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10-14)

워드프로세서 (구 1급)
(2007-10-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워드프로세싱 일반

1. 다음 중 문서의 간인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는?

  1. 법률관계의 결과가 확인된 문서
  2. 허가, 인가, 등록 등에 관계되는 문서
  3. 전후관계를 명백히 할 필요가 있는 문서
  4. 사실 또는 법률관계의 증명에 관계되는 문서
(정답률: 66%)
  • "법률관계의 결과가 확인된 문서"는 이미 법적으로 인정되어 확인된 결과를 담고 있기 때문에 간인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의 목적에 따라 간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문서 작성시 사용되는 글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트맵 글꼴은 매끄럽지 못하고 확대하면 계단현상이 발생한다.
  2.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글꼴들을 대부분의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할 수 있다.
  3. 벡터 방식의 글꼴은 점과 점을 연결하는 곡선과 선분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4. 트루타입 글꼴은 글자를 점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화면에 보이는 것과 다른 형태로 출력된다.
(정답률: 70%)
  • 정답은 "트루타입 글꼴은 글자를 점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화면에 보이는 것과 다른 형태로 출력된다." 이다.

    트루타입 글꼴은 벡터 방식의 글꼴로, 곡선과 선분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화면에 보이는 것과 출력된 것이 다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보고심사기준이 아닌 것은?(사무관리규정 개정으로 제외된 문제입니다. 정답은 4번 입니다.)

  1. 관계기관 등과의 사전협의 여부
  2. 행정용어 순화 여부
  3. 표본조사의 가능성
  4. 발신방법의 지정 여부
(정답률: 86%)
  • 발신방법의 지정 여부는 보고서의 내용과는 관련이 없는 기술적인 사항이기 때문에 보고심사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보고서의 내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보고심사기준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전자출판에 사용되는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리터칭(Retouching) : 기존의 그림을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2. 오버프린트(Over Print)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을 때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3. 필터링(Filtering) : 작성된 그림을 필터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이미지로 탈바꿈시켜 주는 기능이다.
  4. 클립아트(Clip Art) : 작업문서에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그림을 모아 둔 작은 그림의 모음집이다.
(정답률: 74%)
  • 오버프린트(Over Print)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을 때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 옳은 설명입니다.

    설명: 오버프린트는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을 때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과 섞이면서 색상이 변하거나 투명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인쇄물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디자인 작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대상체의 색상을 조절하거나 배경색을 변경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같은 크기의 편집 용지에 문단 모양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을 경우 문단 첫 행의 길이가 가장 짧아지는 것은?

  1. 왼쪽 여백 5, 내어 쓰기 4, 오른쪽 여백 4
  2. 왼쪽 여백 6, 들여 쓰기 2, 오른쪽 여백 0
  3. 왼쪽 여백 4, 내어 쓰기 2, 오른쪽 여백 6
  4. 왼쪽 여백 4, 들여 쓰기 2, 오른쪽 여백 4
(정답률: 59%)
  • 정답은 "왼쪽 여백 4, 들여 쓰기 2, 오른쪽 여백 4" 입니다.

    들여 쓰기는 문단의 첫 행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첫 행의 길이가 짧아집니다. 내어 쓰기는 문단 전체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첫 행의 길이는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왼쪽 여백이 작고 들여 쓰기가 적용된 "왼쪽 여백 4, 들여 쓰기 2, 오른쪽 여백 4"가 첫 행의 길이가 가장 짧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억장치는 처리 속도와 사용용도, 기억 용량의 크기 등에 따라 캐시기억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2. 주기억장치는 프로그램 기억 장소, 입력 데이터 기억 장소, 작업 장소 및 출력 데이터 기억 장소로 사용되며, 내부 기억장치라고도 한다.
  3. 주기억장치는 중앙처리장치(CPU)보다 실행 속도가 늦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이다.
  4. 보조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별도로 기억시켜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억장치이다.
(정답률: 74%)
  • 주기억장치는 중앙처리장치(CPU)보다 실행 속도가 늦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이 아닌, 캐시기억장치이다. 캐시기억장치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두어 실행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유니코드(KS X 1005-1)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영문과 공백은 1바이트, 한글과 한자는 2바이트로 처리한다.
  2. '必勝 KOREA’라는 문자열을 입력할 경우 최소 16바이트의 기억공간이 필요하다.
  3. 정보 교환 시 제어문자와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4. 조합형 한글 코드에 비해 적은 기억공간을 사용한다.
(정답률: 64%)
  • "'必勝 KOREA’라는 문자열을 입력할 경우 최소 16바이트의 기억공간이 필요하다." 이유는 한글과 한자가 2바이트로 처리되기 때문이다. '必勝 KOREA'는 한글과 영문이 섞여 있으므로 한글은 2바이트, 영문과 공백은 1바이트로 처리되어 총 10바이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최소 16바이트의 기억공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문서의 효력 발생에 대한 견해로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것은?

  1. 표백주의
  2. 발신주의
  3. 도달주의
  4. 요지주의
(정답률: 74%)
  • 우리나라에서는 "도달주의"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문서가 상대방에게 도달한 시점부터 효력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문서를 발송한 측에서는 상대방이 문서를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상대방이 받았다는 증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액정표시장치(LC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액정결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유리판에 전압을 가해 반사되는 빛의 양을 변화시켜 문자나 도형을 표시한다.
  2. 가볍고 소형이므로 휴대 및 이동이 쉽다.
  3. CRT 디스플레이에 비해 화면이 크고, 입출력 속도가 빠르다.
  4. 화면의 떨림이 없고, 비발광체로 눈에 부담이 적다.
(정답률: 48%)
  • 액정표시장치(LC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CRT 디스플레이에 비해 LCD의 화면이 크고, 입출력 속도가 빠른 이유는 LCD가 디지털 신호를 직접 처리하기 때문이다. CRT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므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LCD에 비해 입출력 속도가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스풀링(Spool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쇄물을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했다가 인쇄한다.
  2. 인쇄 중에 또 다른 문서를 불러들여 편집할 수 있다.
  3. 프린터의 인쇄 속도를 향상시킨다.
  4. CPU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정답률: 59%)
  • "프린터의 인쇄 속도를 향상시킨다."는 옳은 설명이다. 스풀링은 인쇄 작업을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여 프린터가 인쇄를 처리하는 동안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프린터의 인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문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능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커닝(Kerning)
  2. 템플릿(Template)
  3. 워드 랩(Word Wrap)
  4. 메일 머지(Mail Merge)
(정답률: 79%)
  • 문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능은 커닝(Kerning)이다. 커닝은 인접한 두 문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더 자연스러운 글꼴 모양을 만들어주는 기능이다. 따라서 커닝은 문자 간격 조정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탭(Ta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탭 설정은 문단 단위로 적용된다.
  2. 탭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3. 탭의 종류도 선택할 수 있다.
  4. 탭으로 들여 쓰기, 문단의 정렬방식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49%)
  • "탭 설정은 문단 단위로 적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탭 설정은 문장이나 단어 단위로 적용될 수도 있다.

    탭은 일정한 간격으로 텍스트를 정렬하거나 들여쓰기를 할 때 사용된다. 탭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탭의 종류도 선택할 수 있다. 탭 설정은 문단의 정렬방식뿐만 아니라 문장이나 단어의 정렬에도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용구(Glossary) : 자주 사용하는 문자열을 미리 등록하였다가 필요할 때 입력하는 기능으로 정형구 또는 약어등록이라고도 한다.
  2. 자동 반복(Auto Repeating) : 키보드를 누르고 있는 동안 같은 문자가 계속 입력되는 것을 말한다.
  3. 디폴트(Default) : 문서의 서식 등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값으로 사용자가 특별히 지정하지 않으면 값이 그대로 적용된다.
  4. 보일러 플레이트(Boiler Plate) : 문서의 내용 중 참고 문헌, 보충 설명 등을 마지막 페이지에 설명하는 기능이다.
(정답률: 67%)
  • 보일러 플레이트(Boiler Plate) : 문서의 내용 중 참고 문헌, 보충 설명 등을 마지막 페이지에 설명하는 기능이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보일러 플레이트는 문서의 내용 중 반복되는 부분을 미리 작성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불러와서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보기의 DRAM을 개발된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가)-(다)-(라)-(나)
  2. (가)-(라)-(다)-(나)
  3. (다)-(라)-(나)-(가)
  4. (다)-(가)-(라)-(나)
(정답률: 52%)
  • (가) - SDRAM: 처음으로 동기식 DRAM으로서, 높은 대역폭과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여 컴퓨터 성능을 향상시켰다.

    (다) - DDR SDRAM: SDRAM의 발전된 형태로, 데이터 전송률을 높여주는 더블 데이터 전송 기술을 도입하여 더욱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

    (라) - DDR2 SDRAM: DDR SDRAM의 발전된 형태로, 더욱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낮은 전력 소비를 제공한다.

    (나) - DDR3 SDRAM: DDR2 SDRAM의 발전된 형태로, 더욱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낮은 전력 소비를 제공하며, 더욱 높은 용량도 지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문서를 작성할 때 문단의 첫째 줄 맨 앞부분을 안으로 들어가게 하는 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아웃덴트(Outdent)
  2. 인덴트(Indent)
  3. 왼쪽 정렬(Left Align)
  4. 여백(Margin)
(정답률: 75%)
  • 인덴트(Indent)는 문단의 첫째 줄 맨 앞부분을 안으로 들어가게 하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문서의 구조를 더욱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글쓰기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특정 워드프로세서로 만든 문서를 다른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읽거나 출력하려고 할 때 원래의 문서와 가장 가까운 형태로 변환하려면 어떤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이 좋은가?

  1. 일반 텍스트 파일(*.txt)
  2. HTML 문서(*.html)
  3. 서식 있는 문자열(*.rtf)
  4. 문서 서식 파일(*.dot)
(정답률: 60%)
  • 서식 있는 문자열(*.rtf)은 다양한 워드프로세서에서 호환성이 높은 형식이기 때문에, 원래의 문서와 가장 가까운 형태로 변환하기에 적합합니다. 이 형식은 텍스트, 이미지, 표, 그래프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식, 글꼴, 크기, 색상 등의 스타일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워드프로세서에서도 원래의 문서와 유사한 형태로 출력하거나 편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저장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기억장치인 RAM에 기억되어 있던 문서를 보조기억장치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2. 워드프로세서에서는 기본으로 제공하는 하나의 파일형식으로만 저장할 수 있다.
  3. 저장된 파일 형태에 따라 확장자가 다르다.
  4. 일반적으로 확장자 TXT로 저장된 문서는 메모장이나 워드패드에서 편집이 가능하다.
(정답률: 68%)
  • "워드프로세서에서는 기본으로 제공하는 하나의 파일형식으로만 저장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워드프로세서에서는 다양한 파일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oc, .docx, .pdf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엑셀로 작성한 워크시트 파일을 워드 문서에 삽입하려면, 다음 중 어떤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가?

  1. 메일 머지
  2. 문서 마당
  3. OLE 개체 삽입
  4. 프리젠테이션
(정답률: 74%)
  • OLE 개체 삽입 기능은 다른 프로그램에서 작성한 파일을 현재 문서에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이다. 따라서 엑셀로 작성한 워크시트 파일을 워드 문서에 삽입하려면 OLE 개체 삽입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문서의 분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교정부호들로만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정답률: 81%)
  • ""은 "새로운 단락 시작"을 나타내는 교정부호이며, 문서의 분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 짝지어지는 것이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교정부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 문서에서 줄 간격을 띄우라는 부호이다.
  2. : 단어나 문자의 위치를 변경하라는 부호이다.
  3. : 지정된 부분을 아래로 내리라는 부호이다.
  4. : 불필요한 내용을 삭제하는 부호이다.
(정답률: 76%)
  • 교정부호 " : 지정된 부분을 아래로 내리라는 부호이다."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없다. 이 부호는 텍스트나 문서에서 특정 부분을 아래로 내리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 운영 체제

21. 한글 Windows XP에서 인터넷 연결 공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넷 연결 공유(ICS)를 사용하면 하나의 외부 인터넷 연결선만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에 속한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
  2. 인터넷 연결 공유를 설정한 다음에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고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으면 Internet Explorer 및 Outlook Express와 같은 프로그램을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에 직접 연결된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3. [제한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 사용자도 인터넷 연결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4. 인터넷 연결 공유를 사용하면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 새로운 고정 IP 주소가 기본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TCP/IP 연결의 재설정이 필요하다.
(정답률: 55%)
  • "[제한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 사용자도 인터넷 연결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Windows XP에서 인터넷 연결 공유를 설정할 때 모든 사용자가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기본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한글 Windows XP에서 압축 폴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압축 폴더 기능을 사용하여 폴더를 압축하면 디스크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압축한 폴더를 다른 컴퓨터로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2. 압축 폴더와 파일 또는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이나 프로그램을 일반 폴더에서 사용하는 것과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3. 압축 폴더를 컴퓨터의 다른 드라이브나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다른 파일 압축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들과 압축 폴더를 공유할 수 있다.
  4. 다른 파일에 종속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려고 할 경우에 압축을 풀지 않고 압축 폴더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다.
(정답률: 61%)
  • "다른 파일에 종속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려고 할 경우에 압축을 풀지 않고 압축 폴더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압축 폴더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먼저 압축을 푸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압축 폴더에서 직접 실행하려고 하면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한글 Windows XP에서 문서 편집기인 [메모장]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양한 문자 집합을 사용하는 문서를 가지고 작업할 때 융통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유니코드, ANSI, UTF-8 또는 big-endian 유니코드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2. 웹 페이지를 만드는데 간단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3. 아주 기본적인 서식만을 지원하므로 순수 텍스트만 필요한 문서에 특별한 서식이 함께 저장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4. 문서를 편집할 때 OLE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5%)
  • "문서를 편집할 때 OLE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메모장은 OLE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OLE은 객체 링크 및 임베드 기술로, 다른 프로그램에서 만든 객체를 메모장에 삽입하거나 메모장에서 만든 객체를 다른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탐색기] 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바로 가기 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lt]+[Enter] : 선택된 개체에 대한 등록정보를 나타낸다.
  2. [Backspace] : 현재 폴더의 상위 폴더로 이동한다.
  3. [F3] : 선택된 개체의 이름을 변경한다.
  4. Numeric Keypad의 [+] : 폴더 목록 창에서 [+] 표시를 가지고 있는 선택된 폴더의 하위 폴더 목록을 펼쳐서 보여준다.
(정답률: 66%)
  • "[F3] : 선택된 개체의 이름을 변경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F2] 키를 사용하여 선택된 개체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F3] 키는 선택된 파일이나 폴더의 내용을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한글 Windows XP에서 프린터의 스풀 설정을 [마지막 페이지까지 스풀한 후 인쇄 시작]을 선택한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쇄 속도는 빨라지지만 동시에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없다.
  2. 문서 전체를 스풀한 다음에 내용을 한 번에 프린터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3. 하드디스크 공간을 가장 적게 사용하는 방식이다.
  4.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63%)
  • 정답은 "문서 전체를 스풀한 다음에 내용을 한 번에 프린터로 전송하는 방식이다."이다. 이 방식은 인쇄 속도가 빨라지지만, 문서 전체를 스풀한 후에야 프린터로 전송하기 때문에 동시에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하드디스크 공간을 적게 사용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휴지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 드라이브나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에서 복원할 수 없다.
  2. 파일을 선택하여 [휴지통]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면 삭제된다.
  3. [휴지통]에서 여러 파일을 선택하여 동시에 복원할 수 있다.
  4. [휴지통]에 있는 실행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정답률: 68%)
  • "[휴지통]에 있는 실행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인해 한글 Windows XP에서는 불가능하다. [휴지통]에 있는 실행 파일을 실행하려면 먼저 해당 파일을 [휴지통]에서 복원한 후 실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글 Windows의 응용 프로그램 간의 자료 교환 방식이다.
  2. 데이터를 제공하는 OLE 서버 쪽에 변경이 있으면 제공받는 OLE 클라이언트 쪽에서도 다시 삽입시켜야 반영된다.
  3. 데이터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그램이 모두 열려 있을 경우에만 사용하는 DDE(Dynamic Data Exchange)보다 발전된 개념이다.
  4. 여러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자나 그림들을 다른 문서에서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된 이미지에 대한 수정도 편리하게 실행되는 기능이다.
(정답률: 46%)
  • 정답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OLE 서버 쪽에 변경이 있으면 제공받는 OLE 클라이언트 쪽에서도 다시 삽입시켜야 반영된다."이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OLE은 객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이 때 객체를 제공하는 OLE 서버 쪽에서 변경이 있으면 제공받는 OLE 클라이언트 쪽에서도 다시 삽입시켜야 반영된다. 이는 OLE의 단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부팅 모드 중에서 [안전 모드]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바이러스에 감염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지 않도록 하는 모드이다.
  2. 최소의 장치로 부팅하여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드이다.
  3.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시스템이 자동으로 시작되지 않도록 하는 모드이다.
  4. 시스템에 문제없이 마지막으로 부팅한 상태의 모드로 다시 부팅하는 모드이다.
(정답률: 63%)
  • [안전 모드]는 최소의 장치로 부팅하여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액세스 제어를 유지하고 제한된 계정을 지원하려면 NTFS를 사용해야 한다.
  2. NTFS는 FAT 또는 FAT32보다 강력한 보안 기능뿐만 아니라 Active Directory를 호스트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3. 드라이브 변환기를 이용하여 NTFS 형식을 FAT32 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4. NTFS는 FAT32와 비교하여 큰 용량의 디스크에 적합한 파일 시스템이다.
(정답률: 48%)
  • "드라이브 변환기를 이용하여 NTFS 형식을 FAT32 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반대로, 드라이브 변환기를 이용하여 FAT32 형식을 NTFS 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유는 NTFS가 FAT32보다 더 많은 기능과 보안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한글 Windows XP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로그온 할 때마다 연결된 드라이브에 다시 연결하려면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창에서 [로그온 할 때 다시 연결] 확인란을 선택한다.
  2. 해당 호스트 컴퓨터가 사용 가능하지 않아도 연결된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다.
  3.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Z부터 A까지 문자가 지정되지만 하드 드라이브 및 이동식 저장소 장치와 같은 로컬 드라이브는 A부터 Z까지 지정된다.
  4. 해당 드라이브의 연결을 끊은 다음 새 드라이브 문자로 다시 지정하여 컴퓨터나 공유 폴더를 다른 드라이브 문자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47%)
  • 해당 호스트 컴퓨터가 사용 가능하지 않아도 연결된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만약 호스트 컴퓨터가 사용 불가능하다면 해당 드라이브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한글 Windows XP에서 [제어판]의 [글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글꼴]을 더블클릭하여 [글꼴] 창을 열면 컴퓨터에 설치된 글꼴을 볼 수 있다.
  2. [프린터]를 설치할 때 설치된 글꼴은 워드패드와 같은 Windows 기반 프로그램의 글꼴 목록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글꼴] 창에는 표시된다.
  3. 컴퓨터에 설치된 글꼴을 삭제하려면 [글꼴] 창에서 삭제할 글꼴 아이콘을 선택한 후에 [파일] 메뉴에서 [삭제]를 클릭한다.
  4. 컴퓨터에 새 글꼴을 추가하려면 [글꼴] 창에서 [파일] 메뉴의 [새 글꼴 설치]를 클릭한 후에 글꼴을 추가할 수 있다.
(정답률: 56%)
  • "[프린터]를 설치할 때 설치된 글꼴은 워드패드와 같은 Windows 기반 프로그램의 글꼴 목록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글꼴] 창에는 표시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프린터를 설치할 때 설치된 글꼴은 Windows 기반 프로그램의 글꼴 목록에도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한글 Windows XP에서 [보조 프로그램]의 [사용자 정의 문자 편집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성한 문자를 글꼴 라이브러리의 특정 글꼴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기존의 문자를 모델로 하여 새로운 문자를 만들 수 있다.
  3. 작성한 문자를 글꼴 라이브러리의 모든 글꼴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기본으로 아스키코드 문자집합을 사용하여 문자를 만들 수 있다.
(정답률: 46%)
  • "기본으로 아스키코드 문자집합을 사용하여 문자를 만들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다. 사용자 정의 문자 편집기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문자를 만들 수 있으며, 이 때 사용되는 문자 집합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으로 아스키코드 문자집합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icrosoft 네트워크용 클라이언트]는 Microsoft 네트워크에 있는 리소스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2.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은 인터넷과 WAN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며, 다양하게 연결된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 제공한다.
  3. [Microsoft 네트워크용 파일 및 프린터 공유]는 Microsoft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 있는 리소스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4. [네트워크 어댑터]는 논리적인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정답률: 47%)
  • "[네트워크 어댑터]는 논리적인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소프트웨어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네트워크 어댑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와 같은 하드웨어와 함께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로, 컴퓨터와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탐색기] 창에서 마우스를 이용하여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복사 또는 이동하려고 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일한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다른 폴더로 파일을 복사할 경우에는 [Tab] 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 앤 드롭한다.
  2. 동일한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다른 폴더로 파일을 이동할 경우에는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 앤 드롭한다.
  3. 다른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다른 폴더로 파일을 복사할 경우에는 [Alt] 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 앤 드롭한다.
  4. 다른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다른 폴더로 파일을 이동할 경우에는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 앤 드롭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다른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다른 폴더로 파일을 이동할 경우에는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 앤 드롭한다." 이다. 이유는 다른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이동하거나 복사할 때는 원본 파일이나 폴더와 대상 폴더가 다른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기 때문에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이동하거나 복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한글 Windows XP에서 [제어판]의 [폴더 옵션] 창의 [일반] 탭에서 수행할 수 없는 것은?

  1. 같은 창 또는 다른 창에서 폴더 열기에 대한 선택
  2. 폴더 열기를 할 때 한번 또는 두 번 클릭의 선택
  3. 폴더에 일반 작업 표시 또는 Windows 기본 폴더의 사용을 선택
  4. 제목 표시줄에 전체 경로 표시 선택
(정답률: 53%)
  • 한글 Windows XP에서는 [제목 표시줄에 전체 경로 표시 선택]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이는 Windows XP에서는 이 옵션이 지원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옵션은 Windows Vista 이후 버전에서 지원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현재 열려있는 폴더의 전체 경로가 제목 표시줄에 표시되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한글 Windows XP에서 [작업 표시줄]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수행할 수 없는 것은?

  1. 작업 표시줄에 도구 모음을 추가할 수 있다.
  2. [작업 관리자] 창을 오픈할 수 있다.
  3. 바탕 화면 아이콘을 정렬할 수 있다.
  4. 작업 표시줄 잠금을 할 수 있다.
(정답률: 59%)
  • 정답: 바탕 화면 아이콘을 정렬할 수 있다.

    설명: 한글 Windows XP에서 [작업 표시줄]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는 도구 모음 추가, 작업 관리자 창 오픈, 작업 표시줄 잠금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바탕 화면 아이콘을 정렬하는 기능은 해당 메뉴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이 기능은 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정렬] 메뉴에서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자 계정이 ‘Administrator'일 때 [내 문서] 폴더가 실제로 저장되어 있는 위치는?

  1. C:\Windows\My Documents
  2. C:\My Documents
  3. C:\My Documents\Administrator\내문서
  4. C:\Documents and Setting\Administrator\My Documents
(정답률: 44%)
  • 한글 Windows XP에서 [내 문서] 폴더는 기본적으로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명My Documents 경로에 저장됩니다. 따라서 사용자 계정이 ‘Administrator’일 경우, [내 문서] 폴더는 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My Documents 경로에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레지스트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레지스트리’란 컴퓨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소를 의미한다.
  2. 한글 Windows XP에서는 ‘regedit.exe’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레지스트리의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3. 레지스트리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백업되기 때문에 자료를 실수로 삭제하더라도 언제든지 원상태로 다시 복구시킬 수 있다.
  4. 레지스트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한글 Windows XP에 설치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지속적으로 참조된다.
(정답률: 65%)
  • "레지스트리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백업되기 때문에 자료를 실수로 삭제하더라도 언제든지 원상태로 다시 복구시킬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레지스트리는 자동으로 백업되지 않으며, 백업을 수동으로 생성해야 한다.

    레지스트리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소를 의미하며, 한글 Windows XP에서는 ‘regedit.exe’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레지스트리의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레지스트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한글 Windows XP에 설치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지속적으로 참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한글 Windows XP에서 [제한된 계정]을 가진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 내용이 아닌 것은?

  1.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설치
  2. 현재 사용자 암호 만들기
  3. 현재 사용자의 그림 변경
  4. 폴더 생성 및 삭제
(정답률: 47%)
  • [제한된 계정]은 시스템 설정을 변경하거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설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한글 Windows XP에서 [제어판]에 있는 [내게 필요한 옵션] 등록 정보 창의 [키보드] 탭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고정키를 사용하면 동시에 두 개의 키를 누르기가 힘든 경우 [Shift], [Ctrl] 또는 [Alt] 키를 눌려 있는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2. 필터키를 사용하면 짧은 시간동안 눌려진 키 또는 빠르게 반복되는 키 입력을 무시하도록 하거나 키의 반복 속도를 느리게 지정할 수 있다.
  3. 토글키를 사용하면 [Caps Lock], [Num Lock], [Scroll Lock] 키를 누를 때 신호음을 들을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4. 바로 가기 키를 사용하면 Windows에서 사용하는 모든 바로 가기 키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55%)
  • 정답은 "바로 가기 키를 사용하면 Windows에서 사용하는 모든 바로 가기 키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가 아닌 것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바로 가기 키는 Windows에서 사용하는 모든 바로 가기 키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특정 키 조합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바로 가기 키를 사용하여 Windows에서 사용하는 모든 바로 가기 키 설정을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 및 정보활용

41. 다음 중 CPU가 사용하는 명령어가 주소지정 방식이 아닌 것은?

  1. 직접 주소지정 방식
  2. 묵시적 주소지정 방식
  3. 레지스터 주소지정 방식
  4. 상용 주소지정 방식
(정답률: 31%)
  • 상용 주소지정 방식은 CPU가 사용하는 명령어가 주소지정 방식이 아닌 것이다. 이는 명령어에서 직접적으로 주소를 지정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상수나 레지스터 값을 사용하여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명령어의 길이를 줄이고, 실행 속도를 높이는 등의 이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웹 문서 관련 표준과 거리가 먼 것은?

  1. SGML
  2. XML
  3. APL
  4. HTML
(정답률: 59%)
  • APL은 웹 문서 관련 표준이 아니라,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이기 때문에 웹 문서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SGML, XML, HTML은 모두 웹 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이며, 이들은 웹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에서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네트워킹 기기가 아닌 것은?

  1. 리피터(Repeater)
  2. 라우터(Router)
  3. 브리지(Bridge)
  4. 디코더(Decoder)
(정답률: 61%)
  • 디코더는 데이터를 해독하여 원래의 형태로 변환하는 기기로, 네트워크 연결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디코더는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네트워킹 기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10MB의 데이터를 24배속 CD-ROM으로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몇 초인가?

  1. 1초
  2. 3초
  3. 5초
  4. 10초
(정답률: 61%)
  • CD-ROM의 전송 속도는 150KB/s이므로, 10MB를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0MB / 150KB/s = 약 67초입니다. 하지만 24배속 CD-ROM으로 전송하면 150KB/s x 24 = 3.6MB/s의 속도로 전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10MB를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0MB / 3.6MB/s = 약 2.78초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3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컴퓨터 시스템에서 운영체제의 목적은 유한한 리소스의 효율적인 관리이다. 다음 중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리소스의 종류와 거리가 먼 것은?

  1. Main Memory
  2. Processor
  3. BIOS
  4. Hard Disk
(정답률: 52%)
  •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리소스는 Main Memory, Processor, Hard Disk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자원들이다. 하지만 BIOS는 하드웨어적인 자원으로, 운영체제가 직접적으로 관리하지는 않는다. BIOS는 컴퓨터 부팅 시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운영체제를 로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BIOS는 운영체제의 관리 대상이 아니며, 운영체제와는 거리가 먼 자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중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한다.
  2.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서로 다르다.
  3.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RSA가 있다.
  4. 비밀키 암호화 기법에 비해 암호화와 복호화의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54%)
  • 비밀키 암호화 기법에 비해 암호화와 복호화의 속도가 빠르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대칭키 암호화 기법에 비해 속도가 느리지만, 보안성이 높아 대용량 데이터의 암호화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중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불리는 이유는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RSA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토콜’이란 통신을 원하는 두 개체간에 무엇을, 어떻게, 언제 통신할 것인가에 대해 서로 약속한 운영 규정이다.
  2.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는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순서(Timing)이다.
  3. 프로토콜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문자 방식, 바이트 방식, 비트 방식 등이 있다.
  4. 프로토콜의 구성을 회사마다 다양하게 설정하면 인터넷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48%)
  • 프로토콜의 구성을 회사마다 다양하게 설정하면 인터넷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프로토콜은 표준화된 규약으로, 모든 기업이 동일한 규약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기업 간에도 원활한 통신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비트맵 표현 방식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ixel 단위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2. 벡터 방식에 비해 기억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3. 화면에 보여주는 속도가 빠르다.
  4. BMP, PCX, JPG 등의 파일 형식을 가진다.
(정답률: 45%)
  • "벡터 방식에 비해 기억공간을 적게 차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비트맵은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이미지의 크기가 커질수록 기억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벡터 방식은 이미지를 수학적인 공식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이미지의 크기에 상관없이 기억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부호화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펄스 변조(Pulse Shift Keying)
  2. 진폭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3. 주파수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4. 위상 변조(Phase Shift Keying)
(정답률: 39%)
  • 펄스 변조는 디지털 데이터를 펄스의 위치나 간격을 조절하여 부호화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은 "펄스 변조(Pulse Shift Keying)"이다. 진폭 변조는 아날로그 신호를 변조하는 방법이며, 주파수 변조와 위상 변조는 모두 아날로그 신호를 변조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보기의 내용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언어 명을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XML - HTML - VRML - JAVA
  2. HTML - XML - JAVA - VRML
  3. HTML - VRML - XML - JAVA
  4. XML - VRML - JAVA - HTML
(정답률: 50%)
  • 정답은 "HTML - XML - JAVA - VRML"이다.

    HTML은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마크업 언어로, 웹 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정의한다. XML은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로, 데이터의 구조와 내용을 정의한다. JAVA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VRML은 가상 현실을 만들기 위한 3D 그래픽 언어로, 3D 모델링과 애니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HTML로 웹 페이지를 만들고, XML로 데이터를 표현하며, JAVA로 프로그램을 만들고, VRML로 가상 현실을 구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전송하고, 수신 후 아날로그 영상으로 복원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아날로그 영상→부호화→디지털 영상→부호화→아날로그 영상
  2. 아날로그 영상→부호화→디지털 영상→복호화→아날로그 영상
  3. 아날로그 영상→복호화→디지털 영상→부호화→디지털 영상
  4. 아날로그 영상→복호화→아날로그 영상→복호화→디지털 영상
(정답률: 63%)
  •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부호화 과정을 거칩니다. 이후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복호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영상을 얻습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영상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영상을 복원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아날로그 영상→부호화→디지털 영상→복호화→아날로그 영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단방향 통신만 가능한 시스템 버스는?

  1. 주소 버스
  2. 데이터 버스
  3. 로컬 버스
  4. 제어 버스
(정답률: 39%)
  • 주소 버스는 단방향 통신만 가능한 시스템 버스입니다. 이는 주소 버스가 CPU나 다른 장치에서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 등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즉, CPU나 다른 장치에서 주소 버스를 통해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의 주소를 보내고, 해당 장치에서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는 단방향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주소 버스는 단방향 통신만 가능한 시스템 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컴퓨터의 규모에 의한 분류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마이크로 컴퓨터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주로 한 사람이 사용하는 용도에 쓰이며 개인용 컴퓨터나 슈퍼 컴퓨터가 이에 속한다.
  2. 미니 컴퓨터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로 중형 컴퓨터라고도 하며, 마이크로 컴퓨터보다 처리 속도가 빠르다.
  3. 대형 컴퓨터는 미니 컴퓨터보다 기억용량이 크고 처리속도가 빠른 컴퓨터로서 주로 은행, 정부기관 등에서 사용된다.
  4. 워크스테이션은 개인용 컴퓨터와 미니 컴퓨터의 중간 사양 정도로서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주로 소형 서버로서 사용된다.
(정답률: 47%)
  • "마이크로 컴퓨터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주로 한 사람이 사용하는 용도에 쓰이며 개인용 컴퓨터나 슈퍼 컴퓨터가 이에 속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 마이크로 컴퓨터: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한 사람이 사용하는 용도에 쓰이는 개인용 컴퓨터를 말한다.
    - 미니 컴퓨터: 여러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로 중형 컴퓨터라고도 하며, 마이크로 컴퓨터보다 처리 속도가 빠르다.
    - 대형 컴퓨터: 미니 컴퓨터보다 기억용량이 크고 처리속도가 빠른 컴퓨터로서 주로 은행, 정부기관 등에서 사용된다.
    -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컴퓨터와 미니 컴퓨터의 중간 사양 정도로서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주로 소형 서버로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라운드로빈(Round Robin) 스케줄링(Scheduling) 기법에서 시간 할당량(Time Slice, Time Quantum)을 아주 크게 하면 다음 중 어느 스케줄링 기법과 동일하게 되는가?

  1. LIFO(Last In First Out)
  2. SRT(Shortest Remaining Time First)
  3. FCFS(First Come First Served)
  4. SJF(Shortest Job First)
(정답률: 36%)
  • 시간 할당량을 아주 크게 하면 Round Robin 스케줄링 기법은 FCFS(First Come First Served)와 동일하게 된다. 이는 시간 할당량이 크면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한 후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기까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도착한 프로세스가 먼저 CPU를 점유하게 되어 FCFS와 같은 결과를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보안위협의 유형과 관련된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웜(Worm)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속적으로 자신을 복제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높임으로써 시스템을 다운시키는 바이러스의 일종이다.
  2. 백도어(Back Door)는 서비스 기술자나 유지보수 프로그래머들이 액세스 편의를 위해 만든 보안이 제거된 비밀 통로를 의미한다.
  3. 스니핑(Sniffing)은 네트워크 주변을 지나다니는 패킷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행위이다.
  4. 스푸핑(Spoofing)은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고 있다가 실행하면 시스템에 손상을 주는 바이러스의 일종이다.
(정답률: 49%)
  • "스푸핑(Spoofing)은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고 있다가 실행하면 시스템에 손상을 주는 바이러스의 일종이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 웜(Worm)은 시스템의 부하를 높여 다운시키는 바이러스의 일종이다.
    - 백도어(Back Door)는 보안이 제거된 비밀 통로를 의미한다.
    - 스니핑(Sniffing)은 패킷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행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프로그램 내장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폰 노이만에 의해서 제안되었다.
  2.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저장하여 수행한다.
  3. 서브루틴의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 빈도에 제한이 없다.
  4. UNIVAC은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컴퓨터이다.
(정답률: 57%)
  • UNIVAC은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컴퓨터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CMOS Setup이 필요한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필요에 의해 컴퓨터의 부팅 순서를 바꾸어야 하는 경우
  2.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해 CMOS 설정 값이 모두 지워진 경우
  3.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갑자기 멈추어 동작하지 않는 경우
  4. 설치한 하드웨어가 동작하지 않아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
(정답률: 41%)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갑자기 멈추어 동작하지 않는 경우는 CMOS Setup과는 거리가 먼 경우입니다. CMOS Setup은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관련된 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의 동작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멈추는 경우에는 CMOS Setup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운영체제의 성능평가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능력(Throughput)
  2. 응답시간(Turn-around Time)
  3. 사용가능도(Availability)
  4. 회전대기시간(Latency Time)
(정답률: 53%)
  • 운영체제의 성능평가 요소 중에서 "회전대기시간(Latency Time)"은 거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회전대기시간은 디스크나 네트워크와 같은 입출력 장치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요소는 입출력 장치의 성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보기의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장치는 무엇인가?

  1. AGP
  2. USB
  3. SCSI
  4. IEEE-1394
(정답률: 72%)
  • 이 장치는 USB 포트이다. USB는 Universal Serial Bus의 약자로,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중 하나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및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다양한 종류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장기간의 출장으로 인하여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다가 부팅하였을 때 윈도 XP가 정상적으로 시작되지 않는다면 가장 먼저 시도하여야 할 옵션은 무엇인가?

  1. 안전 모드
  2. 부팅 로깅 사용
  3. 디버그 모드
  4.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
(정답률: 36%)
  •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 옵션은 이전에 정상적으로 부팅되었던 구성으로 시스템을 복원하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지 않았던 컴퓨터에서 부팅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전에 정상적으로 부팅되었던 구성으로 시스템을 복원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시도해볼 옵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