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로세서 2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2-08)

워드프로세서 2급(폐지)
(2009-02-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워드프로세서 용어 및 기능

1. 관인을 찍을 때의 위치는 그 기관 또는 직위 명칭의 끝자리 인영의 어느 위치에 오도록 찍어야 하는가?

  1. 좌측
  2. 중앙
  3. 우측
  4. 어느 위치에 찍어도 상관없다.
(정답률: 81%)
  • 관인을 찍을 때의 위치는 중앙에 찍어야 합니다. 이는 기관 또는 직위 명칭의 끝자리 인영이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중앙에 찍으면 균형잡힌 미적 감각을 줄 수 있어서 보기에도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문서 작성시 탭(Tab)기능 사용의 가장 효율적인 경우는?

  1. 일정한 간격으로 사이를 띄울 경우
  2. 특수한 문자를 입력할 경우
  3. 수학식이나 화학식을 입력해야 할 경우
  4. 동일한 문자를 반복하여 입력할 경우
(정답률: 88%)
  • 일정한 간격으로 사이를 띄울 경우에는 탭(Tab)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이는 공백을 입력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고 일관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관된 간격으로 사이를 띄우면 문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삭제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ackspace[←] : 현재 커서 위치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한 문자씩 삭제
  2. [Delete] : 현재 커서 위치에서 왼쪽의 한 문자씩 삭제
  3. 블록 삭제 : 삭제 할 내용을 블록 지정하여 한꺼번에 삭제
  4. [Space Bar] : 수정 상태에서만 삭제가 가능하고 삽입 상태일 때에는 삭제가 불가능하다.
(정답률: 79%)
  • "[Delete] : 현재 커서 위치에서 왼쪽의 한 문자씩 삭제"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Delete]는 현재 커서 위치에서 오른쪽의 한 문자씩 삭제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정확한 설명은 "[Delete] : 현재 커서 위치에서 오른쪽의 한 문자씩 삭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편집 기능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검색(Search)
  2. 스풀(Spool)
  3. 스타일(Style)
  4. 워드 랩(Word Wrap)
(정답률: 68%)
  • 정답: 스풀(Spool)

    이유: 스풀(Spool)은 출력 작업을 처리하는 기능으로, 워드프로세서의 편집 기능과는 관련이 없다. 검색(Search)은 문서 내에서 특정 단어나 구를 찾는 기능, 스타일(Style)은 글꼴, 크기, 색상 등의 서식을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기능, 워드 랩(Word Wrap)은 문서 내용이 페이지 너비를 벗어나지 않도록 자동으로 줄바꿈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자기 권한에 속하는 업무의 일부를 일정한 자격자에게 위임하여 그 위임을 받은 자가 일정 범위의 위임 사항에 대하여 최고책임자를 대신하여 결재하는 것은?

  1. 전결
  2. 정규결재
  3. 대결
  4. 후결
(정답률: 65%)
  • 전결은 자기 권한에 속하는 업무의 일부를 일정한 자격자에게 위임하여 그 위임을 받은 자가 일정 범위의 위임 사항에 대하여 최고책임자를 대신하여 결재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전결은 결재 권한을 완전히 위임하는 것으로, 대결과는 달리 최고책임자의 결재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직접 접근 방식이 아닌 저장장치는?

  1. 하드디스크
  2. 플로피디스크
  3. CD-ROM
  4. 자기테이프
(정답률: 78%)
  • 자기테이프는 직접 접근 방식이 아닌 순차 접근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고 쓴다. 즉, 데이터를 찾기 위해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어나가야 하기 때문에 직접 접근 방식이 아니다.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CD-ROM은 모두 직접 접근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전자출판에서 글자의 모양에 따라 이웃한 두 글자 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는 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포맷(Format)
  2. 커닝(Kerning)
  3. 포매터(Formatter)
  4. 머지(Merge)
(정답률: 68%)
  • 커닝은 글자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으로, 이웃한 두 글자 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여서 글자의 모양을 더욱 깔끔하고 일관성 있게 보이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전자출판에서 글자의 모양을 더욱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문서의 전체적인 내용은 동일하지만 수신인과 같은 일부분만 다른 문서를 여러 개 작성해야 하는 경우에 가장 유용한 기능은?

  1. 매크로(Macro)
  2. 편지병합(Mail Merge)
  3. 바꾸기(Replace)
  4. 상용구(Glossary)
(정답률: 73%)
  • 편지병합(Mail Merge) 기능은 문서의 전체적인 내용은 동일하지만 수신인과 같은 일부분만 다른 문서를 여러 개 작성해야 하는 경우에 가장 유용한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하나의 문서 템플릿과 데이터 소스를 결합하여 여러 개의 개별 문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초대장 템플릿을 사용하여 여러 명에게 초대장을 보내야 할 경우, 편지병합 기능을 사용하여 각각의 초대장에 수신인의 이름과 주소를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한 문서를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성한 문서의 일부만을 블록으로 지정하여 저장 할 수 없다.
  2. 원본 파일의 삭제 및 파괴에 대비하여 저장 시 백업 파일이 만들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3. 작성한 문서는 저장 형태에 따라 다양한 파일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4. 문서를 저장할 때 암호(Password)를 지정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정답률: 67%)
  • "작성한 문서의 일부만을 블록으로 지정하여 저장 할 수 없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워드프로세서에서는 문서를 전체적으로 하나의 파일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부분만 저장하려면 해당 부분을 복사하여 새로운 문서로 저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워드프로세서의 조판기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주(Footnote) : 해당 문서의 마지막에 한꺼번에 표시하는 주석을 말한다.
  2. 쪽 번호 : 문서의 각 페이지에 쪽 번호를 자동으로 넣어주는 기능이다.
  3. 두문(Header) : 문서의 각 페이지 상단에 책의 제목, 장의 제목, 페이지 번호 등과 같이 반복적으로 표시 되는 부분을 말한다.
  4. 미주(Endnote) : 본문에서 인용한 자료의 출처나 보충 설명 등을 표기하는 기능이다.
(정답률: 61%)
  • "각주(Footnote) : 해당 문서의 마지막에 한꺼번에 표시하는 주석을 말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각주는 해당 문서의 페이지 하단에 표시되는 주석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KS X1001(구 KSC-5601) 완성형 한글 코드에서 표현 가능한 한자는?

  1. 1,128자
  2. 2,350자
  3. 3,000자
  4. 4,888자
(정답률: 67%)
  • KS X1001(구 KSC-5601) 완성형 한글 코드는 2바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글 외에도 한자를 포함한 다양한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코드에서 표현 가능한 한자는 총 4,888자입니다. 이는 KS X1002(구 KS C 5700)에서 정의된 한자 부호와 일치하며, 이 부호는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한자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KS X1001 코드를 사용하면 한글과 함께 다양한 언어의 한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보기의 용어들과 관련이 가장 깊은 것은?

  1. 입력기능
  2. 저장기능
  3. 인쇄기능
  4. 편집기능
(정답률: 84%)
  • 위의 그림은 프린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프린터는 인쇄기능을 수행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인쇄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에서 설명한 내용을 차례대로 수행 완료한 경우를 나타내는 편집 기능은?

  1. 영역 삭제
  2. 영역이동
  3. 영역 복사
  4. 영역지정
(정답률: 72%)
  • 이미지에서 빨간색 사각형으로 표시된 영역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킨 것으로, 이는 "영역이동" 기능을 수행한 것입니다. "영역 삭제"는 해당 영역을 삭제하는 기능, "영역 복사"는 해당 영역을 복사하여 다른 곳에 붙여넣는 기능, "영역지정"은 편집할 영역을 지정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캡션(Caption) : 표나 그림에 제목이나 설명을 붙이는 기능
  2. 캡쳐(Capture) : 화면상의 내용을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는 기능
  3. 래그드(Ragged) : 문서의 오른쪽 글이 정렬이 안된 상태
  4. 클립아트(Clip Art) : 클립보드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버퍼기능
(정답률: 72%)
  • 클립아트(Clip Art) : 클립보드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버퍼기능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클립아트는 이미지나 그래픽 디자인 등을 쉽게 삽입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형태의 기능을 말합니다. 클립보드와는 다른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보조기억장치로만 짝지어진 것은?

  1. ROM, 하드디스크
  2. 스캐너, 플로피디스크
  3. USB 메모리, CD-ROM
  4. 플로터(plotter), 하드디스크
(정답률: 72%)
  • USB 메모리와 CD-ROM은 모두 보조기억장치에 해당하며, 다른 보조기억장치와 달리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어올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로 데이터를 저장만 할 수 있고, 하드디스크는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모두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스캐너와 플로피디스크는 데이터를 읽어오는 역할만 할 뿐 내부적으로 저장하지는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플로터는 출력장치에 해당하므로 보조기억장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문서 파일의 확장자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COM, HTM
  2. RTF, TXT
  3. LZH, ZIP
  4. EXE, BAT
(정답률: 82%)
  • RTF는 Rich Text Format의 약자로, 텍스트와 서식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문서 파일 형식이다. TXT는 일반적인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텍스트만을 담고 있으며 서식 정보는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RTF와 TXT가 문서 파일의 확장자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이다. COM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파일, HTM은 웹 페이지 파일, LZH와 ZIP은 압축 파일, EXE와 BAT은 배치 파일 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지시문서의 종류로 적합한 것은?

  1. 훈령
  2. 지시
  3. 예규
  4. 일일명령
(정답률: 84%)
  • 위 그림은 특정 일자에 대한 업무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 문서이므로 "일일명령"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교정부호 중 위로 올라간 글자를 아래로 끌어 내리는 기능의 부호는?

(정답률: 87%)
  • 위로 올라간 글자를 아래로 끌어 내리는 기능의 교정부호는 "" 입니다. 이유는 이 부호가 "down"이라는 단어와 함께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down"은 영어로 "아래로"라는 뜻이며, 이 부호가 "down"과 함께 사용되면 위로 올라간 글자를 아래로 끌어 내리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토글(Toggle) 키로만 짝지어진 것은?

  1. [F1], [Enter]
  2. [Esc], [Caps Lock]
  3. [Caps Lock], [Insert]
  4. [Page Down], [Shift]
(정답률: 90%)
  • 토글(Toggle) 키란 켜고 끄는 기능을 가진 키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Caps Lock 키를 누르면 대문자 입력이 켜지고 다시 누르면 소문자 입력으로 바뀝니다. 따라서, [Caps Lock], [Insert]이 토글(Toggle) 키로 짝지어진 것입니다. [F1], [Enter]과 [Page Down], [Shift]는 일반적인 기능을 가진 키이며, [Esc], [Caps Lock]은 토글(Toggle) 키와 일반적인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보기의 문장 (가)를 문장 (나)로 수정할 때 사용되는 교정부호는?

(정답률: 82%)
  • (가)에서는 "그는 매우 바쁘다"라는 문장이 "그는 매우 바쁘다"라는 내용을 반복하고 있어 불필요한 반복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에서는 "그는 바쁘다"라는 간결한 문장으로 수정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교정부호는 삭제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폴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폴더를 만들어 사용한다.
  2. 폴더는 계층적으로 관리된다.
  3. 폴더 이름을 변경할 때에는 제한된 문자가 사용된다.
  4. 폴더는 다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나 다른 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정답률: 57%)
  • "폴더 이름을 변경할 때에는 제한된 문자가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한글 Windows XP에서는 폴더 이름에 대한 제한된 문자가 없다.

    폴더는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만들어 사용하며, 계층적으로 관리된다. 또한 폴더는 다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나 다른 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한글 Windows XP에서 현재 사용 중인 활성화된 창의 화면 부분만을 클립보드로 복사하는 바로가기 키는?

  1. [Print Screen]
  2. [Ctrl]+[Print Screen]
  3. [Ctrl]+[C]
  4. [Alt]+[Print Screen]
(정답률: 74%)
  • "[Alt]+[Print Screen]"은 현재 활성화된 창의 화면 부분만을 클립보드로 복사하는 바로가기 키이다. 이는 "[Print Screen]" 키가 전체 화면을 복사하는 것과 달리, "[Alt]+[Print Screen]" 키는 현재 활성화된 창의 화면 부분만을 복사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인 "[Ctrl]+[Print Screen]"은 전체 화면을 복사하는 바로가기 키이고, "[Ctrl]+[C]"는 복사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네트워크를 위한 하드웨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이퍼터미널
  2. 모뎀
  3. 허브
  4. 네트워크 카드
(정답률: 55%)
  • 하이퍼터미널은 네트워크를 위한 하드웨어가 아니라, 시리얼 통신을 위한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네트워크를 위한 하드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한글 Windows XP의 [제어판]에 있는 [내게 필요한 옵션]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소리] 탭에서 스피커 볼륨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2. [디스플레이] 탭에서 화면의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다.
  3. [키보드] 탭에서 키보드의 문자 반복에 대한 재입력 시간과 커서 깜박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4. [마우스] 탭에서 키보드의 숫자 키패드로 마우스의 포인터를 움직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57%)
  • 정답은 "[마우스] 탭에서 키보드의 숫자 키패드로 마우스의 포인터를 움직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다. 이유는 [마우스] 탭에서 "마우스 포인터 옵션"을 클릭하면 "마우스 포인터 속도"와 함께 "숫자 키패드로 마우스 포인터 이동" 옵션이 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숫자 키패드를 사용하여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 없는 파일을 삭제하는데 사용하는 시스템 도구는?

  1. [시스템 복원]
  2. [시스템 정리]
  3. [디스크 조각 모음]
  4. [디스크 정리]
(정답률: 67%)
  • 정답: [디스크 정리]

    설명: 디스크 정리는 사용하지 않는 파일, 임시 파일, 인터넷 캐시 등을 삭제하여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시스템 도구입니다. 디스크 조각 모음은 디스크의 공간을 최적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도구이며, 시스템 복원은 시스템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도구, 시스템 정리는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제거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한글 Windows XP에서 현재 사용 중인 [명령 프롬프트] 창을 종료하기 위한 명령어는?

  1. bye
  2. quite
  3. exit
  4. return
(정답률: 84%)
  • 정답은 "exit"입니다. 이는 명령 프롬프트 창을 종료하는 명령어이며, 다른 보기들은 유효하지 않은 명령어입니다. "bye"와 "quite"는 오타이며, "return"은 함수나 프로그램에서 값을 반환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한글 Windows XP에서 [폴더 옵션] 창의 [보기] 탭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목 표시줄에 전체 경로 표시를 설정할 수 있다.
  2. 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를 설정할 수 있다.
  3. 현재 등록된 파일 형식을 설정할 수 있다.
  4.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49%)
  • "현재 등록된 파일 형식을 설정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폴더 옵션] 창의 [보기] 탭에서는 파일 형식을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등록된 파일 형식에 대한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파일에 대해 기본적으로 메모장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한글 Windows XP의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창에서 다음 보기의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탭 항목은?

  1. 테마
  2. 바탕 화면
  3. 화면 배색
  4. 설정
(정답률: 64%)
  • "테마" 탭 항목은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항목으로, 바탕 화면, 화면 배색, 설정 등을 한번에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테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테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제어판]에 있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없는 것은?

  1. 두 번 클릭의 속도를 조정하기
  2.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속도를 조정하기
  3. 마우스 포인터의 모양을 변경하기
  4. 한 번 클릭을 두 번 클릭으로 인식하게 변경하기
(정답률: 65%)
  • 한 번 클릭을 두 번 클릭으로 인식하게 변경하기는 마우스의 하드웨어적인 기능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으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 설정은 마우스 드라이버나 제어판이 아닌 개별적인 소프트웨어나 앱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은?

  1. 작업 표시줄 자동 숨기기 설정
  2. 열린 창의 배열 설정
  3. 시계 표시 설정
  4. 시작 메뉴 프로그램의 설정
(정답률: 50%)
  • "열린 창의 배열 설정"은 한글 Windows XP의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작업 표시줄에 표시되는 열린 창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하는 기능으로, 윈도우 7 이후 버전에서는 가능하지만 XP에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탐색기] 창의 상태 표시줄에 표시될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현재 사용 중인 폴더의 실제 경로
  2. 오른쪽의 작업 목록 창 내의 개체 수
  3. 선택된 개체의 크기
  4.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공간
(정답률: 45%)
  • 정답은 "오른쪽의 작업 목록 창 내의 개체 수"입니다.

    탐색기 창의 상태 표시줄은 현재 폴더의 정보를 보여주는 곳입니다. "현재 사용 중인 폴더의 실제 경로"는 현재 열려있는 폴더의 경로를 보여주는 항목입니다. "선택된 개체의 크기"는 선택한 파일이나 폴더의 크기를 보여주는 항목입니다.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공간"은 현재 컴퓨터의 디스크 공간 중 사용 가능한 공간을 보여주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한글 Windows XP의 [그림판] 프로그램에서 [타원]과 [직사각형] 도구를 이용하여 정원이나 정사각형을 그리려고 할 경우에 마우스의 함께 사용하는 키는?

  1. [Shift]
  2. [Alt]
  3. [Ctrl]
  4. [Home]
(정답률: 83%)
  • [Shift] 키를 함께 사용하면 정원이나 정사각형이 그려질 때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즉, 정사각형이나 원이 그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한글 Windows XP의 [보조프로그램]에 있는 [엔터테인먼트]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녹음기]
  2.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3. [볼륨 조절]
  4. [Windows Media Player]
(정답률: 54%)
  • 정답은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입니다. 이유는 [보조프로그램]에 있는 [엔터테인먼트]는 주로 오디오와 비디오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녹음기], [볼륨 조절], [Windows Media Player]는 모두 오디오와 비디오 관련 기능을 제공합니다. 반면에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는 컴퓨터의 사운드와 오디오 장치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엔터테인먼트]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토콜은?

  1. FTP
  2. Telnet
  3. TCP/IP
  4. HTTP
(정답률: 79%)
  • 정답: TCP/IP

    설명: TCP/I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한글 Windows XP에서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TCP/IP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Telnet은 원격 제어 프로토콜, HTTP는 웹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한글 Windows XP의 [시스템 종료] 대화상자에서 Windows 세션을 빠르게 다시 시작하도록 컴퓨터를 절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항목은?

  1. 대기 모드
  2. 로그오프
  3. 다시 시작
  4. 사용자 전환
(정답률: 67%)
  • 정답: 대기 모드

    설명: 대기 모드는 컴퓨터를 켜놓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모니터와 하드웨어를 절전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컴퓨터를 빠르게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Windows 세션을 빠르게 다시 시작하도록 컴퓨터를 절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대기 모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한글 Windows XP에서 3.5인치 플로피 디스크를 포맷할 때 사용하는 설정 항목이 아닌 것은?

  1. 빠른 포맷
  2. 압축 사용
  3. 볼륨 레이블
  4. MS-DOS 시동 디스크 만들기
(정답률: 46%)
  • 압축 사용은 3.5인치 플로피 디스크를 포맷할 때 사용하는 설정 항목이 아닙니다. 이는 디스크에 압축을 적용하는 것으로, 디스크의 용량을 늘리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3.5인치 플로피 디스크는 이미 용량이 작기 때문에 압축 사용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는 포맷 설정 항목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한글 Windows XP에서 CD-ROM 드라이버의 열림 버튼을 누르지 않고, CD를 열어 꺼낼 수 있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제어판]의 [시스템] 등록정보 창에서 해당 CD-ROM드라이브를 선택한 후에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을 클릭한다.
  2. [제어판]의 [시스템] 등록정보 창에서 해당 CD-ROM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에 바로가기 메뉴의 [꺼내기]를 클릭한다.
  3. [내 컴퓨터] 창에서 해당 CD-ROM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에 바로가기 메뉴의 [꺼내기]를 클릭한다.
  4. [탐색기] 창에서 해당 CD-ROM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에 바로가기 메뉴의 [열기]를 클릭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내 컴퓨터] 창에서 해당 CD-ROM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에 바로가기 메뉴의 [꺼내기]를 클릭한다." 이다. 이유는 내 컴퓨터 창에서 해당 CD-ROM 드라이브를 선택하면 CD-ROM 드라이브의 바로가기 메뉴가 나타나며, 그 중에 "꺼내기" 옵션을 선택하면 CD를 열어 꺼낼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제어판이나 탐색기 창에서 CD-ROM 드라이버를 선택해야 하며, 그 중에서도 "사용"이나 "열기" 옵션은 CD를 열어 꺼내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한글Windows XP에서 [내 컴퓨터]창에 있는 C: 드라이브에 대한 등록정보 창을 이용하여 할 수 없는 작업은?

  1. 디스크 검사
  2. 디스크 공간 늘림
  3. 디스크 정리
  4. 디스크 조각 모음
(정답률: 65%)
  • 한글Windows XP에서 [내 컴퓨터]창에 있는 C: 드라이브에 대한 등록정보 창을 이용하여 디스크 공간을 늘릴 수 없는 이유는 등록정보 창에서는 디스크의 용량과 사용량 등의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크 공간을 늘리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디스크 관리 도구를 사용하거나 외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크 공간을 늘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Windows XP에서 기본 프린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가 인쇄 명령을 수행하였을 경우에 자동으로 인쇄가 수행되는 프린터를 의미한다.
  2. 기본 프린터는 여러대 설정할 수 있다.
  3. 기본 프린터이면서 공유 프린터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4. [프린터 및 팩스] 창에서 해당 프린터를 선택 후에 [파일] 메뉴의 [기본 프린터로 설정] 항목을 선택하면 기본 프린터로 설정된다.
(정답률: 76%)
  • 정답: 기본 프린터는 여러대 설정할 수 있다.

    설명: Windows XP에서는 기본 프린터를 하나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려면 기존의 기본 프린터를 해제한 후 새로운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하는 임의의 파일에 대한 등록정보 창의 [일반] 탭에서 알 수 없는 항목은?

  1. 파일의 형식
  2. 파일의 위치
  3. 파일의 크기
  4. 파일을 만든 사람
(정답률: 83%)
  • 파일의 형식, 위치, 크기는 모두 파일의 기본 정보이며, 사용자가 파일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파일을 만든 사람"은 파일의 소유자나 작성자를 나타내며, 파일의 저작권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정보는 파일의 유용성과 중요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 기본 상식

41. 지적재산권이 있는 소프트웨어를 복사하여 판매하였을 경우, 어떤 법에 저촉되는가?

  1. 개인정보법
  2.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3. 사생활침해방지법
  4. 통신비밀보호법
(정답률: 76%)
  • 지적재산권이 있는 소프트웨어를 복사하여 판매하는 것은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에 저촉됩니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저작자가 소유한 지적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의 복제 및 판매는 저작권자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컴퓨터에서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 중에서 NTFS를 지원하는 OS를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무엇인가?

  1. DOS, Windows 3.1
  2. Windows 95, Windows 98
  3. Windows 98, Windows XP
  4. Windows XP, Windows 2000
(정답률: 66%)
  • 정답은 "Windows XP, Windows 2000"이다. NTFS는 Windows NT 계열의 파일 시스템으로, Windows XP와 Windows 2000은 모두 Windows NT 계열의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NTFS를 지원한다. 하지만 DOS, Windows 3.1, Windows 95, Windows 98은 모두 FAT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고, Windows 98과 XP는 NTFS와 FAT 파일 시스템을 모두 지원하지만, Windows 98은 NTFS를 지원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컴퓨터 기억소자의 발전 과정이 세대별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2세대 - 진공관
  2. 3세대 - 트랜지스터
  3. 4세대 - 집적회로
  4. 5세대 - 초고밀도 집적회로
(정답률: 71%)
  • 2세대에서는 진공관이 사용되었고, 3세대에서는 트랜지스터가 개발되어 대용량 컴퓨터가 만들어졌습니다. 4세대에서는 집적회로 기술이 발전하여 더 작고 빠른 컴퓨터가 만들어졌습니다. 마지막으로 5세대에서는 초고밀도 집적회로 기술이 개발되어 더욱 높은 성능의 컴퓨터가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컴퓨터 기억소자의 발전 과정이 세대별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5세대에서 초고밀도 집적회로 기술이 개발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운영체제는 어는 것인가?

  1. 멀티 테스킹(multi tasking)
  2. 멀티 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
  3. 멀티 프로세싱(multi-processing)
  4. 멀티 미디어(multi-media)
(정답률: 52%)
  • 이 운영체제는 CPU가 여러 개인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멀티 프로세싱 방식으로 처리된다. CPU가 여러 개인 시스템에서는 멀티 프로세싱 방식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아날로그 데이터 통신의 확장
  2. 대용량 파일의 공동 이용
  3. 대형 컴퓨터의 공동 이용
  4. 거리와 시간의 극복
(정답률: 65%)
  • 정답: 아날로그 데이터 통신의 확장

    설명: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징으로는 대용량 파일의 공동 이용, 대형 컴퓨터의 공동 이용, 거리와 시간의 극복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날로그 데이터 통신의 확장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발전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징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인터넷을 통해 프로그램 소스 코드를 완전 무료로 공개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대로 특정 기능을 추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플랫폼에도 포팅이 가능하게 설계된 운영체제는?

  1. DOS
  2. UNIX
  3. PS/2
  4. LINUX
(정답률: 69%)
  • 정답은 "LINUX"입니다. 이는 인터넷을 통해 프로그램 소스 코드를 완전 무료로 공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특정 기능을 추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플랫폼에도 포팅이 가능하게 설계된 운영체제입니다. 이러한 개방성과 유연성으로 인해 LINUX는 많은 개발자들에게 인기가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여러 대의 하드디스크를 모아 하나의 디스크처럼 작동하게 하여 대용량의 파일을 저장할 수 있고, 하나의 파일을 여러 디스크에 동시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는 저장장치와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

  1. ZIP-Drive
  2. DVD
  3. RAID
  4. Juke Box
(정답률: 68%)
  • 여러 대의 하드디스크를 모아 하나의 디스크처럼 작동하게 하여 대용량의 파일을 저장할 수 있고, 하나의 파일을 여러 디스크에 동시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는 저장장치는 RAID입니다.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약자로,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구성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RAID는 데이터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고 복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직렬(Serial)방식의 I/O버스는 어느 것인가?

  1. VESA
  2. USB
  3. PCI
  4. ISA
(정답률: 79%)
  • 정답은 "USB"이다. USB는 Universal Serial Bus의 약자로,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직렬 방식의 I/O 버스이다. 데이터를 한 번에 하나씩 전송하는 직렬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병렬 방식에 비해 전송 속도가 느리지만, 연결할 수 있는 장치의 수가 많고 연결 및 해제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USB는 Plug and Play 기능을 지원하여 장치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등 사용이 간편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존 전화선을 이용해 주파수가 서로 다른 음성 데이터(저주파)와 디지털 데이터(고주파)를 함께 보내는 방식은?

  1. MODEM
  2. CABLE
  3. ADSL
  4. ISDN
(정답률: 54%)
  • ADSL은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의 약자로, 기존 전화선을 이용해 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ADSL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술을 이용해 음성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ADSL 모뎀이 필요하며, 이 모뎀은 전화선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보내고 받을 수 있도록 변환해줍니다. 따라서 ADSL은 기존 전화선을 이용해 저주파 음성 데이터와 고주파 디지털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한 대비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출처가 불분명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다.
  2. 의심스러운 전자메일은 열어보지 않는다.
  3. 백신 프로그램으로 정기검사를 하여 미리 예방한다.
  4. 다른 컴퓨터에 침입하는 해킹방법을 배워 둔다.
(정답률: 86%)
  • 다른 컴퓨터에 침입하는 해킹방법을 배워 둔다는 것은 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한 대비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해킹을 하여 다른 컴퓨터에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1초 동안에 실행 가능한 부동소수점 연산횟수를 표시하는 단위는 무엇인가?

  1. FLOPS
  2. MIPS
  3. MHZ
  4. BPS
(정답률: 47%)
  • 정답: FLOPS

    FLOPS는 "Floating Point Operations Per Second"의 약자로, 1초 동안에 실행 가능한 부동소수점 연산의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연산 속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MIPS는 "Million Instructions Per Second"의 약자로, 명령어 실행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MHZ는 "Megahertz"의 약자로, 클럭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BPS는 "Bits Per Second"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두개의 컴퓨터를 설치하여 한쪽 컴퓨터는 대기하고 다른 한쪽 컴퓨터가 작업을 수행하다가 고장이 나면 대기하던 컴퓨터가 작동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운영체제의 운영방식은?

  1. 분산 시스템(Distributed System)
  2. 듀얼 시스템(Dual System)
  3. 듀플렉스 시스템(Duplex System)
  4.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
(정답률: 63%)
  • 듀플렉스 시스템은 두 개의 컴퓨터가 서로 대기하고 있으면서 작업을 번갈아가며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고장 발생 시 다른 컴퓨터가 대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듀플렉스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에서 멀티미디어의 응용분야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전자신문
  2. 원격의료
  3. 폰뱅킹
  4. 홈쇼핑
(정답률: 59%)
  • 멀티미디어는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기술이다. 이 중에서 폰뱅킹은 은행 업무를 스마트폰을 통해 처리하는 것으로, 멀티미디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따라서 폰뱅킹이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주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기억장치(Dram)의 데이터 접근시간은 캐시메모리 보다 빠르다.
  2. 주기억장치의 각 위치는 주소에 의해서 표시된다.
  3. 중앙처리장치는 처리할 명령어와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장소이다.
  4. 주기억장치 내에 있는 데이터의 접근 시간은 저장된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정답률: 60%)
  • "주기억장치(Dram)의 데이터 접근시간은 캐시메모리 보다 빠르다."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캐시메모리의 데이터 접근시간이 주기억장치보다 더 빠릅니다. 이는 캐시메모리가 중앙처리장치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기억장치는 캐시메모리보다 느리지만,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전송 측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수신 측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는?

  1. 라우터(Router)
  2. 허브(Hub)
  3. 모뎀(Modem)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률: 62%)
  • 모뎀은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화선 등 아날로그 회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에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모뎀이 필요합니다.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장치, 허브는 네트워크 장비들을 연결하는 장치,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보기의 내용은 무엇을 설명한 것인가?

  1. animated GIF
  2. Holography
  3. TIFF
  4. QuickTime
(정답률: 67%)
  • 이 보기는 "animated GIF"를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진공관을 이용한 세계 최초의 계산기는 어느 것인가?

  1. ENIAC
  2. MARK-1
  3. EDVAC
  4. BINAC
(정답률: 62%)
  • ENIAC은 1946년에 개발된 세계 최초의 전자식 범용 컴퓨터로, 진공관을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했습니다. 따라서 ENIAC은 진공관을 이용한 세계 최초의 계산기입니다. MARK-1, EDVAC, BINAC도 모두 컴퓨터이지만, ENIAC보다 이전에 개발되었거나 다른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정보통신망이 아닌 것은?

  1. LAN
  2. WAN
  3. MAN
  4. TCP
(정답률: 80%)
  • TCP는 정보통신망의 일종이 아니라,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로서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P Suite)의 일부이다. 따라서 TCP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3차원이나 가상현실 게임 또는 인터넷 채팅에서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위한 그래픽 아이콘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스트리밍(Streaming)
  2. 아바타(Avatar)
  3. 데몬(Daemon)
  4. 캐싱(Caching)
(정답률: 87%)
  • 3차원이나 가상현실 게임 또는 인터넷 채팅에서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그래픽 아이콘을 아바타(Avatar)라고 한다. 이는 인터넷 상에서 자신의 실제 모습이 아닌 가상의 모습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실제 모습과는 별개의 캐릭터를 만들어서 활동할 수 있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HTML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이퍼텍스트 언어이다.
  2. 시스템에 종속적이다.
  3. 작성하기 용이하다.
  4. 크기가 작다.
(정답률: 51%)
  • HTML은 시스템에 종속적이지 않습니다. HTML은 모든 운영 체제와 웹 브라우저에서 작동합니다. 이것은 HTML이 웹의 표준 언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