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5-20)

워드프로세서 (구 1급)
(2007-05-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워드프로세싱 일반

1. 전자출판매체의 제작에서 베타 테스트 과정이란 무엇인가?

  1. 프로그래밍 과정 중 수시로 각각의 데이터의 프로그램들이 적절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2. 초기 개발자들이, 자신들이 개발한 전자출판매체가 실제 활용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과정
  3. 독자층이나 이용자층과 유사한 외부 인력을 동원하여 실제 활용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과정
  4. 전자출판매체의 기획 단계에서 기획에 필수적인 다양한 자료들의 적합성을 확인하는 과정
(정답률: 71%)
  • 베타 테스트 과정은 독자층이나 이용자층과 유사한 외부 인력을 동원하여 실제 활용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각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PI : 인쇄 속도 단위로 인치 당 인쇄되는 점의 크기를 의미 한다.
  2. LPM : 라인 프린터의 인쇄 속도 단위로 분당 인쇄할 수 있는 줄 수를 의미한다.
  3. PPM : 페이지 프린터의 인쇄 속도 단위로 분당 인쇄되는 페이지 수를 의미한다.
  4. 피치(Pitch) : 인쇄할 문자와 문자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단위로 1인치에 인쇄되는 문자수를 의미한다.
(정답률: 52%)
  • DPI는 인쇄 속도 단위가 아니라, 인치 당 인쇄되는 점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로, 인치 당 인쇄되는 점의 밀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DPI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편집기능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스타일(Style)
  2. 병합(Merge)
  3. 상용구(Glossary)
  4. 템플릿(Template)
(정답률: 84%)
  • 위 그림은 텍스트의 스타일(글꼴, 크기,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는 편집기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타일(Sty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에서 산출된 출력값을 특정 프린터 모델이 요구하는 형태로 번역해 주는 소프트웨어는?

  1. 플러그 인(Plug-In)
  2. 하드 카피(Hard Copy)
  3. 프린터 드라이브
  4. 컴파일러(Compiler)
(정답률: 62%)
  • 워드프로세서에서 산출된 출력값을 특정 프린터 모델이 요구하는 형태로 번역해 주는 소프트웨어는 "프린터 드라이브"이다. 이는 프린터 드라이브가 해당 프린터 모델의 특성을 이해하고, 워드프로세서에서 생성된 출력물을 해당 프린터 모델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조판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머리말은 문서의 각 페이지 위쪽에 고정적으로 들어가는 글이다.
  2. 각주는 특정 문장이나 단어에 대한 보충 설명들을 해당 페이지의 하단에 표시한다.
  3. 미주는 문서에 나오는 문구에 대한 보충 설명들을 문서의 맨 마지막에 모아서 표기한다.
  4. 꼬리말은 문서의 모든 쪽에 항상 동일하게 지정해야 한다.
(정답률: 74%)
  • "꼬리말은 문서의 모든 쪽에 항상 동일하게 지정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꼬리말은 페이지 번호, 작성일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각 페이지마다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글 입력 : 2벌식은 받침에 상관없이 글자를 풀어서 입력하며 3벌식은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여 입력한다.
  2. 영문 입력 : 영문 입력상태에서 영문자를 입력하며 대/소문자의 입력은 [Caps Lock] 키나 [Shift] 키를 눌러 입력한다.
  3. 한자 입력 : 한자의 음(音)을 알아야만 입력이 가능하며 한글/한자 음절 변환, 단어 변환, 문장 자동변환 등으로 입력한다.
  4. 특수 문자 : 특수 문자 배열표(문자표)에서 해당 문자표를 선택한다.
(정답률: 76%)
  • "한자 입력 : 한자의 음(音)을 알아야만 입력이 가능하며 한글/한자 음절 변환, 단어 변환, 문장 자동변환 등으로 입력한다." 이 설명은 옳다. 한자 입력은 한자의 음(音)을 알아야만 입력이 가능하며, 한글/한자 음절 변환, 단어 변환, 문장 자동변환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에서 소트(Sor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번 정렬된 내용을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으로 재배열할 수 있다.
  2. 작은 것부터 큰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을 오름차순 정렬이라고 한다.
  3. 오름차순 정렬을 하면 한글, 영문자, 숫자순으로 정렬된다.
  4. 큰 것부터 작은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을 내림차순 정렬이라고 한다.
(정답률: 78%)
  • "오름차순 정렬을 하면 한글, 영문자, 숫자순으로 정렬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유니코드(Unicode)에서 각 문자에 대한 코드값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유니코드에서는 한글, 영문자, 숫자 등 모든 문자에 대한 코드값이 정해져 있으며, 이 코드값을 기준으로 정렬을 하면 한글, 영문자, 숫자 순서대로 정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한글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KS X 1001 완성형 한글코드는 정보처리용 코드로 현대 한글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
  2. KS X 1001 조합형 한글코드는 정보교환 시 제어문자와 충돌하지 않아 정보교환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3. KS X 1005-1 한글코드는 완성형을 토대로 조합형의 장점을 수용한 코드로 영문과 한글 모두 2바이트로 표현한다.
  4. KS X 1001 완성형 한글코드는 영문과 한글 모두를 2바이트로 표현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KS X 1005-1 한글코드는 완성형을 토대로 조합형의 장점을 수용한 코드로 영문과 한글 모두 2바이트로 표현한다." 이다. 이 코드는 완성형과 조합형의 장점을 결합하여, 모든 한글을 표현할 수 있으면서도 영문과 한글 모두를 2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는 코드이다. 이는 정보처리 및 정보교환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낱장 용지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지의 크기에 따라 A계열과 B계열로 나누어진다.
  2. A4가 A5보다 작다.
  3. A3보다 B3가 크다.
  4. A4 용지의 규격은 210mm×297mm이다.
(정답률: 77%)
  • "A4가 A5보다 작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A4는 A5보다 크다. 이유는 A4의 크기가 210mm x 297mm이고, A5의 크기가 148mm x 210mm이기 때문이다. A4는 A5보다 긴 변이 89mm 더 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표시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인트는 문자의 크기 단위로 1포인트는 보통 0.351mm이다.
  2. 장평이란 문자의 가로 크기에 대한 세로 크기의 비율을 말한다.
  3. 줄(행) 간격이란 윗줄에 아랫줄의 간격으로 단위는 줄에서 크기가 가장 큰 글자를 기준으로 간격을 조정하는 비례 줄 간격 방식을 디폴트로 제공한다.
  4. 자간이란 문자와 문자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정답률: 64%)
  • "줄(행) 간격이란 윗줄에 아랫줄의 간격으로 단위는 줄에서 크기가 가장 큰 글자를 기준으로 간격을 조정하는 비례 줄 간격 방식을 디폴트로 제공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장평이란 문자의 가로 크기에 대한 세로 크기의 비율을 말하는 것이 맞지만, 이유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이는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글자의 높이와 너비의 비율을 조절하여 가독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출판문화의 변화에 대해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활자 인쇄 → 사진 식자 → 전자통신 출판 → 전자출판
  2. 활자 인쇄 → 사진 식자 → 전자출판 → 전자통신 출판
  3. 사진 식자 → 활자 인쇄 → 전자출판 → 전자통신 출판
  4. 사진 식자 → 활자 인쇄 → 전자통신 출판 → 전자출판
(정답률: 70%)
  • 정답은 "활자 인쇄 → 사진 식자 → 전자출판 → 전자통신 출판"입니다.

    활자 인쇄는 인간의 손으로 글자를 조판하여 인쇄하는 방식이었고, 이후 사진 식자 기술이 발전하여 사진으로 글자를 찍어내는 방식이 등장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인쇄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전자출판 기술이 등장하였고, 이후에는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전자통신 출판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비트맵 방식의 벡터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4%)
  • ⓓ. 벡터 방식은 선과 곡선의 수학적인 식으로 그래픽을 표현하는 방식이며, 확대 및 축소에 따른 품질 저하가 없고 파일 크기가 작아 효율적이다. 비트맵 방식은 픽셀 단위로 그래픽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확대 및 축소에 따라 품질이 저하되고 파일 크기가 크다. 그림에서 벡터 방식은 선과 곡선의 수학적인 식으로 그려져 있으며, 비트맵 방식은 픽셀 단위로 그려져 있기 때문에 확대하면 계단 현상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부서별로 소관 업무에 대한 업무계획, 관리업무현황, 기타참고자료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활용하는 업무현황철 또는 업무참고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직무편람
  2. 기구편람
  3. 행정편람
  4. 업무배분 편람
(정답률: 64%)
  • 직무편람은 부서별로 소관 업무에 대한 업무계획, 관리업무현황, 기타참고자료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활용하는 업무현황철 또는 업무참고철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기구편람, 행정편람, 업무배분 편람은 직무편람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직무편람만이 해당하는 정의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디스크는 하드디스크에 비해 값이 싸고 데이터 이동이 편리하며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빠르다.
  2. DVD는 차세대 영상 기록 매체로 4.7GB 이상의 용량을 담을 수 있다.
  3. CD-R은 한 번 기록한 후에는 읽기만 할 수 있어 ‘WORM (Write Once Read Many)’ 이라고도 한다.
  4. CD-RW는 약 1,000회에 걸쳐 반복적인 기록이 가능하며, 데이터 백업용 매체로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54%)
  • "광디스크는 하드디스크에 비해 값이 싸고 데이터 이동이 편리하며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빠르다."는 옳은 설명이다. 광디스크는 하드디스크와는 다른 종류의 기억장치로,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해 하드디스크에 비해 값이 싸고 데이터 이동이 편리하며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드 카피(Hard Copy) : 소프트카피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화면 그대로를 프린터에 인쇄하는 것을 말한다.
  2. 프린터 버퍼(Printer Buffer) : 인쇄한 내용을 임시 보관하는 장소로 용량을 크게 할수록 기억장소를 많이 차지하여 출력 속도가 느리다.
  3. 용지 넘김(Form Feed) : 프린터에서 다음 페이지의 맨 처음위치까지 종이를 밀어 올리는 것을 말한다.
  4. 프린터 드라이버(Printer Driver) : 워드프로세서의 산출된 출력 값을 특정 프린터 모델이 요구하는 형태로 번역해 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정답률: 52%)
  • 프린터 버퍼(Printer Buffer) : 인쇄한 내용을 임시 보관하는 장소로 용량을 크게 할수록 기억장소를 많이 차지하여 출력 속도가 느리다. -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설명: 프린터 버퍼는 인쇄할 내용을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으로, 용량이 크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지만,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많아질수록 기억장치를 많이 차지하게 되어 출력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공문서의 본문 작성 시 다섯 번째 항목에 해당되는 번호 형태는?

  1. 1, 2, 3…
  2. ①, ②, ③…
  3. (1), (2), (3)…
  4. 1), 2), 3)…
(정답률: 73%)
  • 공문서의 본문 작성 시 다섯 번째 항목에 해당되는 번호 형태는 "(1), (2), (3)…"이다. 이는 공문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번호 형태로, 괄호 안에 숫자를 넣어 나열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번호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어서 읽는 사람이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문서의 구조를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공문서에 대한 행정기관장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일반적으로 공문서의 결재권자이다.
  2.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문서를 접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한다.
  3. 이미지를 위조 또는 부정사용하지 못하도록 필요한 안전장치를 한다.
  4. 행정사무의 표준화를 위해 행정 전산망 공통행정코드를 정한다.
(정답률: 44%)
  • 정답: "일반적으로 공문서의 결재권자이다."

    이유: 행정기관장은 공문서의 결재권자가 아니라, 공문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문서를 접수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이미지 위조나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마련하며, 행정사무의 표준화를 위해 행정 전산망 공통행정코드를 정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전자출판(Electronic Publishing)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더링(Dithering) : 제한된 색상을 조합 또는 비율을 변화하여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
  2. 리딩(Leading) : 자간의 미세 조정으로 특정 문자들의 간격을 조정
  3. 스프레드(Spread)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어서 대상체가 보이지 않은 현상
  4. 리터칭(Retouching) : 기존의 이미지를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시키는 작업
(정답률: 66%)
  • 스프레드(Spread)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어서 대상체가 보이지 않은 현상은 전자출판 용어와 관련이 없는 것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리딩(Leading) : 자간의 미세 조정으로 특정 문자들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은 텍스트 레이아웃을 조정하는 작업으로, 전자출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텍스트의 가독성과 디자인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보기 1>의 문장이 <보기 2>의 문장으로 수정되기 위해 필요한 교정부호들로만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정답률: 86%)
  • ""은 문장의 주어와 동사가 일치하고, 문장 구조가 완전하며, 문법적으로 올바르기 때문이다. ""은 주어와 동사가 일치하지 않고, ""은 문장 구조가 완전하지 않으며, ""은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서로 상반되는 의미를 지닌 교정부호로 짝지어진 것은?

(정답률: 78%)
  • ""과 ""은 상반되는 의미를 지닌 교정부호이다. 전자는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의미이고 후자는 "잘못된 것을 무시해도 된다"는 의미이다.

    ""와 ""은 모두 "추가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상반되는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의 삭제와 복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을 삭제하려면 해당 파일을 선택한 후에 바로 가기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하면 된다.
  2. [Delete] 키를 눌러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에 들어가므로 복원할 수 있다.
  3.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할 경우에 [휴지통]을 이용하지 않고 영구적으로 삭제할 수 있도록 [내 컴퓨터]의 등록정보 창에서 설정할 수 있다.
  4. [Shift] + [Delete] 키를 사용하여 삭제된 파일은 휴지통에 저장되지 않는다.
(정답률: 62%)
  •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할 경우에 [휴지통]을 이용하지 않고 영구적으로 삭제할 수 있도록 [내 컴퓨터]의 등록정보 창에서 설정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 한글 Windows XP에서는 [Shift] + [Delete] 키를 사용하여 파일을 삭제하면 휴지통에 저장되지 않고 영구적으로 삭제된다. 따라서, "[Shift] + [Delete] 키를 사용하여 삭제된 파일은 휴지통에 저장되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한글 Windows XP에서 텍스트 파일(8.txt)을 더블 클릭할 때 이미 설치되어 있는 특정 에디터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설정
  2. [제어판]의 [시스템]에서 설정
  3. [내 컴퓨터] 창에서 [도구] 메뉴의 [폴더옵션]에서 설정
  4. 바탕 화면의 등록정보 창에서 설정
(정답률: 48%)
  • 정답은 "[내 컴퓨터] 창에서 [도구] 메뉴의 [폴더옵션]에서 설정"입니다. 이유는 파일 연결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파일 탐색기의 폴더 옵션을 변경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내 컴퓨터] 창에서 [도구] 메뉴의 [폴더옵션]을 선택하고 [파일 형식] 탭에서 해당 파일 형식(여기서는 .txt)을 선택한 후 [고급]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파일 형식과 연결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한글 Windows XP에서 프린터의 스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린터의 스풀에 관한 설정은 [프린터 및 팩스] 창에 있는 해당 프린터의 [속성] 창에서 설정한다.
  2. 프린터를 공유할 때는 스풀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출력이 빠르고 유리하다.
  3. 여러 페이지를 인쇄할 경우에 첫 페이지만 스풀에 들어오면 바로 인쇄를 시작할 수 있다.
  4. 프린터를 공유하여 여러 페이지를 인쇄할 경우에는 마지막 페이지까지 스풀에 들어온 후에 인쇄를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51%)
  • 정답: "프린터를 공유할 때는 스풀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출력이 빠르고 유리하다."

    이유: 프린터를 공유할 때는 스풀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빠르고 유리하다. 스풀 기능을 사용하면 인쇄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페이지를 인쇄할 경우에도 스풀 기능을 사용하면 첫 페이지만 스풀에 들어오면 바로 인쇄를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를 공유할 때는 스풀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바탕 화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트맵 이미지를 윈도의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텍스트 파일(*.txt)도 윈도의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대화 상자에서 변경할 수 있다.
  4. 웹 페이지를 바탕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정답률: 58%)
  • "텍스트 파일(*.txt)도 윈도의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Windows XP에서는 배경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일 형식으로 BMP, JPG, GIF, PNG 등의 이미지 파일뿐만 아니라 텍스트 파일(*.txt)도 지원하기 때문이다. 단, 텍스트 파일을 배경화면으로 사용할 경우 파일 내용이 모두 보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Windows 탐색기]에서 [보기] [자세히]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오른쪽 작업 창에 표시되는 항목을 추가하기 위한 방법은?

  1. [보기] 메뉴의 [세부 내용 선택] 창에서 새로운 세부 내용 항목을 추가한다.
  2. [파일] 메뉴의 [속성] 창에서 새로운 항목을 추가한다.
  3. [도구] 메뉴의 [폴더 옵션] 창에서 새로운 항목을 추가한다.
  4. [편집] 메뉴의 [붙여 넣기] 창에서 새로운 항목을 추가한다.
(정답률: 42%)
  • [보기] 메뉴의 [세부 내용 선택] 창은 Windows 탐색기에서 파일 및 폴더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창이다. 이 창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세부 내용 항목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이 창에서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추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한글 Windows XP의 폴더 창에서 파일과 폴더의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lt]-[F]-[M] 키를 차례대로 눌러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2.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에 바로 가기 메뉴에서 [속성]을 선택하면 읽기 전용, 숨김 들의 속성을 지정할 수 있다.
  3. 선택한 파일을 [파일]-[보내기] 메뉴를 통해 다른 폴더나 드라이브로 복사할 수 있다.
  4. 폴더는 [컴퓨터 관리자] 계정을 가진 사용자만이 만들 수 있다.
(정답률: 56%)
  • "폴더는 [컴퓨터 관리자] 계정을 가진 사용자만이 만들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모든 사용자가 폴더를 만들 수 있다.

    이유: Windows XP에서는 모든 사용자가 폴더를 만들 수 있으며, 폴더를 만들 때 사용자 계정 제어(UAC)를 통해 권한을 확인한다. 따라서 [컴퓨터 관리자] 계정을 가진 사용자만 폴더를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한글 Windows XP의 바탕 화면에서 사용하는 바로 가기 아이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파일, 폴더 등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보내기]-[바탕 화면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클릭하면 바탕 화면에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2.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려고 하는 파일, 폴더, 프린터 등의 항목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더블 클릭하면 바로 가기 아이콘이 만들어진다.
  3. 바탕 화면에 있는 바로 가기 아이콘 위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더블 클릭하면 바로 가기 아이콘이 삭제된다.
  4.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바로 가기 아이콘을 삭제하려면 반드시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사용해야만 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파일, 폴더 등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보내기]-[바탕 화면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클릭하면 바탕 화면에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입니다. 이유는 파일, 폴더 등의 항목을 선택한 후 보내기 메뉴에서 바탕 화면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하면 해당 항목의 바로 가기 아이콘이 바탕 화면에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한글 Windows XP의 보조프로그램에 있는 [시스템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정보]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의 구성 정보를 수집하고 표시한다.
  2. 내 시스템의 하드웨어 리소스와 소프트웨어 환경 등을 보여준다.
  3. [파일] 메뉴의 [내보내기]를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4. 구성 요소 항목에는 시스템 드라이버 등 소프트웨어의 파일명, 상태 등이 표시된다.
(정답률: 33%)
  • 구성 요소 항목에는 시스템 드라이버 등 소프트웨어의 파일명, 상태 등이 표시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구성 요소 항목에는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표시되며, 이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가 포함된다. 파일명과 상태 등의 정보는 다른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글 Windows XP에서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를 인터넷에 연결하고자 할 때 설정하는 유형이 아닌 것은?

  1. 인터넷 연결 공유(ICS)의 사용
  2. 컴퓨터와 xDSL이나 케이블 모뎀을 이더넷 허브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
  3. 상설 게이트웨이의 사용
  4. 포털 사이트에 홈페이지를 등록하여 사용
(정답률: 54%)
  • 포털 사이트에 홈페이지를 등록하는 것은 홈 네트워크나 소규모 네트워크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유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 방법은 단순히 자신이 만든 웹사이트를 포털 사이트에 등록하여 다른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인터넷에 연결된 네트워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한글 Windows XP의 [장치 관리자] 창에서 장치 명 앞에 느낌표(!)가 있을 경우의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당 장치를 위한 장치 드라이버를 로드할 수 없기 때문이다.
  2. 다른 장치와 IRQ 충돌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3. 해당 장치의 리소스 설정이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4. 잘못된 장치 드라이버가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정답률: 64%)
  • 느낌표(!)가 있는 경우는 해당 장치에 문제가 있어서 장치 드라이버를 로드할 수 없거나, 리소스 설정이 잘못되어 있어서 충돌이 일어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해당 장치의 리소스 설정이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압축 폴더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압축 폴더 기능으로 폴더의 내용을 압축하면 디스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2. 압축 폴더에 포함된 파일이나 프로그램은 일반 폴더와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3. 압축 폴더 기능은 [제어판]에 있는 [폴더 옵션]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4. 압축 폴더는 데이터 보호를 위해 내용을 암호화할 수 있다.
(정답률: 48%)
  • "압축 폴더는 데이터 보호를 위해 내용을 암호화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압축 폴더 기능은 제어판의 폴더 옵션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폴더의 내용을 압축하여 디스크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압축 폴더에 포함된 파일이나 프로그램은 일반 폴더와 똑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압축 폴더는 데이터 보호를 위해 내용을 암호화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한글 Windows XP에서 하드웨어 장치의 설치나 연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러그 앤 플레이 장치는 컴퓨터에 연결하고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면, 장치 속성과 설정을 수동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다.
  2. 컴퓨터에 장치를 연결한 다음에 적절한 장치 드라이버를 설치하여야 한다.
  3. 플러그 앤 플레이 장치는 새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4. 장치 속성과 설정을 수동으로 구성한 경우에 다른 장치와 충돌하면 시스템이 해당 속성과 설정을 자동으로 수정해 준다.
(정답률: 46%)
  • "장치 속성과 설정을 수동으로 구성한 경우에 다른 장치와 충돌하면 시스템이 해당 속성과 설정을 자동으로 수정해 준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다른 장치와 충돌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해당 속성과 설정을 수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indows Update] 기능을 사용하여 Windows를 최신 정보로 유지할 수 있다.
  2. [시스템 복원] 기능을 사용하여 시스템 사용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컴퓨터를 이전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3. [시스템 도구]의 여러 가지 기능을 사용하여 컴퓨터 정보를 볼 수 있으며, 문제를 진단할 수 있다.
  4. [Windows 방화벽] 기능을 사용하여 시스템 바이러스를 발견하고 삭제할 수 있다.
(정답률: 66%)
  • "[Windows 방화벽] 기능을 사용하여 시스템 바이러스를 발견하고 삭제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Windows 방화벽은 인터넷에서 들어오는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를 차단하고,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 바이러스를 발견하고 삭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한글 Windows XP에서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 대의 모니터를 연결하려고 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니터의 수는 그래픽 어댑터를 설치할 수 있는 슬롯이 있는 한 무한히 연결할 수 있다.
  2. 연결한 모든 모니터가 마치 한 대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것 처럼 각 모니터는 전체 모니터의 어느 한 부분만을 표시하도록 하여 전체를 나타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3. 연결한 모니터들은 예를 들어 하나의 모니터에 워드프로세서의 문서를 다른 모니터에 스프레트시트를 나타내어 서로 참조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4. 윈도 XP에서 여러 대의 모니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PCI 또는 AGP 비디오 어댑터를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44%)
  • "윈도 XP에서 여러 대의 모니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PCI 또는 AGP 비디오 어댑터를 사용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윈도 XP에서는 USB 비디오 어댑터를 사용하여 여러 대의 모니터를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보조프로그램]에 있는 [그림판]프로그램에서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그릴 수 없는 것은?

  1. 수평선
  2. 45° 대각선
  3. 타원
  4. 정사각형
(정답률: 58%)
  • 타원은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그려도 원형이 아닌 타원 모양으로 그려지기 때문에 그릴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그릴 경우 모두 직선이나 정사각형 모양으로 그려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한글 Windows XP의 [보조프로그램]에 있는 [메모장]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단한 텍스트 형식의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2. 웹 페이지용 HTML 문서를 만들 수 있다.
  3. 문장의 일부 문자열의 색상을 바꿀 수 있다.
  4.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문자열을 찾을 수 있다.
(정답률: 61%)
  • "문장의 일부 문자열의 색상을 바꿀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메모장은 간단한 텍스트 편집기로서 텍스트 형식의 문서를 작성하고, HTML 문서를 만들 수 있으며,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문자열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색상을 변경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Windows 보안 센터] 창에서 컴퓨터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보안 설정 항목이 아닌 것은?

  1. 사용자 계정
  2. 방화벽
  3. 자동 업데이트
  4.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
(정답률: 46%)
  • 정답: "사용자 계정"

    설명: 사용자 계정은 보안 설정 항목이 아닙니다. 사용자 계정은 컴퓨터에 로그인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보안 설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항목들은 컴퓨터의 보안을 강화하는 데 필요한 설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한글 Windows XP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TCP/IP 정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게이트웨이는 TCP/IP 네트워크 사이에서 IP 패킷을 라우팅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실제 TCP/IP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이다.
  2.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의 숫자로 된 고유의 32비트 주소를 IP 주소라고 한다.
  3. 사용 중인 컴퓨터의 IP 주소는 반드시 입력하여야 한다.
  4. DNS 서버는 도메인명을 IP 주소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41%)
  • "사용 중인 컴퓨터의 IP 주소는 반드시 입력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DHCP를 사용하면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및 DNS 서버 정보를 자동으로 받아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한글 Windows XP에서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의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 표시줄의 여백 부분에서 바로 가기 메뉴의 [속성]을 선택하면 볼 수 있는 대화 창이다.
  2. 작업 표시줄을 사용할 때만 화면에 보이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화면에서 사라지게 설정할 수 있다.
  3. [시작] 메뉴에 나타나는 메뉴들을 추가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4. 작업 표시줄을 더블 클릭하면 빠르게 표시할 수 있다.
(정답률: 58%)
  • "작업 표시줄을 더블 클릭하면 빠르게 표시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작업 표시줄을 더블 클릭하면 현재 열려있는 창을 최소화하거나 최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 표시줄을 더블 클릭하면 빠르게 창을 전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한글 Windows XP의 [로컬 영역 연결 속성] 창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라이언트 : 사용자가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 파일 액세스를 제공한다.
  2. 어댑터 : 컴퓨터 이름, 작업 그룹, 컴퓨터 설명 등을 나타 내주는 역할을 한다.
  3. 프로토콜 : 사용자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규약이다.
  4. 서비스 : 파일 및 프린터 공유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어댑터 : 컴퓨터 이름, 작업 그룹, 컴퓨터 설명 등을 나타 내주는 역할을 한다."가 아닌 "클라이언트 : 사용자가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 파일 액세스를 제공한다."이다.

    어댑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의미하며,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컴퓨터 이름, 작업 그룹, 컴퓨터 설명 등과는 관련이 없다.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 및 정보활용

41. 다음 중 PC 고장에 따른 응급처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Non-System disk or disk error” 메시지가 나타날 경우 → 부팅 파일이 없는 디스켓이 A 드라이브에 있는 경우 디스크를 뺀 후 다시 부팅
  2. 전원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 → 전원 케이블을 확인하고 불량인 경우 교체
  3. “Driver failure invalid ...” 메시지가 나타날 경우 → 디스크 시스템 파일 손상 확인 후 복구
  4. BIOS 업데이트한 후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 → VGA 카드 손상 여부 확인 후 수리
(정답률: 55%)
  • BIOS 업데이트한 후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 → VGA 카드 손상 여부 확인 후 수리는 적절하지 않은 응급처치입니다. BIOS 업데이트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작업이지만, 잘못된 업데이트나 중단된 업데이트는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VGA 카드와는 무관한 문제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다른 원인을 찾아 해결해야 합니다. BIOS 업데이트 후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 다시 원래의 BIOS 설정으로 복원하거나, BIOS 칩을 교체하는 등의 방법을 시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속도차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메모리로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관하는 메모리는 어느 것인가?

  1. Cache Memory
  2. Buffer Memory
  3. Virtual Memory
  4. Flash Memory
(정답률: 66%)
  • 정답은 "Cache Memory"이다.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속도차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로서, CPU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데이터나 명령어를 미리 저장해 놓는 고속 메모리이다. 이를 통해 CPU가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어를 빠르게 가져와 처리할 수 있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에서 애니메이션 파일 형식이 아닌 것은?

  1. FLI
  2. ANI
  3. GIF
  4. JPG
(정답률: 59%)
  • JPG는 정적인 이미지 파일 형식이며, 애니메이션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파일 형식이 아니다. FLI, ANI, GIF는 모두 애니메이션 파일 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시스템 운영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듀얼(Dual) 시스템은 두 개의 CPU를 사용하여 고장에 대비하여 작동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나의 CPU가 작동하면 다른 CPU는 대기 상태에 있다.
  2. 다중 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시분할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3. 실시간 처리(Real Time Processing) 시스템은 자료입력 즉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4. 임베디드(Embedded) 시스템은 보드형태의 기억소자에 응용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컴퓨터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정답률: 48%)
  • 정답은 "다중 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시분할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이다.

    듀얼(Dual) 시스템은 두 개의 CPU를 사용하여 고장에 대비하여 작동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나의 CPU가 작동하면 다른 CPU는 대기 상태에 있다.

    다중 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시분할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실시간 처리(Real Time Processing) 시스템은 자료입력 즉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임베디드(Embedded) 시스템은 보드형태의 기억소자에 응용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컴퓨터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TCP/IP 프로토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한 전송 관리 통신규약이다.
  2. OSI 7계층과 유사한 계층형 구조를 갖는다.
  3. FTP, Telnet 등의 응용계층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4. 흐름조절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도착 세그먼트의 순서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정답률: 57%)
  • TCP/IP 프로토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흐름조절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도착 세그먼트의 순서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다. TCP는 흐름제어 및 혼잡제어 기능을 제공하여 도착 세그먼트의 순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데이터 크기를 작은 것부터 큰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Bit - Word - Nibble - Byte
  2. Bit - Byte - Nibble - Word
  3. Bit - Nibble - Byte - Word
  4. Bit - Byte - Word - Nibble
(정답률: 50%)
  • 정답은 "Bit - Nibble - Byte - Word"입니다.

    - Bit: 0 또는 1의 값을 가지는 최소 단위의 데이터 크기
    - Nibble: 4개의 Bit로 이루어진 데이터 크기
    - Byte: 8개의 Bit로 이루어진 데이터 크기
    - Word: 컴퓨터 아키텍처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개 이상의 Byte로 이루어진 데이터 크기

    따라서, Bit가 가장 작고 Word가 가장 큰 데이터 크기이며, Nibble과 Byte는 그 사이에 위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레지스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립플롭(Flip-Flop)이나 래치(Latch)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한 회로이다.
  2. 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고 있다.
  3. 명령어 레지스터는 수행해야 할 명령어의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 레지스터이다.
  4. 인덱스 레지스터는 기억되어 있는 내용이 연산에 사용되는 자료이다.
(정답률: 46%)
  • "인덱스 레지스터는 기억되어 있는 내용이 연산에 사용되는 자료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인덱스 레지스터는 주로 배열이나 테이블과 같은 데이터 구조에서 인덱스 값을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에 접근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레지스터의 역할과 기능을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부족하여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하나 더 구입하여 설치하였으나 인식이 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다음 중 이에 대한 점검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디스크 Cable들이 올바르게 접속되어 있는지를 점검한다.
  2. CMOS Setup에서 하드디스크 설정을 점검한다.
  3. 하드디스크의 점퍼 스위치가 제대로 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4. 이미 설치되어 있는 하드디스크가 제대로 분할(Partition)이 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정답률: 53%)
  • 이미 설치되어 있는 하드디스크의 분할(Partition) 상태는 새로운 하드디스크의 인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가장 적절하지 않은 점검사항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하드디스크가 제대로 분할(Partition)이 되어 있는지 점검한다."이다.

    하드디스크의 분할(Partition)은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나누어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설치했을 때는 해당 하드디스크의 인식 여부와 관련이 있지만, 이미 설치되어 있는 하드디스크의 분할 상태는 새로운 하드디스크의 인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이는 가장 적절하지 않은 점검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컴퓨터 네트워크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할수록 전송속도가 빨라진다.
  2.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정보를 수집하고 교환할 수 있다.
  3. 여러 컴퓨터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4. 컴퓨터 자원이 연결되어 있는 위치에 관계없이 프로그램, 데이터, 각종 주변기기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정답률: 69%)
  •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할수록 전송속도가 빨라진다."는 장점이 거리와는 무관합니다. 이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공유하고 분산시켜 처리하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빨라지는 것입니다. 이는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질수록 더욱 빛을 발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프로그래밍 언어의 번역과 실행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 : C나 COBOL, FORTRAN과 같은 고급 언어의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한 프로그램이다.
  2. 링커(Linker) : 목적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주기억 장치에 적재하여 주는 프로그램이다.
  3. 인터프리터(Interpreter) :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지 않고,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한 줄씩 번역하여 바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다.
  4. 컴파일러(Compiler) :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여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47%)
  • 링커(Linker) : 목적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주기억 장치에 적재하여 주는 프로그램이다. 이 설명은 옳다.

    설명:
    -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 : C나 COBOL, FORTRAN과 같은 고급 언어의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한 프로그램이다.
    - 링커(Linker) : 목적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주기억 장치에 적재하여 주는 프로그램이다.
    - 인터프리터(Interpreter) :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지 않고,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한 줄씩 번역하여 바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다.
    - 컴파일러(Compiler) :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여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오디오 파일 포맷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P3는 MPEG-3의 오디오 규격으로 개발된 무손실 압축 포맷이다.
  2. WMA는 오디오 파일을 부호화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파일 포맷이다.
  3. MIDI는 사운드 카드와 같은 시스템 성능에 따라 소리 품질에 차이가 발생한다.
  4. WAV는 MP3나 WMA에 비해 같은 음질에서 파일 용량이 제일 크다.
(정답률: 45%)
  • MP3는 MPEG-3의 오디오 규격으로 개발된 무손실 압축 포맷이 아니라, 손실 압축 포맷이다. MP3는 음원 데이터를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이는 기술을 사용하며, 이로 인해 일부 음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데이터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전송 속도의 단위로 1초 동안에 전송할 수 있는 비트의 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dpi
  2. MIPS
  3. MHz
  4. bps
(정답률: 60%)
  • 정답은 "bps"이다. bps는 비트(0 또는 1)를 초당 몇 개 전송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데이터 통신망에서는 이 단위를 사용하여 전송 속도를 측정하고 표시한다. DPI는 인쇄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MIPS는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MHz는 주파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여러 가지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SCII 코드는 7비트 표준코드로 문자를 표현하는데 사용한다.
  2. BCD 코드는 자리에 따른 가중치 때문에 8421코드라고도 부른다.
  3. Gray 코드는 가중치를 가지고 있는 코드이다.
  4. 2진 정보 전송 시 에러를 검출하기 위하여 패리티 비트를 사용한다.
(정답률: 49%)
  • Gray 코드는 가중치를 가지고 있는 코드가 아니라, 이진수 간의 한 비트만 차이가 나는 코드이다. 이진수에서 한 비트만 변경되므로 회로적으로 구현할 때 에러 발생 확률이 낮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압축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에 비해 그림 파일의 압축률이 좋다.
  2. 압축이 된 파일 여러 개를 모아 다시 한꺼번에 압축하면 압축률이 별로 좋지 않다.
  3. 압축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파일의 크기를 줄여준다.
  4. 텍스트 파일의 압축은 100%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가역적 압축이다.
(정답률: 44%)
  •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에 비해 그림 파일의 압축률이 좋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그림 파일의 경우 이미지의 복잡도나 색상 등에 따라 압축률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단순한 경우에는 텍스트 파일보다 압축률이 높을 수 있지만, 이미지가 복잡한 경우에는 압축률이 낮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 파일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이미지의 대략적인 모습을 먼저 보여준 다음 점차 자세한 모습을 보여주는 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인터레이싱(Interacing)
  2. 메조틴트(Mezzotint)
  3. 솔러리제이션(Solarization)
  4. 디더링(Dithering)
(정답률: 56%)
  • 인터레이싱(Interacing)은 그림 파일을 빠르게 로딩하기 위해 이미지의 대략적인 모습을 먼저 보여주고, 점차 자세한 모습을 보여주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미지 전체를 볼 수 있으면서도 로딩 시간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송신자나 수신자가 전송 메시지를 거부하지 못하도록 막는 보안 서비스는 어느 것인가?

  1. 액세스 제어
  2. 기밀성
  3. 부인 방지
  4. 가용성
(정답률: 65%)
  • 부인 방지는 송신자나 수신자가 전송 메시지를 거부하지 못하도록 막는 보안 서비스이다. 이는 메시지의 송신자나 수신자가 나중에 메시지를 보낸 적이 없다는 것을 주장하여 책임을 회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부인 방지는 메시지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송신자나 수신자의 부인을 방지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레지스터 : CPU 내부에 있는 임시 고속 기억 장치
  2. 인터럽트 : CPU가 명령을 실행하는 중에 컴퓨터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응급 사태의 처리를 위해 CPU에게 명령 처리 중간을 요구하는 신호
  3. 버스 : 컴퓨터 내부에서 CPU와 주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각종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로
  4. DMA : CPU의 개입 없이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에서 캐시 메모리로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는 기능
(정답률: 43%)
  • DMA는 CPU의 개입 없이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맞지만, 이는 저장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캐시 메모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DMA : CPU의 개입 없이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에서 캐시 메모리로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는 기능"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 레지스터 : CPU 내부에 있는 임시 고속 기억 장치
    - 인터럽트 : CPU가 명령을 실행하는 중에 컴퓨터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응급 사태의 처리를 위해 CPU에게 명령 처리 중간을 요구하는 신호
    - 버스 : 컴퓨터 내부에서 CPU와 주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각종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로
    - DMA : CPU의 개입 없이 저장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는 기능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방화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증된 패킷만 통과시키므로 해킹 등에 의한 정보 유출을 막는다.
  2. 역추적 기능으로 외부의 침입자를 역추적하여 흔적을 찾을 수 있다.
  3. 내부에서 불법적으로 일어나는 해킹을 쉽게 막는다.
  4. 외부로부터 내부망을 보호하고 유해 정보의 유입을 차단한다.
(정답률: 56%)
  • "내부에서 불법적으로 일어나는 해킹을 쉽게 막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방화벽은 외부로부터 내부망을 보호하고 유해 정보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지만, 내부에서 발생하는 해킹을 막는 것은 방화벽의 역할이 아니다. 내부에서 발생하는 해킹을 막기 위해서는 보안 정책, 교육 등 다른 보안 대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아들이는 출입구 역할을 하는 장비는?

  1. 브리지
  2. 게이트웨이
  3. 리피터
  4. 랜카드
(정답률: 71%)
  •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출입구 역할을 합니다. 즉,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아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게이트웨이입니다. 브리지는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리피터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랜카드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하드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인터페이스(Interface) 방식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SATA 방식
  2. IDE 방식
  3. CDMA 방식
  4. SCSI 방식
(정답률: 38%)
  • CDMA 방식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 방식이 아니라, 이동통신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CDMA 방식은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약자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