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로세서 2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4-12)

워드프로세서 2급(폐지)
(2009-04-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워드프로세서 용어 및 기능

1. 다음 중 그래픽 모드 표시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그림을 본문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2. 다양한 글자체를 사용할 수 있다.
  3. 위지윅(WYSIWYG)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4. 텍스트 모드에 비해 처리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75%)
  • 위지윅(WYSIWYG)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그래픽 모드는 이미지나 그래픽 요소를 표시하는 모드이기 때문에 텍스트 편집과 같은 WYSIWYG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텍스트 모드에 비해 처리속도가 빠른 이유는 그래픽 모드에서는 이미지나 그래픽 요소를 미리 그려놓고 화면에 표시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빠르다. 반면에 텍스트 모드에서는 문자 하나하나를 화면에 출력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저장하기(Save) 명령어 실행될 때의 가장 적절한 의미는?

  1. 주기억장치에 있는 내용을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한다.
  2.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내용을 주기억장치에 저장한다.
  3. 중앙처리장치에 있는 내용이 주기억장치에 저장된다.
  4. 중앙처리장치에 있는 내용이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다.
(정답률: 76%)
  • 정답은 "주기억장치에 있는 내용을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한다." 이다.

    Save 명령어는 현재 작업 중인 파일이나 문서를 보조기억장치(하드디스크, USB 등)에 저장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주기억장치에 있는 내용을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는 것이다. 주기억장치는 일시적인 저장 공간으로, 전원이 꺼지면 내용이 사라지기 때문에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해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인쇄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프린터는 고유한 프린터 드라이버를 가지고 있다.
  2. 피치(Pitch)가 클수록 문자와 문자사이의 간격이 넓게 인쇄된다.
  3. 프린터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DPI이다.
  4. 레이저 프린터의 인쇄 속도 단위는 PPM을 사용한다.
(정답률: 74%)
  • 피치(Pitch)가 클수록 문자와 문자사이의 간격이 넓게 인쇄된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문자의 크기와 간격을 조절하는 인쇄 기능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10피치의 글꼴은 12피치의 글꼴보다 문자와 문자사이의 간격이 좁게 인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파일의 확장자와 형식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TXT - 텍스트파일
  2. BAK - 압축저장파일
  3. HTM - 인터넷문서파일
  4. DOC - 워드문서파일
(정답률: 73%)
  • BAK - 압축저장파일은 일반적으로 백업 파일로 사용되며, 파일의 확장자와 형식이 잘못 연결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파일들과 달리 BAK - 압축저장파일은 잘못 연결된 것이 아니라 올바른 형식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한 단어가 행의 마지막에서 끊어져서 다음의 행으로 단어가 연결됨을 표시하는 이음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캡션
  2. 커서
  3. 하이픈
  4. 워드랩
(정답률: 59%)
  • 하이픈은 행의 마지막에서 단어가 끊어져서 다음 행으로 이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스풀(Spo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문서를 인쇄하는 도중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2. 주기억장치와 출력장치간의 속도 차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다.
  3. 출력할 자료를 주기억장치에 저장하였다가 프린터가 출력 가능한 시기에 출력시킨다.
  4. 마지막에 저장한 자료만 유효하다.
(정답률: 72%)
  • "문서를 인쇄하는 도중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는 스풀(Spool)에 대한 옳은 설명입니다. 스풀은 출력할 자료를 주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이를 프린터가 출력 가능한 시기에 출력시키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인쇄 작업 중에도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검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정단어의 위치를 쉽게 찾아 이동한다.
  2. 문서양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3. 본문 밖에 숨어있는 머리말, 꼬리말 등의 내용도 검색 가능하다.
  4. 대소문자, 한글, 영문, 특수문자 등의 검색도 가능하다.
(정답률: 71%)
  • "문서양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검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검색은 문서 내에서 특정 단어나 구절을 찾아 이동하거나, 문서 내부 밖에 있는 머리말이나 꼬리말 등의 내용도 검색할 수 있으며, 대소문자, 한글, 영문, 특수문자 등의 검색도 가능하다. 하지만 검색이 문서양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그림 삽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서에 포함해서 저장할 수 없다.
  2. 그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3. 흑백 또는 명암 등을 조정할 수 있다.
  4. 문서의 내용과 겹쳐 보이도록 그림을 투명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76%)
  • "그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흑백 또는 명암 등을 조정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문서의 내용과 겹쳐 보이도록 그림을 투명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문서에 포함해서 저장할 수 없다."이다. 이는 그림 파일은 문서 파일과 다른 파일 형식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보기의 내용에 적용되고 있는 정렬 방식은 무엇인가?

  1. 왼쪽 정렬(왼쪽 맞춤)
  2. 오른쪽 정렬(오른쪽 맞춤)
  3. 양쪽 배분정렬(균등 분할 맞춤)
  4. 가운데 정렬(가운데 맞춤)
(정답률: 90%)
  • 이 보기에서는 텍스트가 양쪽에 균등하게 분할되어 정렬되어 있으므로 양쪽 배분정렬(균등 분할 맞춤)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문서의 각 페이지 하단에 동일한 형태로 특정 문자열이나 페이지 번호 등을 자동으로 삽입하게 하는 기능은?

  1. 두문 기능
  2. 미문 기능
  3. 자동 기능
  4. 색인 기능
(정답률: 67%)
  • 이 기능은 "미문 기능"입니다. 이유는 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페이지 레이아웃과 관련된 프로그래밍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문서 편집기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고급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입력 및 편집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단 정렬은 별도의 영역지정이 없어도 정렬이 가능하다.
  2. 치환으로 문서 내에서 특정문자를 찾아 크기, 속성 등을 바꿀 수 있다.
  3. 버퍼란 문서편집 중 특정 값이나 문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기억장소이다.
  4. 한 행의 내용이 꽉 차기 전에 [Enter]키를 눌러 강제로 줄을 바꾸는 기능을 “자동 개행”이라고 한다.
(정답률: 70%)
  • "한 행의 내용이 꽉 차기 전에 [Enter]키를 눌러 강제로 줄을 바꾸는 기능을 “자동 개행”이라고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파일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 확장자는 사용자가 임의로 바꿀 수 없다.
  2. 파일의 확장자를 보고 파일의 종류를 알 수 있다.
  3. 문서 저장 시 사용자가 확장자를 입력하지 않아도 기본 확장자로 저장된다.
  4. 파일 이름과 확장자는 점(.)으로 구분한다.
(정답률: 68%)
  • "문서 저장 시 사용자가 확장자를 입력하지 않아도 기본 확장자로 저장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용자가 저장할 때 확장자를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이 설정한 확장자로 저장되지만, 사용자가 직접 확장자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파일 확장자는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며, 사용자가 임의로 바꿀 수 없는 이유는 파일의 내용과 구조가 확장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docx 확장자를 가진 파일은 워드 문서이며, .jpg 확장자를 가진 파일은 이미지 파일이다. 따라서 파일 확장자를 보고 파일의 종류를 알 수 있다. 파일 이름과 확장자는 점(.)으로 구분되며, 파일 이름에는 점이 포함될 수 있지만, 확장자는 파일 이름과 구분하기 위해 점으로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전자문서의 서명을 어떻게 하나?

  1. 프린터 출력 후 관인사용
  2. 서명표시인 사용
  3. 전자이미지 서명을 자동적으로 생성한 후 사용
  4. 경우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70%)
  • 전자이미지 서명은 디지털 서명 기술을 이용하여 문서에 서명을 하는 방법으로, 보안성이 높고 빠르며 편리하다. 또한 자동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인간의 실수나 부정확성을 배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다. 따라서 전자문서의 서명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낱장 용지의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재 대부분의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인쇄용지로 A판과 B판이 있다.
  2. 인쇄 용지에서 뒤의 숫자가 같을 경우 A판이 B판보다 크다.
  3. 같은 A 또는 B판에서 뒤의 숫자가 작을수록 용지의 크기는 크다.
  4. 같은 A 또는 B판에서 뒤의 숫자가 1씩 커질수록 용지의 크기는 절반으로 줄어든다.
(정답률: 78%)
  • "인쇄 용지에서 뒤의 숫자가 1씩 커질수록 용지의 크기는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인쇄 용지의 크기는 ISO 국제 표준에 따라 A0부터 시작하여 A1, A2, A3, A4, ... 순으로 크기가 작아지며, B0부터 시작하여 B1, B2, B3, B4, ... 순으로 크기가 작아집니다. 같은 A 또는 B판에서 뒤의 숫자가 작을수록 용지의 크기는 크다는 것은 맞지만, 1씩 커질수록 용지의 크기가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사무 관리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신속성
  2. 용이성
  3. 경제성
  4. 전파성
(정답률: 89%)
  • 정답: 전파성

    전파성은 사무 관리의 원칙이 아니며, 다른 세 가지 원칙인 신속성, 용이성, 경제성과는 다른 개념이다. 전파성은 정보나 메시지가 빠르게 전달되고 확산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이는 조직 내에서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정보의 효율적인 공유와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한자의 음을 모를 때의 입력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단어 변환
  2. 문장 자동 변환
  3. 외자 입력 변환
  4. 한글/한자 음절 변환
(정답률: 72%)
  • 외자 입력 변환은 한자의 음을 모를 때 해당 한자의 획수를 입력하여 한자를 찾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한자의 획수를 알고 있으면 한자의 음을 몰라도 해당 한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서로 반대되는 의미를 갖는 교정부호가 아닌 것은?

(정답률: 80%)
  • ""은 교정부호가 아니라 일반적인 그래픽 이미지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반대되는 의미를 갖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행두 금칙 문자가 아닌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85%)
  • "$"는 일반적으로 특수문자로 사용되지만, 행두 금칙 문자는 아닙니다. 행두 금칙 문자는 파일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는 특수문자로, 파일 시스템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는 파일 경로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행두 금칙 문자입니다. 하지만 "$"는 파일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행두 금칙 문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화면의 해상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상도가 높을수록 선명하다.
  2. 해상도란 표시되는 내용이 얼마나 선명하게 나타는가를 수치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3. 화소(Pixel)는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다.
  4. 해상도는 화면 대각선의 화소(Pixel)수로 표시된다.
(정답률: 68%)
  • 해상도는 화면 대각선의 화소(Pixel)수로 표시된다. (정답)

    해상도란 표시되는 내용이 얼마나 선명하게 나타는가를 수치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화소는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의 보기와 같이 문장의 내용을 수정하고자 할 때 사용될 교정부호는?

(정답률: 84%)
  • ""은 문장의 내용을 수정하는 교정부호 중에서 "대체"를 나타내는 부호이다. 즉, 해당 부호 뒤에 오는 단어나 구문으로 원래 문장에서 사용된 단어나 구문을 대체하여 문장을 수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 운영 체제

21.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이 정상 상태로 시동되지 않을 때, 필수적인 기능만으로 부팅하는 모드로 옳은 것은?

  1. 표준 모드로 Windows 시작
  2. VGA 모드
  3. 안전 모드
  4. 디버그 모드
(정답률: 85%)
  • 안전 모드는 시스템이 정상 상태로 시동되지 않을 때 필수적인 기능만으로 부팅하는 모드입니다. 이 모드에서는 기본적인 드라이버와 서비스만 로드되어 안정적인 부팅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가 있는 드라이버나 프로그램이 부팅 시 로드되지 않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작업 표시줄에 있는 해당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삭제한다.
  2. [시작]-[모든 프로그램]항목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삭제]를 선택한다.
  3. 바탕 화면에 있는 해당 프로그램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삭제한다.
  4. [프로그램 추가/제거]창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변경/제거]버튼을 눌러서 삭제한다.
(정답률: 78%)
  • 한글 Windows XP에서는 [프로그램 추가/제거]창이 제공되어 해당 창에서 설치된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변경/제거]버튼을 눌러서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이 가장 옳은 이유는 해당 창에서는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프로그램의 목록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쉽게 삭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작업 표시줄, 시작 메뉴, 바탕 화면 등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찾아 삭제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한글 Windows XP의 [시스템 도구]중에서 [디스크 정리]를 이용하여 할 수 있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indows 시스템 파일의 제거
  2. 휴지통 비우기
  3. 다운로드한 프로그램 파일의 제거
  4. 임시 인터넷 파일의 제거
(정답률: 54%)
  • 정답: "Windows 시스템 파일의 제거"

    설명: 디스크 정리를 통해 Windows 시스템 파일을 제거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파일을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디스크 정리는 휴지통 비우기, 다운로드한 프로그램 파일의 제거, 임시 인터넷 파일의 제거 등을 통해 디스크 공간을 확보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작업 표시줄에 있는 알림 영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컴퓨터의 현재 시간이 표시되며, 볼륨이나 특정 프로그램 정보 등을 볼 수 있다.
  2.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폴더 창이 나타난다.
  3.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등록해 놓고 클릭을 한 번만 하면 프로그램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4.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연결 항목에 등록된 웹 사이트로 빠르게 접속할 수 있다.
(정답률: 52%)
  • "컴퓨터의 현재 시간이 표시되며, 볼륨이나 특정 프로그램 정보 등을 볼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알림 영역은 작업 표시줄 오른쪽 끝에 위치하며, 시스템 시간, 볼륨, 네트워크 상태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일부 프로그램의 알림 메시지를 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지원한다.
  2. 비 선점형 멀티태스킹을 사용한다.
  3. FAT32뿐만 아니라 NTFS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4. USB와 같은 하드웨어 연결 포트를 지원한다.
(정답률: 67%)
  • "비 선점형 멀티태스킹을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한글 Windows XP는 선점형 멀티태스킹을 사용한다. 이는 운영체제가 프로세스들을 강제로 중단시키고 다른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이 먼저 처리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세스 관리
  2. 파일 관리
  3.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4. 데이터베이스 관리
(정답률: 56%)
  • 한글 Windows XP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입니다. Windows XP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나 서비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한글 Windows XP의 하드디스크에 대한 [포맷]창의 항목 중 디스크에서 파일을 제거하지만 디스크의 불량 섹터를 검색하지는 않도록 포맷을 설정하는 것은?

  1. MS-DOS 시동 디스크 만들기
  2. 압축 사용
  3. 빠른 포맷
  4. 볼륨 레이블
(정답률: 77%)
  • 빠른 포맷은 디스크를 포맷하는 과정에서 디스크의 불량 섹터를 검색하지 않고 파일을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포맷 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디스크의 불량 섹터를 검색하지 않고 빠르게 포맷을 완료하고자 할 때 빠른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같은 폴더 내에 이름이 같은 여러 개의 파일을 만들 수 있다.
  2. 폴더 내에 여러 개의 하위 폴더를 만들 수 있다.
  3. 특정 문서 파일을 클릭하면 이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4.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와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정답률: 68%)
  • "같은 폴더 내에 이름이 같은 여러 개의 파일을 만들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파일 이름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파일 이름이 중복되면 덮어쓰기가 되거나 파일이 생성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바로가기 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2] : 폴더 또는 파일의 이름을 바꿀 때 사용한다.
  2. [Shift] + [Delete] :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파일을 삭제할 때 사용한다.
  3. [Alt] + [F4] : 활성화된 창을 닫을 때 사용한다.
  4. [F3] : 작업 표시줄에 여러 개의 창에서 다른 창으로 전환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80%)
  • "[F3] : 작업 표시줄에 여러 개의 창에서 다른 창으로 전환할 때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F3] 키는 Windows 탐색기에서 검색 기능을 실행하는 단축키이기도 하지만, 작업 표시줄에서 여러 개의 창을 열어 놓았을 때 다른 창으로 전환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작업 표시줄에서 여러 개의 창을 빠르게 전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한글 Windows XP의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정보] 창에서 TCP/IP 지정을 위한 구성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 게이트웨이
  2. 최대 소켓(Socket)의 수
  3. IP 주소
  4. 기본 설정 DNS 서버
(정답률: 73%)
  • TCP/IP 지정을 위한 구성 요소 중에서 최대 소켓(Socket)의 수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TCP/IP 프로토콜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소켓 수를 나타내며, 이 값은 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운영 체제의 제한에 따라 다릅니다. 따라서 이 값은 구성 요소가 아니라 TCP/IP 프로토콜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제공하는 클립보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 도중 복사하거나 이동할 때, 데이터가 잠시 기억되는 임시 장소이다.
  2. 전원이 꺼지거나 시스템을 다시 시작할 경우에 클립보드의 내용은 삭제된다.
  3.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일종의 가상 메모리이다.
  4. 활성화된 창의 이미지를 클립보드에 캡처하려면 [Alt] + [PrtScr]키를 사용한다.
(정답률: 60%)
  •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일종의 가상 메모리이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클립보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하는 일종의 가상 메모리이다. RAM은 하드디스크와는 다른 종류의 저장장치이다. RAM은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CD-ROM을 CD-ROM드라이브에 삽입할 때 자동실행 기능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키는?

  1. [Ctrl]
  2. [Alt]
  3. [Shift]
  4. [Esc]
(정답률: 64%)
  • 정답은 "[Shift]"입니다.

    CD-ROM을 삽입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기능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CD-ROM을 삽입하기 전에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CD-ROM을 삽입해야 합니다. 이는 자동실행 기능을 방지하는 방법 중 하나로, [Shift] 키를 누르면 CD-ROM이 삽입되어도 자동실행되지 않고, 수동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 [Ctrl], [Alt], [Esc] 키는 CD-ROM 자동실행 기능과는 무관한 다른 기능을 수행하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그림판]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일의 확장자 형식으로만 열거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HWP, *.PCX, *.GIF
  2. *.BMP, *.GIF, *.TXT
  3. *.PDF, *.JPG, *.TXT
  4. *.BMP, *.JPG, *.GIF
(정답률: 78%)
  • 정답은 "*.BMP, *.JPG, *.GIF" 입니다.

    그림판 프로그램은 주로 비트맵 이미지(.BMP)와 JPEG 이미지(.JPG), 그리고 GIF 이미지(.GIF)를 지원합니다. 이유는 이 세 가지 파일 형식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미지 형식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파일 형식들은 그림판에서 지원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 설치된 기본 프린터의 속성 창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은?

  1. 프린터 이름의 변경
  2. 공유 설정
  3. 포트 변경
  4. 설치된 프린터의 삭제
(정답률: 52%)
  • 설치된 프린터의 삭제는 속성 창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속성 창에서는 프린터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기능만 제공하기 때문이다. 프린터를 삭제하려면 제어판의 프린터 및 팩스에서 해당 프린터를 선택하고 삭제를 실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를 부팅한 후에 특정 응용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하려면 해당 프로그램은 어느 폴더에 있어야 하는가?

  1. [시작 메뉴]
  2. [시작프로그램]
  3. [바탕화면]
  4. [Program Files]
(정답률: 63%)
  • 한글 Windows XP에서는 부팅 후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시작프로그램] 폴더에 넣어야 한다. 이는 시작프로그램 폴더에 있는 프로그램들이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기 때문이다. [시작 메뉴]는 사용자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모아놓은 폴더이고, [바탕화면]은 단순히 바탕화면에 아이콘을 생성하는 용도이며, [Program Files]는 프로그램 설치 폴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한글 Windows XP에서 [시작]메뉴의 [로그오프]기능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지며, 다른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전환을 선택할 수 있다.
  2.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에서 현재 사용자의 시스템을 대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3. 사용 중인 모든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안전하게 시스템을 종료할 수 있다.
  4.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한 뒤 시스템을 안전 모드로 다시 부팅할 수 있다.
(정답률: 55%)
  • 정답은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지며, 다른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전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다. 로그오프 기능은 현재 사용자의 세션을 종료하고 로그인 화면으로 돌아가는 기능이다. 이때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지는 이유는 현재 사용자의 세션이 종료되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전환을 선택할 수 있는 이유는 로그오프 후 다른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를 처음 설치하였을 때 바탕화면에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아이콘으로 옳은 것은?

  1. [Windows 탐색기]
  2. [내 컴퓨터]
  3. [휴지통]
  4. [내 네트워크 환경]
(정답률: 79%)
  • 한글 Windows XP를 처음 설치하였을 때 바탕화면에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아이콘은 "[내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 "[인터넷 익스플로러]", "[Outlook Express]" 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바탕화면에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아이콘은 "[휴지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한글Windows XP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바로 가기 메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업 표시줄]에서는 바로 가기 메뉴가 나타나지 않는다.
  2.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서 바로 가기 메뉴의 항목이 다르게 표시된다.
  3. 바로 가기 메뉴에 표시되는 각 항목은 하위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다.
  4. 바로 가기 메뉴의 내용은 절대로 변경할 수 없다.
(정답률: 55%)
  •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서 바로 가기 메뉴의 항목이 다르게 표시된다. 이는 바로 가기 메뉴가 해당 영역에 대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배경 설정, 화면 해상도 변경 등과 같은 바탕 화면 관련 기능이 나타나고, 파일이나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파일/폴더 관련 기능이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에 관한 등록정보 창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당 파일의 크기를 알 수 있다.
  2. 해당 파일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3. 해당 파일의 읽기 전용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4. 해당 파일의 수정한 날짜를 알 수 있다.
(정답률: 50%)
  • 해당 파일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은 등록정보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이 아니라, 마우스 우클릭 메뉴에서 "바로가기 만들기"를 선택하여 만들 수 있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해당 문항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한글 Windows XP의 [제어판]에 있는 [키보드]의 등록정보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커서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2. 문자 반복에 의한 재입력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3. 문자 반복에 의한 반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4. 커서 깜박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정답률: 67%)
  • "커서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커서 모양을 변경할 수 있는 이유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커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화살표 모양, I 모양, 하트 모양 등 다양한 모양의 커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 기본 상식

41. 다음의 인터넷 보안 침입 형태 중 송신한 데이터가 수신지까지 가는 도중에 몰래 보거나 도청하는 행위는?

  1. 가로채기
  2. 부인봉쇄
  3. 수정하기
  4. 위조하기
(정답률: 90%)
  • 가로채기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도중에 중간에서 데이터를 가로채어 몰래 엿보거나 도청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가로채기가 정답인 이유는 송신한 데이터가 수신지까지 가는 도중에 몰래 보거나 도청하는 행위를 가로채기라고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위조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운영체제의 종류와 거리가 먼 것은?

  1. Oracle
  2. UNIX
  3. Windows XP
  4. Linux
(정답률: 65%)
  •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소프트웨어로, 컴퓨터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한다. 따라서, UNIX, Windows XP, Linux은 모두 운영체제의 종류이다. 그러나 Oracle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하나로, 운영체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Oracle이 운영체제의 종류와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CD_ROM 타이틀의 활용분야 중에서 컴퓨터를 통하여 고가의 기계를 다루는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비용부담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아케이드 게임
  2. CBT(Computer Based Training)
  3. IBT(Internet Based Testing)
  4. 애니메이션
(정답률: 76%)
  • CBT는 컴퓨터를 통해 학습하는 교육 방법으로, 고가의 기계를 다루는 방법을 시뮬레이션하여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직접 기계를 다루는 것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BT는 공장, 제조업, 항공 등의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어 비용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하는 용어는?

  1. WAN
  2. VAN
  3. MAN
  4. LAN
(정답률: 83%)
  •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합니다. 이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컴퓨터나 기기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WAN은 Wide Area Network, VAN은 Value-added Network, MAN은 Metropolitan Area Network으로, LAN이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인터넷 방송과 같이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원하는 시간에 선택해서 볼 수 있게 하는 서비스는?

  1. 가상현실(VR)
  2. 화상회의 시스템(VCS)
  3. 주문형 비디오(VOD)
  4.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정답률: 86%)
  • 주문형 비디오(VOD)는 가입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는 인터넷 방송과 같이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며, 가입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은 서버에서 스트리밍되어 가입자의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따라서 VOD는 가입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한 서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수첩과 이동통신, 개인정보관리기능 등을 가지고 있다.
  2. 팜톱의 일종으로 펜이나 터치스크린으로 입력한다.
  3. Windows CE, CelVic OS 등 GUI방식의 운영체제를 사용한다.
  4. 소형 컴퓨터이므로 대부분 RISC프로세서를 사용한다.
(정답률: 52%)
  • "소형 컴퓨터이므로 대부분 RISC프로세서를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PDA는 소형 컴퓨터로서, 작은 크기와 저전력 소비를 위해 RISC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보조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장된 정보를 반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2. 현재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조기억장치에 기억시켜두었다가 필요할 때 다시 사용할 수 있다.
  3. 주기억장치에 비해 읽는 속도가 느리나, 저렴한 가격에 많은 정보를 저장시킬 수 있다.
  4.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실행시키면 주기억장치를 거치지 않고 바로 실행된다.
(정답률: 63%)
  •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실행시키면 주기억장치를 거치지 않고 바로 실행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는 실행하기 전에 주기억장치로 옮겨져야 실행될 수 있습니다. 이는 보조기억장치의 읽기 속도가 주기억장치에 비해 느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보기의 내용은 무엇을 설명한 것인가?

  1. GIS
  2. GPS
  3. GTS
  4. GDS
(정답률: 79%)
  • 이 보기는 GPS를 나타내는 것이다. 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 위성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다른 보기인 GIS는 지리 정보 시스템, GTS는 글로벌 텔레콤 시스템, GDS는 글로벌 배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하는 것은?

  1. 광속 상거래(CALS)
  2. 제닉스(XENIX)
  3. 유비쿼터스
  4. 인트라넷
(정답률: 77%)
  •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비쿼터스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광속 상거래(CALS)는 군사용어로 군수물자의 공급과 관련된 정보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제닉스(XENIX)는 유닉스(UNIX) 운영체제의 일종으로, 서버용 운영체제로 사용됩니다. 인트라넷은 기업 내부에서 사용되는 전용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보기의 내용에 적합한 것은 무엇인가?

  1. 펌웨어 프로그램
  2. 임베디드 시스템
  3. 인터럽트 프로그램
  4. RISC 프로그램
(정답률: 65%)
  • 위의 그림은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컨트롤러는 CPU, RAM, ROM, 입출력 포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ROM에는 펌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펌웨어 프로그램은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시스템의 동작을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정답은 "펌웨어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등을 포함한 정보가 링크로 서로 연결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플러그인
  2. 웹 브라우저
  3. 스트리밍
  4. 하이퍼미디어
(정답률: 75%)
  • 정답은 "하이퍼미디어"이다. 하이퍼미디어는 텍스트, 이미지,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정보를 링크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된 정보의 집합을 말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유롭게 정보를 탐색하고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플러그인은 웹 브라우저에서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며, 스트리밍은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 네온 및 아르곤 가스를 넣고, 전압을 가해 빛을 발생시켜 화면을 보여주는 출력장치는?

  1. LCD
  2. CRT
  3. PDP
  4. LED
(정답률: 63%)
  • 정답은 "PDP"입니다. PDP는 Plasma Display Panel의 약자로,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 네온 및 아르곤 가스를 넣고 전압을 가해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빛을 만들어 화면을 보여주는 출력장치입니다. LCD는 액정 디스플레이, CRT는 광선총괄관 디스플레이, LED는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컴퓨터의 발전과정 순으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MARK-I → EDSAC → ENIAC → EDVAC
  2. MARK-I → ENIAC → EDSAC → EDVAC
  3. ENIAC → MARK-I → EDVAC → EDSAC
  4. ENIAC → MARK-I → EDSAC →EDVAC
(정답률: 72%)
  • 정답은 "MARK-I → ENIAC → EDSAC → EDVAC" 입니다.

    MARK-I은 1944년에 개발되었고, 이후 ENIAC이 1945년에 개발되었습니다. 그리고 EDSAC은 1949년에, EDVAC은 1951년에 개발되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발전과정을 시간순으로 나열하면 MARK-I → ENIAC → EDSAC → EDVAC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2. 일반적으로 크고 복잡하지만 단일 프로그램이다.
  3. 보통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중재를 해 줄 것을 요구한다.
  4. 컴퓨터 시스템 내의 자원관리와는 무관하다.
(정답률: 61%)
  •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이는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이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운영체제가 이를 번역하고 중재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하드디스크를 설치하는 순서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3→2→4→1
  2. 4→2→3→1
  3. 2→4→3→1
  4. 2→3→4→1
(정답률: 59%)
  • 하드디스크를 설치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컴퓨터 전원을 끄고, 전원 케이블을 분리합니다.
    2. 하드디스크를 컴퓨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합니다.
    3. 데이터 케이블을 하드디스크와 마더보드에 연결합니다.
    4. 전원 케이블을 하드디스크에 연결하고, 컴퓨터 전원을 다시 켭니다.

    이 중에서도 먼저 하드디스크를 설치해야 하므로 2번이 가장 먼저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하고,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는 순서는 상관이 없지만, 전원 케이블을 연결한 후에 컴퓨터 전원을 켜야 하므로 4번이 마지막에 나와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3→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출력장치에 표시함으로써 송수신자 간의 정보 전달시간 지연을 줄이는 멀티미디어 전송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Real Time Play
  2. Quick View
  3. Applet
  4. Streaming
(정답률: 67%)
  • 정답: Streaming

    설명: Streaming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출력장치에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멀티미디어 전송기법입니다. 따라서 정보 전달시간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Real Time Play는 실시간 재생을 의미하며, Quick View는 빠른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Applet은 자바 언어로 작성된 작은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모두 Streaming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B-ISDN이나 초고속정보통신망에서 사용하는 전송모드로서 비동기전송모드라고 불리는 전송모드는?

  1. STM
  2. ATM
  3. VAN
  4. WAN
(정답률: 56%)
  • ATM은 비동기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로, B-ISDN이나 초고속정보통신망에서 사용하는 전송모드 중 하나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각 패킷은 고정된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ATM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음성, 영상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에도 적합합니다. 따라서 B-ISDN이나 초고속정보통신망에서는 ATM을 주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부팅 영역을 감염시켜 컴퓨터 부팅시 에러를 유발하는 것을 부트 바이러스라 한다.
  2. 바이러스 프로그램은 자기 복제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컴퓨터 바이러스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확산되지 않는다.
  4. 매크로 바이러스는 자동 실행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감염시킨다.
(정답률: 74%)
  • "컴퓨터 바이러스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확산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감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기억장치의 접근 시간을 빠른 것에서 느린 것으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캐시기억장치→레지스터→주기억장치→하드디스크→자기테이프
  2. 레지스터→캐시기억장치→주기억장치→하드디스크→자기테이프
  3. 캐시기억장치→주기억장치→레지스터→자기테이프→하드디스크
  4. 레지스터→주기억장치→캐시기억장치→자기테이프→하드디스크
(정답률: 82%)
  • 정답은 "레지스터→캐시기억장치→주기억장치→하드디스크→자기테이프"입니다.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가장 빠른 접근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캐시기억장치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며 레지스터보다는 느리지만 주기억장치보다는 빠른 접근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기억장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로서 캐시기억장치보다는 느리지만 하드디스크나 자기테이프보다는 빠른 접근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드디스크와 자기테이프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로서 주기억장치보다는 매우 느린 접근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웹 캐싱
  2. 방화벽
  3. 침입탐지시스템
  4. 사용자 인증
(정답률: 72%)
  • 웹 캐싱은 웹 페이지나 파일 등을 미리 저장해 놓는 기술로, 웹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사용자에게 빠른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정답은 "웹 캐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