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7-29)

워드프로세서 (구 1급)
(2007-07-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워드프로세싱 일반

1. 자료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으로 소트(Sort)와 색인(Index)이 있다. 다음 중 두 기능의 차이점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소트(Sort)는 내림차순만 사용할 수 있다.
  2. 소트(Sort)는 오름차순만 사용할 수 있다.
  3. 색인(Index)은 내림차순만 사용할 수 있다.
  4. 색인(Index)은 오름차순만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55%)
  • 소트는 정렬 기능으로 오름차순과 내림차순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색인은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기 위한 기능으로 오름차순으로만 색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색인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 데이터가 정렬된 상태에서 색인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차례(목차) 만들기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류에는 제목 차례, 표 차례, 그림 차례 등이 있다.
  2. 책이나 보고서, 논문을 작성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3. 차례 만들기의 결과는 보통 지정된 파일로 저장한다.
  4. 현재 작업 중인 문서의 모든 정보를 제공하며 보통 화면의 아래 줄에 표시한다.
(정답률: 68%)
  • 현재 작업 중인 문서의 모든 정보를 제공하며 보통 화면의 아래 줄에 표시한다. - 이 설명은 차례 만들기 기능이 아닌 상태 표시줄에 대한 설명이다.

    정답: 현재 작업 중인 문서의 모든 정보를 제공하며 보통 화면의 아래 줄에 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워드프로세서에 사용되는 글꼴에 대한 설명이다. 아웃라인(Outline)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폰트를 점으로 설계하고 제작하였으며, 화면에 표시된 점의 수와 출력된 글자를 구성하는 점의 수가 같다.
  2. 글꼴을 확대해도 테두리가 거칠게 나타나지 않아 고해상도의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3. 외곽선 글꼴이라고도 한다.
  4. 트루타입 글꼴, 벡터 글꼴, 포스트스크립트 글꼴이 대표적이다.
(정답률: 59%)
  • "폰트를 점으로 설계하고 제작하였으며, 화면에 표시된 점의 수와 출력된 글자를 구성하는 점의 수가 같다."는 비트맵 방식에 대한 설명이다. 아웃라인 방식은 벡터 그래픽 방식으로 글자를 구성하며, 화면에 표시된 크기와 출력된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폰트를 점으로 설계하고 제작하였으며, 화면에 표시된 점의 수와 출력된 글자를 구성하는 점의 수가 같다."는 아웃라인 방식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저장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워드프로세서 문서를 웹 문서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2. 문서를 저장할 때 암호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3. 문서를 저장할 때는 문서의 일부분을 저장할 수 없으므로 문서 전체를 저장해야 한다.
  4. 원본 파일이 삭제되거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에 대비하기 위해서 백업파일을 만들 수 있다.
(정답률: 70%)
  • "문서를 저장할 때는 문서의 일부분을 저장할 수 없으므로 문서 전체를 저장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저장할 때 일부분만 선택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문서 전체를 저장해야 하는 이유는 문서의 일부분만 저장하면 나중에 수정한 부분이 저장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서 전체를 저장하여 모든 수정 내용을 저장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보기의 내용은 어떤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 것인가?

  1. 스풀링(Spooling)
  2. 해상도(Resolution)
  3. 피치(Pitch)
  4. DPI(Dot Per Inch)
(정답률: 63%)
  • 이미지에서 보이는 선들의 간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픽셀 당 선의 수를 의미하는 DPI와는 다른 개념이다. 이는 프린터나 모니터의 해상도와 관련이 있으며, 동일한 해상도에서 피치가 작을수록 더 선명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피치(Pitc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보기와 같은 커서의 위치에서 [Ctrl] 키를 누른 채로 왼쪽 화살표 키를 세 번 누른 결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7%)
  • 정답은 ""이다.

    [Ctrl] + 왼쪽 화살표 키를 누르면 커서가 이전 단어의 시작 부분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는 "이"라는 단어의 시작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고, 한 번 더 누르면 "컴퓨터"라는 단어의 시작 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세 번째 누르면 "은행"이라는 단어의 시작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보기의 내용은 전자출판의 어떤 기능을 설명한 것인가?

  1. ODBC 기능
  2. Merge 기능
  3. Margin 기능
  4. OLE 기능
(정답률: 66%)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워드프로세서의 화면이며, OLE 기능은 다른 프로그램에서 작성한 객체를 워드프로세서 문서에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른 프로그램에서 작성한 그래픽이나 표 등을 문서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복사(Copy) 후 붙여넣기(Paste) 기능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스타일(Style)
  2. 매크로(Macro)
  3. 레이아웃(Layout)
  4. 캡션(Caption)
(정답률: 70%)
  • 매크로는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일련의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기능으로, 복사 후 붙여넣기와 같은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여 대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크로가 가장 적합한 대안입니다. 스타일은 텍스트나 객체의 서식을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기능이며, 레이아웃은 페이지나 문서의 구성을 조정하는 기능입니다. 캡션은 이미지나 표 등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로드(Load)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현재 사용 중인 디스크드라이버를 말한다.
  2. 주기억장치의 내용을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한다.
  3. 주기억장치의 내용을 처리한다.
  4. 보조기억장치에 기억된 내용을 주기억장치로 이동한다.
(정답률: 65%)
  • 보조기억장치에 기억된 내용을 주기억장치로 이동한다. - 주기억장치에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보조기억장치에서 가져와서 주기억장치에 올려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로드(load)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보기의 문장을 효과적으로 입력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복사하기(Copy)의 사용
  2. 상용구(Glossary)의 사용
  3. 매크로(Macro)의 사용
  4. 보일러플레이트(Boiler Plate)의 사용
(정답률: 69%)
  • 보기에서 이미 "보일러플레이트(Boiler Plate)의 사용"이 정답으로 주어졌기 때문에, 이를 설명하는 것이 가장 간단명료한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불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서 편집시 행의 처음이나 끝에 특정 문자가 올 수 없도록 하는 것을 ‘금칙처리’라고 한다.
  2. 수정 전 파일과 수정 후 파일을 한 번에 저장할 수 있다.
  3. 복사, 붙여 넣기, 이동, 삭제를 위하여 반드시 영역지정이 필요하다.
  4. 영역으로 지정한 부분만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정답률: 46%)
  • "복사, 붙여 넣기, 이동, 삭제를 위하여 반드시 영역지정이 필요하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워드프로세서에서는 영역지정 없이도 일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텍스트를 선택하지 않고도 글꼴, 크기, 색상 등의 서식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기능들은 선택한 텍스트가 아닌 커서의 위치에 따라 동작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문단을 삽입하거나, 현재 문단을 삭제하는 기능은 영역지정 없이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RAM은 재충전이 필요 없고 액세스 속도가 빨라 캐시 메모리로 많이 사용된다.
  2. PC에서 BIOS 정보나 자체 진단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해 DRAM을 사용한다.
  3. RAM에 저장된 정보의 위치는 주소로 구분한다.
  4. SRAM은 전원이 차단되면 기억된 내용이 지워지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정답률: 46%)
  • PC에서 BIOS 정보나 자체 진단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해 DRAM을 사용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 아니며, PC에서 BIOS 정보나 자체 진단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해는 ROM(Read-Only Memory)이 사용된다.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로, 내용을 변경할 수 없지만 전원이 차단되어도 내용이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입출력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캐너(Scanner) : 그림이나 사진 등의 영상 정보를 문서에 입력할 수 있도록 변환해 주는 장치이다.
  2. 마우스(Mouse) :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할 때 편리하게 아이콘이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장치이다.
  3. OMR(Optical Mark Reader) : 손으로 쓴 숫자나 문자를 인식하는 장치이다.
  4. 디지타이저(Digitizer) : 미리 정해진 화면의 범위 내에서 좌표를 검출하여 도형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59%)
  • 마우스는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할 때 편리하게 아이콘이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니라, 컴퓨터 화면 상에서 커서를 움직이거나 클릭하는 등의 입력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이다.

    OMR(Optical Mark Reader)는 손으로 쓴 숫자나 문자를 인식하는 장치가 아니라, 미리 정해진 양식에 따라 체크박스나 칸에 채워진 마킹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전자출판에서 자간을 미세 조정으로 특정문자들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능은?

  1. 디더링(Dithering)
  2. 커닝(Kerning)
  3. 리터칭(Retouching)
  4. 리딩(Leading)
(정답률: 76%)
  • 커닝(Kerning)은 특정 문자들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자간을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글자 간의 균형을 맞추고 보다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어 전자출판물의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커닝(Kern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공문서의 전자이미지관인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이미지관인은 컴퓨터 등 정보처리 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이미지 형태로 사용되는 관인이다.
  2. 행정기관의 장은 전자문서에 사용하기 위하여 전자이미지관인을 가질 수 있다.
  3. 전자이미지관인을 사용하는 기관은 관인을 재등록한 경우 즉시 사용 중인 전자이미지관인을 삭제하고, 재등록한 관인을 전자 입력하여 사용한다.
  4. 전자이미지관인을 등록 또는 재등록하거나 폐기한 때에는 등록기관은 이를 관보에 공고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정답률: 69%)
  • "전자이미지관인을 등록 또는 재등록하거나 폐기한 때에는 등록기관은 이를 관보에 공고하지 아니하여도 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전자서명법 제10조 제3항에 따라 등록기관이 관보에 공고하여야 하는 내용이다. 이유는 등록기관이 전자이미지관인을 등록 또는 재등록하거나 폐기하는 경우, 이를 사용하는 기관들이 이를 인지하고 적절한 대응을 취하기 위해서는 등록기관이 관보에 공고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공문서 작성시 수신기관이 두 군데 이상인 경우에 “수신자 참조”란이 새로이 설정되는 위치는?

  1. 두문에 표시한다.
  2. 본문에 표시한다.
  3. 수신란에 표시한다.
  4. 발신명의 왼쪽 아래에 표시한다.
(정답률: 47%)
  • "수신자 참조"란은 수신자가 두 군데 이상인 경우에 사용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발신자가 보내는 공문서의 주요 수신처를 명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발신명의 왼쪽 아래에 표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 위치는 발신자 정보와 함께 공문서의 기본 정보를 제공하며, 수신자들이 공문서를 받았을 때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대결한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용이 중요한 문서는 결재권자에게 사후에 보고하여야 한다.
  2. 정규 결재권자의 결재와 동일한 효력을 지닌다.
  3. 대결함으로써 문서로서의 성립이 이루어진다.
  4. 대결 후 결재권자에게 사후 보고시 문서수정이 가능하다.
(정답률: 65%)
  • 대결 후 결재권자에게 사후 보고시 문서수정이 가능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대결자는 결재권자의 대리로서 문서에 대한 결재를 대신 처리할 뿐, 결재권자와 동일한 권한을 가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대결 후에는 결재권자에게 보고하고, 결재권자의 승인을 받아야만 문서 수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DTP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D-ROM 타이틀의 저작도구이다.
  2. WYSIWYG의 구현이 가능하다.
  3. Desk Top Publishing의 머릿글자이다.
  4. 대부분 PC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정답률: 54%)
  • DTP는 Desk Top Publishing의 머릿글자이며, CD-ROM 타이틀의 저작도구일 뿐만 아니라 인쇄물, 웹사이트 등 다양한 디자인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CD-ROM 타이틀의 저작도구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교정부호 사용 시 유의할 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정부호를 표시하는 색은 눈에 잘 띄게 한다.
  2. 교정부호는 지정한 부호를 사용해서 교정한다.
  3. 한 번 교정된 부분은 다시 교정할 수 없다.
  4. 교정부호가 너무 복잡하거나 난해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3%)
  • "한 번 교정된 부분은 다시 교정할 수 없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교정부호는 필요에 따라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에서 문서의 분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교정부호들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정답률: 79%)
  • ""은 이미지로서 문서의 분량을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문서의 분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없는 교정부호이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탐색기] 창에서 바로 가기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trl] + [F] : 검색 도우미 창이 표시된다.
  2. [Ctrl] + [E] : 폴더 목록 창이 표시된다.
  3. [Ctrl] + [H] : 열어본 페이지 목록 창을 표시한다.
  4. [Ctrl] + [I] : 즐겨 찾기 창을 표시한다.
(정답률: 49%)
  • "[Ctrl] + [E] : 폴더 목록 창이 표시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 "[Ctrl] + [F] : 검색 도우미 창이 표시된다."이다. [Ctrl] + [E]는 탐색기 창에서 주소 표시줄에 입력한 경로를 폴더 목록 창으로 바로 이동시켜주는 단축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프린터의 공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처음 설치한 프린터는 기본적으로 공유가 설정된다.
  2. 기본 프린터는 공유 프린터로 자동 설정된다.
  3. 프린터를 공유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공유에 관련된 추가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한다.
  4. Windows 방화벽이 설치되어 있어도 프린터는 공유할 수 있다.
(정답률: 47%)
  • Windows XP에서는 프린터를 공유할 때 Windows 방화벽이 설치되어 있어도 공유가 가능하다. 이는 방화벽이 프린터 공유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화벽 설정을 변경하지 않아도 프린터를 공유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그림판] 프로그램에서 선택된 영역에 대하여 할 수 있는 이미지 작업이 아닌 것은?

  1. 대칭 이동이나 회전
  2. 늘이기 및 기울이기
  3. 색 반전
  4. 화면 캡처
(정답률: 50%)
  • 화면 캡처는 이미지 작업이 아니라 현재 화면을 캡처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선택된 영역에 대하여 이미지 작업을 할 수 있는 기능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한글 Windows XP에서 바탕 화면의 바로 가기 메뉴에 있는 [아이콘 정렬 순서]를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하위 선택 항목이 아닌 것은?

  1. 바탕 화면 아이콘 표시
  2. 바탕 화면의 웹 항목 잠금
  3. 바탕 화면의 배경 그림 바꾸기
  4. 바탕 화면 정리 마법사 실행
(정답률: 53%)
  • 정답: 바탕 화면의 배경 그림 바꾸기

    설명: 바탕 화면의 배경 그림 바꾸기는 바탕 화면의 디자인을 변경하는 것이므로 아이콘 정렬 순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항목들은 바탕 화면의 아이콘과 관련된 기능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한글 Windows XP에서 디스크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사용하지 않는 파일을 제거한다.
  2. 최근에 시스템 복원한 내용을 제외하고 모두 제거한다.
  3. 드라이브나 폴더의 압축을 수행한다.
  4. 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한다.
(정답률: 51%)
  • 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하는 것은 디스크 공간을 확보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디스크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한다." 입니다.

    디스크의 단편화란 파일이 저장될 때 디스크 상에 연속적으로 저장되지 않고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 저장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파일 접근 속도를 늦추고 디스크 공간을 낭비하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하는 것은 디스크 성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수행되며, 디스크 공간을 확보하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한글 Windows XP에서 [컴퓨터 관리자] 계정의 사용자 권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메인 컨트롤러나 로컬 컴퓨터, 사용자와 그룹 계정을 설정하거나 관리하며, 암호의 사용 권한을 할당 또는 네트워킹에 문제가 있는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2. Administrator 그룹의 구성원으로서 도메인이나 컴퓨터에 대한 모든 권한을 가진다.
  3. 컴퓨터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변경하고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며, 컴퓨터의 모든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다.
  4. 해당 컴퓨터의 다른 사용자 계정과 동등하게 모든 액세스 권한을 가진다.
(정답률: 53%)
  • 해당 컴퓨터의 다른 사용자 계정과 동등하게 모든 액세스 권한을 가진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컴퓨터 관리자 계정은 다른 사용자 계정보다 더 높은 권한을 가지지만, 모든 액세스 권한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일부 파일이나 폴더는 컴퓨터 관리자 계정도 접근 권한이 없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이 복사가 되지 않는 경우는?

  1. C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을 A 드라이브로 끌어다 놓기를 실행한다.
  2. 선택된 파일의 바로 가기 메뉴에 있는 [복사]를 실행한 후에 원하는 위치의 바로 가기 메뉴에 있는 [붙여 넣기]를 실행한다.
  3. C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을 C 드라이브의 다른 폴더로 끌어다 놓기를 실행한다.
  4. 원본 파일이 있는 폴더 창에서 [편집] 메뉴의 [복사]를 선택하고 복사를 원하는 해당 폴더에서 [편집] 메뉴의 [붙여 넣기]를 실행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C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을 C 드라이브의 다른 폴더로 끌어다 놓기를 실행한다." 이유는 파일을 복사하려면 해당 파일이 있는 드라이브와 복사하려는 위치가 다른 드라이브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같은 드라이브 내에서의 파일 복사 방법이므로 복사가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레지스트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트리 계층 구조로 조직되며 하이브, 키, 하위 키 및 값 항목으로 구성된다.
  2. 각 사용자 프로필과 시스템 하드웨어, 설치된 프로그램 및 속성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3. 컴퓨터 구성에 관한 정보가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소이다.
  4.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검사하고 수정해야 한다.
(정답률: 53%)
  •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검사하고 수정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레지스트리는 매우 중요한 시스템 파일이므로 잘못된 수정이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레지스트리를 수정할 때는 전문적인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레지스트리를 수정할 때는 레지스트리 편집기와 같은 전문적인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탐색기]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 표시줄 내에 있는 [시작] 단추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탐색]을 선택하여 실행한다.
  2. 수직으로 두 개의 창으로 구분되며, 왼쪽은 작업목록 창이고 오른쪽은 탐색 창이다.
  3. [탐색기]의 작업목록 창에서는 큰 아이콘, 아이콘, 간단히, 자세히 등의 보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4. 탐색 창에서 하위 폴더가 있을 경우에 [+]로 보이며, 하위 폴더를 감추려면 [-]를 클릭하면 된다.
(정답률: 47%)
  • 정답은 "수직으로 두 개의 창으로 구분되며, 왼쪽은 작업목록 창이고 오른쪽은 탐색 창이다."가 아니다. 한글 Windows XP의 [탐색기] 창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왼쪽에는 폴더 및 파일의 목록이, 오른쪽에는 선택한 폴더 또는 파일의 내용이 표시된다. 따라서 "수직으로 두 개의 창으로 구분되며, 왼쪽은 작업목록 창이고 오른쪽은 탐색 창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한글 Windows XP에서 프린터의 인쇄 관리자 창에서 [프린터] 메뉴를 이용하여 할 수 없는 작업은?

  1. 해당 프린터가 기본 프린터로 설정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2. 해당 프린터의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3. 문서의 인쇄를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수 있다.
  4. 해당 프린터에 인쇄 중인 모든 파일을 디스크에서 삭제할 수 있다.
(정답률: 68%)
  • 해당 프린터에 인쇄 중인 모든 파일을 디스크에서 삭제할 수 있는 작업은 프린터의 인쇄 관리자 창에서 [프린터] 메뉴를 이용하여 할 수 없는 작업이 아니라 가능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해당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 도구]인 [디스크 조각 모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defrag.exe’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 조각 모음]을 실행할 수 있다.
  2. 조각난 파일과 폴더가 볼륨에서 각각 하나의 인접한 공간을 차지하도록 컴퓨터 하드디스크의 조각난 파일과 폴더를 통합한다.
  3. 조각 모음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볼륨 크기, 볼륨에 있는 파일의 수와 크기, 조각난 양, 사용 가능한 로컬 시스템 리소스를 포함한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진다.
  4. [디스크 조각 모음]을 수행하는 동안에 실행 중인 다른 프로그램은 모두 닫아야 한다.
(정답률: 61%)
  • "[디스크 조각 모음]을 수행하는 동안에 실행 중인 다른 프로그램은 모두 닫아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디스크 조각 모음이 실행 중에는 다른 프로그램도 함께 실행될 수 있으며,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디스크 조각 모음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디스크 조각 모음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시스템 자원을 많이 사용하므로 다른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한글 Windows XP에서 문서 편집기인 [메모장] 프로그램의 사용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의 시간과 날짜를 입력하려면 [편집] 주메뉴의 [시간/날짜]를 선택한다.
  2. 편집 중인 문서 일부분의 문자 글꼴이나 색상을 변경하려면 [서식] 주메뉴의 [글꼴]을 선택한다.
  3. [편집] 주메뉴의 [찾기]를 선택하면 특정한 문자나 단어를 본문에서 찾을 수 있다.
  4. [메모장] 창의 크기(가로)에 맞도록 텍스트를 편집하려면 [서식] 주메뉴에서 [자동 줄 바꿈]을 선택한다.
(정답률: 54%)
  • 정답: "편집 중인 문서 일부분의 문자 글꼴이나 색상을 변경하려면 [서식] 주메뉴의 [글꼴]을 선택한다."

    이유: 한글 Windows XP의 메모장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텍스트 편집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글꼴이나 색상 등의 서식을 변경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편집 중인 문서 일부분의 문자 글꼴이나 색상을 변경하려면 [서식] 주메뉴의 [글꼴]을 선택한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이나 폴더 만드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이나 폴더 이름에 공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는 사용할 수 없다.
  2. 작업 표시줄의 바로 가기 메뉴를 이용하여 새로운 폴더를 만들 수 없다.
  3. 폴더의 이름과 파일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문자는 서로 같다.
  4. CON, PRN, AUX, NUL 등과 같은 단어는 파일의 확장명으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파일명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40%)
  • "파일이나 폴더 이름에 공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는 사용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파일이나 폴더 이름에는 공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파일이나 폴더 이름에는 일부 특수문자가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원격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위치에 있는 상대방이 Windows와 같이 호환되는 운영체제가 실행되는 컴퓨터에서 사용자 컴퓨터를 편리하게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사용자의 도우미는 모두 Microsoft Outlook 또는 Outlook Express 같은 MAPI 호환 전자 메일 계정이나 Windows Messenger Service를 사용해야 한다.
  3. 사용자의 도우미는 원격 지원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한다.
  4. LAN(Local Area Network)에서 작업 중인 경우에는 방화벽으로 인해 원격 지원을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정답률: 55%)
  • "사용자의 도우미는 원격 지원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원격 지원을 위해서는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도우미는 원격 지원을 사용하는 동안에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새로운 하드웨어 추가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글 Windows XP는 새로운 하드웨어 설치를 손쉽게 해주는 PnP 기능을 지원한다.
  2. 새로운 하드웨어를 추가하려면 [제어판]에 있는 [새 하드웨어 추가]를 선택하여 지시사항대로 설정한다.
  3. PnP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의 설치는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4. 새로운 하드웨어 추가시 PnP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인 경우에는 검색한 하드웨어의 설정값을 자동으로 지정하고 해당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정답률: 59%)
  • "PnP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의 설치는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nP(Plug and Play) 기능은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설정값을 자동으로 지정해주는 기능이지만, PnP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는 자동으로 인식되지 않으며, 해당 하드웨어의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작업 표시줄에 대한 잘못된 설명은?

  1.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에서 알림 영역의 시계를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2. 바로 가기 메뉴의 [작업 관리자]를 선택하면 바탕 화면에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파일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3. [시작] 단추를 클릭하면 [시작] 메뉴가 표시된다.
  4. 현재 열려져 있는 창이나 작업 중인 내역이 나타나며, 자주 사용되는 프로그램 아이콘을 배치할 수도 있다.
(정답률: 49%)
  • 바로 가기 메뉴의 [작업 관리자]를 선택하면 바탕 화면에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파일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 잘못된 설명입니다. 작업 관리자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강제 종료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는 기능은 작업 표시줄의 "고정된 항목"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한글 Windows XP에서 새로운 글꼴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이용하여 폰트를 설치한다.
  2. ‘C:\Windows\Fonts’ 폴더에 해당 글꼴 파일을 복사하면 설치된다.
  3. PnP 기능으로 하드디스크에 복사된 글꼴은 자동으로 설치된다.
  4. 새로운 글꼴을 [글꼴 정리 마법사]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정답률: 55%)
  • ‘C:WindowsFonts’ 폴더는 Windows XP에서 글꼴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이며, 해당 폴더에 글꼴 파일을 복사하면 Windows XP에서 자동으로 해당 글꼴을 인식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로컬 영역 연결]의 속성 창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없는 것은?

  1. [연결되면 알림 영역에 아이콘 표시]를 설정할 수 있다.
  2. [연결되지 않았거나 연결이 제한되면 알림]을 설정할 수 있다.
  3. [로그온 암호 사용]을 설정할 수 있다.
  4. [Windows 방화벽]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40%)
  • "[로그온 암호 사용]을 설정할 수 있다."는 로컬 영역 연결의 속성 창이 아닌 사용자 계정 관리에서 설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시작] 메뉴의 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시작] 메뉴에 추가하여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2.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추가된 [시작] 메뉴 항목은 삭제할 수 없다.
  3.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을 통하여 항목 변경이 가능하다.
  4. [시작] 메뉴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진다.
(정답률: 65%)
  •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추가된 [시작] 메뉴 항목은 삭제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시작] 메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항목을 삭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한글 Windows XP에서 [휴지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휴지통]의 크기에 대한 초기 설정은 하드디스크의 10%이다.
  2. [휴지통]에 있는 파일들은 디스크의 공간을 차지한다.
  3. 파일을 삭제한 후에 얼마 기간이 지나면 [휴지통]에 있는 파일은 자동으로 삭제된다.
  4.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해당 파일을 드래그하여 [휴지통]에 넣으면 파일이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바로 삭제된다.
(정답률: 64%)
  • 정답: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해당 파일을 드래그하여 [휴지통]에 넣으면 파일이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바로 삭제된다."

    이유: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파일을 삭제하면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바로 삭제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 및 정보활용

41. 다음 중 컴파일러(Compiler) 언어와 인터프리터(Interpreter) 언어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프리터 언어가 컴파일러 언어보다 일반적으로 실행 속도가 빠르다.
  2. 인터프리터 언어는 대화식 처리가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컴파일러 언어는 불가능하다.
  3. 컴파일러 언어는 목적 프로그램이 생성되는 반면, 일반적으로 인터프리터 언어는 목적 프로그램이 생성되지 않는다.
  4. 인터프리터는 번역 과정을 따로 거치지 않고 각 명령문에 대한 해석(Decoding)을 거쳐 직접 처리한다.
(정답률: 38%)
  • "인터프리터 언어가 컴파일러 언어보다 일반적으로 실행 속도가 빠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컴파일러 언어가 실행 속도가 빠르다. 이는 컴파일러 언어가 전체 코드를 한 번에 번역하여 목적 코드를 생성하고, 이후에는 생성된 목적 코드를 실행하기 때문이다. 반면 인터프리터 언어는 각 명령문마다 번역과 실행을 반복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느릴 수 있다.

    인터프리터 언어가 대화식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은 맞지만, 컴파일러 언어도 대화식 처리가 가능하다.

    컴파일러 언어는 목적 프로그램이 생성되지만, 인터프리터 언어는 목적 프로그램이 생성되지 않는다.

    인터프리터는 각 명령문에 대한 해석을 거쳐 직접 처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정보보안 기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암호화, 접근 통제 등 정보보호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
  2. 정보 시스템과 네트워크에서 정보의 안전,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바이러스 백신, 운영체제 보안, 침입 탐지, 침입 차단, 가상 사설망 등의 응용 기술
  3. 보안 기반 기술과 응용 기술을 이용하는 정보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보안 관리 기술
  4. 셰어웨어 및 상업용 소프트웨어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상표등록 관리 기술
(정답률: 63%)
  • 셰어웨어 및 상업용 소프트웨어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상표등록 관리 기술은 정보보안 기술이 아닙니다. 이 기술은 저작권 보호와 관련된 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정보 시스템과 네트워크의 보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연속적으로 조금씩 전송함으로써 전체를 다운로드(Download) 받지 않고도 실시간(Real-Time)으로 재생시켜 주는 기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Streaming
  2. Video On Demand
  3. Hypertext
  4. Animation
(정답률: 71%)
  • 정답은 "Streaming"이다. Streaming은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연속적으로 조금씩 전송함으로써 전체를 다운로드 받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재생시켜 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Streaming은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것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인터넷 윤리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이버 공간의 무질서와 혼돈에 대한 하나의 반응으로 출현한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경험이나 제도, 정책의 변형 필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2. 국지적 윤리가 아닌 세계 보편윤리가 되어야 한다.
  3. 인터넷과 관련된 인간의 책임을 강조하는 윤리가 되어야 한다.
  4. 향후 정보통신 기술이 수반하게 될 제반 윤리적인 문제는 사후에 반영되어야 한다.
(정답률: 61%)
  • "사후에 반영되어야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닌가요? 인터넷 윤리는 인터넷과 관련된 인간의 책임을 강조하고, 사이버 공간의 무질서와 혼돈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하며, 국지적 윤리가 아닌 세계 보편윤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향후 정보통신 기술이 수반하게 될 제반 윤리적인 문제는 사후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내용은 인터넷 윤리의 기능 중 하나로서, 새로운 기술이 출현하면서 생길 수 있는 윤리적인 문제들을 예측하고, 그에 대한 대응책을 사전에 마련하는 것이 아닌, 문제가 발생한 후에 대처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하드디스크로 부팅이 되지 않을 경우 취해야 할 조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단 부팅 가능한 CD-ROM이나 플로피디스크로 부팅해 본다.
  2. CMOS 설정에서 하드디스크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3. 메모리 부족 현상이므로 메모리를 증설한다.
  4. 부팅 디스크를 이용하여 디스크 검사를 한다.
(정답률: 66%)
  • "메모리 부족 현상이므로 메모리를 증설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하드디스크로 부팅이 되지 않을 경우 메모리 부족 현상은 아니기 때문이다. 메모리 부족 현상은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CPU)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산장치(ALU)와 주기억장치(Main Memory)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일반적으로 RISC는 CISC에 비해 명령어 종류가 많다.
  3. 연산될 자료를 보관하는 레지스터를 데이터 레지스터라고 한다.
  4. 명령 레지스터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이다.
(정답률: 35%)
  • 연산장치(ALU)와 주기억장치(Main Memory)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옳지 않음
    일반적으로 RISC는 CISC에 비해 명령어 종류가 많다. - 옳지 않음
    연산될 자료를 보관하는 레지스터를 데이터 레지스터라고 한다. - 옳음. 데이터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서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로, 연산장치(ALU)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된다.
    명령 레지스터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이다. - 옳음. 명령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서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로,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와 함께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에서 주소 대신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기억장치는?

  1. 가상(Virtual) 기억장치
  2. 연상(Associative) 기억장치
  3. 캐시(Cache) 기억장치
  4. 보조(Auxiliary) 기억장치
(정답률: 49%)
  • 연상 기억장치는 주소 대신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기억장치입니다. 이는 주소를 직접 지정하지 않고도 기억장치 내의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어 매우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상 기억장치는 캐시 기억장치와 함께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공중 데이터 통신망(Public Data Network)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에는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과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이 있다. 다음 중 패킷 교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일정하게 고정된 경로를 사용한다.
  2. 회선교환에 비해서 대규모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3. 정보 전송의 필요성이 생겼을 경우 상대방을 호출하여 물리적으로 회선을 연결한다.
  4. 가상회선(Virtual Circuit) 방식과 데이터그램(Datagram) 방식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정답률: 36%)
  • 패킷 교환은 데이터를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전송되며 도착 순서와 경로가 다를 수 있다. 이 방식은 대규모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회선 교환에 비해 경제적이다. 가상회선(Virtual Circuit) 방식과 데이터그램(Datagram) 방식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가상회선 방식은 데이터 전송 중 일정한 경로를 사용하며, 데이터 전송이 끝날 때까지 해당 경로를 유지한다. 데이터그램 방식은 각 패킷이 독립적으로 전송되며, 경로와 도착 순서가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PC에서 메인보드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데이터의 송수신과 관련된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CPU, 기억장치, 시스템버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것은?

  1. 바이오스
  2. 칩셋
  3. 모듈 램
  4. 연결 포트
(정답률: 51%)
  • 칩셋은 PC에서 메인보드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로, 데이터의 송수신과 관련된 제어를 담당합니다. CPU, 기억장치, 시스템버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며, 이를 통해 컴퓨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칩셋"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데이터 전송시 변조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변조는 데이터를 손실 없이 가능하면 멀리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2. 변조는 근거리 전송에만 사용되며, 장거리 전송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3. 변조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반송파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4. 변조는 수신된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시키는 기능이다.
(정답률: 50%)
  • 변조는 데이터를 손실 없이 가능하면 멀리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CPU가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프린터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처리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해 두었다가 전송하는 기법은?

  1. 순서배치
  2. 가상기억
  3. 스풀링
  4. 시분할
(정답률: 54%)
  • CPU가 프린터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스풀링은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해 두었다가 전송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CPU는 다른 작업을 수행하면서도 프린터로의 데이터 전송을 보다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풀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트맵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는 BMP, JPG, GIF 등이 있다.
  2. 백터 그래픽 파일 형식으로는 DXF, WMF, CDR 등이 있다.
  3. 사운드 파일 형식으로는 MP3, PNG, MPEG 등이 있다.
  4.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는 AVI, DVI, MOV 등이 있다.
(정답률: 52%)
  • 사운드 파일 형식으로는 PNG이 존재하지 않는다. PNG는 비트맵 이미지 파일 형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에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해 실제로 사용되는 조건에서 처리 능력을 테스트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버그 테스트
  2. 베타 테스트
  3. 메모리 테스트
  4. 벤치마크 테스트
(정답률: 39%)
  • 벤치마크 테스트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해 실제로 사용되는 조건에서 처리 능력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버그를 찾는 테스트, 제품 출시 전 최종 테스트, 메모리 용량 등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오늘날 컴퓨터의 기본원리인 프로그램 내장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억장치에 계산의 순서를 미리 저장한다.
  2. 프로그램은 실행 전 주기억장치에 저장된다.
  3. 명령처리는 프로그램 계수기(Program Counter)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4. 1671년 라이프니츠에 의해 이론이 정립되었다.
(정답률: 59%)
  • "1671년 라이프니츠에 의해 이론이 정립되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컴퓨터가 발명되기 전인 1671년에는 프로그램 내장방식과 같은 컴퓨터의 기본원리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프로그램 내장방식은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점차 발전해온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컴퓨터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된 문제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범용 컴퓨터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용이하다.
  2. 워크스테이션은 고성능 컴퓨터로 CISC 프로세서를 주로 사용한다.
  3. 미니컴퓨터는 마이크로컴퓨터보다 처리 용량과 속도가 뛰어나다.
  4.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의 장점을 혼합한 형태이다.
(정답률: 68%)
  • 1. "범용 컴퓨터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용이하다." - 옳은 설명입니다. 범용 컴퓨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컴퓨터를 말합니다. 이러한 컴퓨터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하드웨어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워크스테이션은 고성능 컴퓨터로 CISC 프로세서를 주로 사용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워크스테이션은 고성능 컴퓨터로, 주로 과학, 엔지니어링, 디자인 등의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이러한 컴퓨터는 CISC 프로세서를 주로 사용하여 높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3. "미니컴퓨터는 마이크로컴퓨터보다 처리 용량과 속도가 뛰어나다." -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미니컴퓨터는 마이크로컴퓨터보다 처리 용량과 속도가 높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는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마이크로컴퓨터도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미니컴퓨터와의 구분이 모호해졌습니다.

    4.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의 장점을 혼합한 형태이다." - 옳은 설명입니다.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의 컴퓨터를 말합니다. 이러한 컴퓨터는 디지털 데이터와 아날로그 데이터를 모두 처리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래픽 기법에서 3차원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과정 중의 하나로 물체의 모형에 명암과 색상을 입혀 사실감을 나타내는 처리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디더링
  2. 모델링
  3. 랜더링
  4. 필터링
(정답률: 51%)
  • 랜더링은 3차원 모델링된 물체에 명암과 색상을 입혀 실제감을 나타내는 처리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랜더링입니다. 디더링은 이미지나 영상에서 발생하는 디지털 잡음을 줄이는 기술, 모델링은 3차원 물체를 만드는 과정, 필터링은 이미지나 영상에서 원하지 않는 정보를 제거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레지스터(Register)의 크기
  2. 캐시메모리(Cache Memory)의 크기
  3. 램(RAM) 용량의 크기
  4. 롬(ROM) 용량의 크기
(정답률: 47%)
  • 레지스터(Register)의 크기는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CPU가 데이터를 처리할 때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레지스터의 크기가 크면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지스터의 크기가 데이터 처리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기업체, 은행 등의 본ㆍ지점 간에 발생하는 내부 업무처리를 위해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보다 인터넷망을 사용할 경우 재택 근무가 가능해지고 어디에서나 회사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회사 업무의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Intranet
  2. InterLAN
  3. VAN
  4. OSI
(정답률: 51%)
  • Intranet은 기업체나 조직 내부에서 사용하는 전용 네트워크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구축된 것이다. 따라서 재택 근무나 어디에서나 회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InterLAN은 서로 다른 지역의 LAN을 연결하는 것을 의미하며, VAN은 가상 사설망을 의미한다. OSI는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의 표준 모델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등의 디지털 콘텐트에 사람의 육안으로는 구별할 수 없도록 저작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불법 복제를 막는 기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카피라잇(Copyright)
  2. 카피레프트(Copyleft)
  3. 워터마킹(Watermarking)
  4. 스패밍(Spamming)
(정답률: 58%)
  • 워터마킹은 디지털 콘텐트에 저작권 정보를 삽입하여 불법 복제를 막는 기술이다. 이 정보는 사람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특정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워터마킹은 디지털 콘텐트의 저작권 보호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각각의 통신망 구조(Topology)에 대한 장점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타(STAR)형 - 고장 발견이 쉽고 유지보수 및 확장이 용이하다.
  2. 링(RING) 형 - 노드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버스(BUS)형 - 설치가 용이하고 케이블링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4. 망(MESH)형 - 응답시간이 빠르다.
(정답률: 62%)
  • 링(RING) 형의 장점은 "노드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가 아니라, "데이터 전송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며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입니다. 링 형태의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노드가 순환하는 링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한 노드에서 발생한 문제가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링(RING) 형 - 노드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