드에 더 많은 시간과 자원이 소요된다.
  5. 고도의 전문성을 지닌 IT자원이 요구된다.
(정답률: 16%)
  • "소프트웨어 선택, 프로젝트 관리 및 업그레이드에 더 많은 시간과 자원이 소요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별도의 미들웨어 개발없이 모듈간 통합을 할 수 있다."는 베스트 오브 브리드 전략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각 모듈이 독립적으로 개발되어 있어도 통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미들웨어를 개발할 필요가 없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베스트 오브 브리드 전략은 특정 기능 구현에 있어서 고도의 탁월한 기능성을 발휘함으로써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전문성을 지닌 IT자원이 요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데이터의 깊이와 분석차원을 마음대로 조정해가며 분석하는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의 기능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분해(slice & dice)
  2. 리포팅(reporting)
  3. 드릴링(drilling)
  4. 피보팅(pivoting)
  5. 필터링(filtering)
(정답률: 43%)
  • OLAP에서 데이터의 깊이와 분석차원을 조정해가며 분석하는 기능 중에서 가장 옳은 것은 "드릴링(drilling)"입니다. 드릴링은 데이터의 세부 정보를 탐색하고 분석하는 기능으로, 데이터의 특정 부분을 선택하면 해당 부분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역별 매출액을 분석하다가 특정 지역의 매출액이 높아서 해당 지역을 선택하면 그 지역의 상세 매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데이터의 깊이와 분석차원을 조정해가며 분석하는 기능은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절차별 모바일 결제 서비스에 대한 내용 중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정답률: 12%)
  • ①은 "결제 요청"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어이고, ②는 "결제 수단 선택"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④는 "결제 승인"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어이고, ⑤는 "결제 완료"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절차를 나열한 보기에서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는 "③"인 "결제 인증"입니다. 결제 인증은 결제 수단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결제 승인을 위한 인증 과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파괴적인 혁신을 이루는 기하급수기술(exponential technology)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3D 프린팅(3D printing)
  2.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3. 로봇공학(robotics)
  4.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5.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정답률: 43%)
  • 정답: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설명: 4차 산업혁명에서는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는 기술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D 프린팅,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넷 등이 그 예입니다. 하지만 레거시 시스템은 이미 구축된 시스템으로, 새로운 기술과의 호환성이 낮아 업그레이드나 대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레거시 시스템은 파괴적인 혁신을 이루는 기하급수기술로는 옳지 않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NoSQL에 관련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화면과 개발로직을 고려한 데이터 셋을 구성하여 일반적인 데이터 모델링이라기 보다는 파일구조 설계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2. 데이터 항목을 클러스터 환경에 자동적으로 분할하여 적재한다.
  3. 스키마 없이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저장한다.
  4. 대규모의 데이터를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전통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5. 간단한 API Call 또는 HTTP를 통한 단순한 접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정답률: 27%)
  • "대규모의 데이터를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전통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는 NoSQL에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No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는 다른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대규모의 데이터를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유통업체에서 활용하는 비즈니스 애널리틱스(analytics)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대시보드(dashboards)는 데이터 분석결과에 대한 이용자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데이터 시각화 기술이다.
  2. 스코어카드(scorecards)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주요 매커니즘이다.
  3.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은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하여 숨겨진 상관관계 및 트렌드를 발견하는 기법이다.
  4. 리포트(reports)는 비즈니스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포맷화하고 조직화하기 위해 변환시켜 표현하는 것이다.
  5. 알림(alert)은 특정 사건이 발생했을 때 이를 관리자에게 인지시켜주는 자동화된 기능이다.
(정답률: 29%)
  • 스코어카드(scorecards)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주요 매커니즘이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스코어카드는 일반적으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성과 지표를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여 성과를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다른 분석 기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정답률: 27%)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문제와 관련없는 해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고객이 기존에 구매한 상품보다 가치가 높고, 성능이 우수한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을 지칭하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클릭 앤드 모타르(click and mortar)
  2. 옴니채널(omnichannel)
  3. 서비스 시점(point of service)
  4. 크로스 셀링(cross selling)
  5. 업 셀링(up selling)
(정답률: 47%)
  • 업 셀링은 고객이 기존에 구매한 상품보다 가치가 높고, 성능이 우수한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고객이 더 많은 가치를 느끼고 더 많은 돈을 지불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으로, 기업의 매출 증대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아래 글상자가 설명하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클라우드 컴퓨팅
  2. 그리드 컴퓨팅
  3. 그린 컴퓨팅
  4. 클러스터 컴퓨팅
  5. 가상 컴퓨팅
(정답률: 26%)
  • 위 그림은 그리드 컴퓨팅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리드 컴퓨팅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대규모 컴퓨터처럼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컴퓨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대용량 데이터 처리나 병렬 컴퓨팅 등에 적합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며, 그린 컴퓨팅은 환경 친화적인 컴퓨팅 기술을 의미합니다. 클러스터 컴퓨팅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어서 사용하는 기술이며, 가상 컴퓨팅은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가상 컴퓨터를 운영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유통업체의 지식관리 시스템 구축 및 활용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기업은 지식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해 불필요한 지식도 철저하게 잘 보존해야 한다.
  2. 지식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면 조직 내부의 지식관리에 대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3. 지식관리 시스템 활용에 있어, 직원이 보유한 업무처리 지식에 대한 공유 방지를 위해 철저하게 통제한다.
  4. 지식관리 시스템 구축은 단기적 관점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단기 매출 증대에 기여 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5.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 초기에는 소규모로 시스템을 도입하고,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전사적으로 지식관리 시스템을 확장하는 것이 유용하다.
(정답률: 35%)
  •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 초기에는 소규모로 시스템을 도입하고,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전사적으로 지식관리 시스템을 확장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유는 초기에는 시스템의 문제점이나 개선점을 파악하고 보완할 수 있으며, 성과가 나타나면 전사적으로 시스템을 확장함으로써 조직 전체의 지식관리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빅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자연어를 분석하고, 자연어 속에 숨겨진 정보를 파악하는 데이터 분석기법이다.
  2.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은 특정한 상품 및서비스에 대한 시장 규모 예측, 고객 구전효과 분석에 활용되는 데이터 분석 기법이다.
  3. 소셜 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은 그래프 이론을 활용해서 소셜 네트워크의 연구구조 및 강도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 기법이다.
  4. 군집 분석(cluster analysis)은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통합해서 유사한 특성으로 군집화하는 데이터 분석 기법이다.
  5.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은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 기법이다.
(정답률: 19%)
  •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은 특정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시장 규모 예측, 고객 구전효과 분석에 활용되는 데이터 분석 기법이 아닙니다. 오피니언 마이닝은 소셜 미디어 등에서 나타나는 감성 정보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기법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의견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데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아래 글상자의 내용을 의사결정에 활용되는 시뮬레이션 절차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5. ㉡ - ㉠ - ㉣ - ㉢ - ㉤
(정답률: 32%)
  • ㉠부터 시작하여 ㉢, ㉣, ㉤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유는 시뮬레이션 절차에서는 먼저 초기 상태를 설정하고, 그 다음에는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기 상태를 설정하는 ㉠부터 시작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 실행하는 ㉣, 그리고 결과를 분석하는 ㉤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내용에 부합하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고퍼(gopher)
  2. 냅스터(napster)
  3. 시맨틱웹(semantic-Web)
  4. 오페라(opera)
  5. 웹클리퍼(Web-clipper)
(정답률: 29%)
  • 시맨틱웹은 웹 상의 정보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여 인간과 기계가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웹을 만들기 위한 기술이다. 따라서 정보 검색과 분류가 용이해지며, 인터넷 상에서의 정보 교류와 공유가 원활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식별코드와 바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GS1 표준 상품 식별코드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사실상의(de facto)' 국제 표준이다.
  2. 상품 식별코드 자체에는 상품명, 가격, 내용물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3. 바코드는 식별코드를 기계가 읽을 수 있도록 막대 모양으로 표현한 것이다.
  4. GTIN은 기업에서 자사의 거래단품을 고유하게 식별하는데 사용하는 국제표준상품코드이다.
  5. ITF-14는 GTIN-14코드체계(물류단위 박스)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바코드 심벌이다.
(정답률: 36%)
  • "상품 식별코드 자체에는 상품명, 가격, 내용물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상품 식별코드는 단순히 해당 상품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품명, 가격, 내용물 등의 정보는 해당 상품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QR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1994년 일본의 덴소 웨이브(DENSO WAVE)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읽는 데 중점을 두고 개발 보급한 기술이다.
  2. 360° 어느 방향에서나 빠르게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3. 기존 바코드 기술과 비교할 때, 대용량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고, 고밀도 정보표현이 가능하다.
  4. 일부 찢어지거나 젖었을 때 오류를 복원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5. 바이너리(binary), 제어 코드를 제외한 모든 숫자와 문자를 처리할 수 있다.
(정답률: 20%)
  • "바이너리(binary), 제어 코드를 제외한 모든 숫자와 문자를 처리할 수 있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QR 코드는 바이너리와 숫자, 문자를 모두 처리할 수 있지만, 제어 코드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코드를 제외한"이라는 부분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고 있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IC Index
  2. 스칸디아네비게이터
  3. 균형성과표
  4. 기술요소평가법
  5. 무형자산모니터
(정답률: 27%)
  • 위 그림은 균형성과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균형성과표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각 부문별로 성과를 측정하고, 이를 종합하여 기업 전체의 성과를 파악하는 분석 도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균형성과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드론의 구성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드론의 항법센서는 전자광학센서, 초분광센서, 적외선 센서 등이 있다.
  2. 탑재 컴퓨터는 드론을 운영하는 브레인 역할을 하는 컴퓨터로 드론의 위치, 모터, 배터리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3. 드론 모터는 드론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배터리는 모터에 에너지를 제공한다.
  4. 드론 임무장비는 드론 비행을 하면서 특정한 임무를 하도록 관련 장비를 장착한다.
  5. 드론 프로펠러 및 프레임은 드론이 비행하도록 프레임 워크를 제공한다.
(정답률: 26%)
  • "드론의 항법센서는 전자광학센서, 초분광센서, 적외선 센서 등이 있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항법센서는 GPS,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등이 있으며, 전자광학센서, 초분광센서, 적외선 센서는 주로 드론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센서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POS시스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SKU별로 상품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으로 상품 판매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2. 모든 거래정보 및 영업정보를 즉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정보의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배치(batch)시스템이다.
  3.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거래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직접 컴퓨터에 전달하는 수작업이 필요 없는 온라인시스템이다.
  4. 고객과의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POS시스템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5. POS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고객판촉 활동의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30%)
  • 정답은 "모든 거래정보 및 영업정보를 즉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정보의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배치(batch)시스템이다."이다. POS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거래 정보를 처리하므로 배치 시스템이 아니라 실시간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