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로세서 2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10-05)

워드프로세서 2급(폐지)
(2008-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워드프로세서 용어 및 기능

1. 다음은 어느 글꼴 구현방식에 대한 설명인가?

  1. 아웃라인(Outline)
  2. 벡터(Vector)
  3. 비트맵(Bitmap)
  4. 트루타입(True Type)
(정답률: 91%)
  • 위 그림에서 보이는 글자들은 픽셀 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픽셀의 색상 정보를 가지고 있는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글꼴을 구현하는 방식을 비트맵 방식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프로그램과의 호환이 가능하다.
  2. 문서의 복사나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보완성이 좋다.
  3. 웹 문서(html)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4. 문서의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어 보안 유지가 가능하다.
(정답률: 77%)
  • 문서의 복사나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보완성이 좋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오히려 워드프로세서는 문서의 복사나 변경이 쉽기 때문에 보완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워드프로세서의 장점으로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강제 개행(Hardware Return)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Enter]키
  2. 새로운 문단을 시작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3. 복수의 영역을 지정할 때도 사용한다.
  4. 문단부호(<┙)가 생긴다.
(정답률: 85%)
  • "[Enter]키"가 강제 개행과 관련이 없습니다.

    강제 개행은 한 줄에서 다음 줄로 넘어갈 때 사용되며, 복수의 영역을 지정할 때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HTML에서는
    태그를 사용하여 강제 개행을 표시하고, CSS에서는 white-space 속성을 사용하여 강제 개행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수의 영역을 지정할 때도 사용한다."는 강제 개행과 관련된 중요한 용도 중 하나입니다. "새로운 문단을 시작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와 "문단부호(<┙)가 생긴다."도 강제 개행과 관련된 용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머리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쪽의 윗부분에 문구를 넣고자 할 때 유용하다.
  2. 머리말 영역에 쪽번호를 넣을 수 있다.
  3. 홀수쪽과 짝수쪽의 머리말을 다르게 넣을 수 있다.
  4. 머리말의 문구에 대해 글꼴과 크기, 속성 등을 변경할 수 있으나, 선을 별도로 삽입할 수는 없다.
(정답률: 71%)
  • "머리말의 문구에 대해 글꼴과 크기, 속성 등을 변경할 수 있으나, 선을 별도로 삽입할 수는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머리말에 선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사무, 문서의 집중관리 및 처리를 통하여 경비를 절약할 수 있다면 문서관리의 원칙 중 어느 것에 가장 가까운가?

  1. 정확성
  2. 신속성
  3. 용이성
  4. 경제성
(정답률: 87%)
  • 정답은 "경제성"이다. 이유는 사무 및 문서의 집중관리 및 처리를 통해 경비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인 문서관리를 할 수 있는 것이 경제성의 원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에서 커서의 이동에 사용되지 않는 키는?

  1. [Enter]
  2. [Caps Lock]
  3. [Page Down]
  4. [Tab]
(정답률: 87%)
  • 정답: [Caps Lock]

    설명: [Enter]은 다음 줄로 이동하고, [Page Down]은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며, [Tab]은 다음 탭으로 이동하는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Caps Lock]은 대문자를 켜거나 끄는 기능을 수행하며, 커서의 이동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편집기능이 아닌 것은?

  1. 도형문자를 메뉴에서 골라 입력한다.
  2. 글꼴을 모두 신명조체로 변환한다.
  3. 문장을 왼쪽 기준으로 정렬시킨다.
  4. 문장 중의 ‘사랑’을 ‘애정’으로 변환한다.
(정답률: 65%)
  • 정답: "도형문자를 메뉴에서 골라 입력한다."

    이유: 도형문자는 편집기능이 아닌 그래픽 기능에 해당한다. 따라서 메뉴에서 골라 입력하는 것은 편집이 아닌 삽입(insert)에 해당한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편집 기능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에서 ‘ks’라고 입력했더니 자동적으로 ‘KS’로 바뀌었다. 이와 같은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 것이다.
  2. 특정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이처럼 자동적으로 바뀌도록 설정할 수 있다.
  3. ‘ks’를 입력하여도 자동적으로 바뀌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4. ‘전화’라고 입력하면 ‘☎’로 바뀌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65%)
  •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 것이다."가 옳지 않은 이유는, 워드프로세서에서 특정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이처럼 자동적으로 바뀌도록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은 매크로 기능 뿐만 아니라, 자동 교정 기능, 자동 완성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매크로 기능은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래밍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용지 규격을 가장 큰 용지부터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A4-B4-A5-B5
  2. B4-A4-B5-A5
  3. A4-A5-B4-B5
  4. B4-B5-A4-A5
(정답률: 85%)
  • 용지 규격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로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크다. 따라서 가로 길이가 큰 용지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된다.

    B4: 257mm x 364mm
    A4: 210mm x 297mm
    B5: 182mm x 257mm
    A5: 148mm x 210mm

    위의 규격을 보면 B4가 가장 큰 용지이고, 그 다음으로 A4, B5, A5 순서로 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정답은 "B4-A4-B5-A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캡션(Caption)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문서내 포함된 표나 그림에 붙이는 제목이나 설명을 의미한다.
  2. 문서내 특정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연결시켜주는 기능이다.
  3. 밝기와 명암을 조절하는 그림 효과를 의미한다.
  4. 문서나 페이지의 하단에 쓰여진 제목이나 문서 분류를 나타내는 색인이다.
(정답률: 81%)
  • "문서내 포함된 표나 그림에 붙이는 제목이나 설명을 의미한다."는 캡션의 정확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에서 인쇄 장치의 출력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BPI
  2. DPI
  3. PPM
  4. TPI
(정답률: 82%)
  • 정답: PPM

    설명: PPM은 "Pages Per Minute"의 약자로, 인쇄 장치가 1분 동안 출력할 수 있는 페이지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BPI는 "Bits Per Inch"의 약자로, 인쇄물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로, 인쇄물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TPI는 "Tracks Per Inch"의 약자로, 자기 테이프나 디스크의 기록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금칙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행말 금칙문자로는 %, !, ?, >, [, ( 등이 있다.
  2. 금칙문자에는 행두 금칙문자와 행말 금칙문자가 있다.
  3. 행의 처음이나 끝에 쓰일 수 없는 문자나 기호를 행의 끝이나 다음 행의 처음으로 옮겨주는 기능이다.
  4. 숫자나 영문자는 금칙문자에 해당되지 않는다.
(정답률: 82%)
  • "행말 금칙문자로는 %, !, ?, >, [, ( 등이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올바른 설명은 "행말 금칙문자로는 %, !, ?, &, [, ( 등이 있다."이다. >는 HTML 코드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실제로는 행말 금칙문자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키보드 키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ome]-커서를 현재 행의 맨 처음으로 이동
  2. [End]-커서를 문서의 맨 끝으로 이동
  3. [Page Up]-커서를 한 화면 위로 이동
  4. [Page Down]-커서를 한 화면 아래로 이동
(정답률: 72%)
  • "[End]-커서를 문서의 맨 끝으로 이동"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커서를 현재 행의 맨 끝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문서 전체의 맨 끝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문서를 프린터로 출력하면서 다른 문서를 편집하려고 한다. 어떤 기능을 이용해야 하는가?

  1. 캐시(Cache)
  2. 스풀(Spool)
  3. 소프트카피(Soft Copy)
  4. 래그드(Ragged)
(정답률: 86%)
  • 정답은 "스풀(Spool)"입니다.

    스풀(Spool)은 "Simultaneous Peripheral Operations On-line"의 약자로, 컴퓨터에서 프린터와 같은 주변장치를 사용할 때, 출력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해두는 장치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프린터로 출력하는 동안에도 다른 문서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스풀링(Spooling)은 컴퓨터에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여러 작업을 대기열에 넣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처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스풀링을 이용하면, 프린터로 출력하는 동안에도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문서를 프린터로 출력하면서 다른 문서를 편집할 때에도 스풀링을 이용하면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글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글꼴을 폰트(font)라고도 한다.
  2. 글꼴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포인트(point)로 표시한다.
  3. 한 줄에 들어가는 문자수는 포인트가 같다면 글꼴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4. 글꼴의 표현방식에는 비트맵 방식과 벡터 방식이 있다.
(정답률: 68%)
  • 한 줄에 들어가는 문자수는 포인트가 같다면 글꼴에 상관없이 일정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글꼴의 디자인과 문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 글꼴에서 대문자 'W'와 소문자 'i'의 크기가 다르면 한 줄에 들어가는 문자수도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워드프로세서에서 마우스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문자의 입력
  2. 커서의 이동
  3. 명령의 실행
  4. 영역의 지정
(정답률: 82%)
  • 마우스는 주로 커서의 이동과 영역의 지정에 사용되며, 명령의 실행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자의 입력은 마우스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키보드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공문서에서 두문에 들어가지 않는 것은?

  1. 경유
  2. 행정기관명
  3. 발신명의
  4. 수신자
(정답률: 55%)
  • 정답은 "발신명의"입니다.

    공문서에서 발신자의 정보는 보통 문서 상단에 위치하며, 발신명의는 발신자의 이름이나 소속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두문에 들어가는 정보가 아니라, 문서 상단에 위치하는 정보이기 때문에 두문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따라서, "발신명의"가 공문서에서 두문에 들어가지 않는 이유는 그것이 두문에 들어가는 정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법규문서에서 사용하는 형식과 일련번호가 바르게 짝지어져 있는 것은?

  1. 조문형식, 누년일련번호
  2. 시행문형식, 연도별일련번호
  3. 시행문형식, 누년일련번호
  4. 조문형식, 연도별일련번호
(정답률: 52%)
  • 법규문서에서는 각 조문마다 번호를 매기고, 이를 일련번호라고 부릅니다. 이 일련번호는 해당 법규문서에서 유일한 번호이며, 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법규문서에서는 조문마다 일정한 형식을 따르는데, 이를 조문형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법규문서에서 사용하는 형식과 일련번호가 바르게 짝지어져 있는 것은 "조문형식, 누년일련번호"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에서 원래 문장의 글자 수에 변동을 주지 않는 교정부호는?

(정답률: 83%)
  • ""은 원래 문장의 글자 수에 변동을 주지 않는 교정부호이다. 이유는 해당 교정부호는 이미지 파일을 나타내는 태그이기 때문에 글자 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서로 상반되는 의미를 나타내는 교정부호끼리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정답률: 90%)
  • ""과 ""는 서로 상반되는 의미를 나타내는 교정부호끼리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이다. ""은 "맞다"를 의미하고, ""는 "틀리다"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 운영 체제

21.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자 전환을 하기 위한 바로 가기 키는?

  1. [Windows 로고]+[L]
  2. [Windows 로고]+[U]
  3. [Windows 로고]+[D]
  4. [Windows 로고]+[M]
(정답률: 73%)
  • "[Windows 로고]+[L]"은 사용자 계정을 로그아웃하지 않고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축키이다. 이를 통해 다른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계정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사용자 설정", "액세서리 관리자", "바탕화면 최소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한글 Windows XP에서 바탕화면에 있는 작업 표시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작 단추, 빠른 실행, 실행 중인 프로그램 목록, 입력 도구 모음, 알림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실행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활성화된 창으로 전환할 수 있다.
  3. 작업 표시줄의 위치는 바탕화면의 상, 하, 좌, 우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이동할 수 있다.
  4. 작업 표시줄의 크기는 화면의 1/3까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정답률: 76%)
  • 작업 표시줄의 크기는 화면의 1/3까지 크기를 조절할 수 없다. 작업 표시줄의 크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으며, 화면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한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한글 Windows XP의 [탐색기] 창에서 C폴더의 특정 파일을 선택한 후에 바로 가기 메뉴에서 [보내기]-[3.5플로피(A)] 항목을 선택하였을 때 결과는?

  1. 플로피 디스크로 선택된 파일이 이동한다.
  2. 플로피 디스크로 선택된 파일이 복사된다.
  3. 플로피 디스크의 모든 파일을 삭제한 후에 선택된 파일이 이동한다.
  4. 플로피 디스크의 모든 파일을 삭제한 후에 선택된 파일이 복사된다.
(정답률: 54%)
  • 정답은 "플로피 디스크로 선택된 파일이 복사된다." 이다.

    이유는 [보내기] 메뉴에서 선택한 항목은 해당 파일을 다른 위치로 복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택한 파일이 C폴더에서 3.5플로피(A)로 복사되어 저장된다.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복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C폴더에 있는 파일은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제어판]에 있는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없는 것은?

  1. 장치 볼륨의 조절
  2. 음악 파일의 재생
  3. 기본 경고음의 변경
  4. 사운드 하드웨어 드라이버의 변경
(정답률: 60%)
  • [음악 파일의 재생]은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음악 파일의 재생은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설정인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에서는 조절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두 개의 창에 각각 A와 B 프로그램이 실행 중일 때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 B 프로그램은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2. A가 실행되고 있는 창을 닫으면 실행 중인 A 프로그램은 종료된다.
  3. A가 실행되는 창을 최소화시키면 A 프로그램은 실행을 일시 중지한다.
  4. B가 실행되는 창을 선택하여 활성화가 되더라도 A 프로그램은 그대로 실행된다.
(정답률: 70%)
  • "A가 실행되는 창을 최소화시키면 A 프로그램은 실행을 일시 중지한다." 설명이 옳지 않다. A 프로그램은 최소화되어도 실행 중이며,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된다. 최소화된 창을 다시 활성화하면 실행이 다시 시작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한글 Windows XP의 [제어판]에 있는 [시스템]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없는 정보는?

  1. Windows 버전과 설치시 입력한 사용자 정보
  2. 메모리 용량, 시스템 지원 정보, 가상 메모리 설정 상태
  3. 시스템 장치의 이상 유무
  4. 현재 시스템이 사용 중인 TCP/IP 등록정보
(정답률: 50%)
  • "현재 시스템이 사용 중인 TCP/IP 등록정보"는 제어판의 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없는 정보이다. 이는 TCP/IP 등록정보는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정보로, 시스템의 네트워크 상태와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시스템의 버전, 사용자 정보, 메모리 용량, 시스템 지원 정보, 가상 메모리 설정 상태, 시스템 장치의 이상 유무 등과 관련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한글 Windows XP에 설치된 프린터의 [속성] 창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없는 옵션은?

  1. 최대 해상도
  2. 스풀 기능의 사용 유무
  3. 용지의 크기
  4. 인쇄 작업 삭제
(정답률: 61%)
  • 인쇄 작업 삭제는 프린터의 설정과 관련이 없는 옵션으로, 인쇄 작업을 삭제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속성 창에서 설정할 수 없습니다. 다른 옵션들은 프린터의 설정과 관련된 기능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디스크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폴더 및 파일의 오류를 검사한다.
  2. 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할 수 있다.
  3. 디스크 표면의 오류까지 검사할 수 있다.
  4. 오류 자동 수정 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정답률: 57%)
  • "디스크 표면의 오류까지 검사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할 수 있는 이유는 디스크 검사 시 디스크 조각화를 해결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디스크 조각화는 파일이 저장될 때 일부가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 저장되는 현상으로,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디스크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되는 대화상자의 입력이나 설정을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항목의 이동에 사용되는 키는 무엇인가?

  1. [Tab]
  2. [Esc]
  3. [F4]
  4. [Alt]
(정답률: 75%)
  • 정답은 "[Tab]"이다.

    이유는 "[Tab]" 키는 일반적으로 Windows 운영체제에서 다음 항목으로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글 Windows XP에서도 대화상자의 입력이나 설정을 하기 위해 "[Tab]" 키를 사용하여 항목 간 이동을 할 수 있다.

    "[Esc]" 키는 일반적으로 현재 작업을 취소하거나 대화상자를 닫는 데 사용되는 키이며, "[F4]" 키는 일반적으로 창을 닫거나 현재 창에서 작업하는 데 사용되는 키이다. "[Alt]" 키는 일반적으로 메뉴 항목에 액세스하거나 단축키를 사용하는 데 사용되는 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그림과 같이 한글 Windows XP의 ‘C:\Windows’ 폴더 창에서 비연속적으로 위치한 3개의 파일을 선택하기 위해서, 마우스를 클릭할 때 누르고 있어야 하는 키는?

  1. [Alt]
  2. [Shift]
  3. [Tab]
  4. [Ctrl]
(정답률: 83%)
  • 정답: [Ctrl]

    설명: [Ctrl] 키를 누르면 파일을 비연속적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우스로 첫 번째 파일을 클릭한 후 [Ctrl] 키를 누른 채로 두 번째, 세 번째 파일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Alt] 키는 창의 메뉴를 열고, [Shift] 키는 파일을 연속적으로 선택하며, [Tab] 키는 창 간 이동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한글 Windows XP의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에 있는 [작업 표시줄] 탭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이 아닌 것은?

  1. 작업 표시줄을 항상 위로 유지
  2. 빠른 실행 아이콘 표시
  3. 도구 모음 표시
  4. 작업 표시줄 자동 숨기기
(정답률: 55%)
  • 정답은 "도구 모음 표시"입니다. 이유는 작업 표시줄에 도구 모음이 항상 표시되기 때문에 이 항목은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항목들은 작업 표시줄의 동작을 조정하는데 필요한 옵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문서 편집기인 [메모장]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문서를 편집할 때 맞춤법 교정 기능이 있다.
  2. [Alt]+[X]를 사용하면 [메모장]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3. 그림이나 소리 등의 개체를 삽입할 수 있는 OLE 기능이 있다.
  4. 기본적인 서식만 사용되는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정답률: 52%)
  • [메모장] 프로그램은 텍스트 편집기로, 기본적인 서식만 사용되는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즉, 글자 크기, 색상, 폰트 등의 서식은 적용되지 않으며, 순수한 텍스트만 작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설치 과정에서 설정할 수 없는 작업은?

  1. 디스크 파티션 설정
  2. 디스크 정리
  3. 디스크 포맷
  4. 키보드 설정
(정답률: 41%)
  • 디스크 정리는 이미 존재하는 파일 및 폴더를 삭제하거나 이동하는 작업으로, Windows XP 설치 과정에서는 이전에 설치된 운영체제나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 디스크 정리를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디스크 정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의 유형 중에서 시스템 전체를 변경하고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며 컴퓨터에 있는 개인 파일 이외의 모든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자 계정은?

  1. 제한된 계정
  2. Guest 계정
  3. 컴퓨터 관리자 계정
  4. 일반 사용자 계정
(정답률: 64%)
  • 컴퓨터 관리자 계정은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고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모든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 계정에 비해 더 많은 권한을 가지고 있어서 시스템 관리나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한글 Windows XP에서 [보조 프로그램]의 [엔터테인먼트]에 있는 [녹음기]에 해당하는 아이콘은 무엇인가?

(정답률: 80%)
  • 정답은 "" 이다. 이 아이콘은 마이크와 음악노트가 그려져 있어서 녹음기와 관련된 이미지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기능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한글 Windows XP의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IP 주소,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명령어는?

  1. telnet
  2. ping
  3. ipconfig
  4. ftp
(정답률: 63%)
  • 정답은 "ipconfig"입니다. 이 명령어는 현재 컴퓨터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이를 통해 현재 설정되어 있는 IP 주소,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telnet", "ping", "ftp"는 각각 원격 접속, 네트워크 상태 확인, 파일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한글 Windows XP의 바탕화면에서 [Shift] 키를 누른 채 [내 컴퓨터] 아이콘을 더블클릭 하였을 때 결과로 옳은 설명은?

  1. [내 컴퓨터] 정보를 표시하는 [Windows 탐색기]가 실행된다.
  2. [내 컴퓨터] 창이 웹 형식으로 실행된다.
  3. [내 컴퓨터] 아이콘이 삭제된다.
  4. [내 컴퓨터] 창의 내용이 휴지통으로 이동한다.
(정답률: 62%)
  • [Shift] 키를 누른 채 [내 컴퓨터]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내 컴퓨터] 정보를 표시하는 [Windows 탐색기]가 실행됩니다. 이는 [Shift] 키를 누르면서 더블클릭하면 해당 아이콘의 속성 대신에 탐색기가 실행되는 기능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한글 Windows XP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하여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정보] 창에서 [다음 IP 주소 사용]을 선택할 경우에 입력해야 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IP 주소
  2. 서브넷 마스크
  3. 허브 주소
  4. 기본 게이트웨이
(정답률: 55%)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는 모두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지만, 허브 주소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허브는 네트워크 장비 중 하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허브 주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허브 주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한글 Windows XP에서 [시작] 메뉴의 [로그오프]를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Windows 로그오프] 대화상자의 선택 항목이 아닌 것은?

  1. 사용자 전환
  2. 시스템 대기
  3. 로그오프
  4. 취소
(정답률: 69%)
  • 정답은 "시스템 대기"입니다.

    "사용자 전환"은 현재 사용 중인 계정을 유지한 채 다른 사용자가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로그오프"는 현재 사용 중인 계정을 로그아웃하고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취소"는 로그아웃을 취소하고 현재 계정에 로그인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하지만 "시스템 대기"는 로그아웃하지 않고 현재 계정에 로그인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컴퓨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합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폴더 창에서 파일이나 폴더의 속성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에 [파일]-[속성] 메뉴를 선택한다.
  2.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에 바로 가기 메뉴에서 [속성]을 선택한다.
  3.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에 [Alt]+[Enter] 키를 누른다.
  4.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에 [작업 표시줄]로 끌기를 한다.
(정답률: 66%)
  •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에 [작업 표시줄]로 끌기를 한다. - 이 방법은 속성을 확인하는 방법이 아니라 파일이나 폴더를 작업 표시줄에 고정하는 방법이다.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에 [파일]-[속성] 메뉴를 선택한다. - 파일 메뉴에서 속성을 선택하여 해당 파일이나 폴더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에 바로 가기 메뉴에서 [속성]을 선택한다. -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우클릭하여 나오는 바로 가기 메뉴에서 속성을 선택하여 해당 파일이나 폴더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에 [Alt]+[Enter] 키를 누른다. -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에 [Alt]+[Enter] 키를 누르면 해당 파일이나 폴더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 기본 상식

41. 다음 중 음성 또는 영상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또는 반대로 변환하는 기능을 함께 갖춘 기술은?

  1. Multiplexer
  2. Decoder
  3. Encoder
  4. Codec
(정답률: 61%)
  • Codec은 음성 또는 영상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Encoder와 디지털 신호를 음성 또는 영상의 신호로 변환하는 Decoder를 함께 갖춘 기술입니다. 따라서 Codec은 Encoder와 Decoder를 포함한 기술이며,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기능을 모두 갖춘 기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CPU)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PU는 컴퓨터에서 정의된 명령어를 통해 다양한 일을 수행한다.
  2. CPU의 성능을 나타내는 속도의 단위로는 일반적으로 Hz를 사용하고 있다.
  3. CPU는 제어장치, 산술논리 연산 장치, 레지스터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4. CPU는 하드디스크에 있는 각각의 독립된 명령을 직접 검색하고 검색된 명령을 실행한다.
(정답률: 50%)
  • "CPU는 하드디스크에 있는 각각의 독립된 명령을 직접 검색하고 검색된 명령을 실행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CPU는 하드디스크에 있는 명령어를 직접 검색하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검색하여 실행한다. 이는 CPU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텍스트 파일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HWP : 한글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문서 포맷이다.
  2. DOC :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워드를 사용하여 작성한 문서 포맷이다.
  3. TEX :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편집기에서 사용하는 문서 포맷이다.
  4. PS : 포스트스크립트 형태로 작성된 문서 포맷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TEX :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편집기에서 사용하는 문서 포맷이다." 이다. TEX는 텍스트 편집기가 아니라 조판 시스템이며,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는 .tex 확장자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은행, 회사, 국가 등의 컴퓨터 시스템에 불법으로 접근하여 정보를 빼내거나 파괴하는 행위를 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은?

  1. 크래커
  2. 전문 프로그래머
  3. 스패머
  4. 시스템 분석가
(정답률: 89%)
  • 정답은 "크래커"입니다. 크래커는 해킹과는 달리 불법적인 목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하여 정보를 빼내거나 파괴하는 행위를 하는 사람을 일컫습니다. 해킹은 보안 취약점을 찾아내어 보안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이지만, 크래커는 이와 달리 범죄적인 목적으로 시스템을 침입합니다. 따라서 크래커는 보안 전문가나 시스템 분석가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전문 프로그래머는 프로그래밍에 전문적으로 능숙한 사람을 일컫으며, 스팸 메일을 보내는 스팸 메일러를 일컫는 스패머와도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소프트웨어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셰어웨어(Shareware)는 일정기간 무료 사용 후 원하면 정식 프로그램을 구입할 수 있는 형태의 프로그램이다.
  2. 프리웨어(Freeware)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기간 및 기능에 제한이 없다.
  3. 패치 프로그램(Patch Program)은 기능을 알리기 위해 기간이나 기능에 제한을 두어 무료 배포하는 프로그램이다.
  4. 베타버전(Bata Version)은 정식 프로그램을 발표하기 전에 프로그램의 문제의 기능 향상을 위해 무료로 배포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72%)
  • 정답: "패치 프로그램(Patch Program)은 기능을 알리기 위해 기간이나 기능에 제한을 두어 무료 배포하는 프로그램이다." 설명: 패치 프로그램은 이미 배포된 프로그램의 버그나 보안 취약점 등을 수정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으로, 기간이나 기능에 제한을 두는 것과는 무관하다. 패치 프로그램은 보통 무료로 제공되지만, 기존 프로그램을 보유한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시간적 간격 없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은 어느 것인가?

  1. 반이중(Half-duplex) 방식
  2. 전이중(Full-duplex) 방식
  3. 심플렉스(Simplex) 방식
  4. 더블 심플렉스(Double Simplex) 방식
(정답률: 76%)
  • 전이중(Full-duplex) 방식은 동시에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시간적 간격 없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합니다. 즉,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통신이 끊어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반이중(Half-duplex) 방식은 송신과 수신이 번갈아가며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적 간격이 발생하며, 심플렉스(Simplex) 방식과 더블 심플렉스(Double Simplex) 방식은 단방향 통신만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벡터 방식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그래픽 도구는 어느 것인가?

  1.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2. 페인트샵 프로(Paint Shop Pro)
  3. 포토샵(Photoshop)
  4. 그림판(윈도의 보조 프로그램)
(정답률: 53%)
  • 일러스트레이터는 벡터 방식의 이미지를 다루는 그래픽 도구이다. 벡터 방식은 이미지를 선과 면으로 이루어진 수학적인 형태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해도 깨지지 않고 선명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러스트레이터는 로고, 아이콘, 일러스트 등의 디자인 작업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캐시 메모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캐시 메모리는 일반 메모리보다 가격이 비싸다.
  2. 캐시 메모리에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프로그램도 들어간다.
  3. 캐시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의 메인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는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4. 운영체제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데이터는 캐시 메모리에 들어가지 않는다.
(정답률: 54%)
  • 운영체제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데이터는 캐시 메모리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운영체제가 캐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캐시 메모리를 관리하는 하드웨어가 운영체제와 상호작용하여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영체제가 직접 캐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은 전원 관리를 위한 어떤 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이 장치는 무엇인가?

  1.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
  2.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3. CVCF(Constant Voltage and Constant Frequency)
  4. Surge Protector
(정답률: 69%)
  • 이 장치는 전원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더라도 연결된 기기에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해주는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압 조절이나 과전압 방지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UPS는 전원 공급의 지속성을 보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특수한 장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한번만 내장시킬 수 있는 기억장치는 어느 것인가?

  1. ROM
  2. PROM
  3. EPROM
  4. EEPROM
(정답률: 63%)
  • 정답은 "PROM"이다. PROM은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사용자가 한번만 내장시킬 수 있는 기억장치이다. 다른 기억장치들은 내용을 변경할 수 있지만, PROM은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특수한 장비를 이용하여 한번만 내장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집적 회로(IC)의 OCR, OMR 등이 등장한 컴퓨터 세대는?

  1. 제1세대
  2. 제2세대
  3. 제3세대
  4. 제4세대
(정답률: 73%)
  • 제3세대 컴퓨터는 집적 회로(IC)를 사용하여 전자회로를 구성하였고, 이로 인해 컴퓨터의 크기가 줄어들었고 속도와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 또한 OCR, OMR 등의 기술이 등장하여 컴퓨터의 활용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따라서, OCR, OMR 등이 등장한 컴퓨터 세대는 제3세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통신망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AN-근거리통신망
  2. MAN-도시권 정보통신망
  3. VAN-부가가치통신망
  4. WAN-종합정보통신망
(정답률: 66%)
  • 정답: WAN-종합정보통신망

    WAN은 광범위한 지역을 연결하는 통신망으로, 인터넷이 대표적인 예이다. 하지만 "종합정보통신망"이라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WAN-종합정보통신망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바이러스 예방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비상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요한 데이터는 사전에 백업을 해 놓는다.
  2. 출처가 불분명한 첨부 파일의 경우 실행하기 전에 백신 프로그램으로 검사하는 것이 좋다.
  3.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는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
  4. 친구로부터 온 전자우편에 첨부된 파일은 검사 없이 실행시킨다.
(정답률: 86%)
  • "친구로부터 온 전자우편에 첨부된 파일은 검사 없이 실행시킨다."가 잘못된 것이다. 외부에서 온 파일은 항상 검사를 거쳐 실행해야 하며, 친구라고 해도 그들의 컴퓨터가 감염되어 악성코드가 전송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프로그램의 언어 번역 과정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원시 프로그램 → 목적 프로그램 → 실행 → 로드모듈
  2. 목적 프로그램 → 로드모듈→ 실행 → 원시 프로그램
  3. 원시 프로그램 → 목적 프로그램 → 로드모듈 → 실행
  4. 목적 프로그램 → 실행 → 로드모듈 → 원시 프로그램
(정답률: 75%)
  • 정답은 "원시 프로그램 → 목적 프로그램 → 로드모듈 → 실행"입니다.

    원시 프로그램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며, 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해야 합니다. 이때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목적 프로그램은 기계어로 번역된 프로그램으로,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로드모듈이 필요합니다. 로드모듈은 목적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드하여 실행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실행 단계에서는 로드된 프로그램이 실제로 실행되는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다중 프로그램을 지원하지 않는 운영체제는?

  1. DOS
  2. Linux
  3. Windows XP
  4. OS/2
(정답률: 56%)
  • DOS는 단일 작업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다중 프로그램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즉, 한 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거리와 시간의 극복
  2. 대용량 파일의 공동 이용
  3. 대형 컴퓨터의 공동 이용
  4. 아날로그 데이터 통신의 확장
(정답률: 67%)
  • 아날로그 데이터 통신의 확장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징이 아니라 기술적인 개발 방향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제외되어야 한다. 아날로그 데이터 통신의 확장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보기의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통신망은 무엇인가?

  1. Arpanet
  2. Externet
  3. Intranet
  4. Internet
(정답률: 71%)
  • 이 그림은 기업이나 조직 내부에서 사용하는 전용 네트워크인 Intranet을 나타낸다. Intranet은 인터넷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기업이나 조직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Intranet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콘텐츠(Contents)
  2. 아바타(Avatar)
  3. 신드롬(Sindrom)
  4. 랜더링(Rendering)
(정답률: 89%)
  • 위 그림은 아바타(Avatar)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아바타란 가상 세계에서 사용자가 자신을 대신하여 만든 가상 인물을 말한다. 이 가상 인물은 사용자가 선택한 외모, 성격, 능력 등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가상 세계에서 활동할 때 이 아바타를 조작하여 활동한다. 따라서 아바타는 가상 세계에서 사용자의 대리인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실제 모습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컴퓨터의 발전과정 순으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MARK-I → EDSAC → ENIAC → EDVAC
  2. MARK-I → ENIAC → EDSAC → EDVAC
  3. ENIAC → MARK-I → EDVAC → EDSAC
  4. ENIAC → MARK-I → EDSAC → EDVAC
(정답률: 71%)
  • 정답은 "MARK-I → ENIAC → EDSAC → EDVAC" 입니다.

    MARK-I은 1944년에 개발되었고, 이후 ENIAC이 1945년에 개발되었습니다. ENIAC은 MARK-I보다 더 많은 연산을 수행할 수 있었지만, 프로그래밍이 어렵고 유지보수가 어려웠습니다. 이후 EDSAC이 1949년에 개발되었는데, 이는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쉬웠습니다. 마지막으로 EDVAC은 EDSAC과 유사한 구조를 가졌지만,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MARK-I → ENIAC → EDSAC → EDVAC 순으로 컴퓨터의 발전과정이 이루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어떤 저작물을 개발한 사람이 저작권을 독점하고 이익을 추구하는 것에 반대하여,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하고 창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공유하는 것을 copyleft라고 하는데, 이 개념에 해당하는 운영체제의 종류는 어느 것인가?

  1. Linux
  2. Windows
  3. OS/2
  4. MVS
(정답률: 70%)
  • 정답은 "Linux"이다. Linux는 오픈소스 운영체제로,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하고 수정할 수 있다. 이는 copyleft 개념에 따라 저작권을 공유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Linux는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과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